KR102517814B1 - 소재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814B1
KR102517814B1 KR1020180119514A KR20180119514A KR102517814B1 KR 102517814 B1 KR102517814 B1 KR 102517814B1 KR 1020180119514 A KR1020180119514 A KR 1020180119514A KR 20180119514 A KR20180119514 A KR 20180119514A KR 102517814 B1 KR102517814 B1 KR 10251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ling
device body
mounting block
dry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921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8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복수의 소재(시험용 가공소재 등)들의 장치 탑재를 가능하게 하면서 적어도 산세와 세정 단계, 바람직하게는 이들 단계와 건조 단계를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한 소재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소재 처리장치는, 적어도 커버링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바디수단;과,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들이 탑재되는 소재 탑재수단; 및, 상기 장치 바디수단에 연계되고 상기 회동하는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되면서,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서 순차적인 소재의 다중 처리를 가능토록 제공된 복수의 소재 처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소재 처리수단은, 소재 산세수단과 세정수단 및 건조수단을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를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재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MATERIALS}
본 발명은 소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복수 소재(시험용 가공소재나 시편 등)들의 간편한 장치 탑재를 가능하게 하면서 장치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는 한편, 소재들의 다중 처리, 예컨대, 소재의 산세와 세정 단계, 바람직하게는 이들 단계와 건조 단계를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한 소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험(실험)을 위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 가공된 소재(시편)는 용액에 침적시키어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소재의 표면 도금층이나 산화피막 또는, 불순물을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산세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알려진 통상의 소재 산세작업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산세용액을 비이커에 저장한 상태에서 가열을 통해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가공소재나 시편 등의 소재를 침적시키면서 일정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존의 소재 산세 작업의 경우에는, 비이커의 크기 문제로 1회 처리량이 제한되었고, 소재의 산세 처리(산화피막이나 도금층 제거 등)에 많은 불편한 작업이 수반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또한, 미끄럼 등에 의해 소재들이 겹쳐진 상태로 비이커 용액에 침지되는 경우, 소재의 균일한 표면 산세도 어려운 것이었다.
그리고, 산세 용액의 비산이나 작업자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 우려도 높고, 산세용액이 저장되는 비이커의 파손 등에 의한 작업장 오염도 우려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소재 즉, 시험용 가공 소재나 시편 들의 장치 탑재의 간편함과 확대를 가능하게 하고,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하면서, 적어도 산세와 세정 단계 바람직하게는, 산세와 세정과 건조 단계들을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한 소재 처리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KR 10-2015-0040009 A (2015.04.14)에서는 시편 세척 장치를 개시하고, KR 10-2011-0068013 A (2011.06.22) 에서는 시편 탈지장치를 개시하나, 이들은 세척이나 탈지용 롤러 들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위의 요구되는 기술을 만족하는 것도 아니다.
KR 10-2015-0040009 A (2015.04.14) KR 10-2011-0068013 A (2011.06.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 소재(시험용 가공소재나 시편 등)들의 간편한 장치 탑재를 가능하게 하면서 장치의 공간 활용도 향상시키는 한편, 소재들의 다중 처리 예컨대, 소재의 산세와 세정 단계, 바람직하게는 이들 단계와 건조 단계를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한 소재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는, 적어도 커버링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바디수단;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들이 탑재되는 소재 탑재수단; 및,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연계되고, 상기 회동하는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인 소재의 다중 처리를 가능토록 제공된 복수의 소재 처리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들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된 소재 산세수단; 및, 소재 세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소재 세정수단 다음으로 순차로 배치된 소재 건조수단;을 더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를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바디수단은 상기 처리수단들을 포위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 탑재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수단에 구비된 장치바디의 내측에 제공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계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 탑재부를 구비하는 소재탑재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재탑재블록은, 상기 소재 산세수단, 상기 소재 세정수단 및 상기 소재 건조수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상기 소재 탑재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재 탑재부에서 소재의 산세, 세정, 건조 처리가 동시에 가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소재탑재블록을 소재 처리수단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소재탑재블록에 연계되는 전기 또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는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제공되는 수직대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탑재부는, 상기 소재탑재블록에 제공된 자력홈부 또는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는, 적어도 커버링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바디수단;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들이 탑재되는 소재 탑재수단; 및,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연계되고, 상기 회동하는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인 소재의 다중 처리를 가능토록 제공된 복수의 소재 처리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들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된 소재 산세수단; 및, 소재 세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소재 세정수단 다음으로 순차로 배치된 소재 건조수단;을 더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를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바디수단은 상기 처리수단들을 포위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 탑재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수단에 구비된 장치바디의 내측에 제공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계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 탑재부를 구비하는 소재탑재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소재탑재블록을 소재 처리수단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소재탑재블록에 연계되는 전기 또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는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제공되는 수직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 탑재부는, 상기 소재탑재블록에 제공된 자력홈부 또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홈부는 상기 소재 탑재블록에 구비된 자석에 복수개 형성되는 제1 소재 탑재홈; 또는, 상기 소재 탑재블록에 형성된 삽입홈에 개별 삽입되는 복수의 자석에 형성된 제2 소재 탑재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소재탑재블록에 형성된 소재 통과개구를 통과하는 소재를 고정토록 상기 소재 탑재블록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소재탑재블록에 제공된 회전링에 안착되고 상기 모터가 고정되면서 그 외곽으로 수직대 상에 장착되는 원통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재 산세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을 향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소재를 산세하는 산세용액이 채워지고, 산세용액 배출라인이 연계되는 소재 산세조; 및, 상기 소재 산세조와 인접하여 제공된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재 세정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을 향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정수 배출라인이 연계되는 세정용 커버체; 및, 상기 세정용 커버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세정수 공급라인이 연계되면서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소재 세정을 가능토록 제공된 세정수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재 건조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를 향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건조용 커버체; 및, 상기 건조용 커버체에 장착되고 에어공급라인이 연계되면서 에어를 분사토록 제공된 에어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체들과 연계되면서 커버체의 수평 또는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들은 산세조 또는 커버체들의 수직 또는 수평 이동을 보상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산세조 또는 커버체들은 구동 실린더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소재(시험용 가공소재나 시편 등)들의 장치 탑재를 가능하게 하면서, 소재들의 다중 처리 예컨대, 소재의 산세와 세정 단계, 바람직하게는 이들 단계와 건조 단계를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각도로 회동되면서 위치 조정되는 소재들에 산세, 세정 또는 이들과 건조의 처리수단들이 이동하여 연속적이면서 순차적으로 처리단계들이 이루어져, 장치의 공간 활용성도 높이는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재 표면의 산화피막이나 도금층 또는 불순물 제거는 물론, 산세후의 소재 세정이나 건조 등의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 가능하게 하고, 작업장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오염 가능성도 제거하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예컨대 소재표면의 도금층 등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를 통한 소재의 실험품질도 향상시키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장치에서 소재들을 탑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 장치에서 소재들을 탑재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재 탑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재 탑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재 탑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처리장치(100)를 구성도 및 개략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소재 탑재수단의 여러 실시예들을 요부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100)는, 적어도 커버링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바디수단(110)과, 상기 장치 바디수단(1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10)들이 탑재되는 소재 탑재수단(130) 및, 상기 장치 바디수단에 연계되고 상기 회동하는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되면서,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서 순차적인 소재의 다중 처리를 가능토록 제공된 복수의 소재 처리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재 처리수단들은, 적어도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된 소재 산세수단(150) 및, 소재 세정수단(170)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을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재 처리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에 대응하여 상기 소재 세정수단(170)의 다음으로 순차로 배치된 소재 건조수단(190)을 더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 단계들을 수행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처리수단들은, 소재의 표면 산화피막(scale)이나 도금층 또는, 불순물 등을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소재 산세수단(150)과, 소재 세정수단(170) 및 소재 건조수단(1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10)는 일정크기로 절단되는 바아 형태의 시험용 가공 소재나 시편일 수 있고,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소재(10)로 설명한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재 산세수단을 소재 도금수단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인데, 예를 들어 소재 산세수단(150)의 산세조(156)를 도금조로 대체하고 산세용액(152) 대신에 도금용액을 도금조에 채우면 소재의 도금과 도금된 소재의 세정 및 건조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소재 산세수단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100)는,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바디수단(110)에 연계되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소재 처리수단 예컨대, 소재 산세수단(150)과 소재 세정수단(170) 또는, 이들과 소재 건조수단(1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100)가 소재 산세수단(150)과 소재 세정수단(170) 및 소재 건조수단(190)을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이면서 순차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를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소재 처리장치(100)의 여러 구성수단들 예컨대, 장치 바디수단(110), 소재 탑재수단(130), 소재 산세수단(150), 소재 세정수단(170) 및 소재 건조수단(190)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100)의 상기 장치 바디수단(110)는, 상기 구성수단(130)(150)(170)(190)들을 포위하도록 제공되는 장치바디(112)와, 상기 장치바디(112)에 소재(10)의 장치 탑재와 분리 제거를 위하여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 바디(112)는 상기 소재 산세수단(150)과 소재 세정수단(170)과 소재 건조수단(190)들의 수직 이동(좌우 이동)이나 수평 이동(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가능하게 연계되는 박스 구조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정도의 두께와 강도를 갖는 투명 수지(아크릴) 재질의 박스 구조체이거나 강판이 용접 처리된 박스 구조체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바디(112)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일부 절개되어 소재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114)를 포함하므로, 반드시 투명 재질이 아니어도 문제는 없다.
이때,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개구부(114)는 소재(10)들을 상기 소재탑재수단(130)에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크기이면 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장치바디(112)의 개구부(114)에는 힌지 작동하는 힌지도어(116)가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14)를 소재의 처리(산세, 세정 및 건조)시 밀폐시키고, 소재(10)를 장치 탑재수단(130)에 탑재하거나 분리시키어 빼내는 경우, 상기 힌지도어(116)는 개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실질적으로 소재를 처리하는 소재 처리수단들 즉, 소재 탑재수단, 산세수단, 세정수단 및 건조수단들을 장치바디(112)가 포위하므로,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주변 오염등도 방지되는 것이다. 더욱이 개구부(114)는 힌지도어(116)로 밀폐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100)의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은, 상기 장치 바디수단(110)의 장치바디(112)의 내측에 높이를 갖고 수평 제공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계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 탑재부를 구비하는 예컨대, 회동형의 소재 탑재블록(132)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을 상기 소재 산세수단(150), 소재 세정수단(170) 및 소재 건조수단(190)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정면에서 볼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기 또는 유압 모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장치바디(112)의 내부 하측의 소재 산세수단(150) -> 그 일측으로 장치바디(112)의 좌측에 배치된 소재 세정수단(170) -> 그 일측으로 장치바디(112)의 상측으로 소재 산세수단(15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소재 건조수단(190)에 순차로 소재들의 대응 배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에 연계되는 구동수단 즉, 모터(134)는 90도 간격으로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스탭핑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작업자는 소재탑재블록(132)의 우측으로 개구부(114)를 통하여 대략 6 개 정도의 복수의 소재(10)들을 탑재하면, 소재탑재블록(132)은 90도 간격으로 회동하면서, 소재들은 순차적으로 산세->세정->건조의 위치로 옮겨지면서 상기 단계들이 수행되고, 처리된 소재들이 최초의 탑재 위치로 되돌아 오면, 작업자는 산세, 세정 및 건조 처리된 소재(10)들을 블록에서 분리하여 수집하면 된다.
결국, 본 발명 장치는 소재들이 회동하되, 이 소재들을 향하여 소재 산세수단, 세정수단 및 건조수단들이 이동하여 산세, 세정과 건조가 이루어져, 불필요한 공간이 없는 전체적인 장치의 공간 활용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은 사방면을 갖는 박스 구조체이므로, 구동수단인 모터(134)가 연계되는 정면을 제외한 측면의 4면에 소재(10)들을 한번에 여러개 탑재하고, 소재탑재블록의 90도 연속적이고 순차적인 회동으로 탑재되는 소재들은 연속적으로 산세,세정과 건조 처리되게 된다.
물론,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 시간 등을 고려하여, 모터(134)의 90도 회전 간격이 조정됨은 물론이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와 모터(134)가 연계되어 회동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재 산세에 가장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소재 산세시간의 간격으로 모터의 90도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100)는 실질적으로 매우 다량의 소재(10)들을 연속적이면서 순차적으로 적어도 산세와 세정 또는, 바람직하게는 산세와 세정과 건조를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전기 또는 유압 모터(134)는 장치 바디수단에 구비된 장치바디(112)의 내부에 제공되는 수직대(136)상에 수평 장착되면서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의 정면에 고정되어 회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의 정면에 가이드홈(138a)이 형성된 회전링(138)을 장착하고, 상기 모터(134)가 회전링의 내측으로 블록 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대(136)상에 수평 장착되는 원통 가이드(140)가 상기 모터를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원통가이드(140)의 선단이 상기 회전링(138)의 가이드홈(138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34)와 일체로 소재탑재블록(132)과 회전링(138)이 회전하되, 회전링(138)이 원통 가이드(140)의 선단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박스 구조체인 소재탑재블록(132)의 90도 간격의 회전 운동을, 소재들이 복수개 탑재되어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은 투명한 수지(아크릴) 재질의 박스 블록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5,6과 같이, 내부는 중공되고 플랜지(F)와 체결볼트(B)을 매개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2,4 및 도 5,6과 같이,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의 소재회동블록에 제공되는 소재 탑재부는,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에 제공된 자력홈부 또는 고정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와 같이, 상기 자력홈부는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의 사면에 구비된 자석(142)들에 복수개 형성되는 제1 소재 탑재홈(142a)들 또는, 도 5와 같이, 상기 소재 탑재블록(132)에 형성된 삽입홈(144)에 개별 삽입되는 복수의 자석(142')들에 형성된 제2 소재 탑재홈(146)들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재(10) 예를 들어 금속재질의 가공소재나 시편 등의 소재(10)는, 자석(142)(142')들의 자력을 매개로 제1 또는 제2 소재 탑재홈(142a)(146)들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복수개의 소재들이 간편하게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의 사면)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은 체결볼트(B)로 조립되는 플랜지(F)를 포함하고, 내부는 빈 중공 구조의 박스 구조체일 수 있고, 이에 소재(10)들은 제1,2 소재 탑재홈들을 통과하여 일정 깊이로 삽입되면서 자력으로 탑재후 고정되고, 이는 소재탑재블록(132)이 모터(134)로서 90도 간격으로 회동하여도 소재들이 소재탑재블록에서 이탈되지 않게 할 것이다.
물론, 작업자가 외부에서 일정이상의 힘으로 소재들을 당기면 소재탑재블록에서 소재들은 분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판(148)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 조립 구조이고 내부가 중공된 상기 소재탑재블록(132)의 내부에 적당하게 배열되되, 상기 소재탑재블록에 형성된 소재통과개구(148a)의 양측에 장착된다.
따라서, 소재(10)는 블록(의 사면)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소재통과개구(148a)를 통과하여 일정깊이로 삽입되면, 소재탑재블록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고정판(148)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어, 소재탑재블록의 소재 탑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판(148)들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경사지면서 깊어질 수록 (소재의 탑재 깊이가 길어질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져, 소재(10)들이 삽입될 수록 고정력이 높아지는 판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소재탑재블록(132)에 제공된 자력홈부 또는 고정판을 매개로 작업자는 한번에 다량의 소재(10)들을 탑재시킬 수 있다. 다만, 장치바디(112)의 내부 공간이나 블록의 회동반경 등을 고려하여, 소재의 탑재 능력을 조정하면 될 것이다.
다음, 이하에서는 복수 소재(10)들을 다중 처리하는 본 발명 장치(100)의 소재 처리수단들 예컨대, 소재 산세수단, 세정수단 및 건조수단(150)(170)(190)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의 소재 산세수단(150)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를 향하여 수직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소재(10)를 산세하는 산세용액(152)이 채워지고, 산세용액 배출라인(154)이 연계되는 산세조(156) 및, 상기 산세조와 인접하여 제공된 가열수단(158)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수단(158)은 상기 산세조(156)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산세조(156)의 상승 및 하강시 산세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박스형태의 케이싱(158b)과 상기 케이싱(158b)의 내측(상부)에 제공되는 히터(158a)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히터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기적인 가열코일이나 기타 전자기 가열수단 등으로 열을 발생하는 알려진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열수단은 제어부와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되면서 산세조를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일정시간 가열할 수 있고, 이는 최적의 산세환경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 개구된 박스 구조이고 산세조(156)의 하부에는 장치바디(112)상에 수직 설치된 구동 실린더(230)가 연계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의 전진 및 후진시 상기 산세조(156)는 가열수단의 케이싱에 지지되면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소재탑재블록(132)의 일측면에 소재(10)들이 탑재된후, 소재탑재블록(132)이 모터(134)의 90도 회전으로 산세조(156)를 마주하는 위치가 되면, 상기 구동실린더(230)의 전진시 산세조(150)는 상승하고, 결과적으로 산세조에 채워진 산세용액(152)에 소재(10)가 원하는 깊이로 침지되어, 소재의 산세작업이 이루어 진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세조(156)와 연계되는 산세용액 배출라인(154)은, 상기 산세조(156)의 바닥을 관통하고 구동실린더(230)의 로드와 브라켓으로 연계되는 제1 배출관(154a)과 장치바디(112)의 구석에 설치된 고정철물(173)과 연계되는 제2 배출관(154c)사이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배출관(154b)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산세용액 배출라인(154)은 산세조(156)의 상승 및 하강시의 이동(거리)을 상기 플렉시블 배출관(154b)을 통하여 보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산세조(156)에 공급되고 소재의 산세에 사용되어 오염된 산세용액(152)은 상기 산세용액 배출라인(154)을 통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 처리될 수 있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경질의 제1,2 배출관에는 용액 배출을 조정하는 전기작동의 개폐밸브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산세조에 침지되어 소재의 산세가 이루어지면, 상기 산세조(156)는 구동실린더의 후진으로 하강하고, 그다음 산세된 소재들은 소재탑재블록(132)이 모터(134)를 매개로 90도 회전하면, 소재들은 세정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의 상기 소재 세정수단(170)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의 소재탑재블록(132)을 향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정수 배출라인(172)이 연계되는 세정용 커버체(174)와, 상기 세정용 커버체(174)의 내측에 장착되고 세정수 공급라인(176)이 연계되면서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소재 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세정수 분사수단(178)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 바디수단(110)의 박스 구조체인 장치바디(112)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수평 고정된 다른 구동실린더(230)가 상기 세정용 커버체(17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230)의 전진시 일체로 세정용 커버체(174)가 전진하여 수평 이동하면서, 소재탑재블록(132)에 탑재되고 산세를 거친 소재(10)들을 포위하는 형태로 된다.
이때, 상기 세정수 분사수단(178)은 세정수 커버체의 내측면에 제공된 헤더(178a)와 상기 헤더에 제공된 복수의 분사노즐(17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176)은 상기 장치바디(112)를 관통하고 상기 세정용 커버체(174)를 통과하여 상기 헤더(178a)에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관(176a)과 세정수 플레시블관(176b)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30)의 전진시 세정용 커버체(174)가 전진하되,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의 플레시블관(176b)는 그 이동을 보상하고, 세정수 공급관(176a)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정수는 세정수 분사수단(178)의 헤더(178a)와 분사노즐(178b)을 통하여, 수평 이동하는 세정용 커버체(174)의 내측에 일정부분 진입되고, 산세 처리된 소재(10)들의 세정이 이루어 진다.
그리고, 분사된 세정수는 상기 세정용 커버체(174)의 바닥면에 연계되는 세정수 배출라인(172)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172)은 세정용 커버체(174)의 바닥측에 연통 상태로 연결되는 제1 세정수 배출관(172a)과 상기 장치바디(112)의 모서리 일측에 설치된 고정철물(173)에 설치되는 제2 세정수배출관(172c)사이의 세정수 플렉시블관(172b)을 포함하여, 분사된 세정수는 배출라인을 통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세정수 플렉시블관(172b)도 세정용 커버체(174)의 수평 이동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재 건조수단(190)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130)의 소재 탑재블록(132)을 향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건조용 커버체(192) 및, 상기 건조용 커버체(192)에 장착되고 에어공급라인(194)이 연계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수단(196)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건조용 커버체(192)는 장치바디(112)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수직 설치된 또 다른 구동실린더(230)에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230)가 전진하면 건조용 커버체(192)는 수직 이동(하강)하여, 1차적으로 산세 처리되고, 2차적으로 세정된후, 소재탑재블록(132)의 90도 회전으로 건조 위치로 위치된 소재(10)들을 일정부분 포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분사수단(196)은 상기 건조용 커버체(192)의 바닥측에 제공된 헤더(196a)와 상기 헤더(196a)에 제공된 에어분사노즐(19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라인(194)은 상기 장치바디(112)를 관통하고 상기 건조용 커버체(192)을 통과하여 상기 분사수단의 헤더(196a)에 연통 상태로 연결되는 에어공급관(194a)과 상기 에어공급관에 연결되어 커버체 이동을 보상하는 에어 플렉시블관(194b)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용 커버체(192)가 하강하여 소재(10)들을 일정부분 포위하면, 상기 에어공급관과 에어 플레시블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는 상기 에어분사수단의 헤더(196a)와 분사노즐(196b)을 통하여 소재(10) 들에 분사되고, 이에 소재들의 건조가 이루어 진다.
다음, 도 2 및 도 4와 같이, 산세와 세정과 건조를 거친 소재(10)들은 소재탑재블록(132)이 모터(134)의 구동으로 90도 회동하여, 장치바디(112)의 개구부(114)에 인접하는 최초의 소재 탑재위치로 위치되면, 작업자는 산세와 세정과 건조 처리된 소재들을 분리하게 되고, 새로은 소재들이 탑재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 장치(100)는, 모터(134)를 매개로 한 소재탑재블록(132)의 순차적인 90도 회전이 이루어지면, 소재들이 연속적이면서 순차적으로 소재의 장치 탑재->산세->세정->건조->소재 분리후, 새로운 소재의 탑재, 와 같은 소재의 순차적인 처리들이 연속적이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100)에서는, 상기 세정용 커버체(174)와 건조용 커버체(192)와 연계되면서 상기 커버체들의 수평 이동(전,후진 운동)이나 수직 이동(승, 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체(174)(192)들의 측면에는 가이드블록(210a)이 제공되고, 상기 장치바디(112)에는 상기 가이드블록(210a)들이 관통하여 이동하는 가이드봉(210b)들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실린더(230)들의 전진 이나 후진으로, 상기 세정용 커버체(174)와 건조용 커버체(192)가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봉(210b)들을 따라 가이드블록(210a)들이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체들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때, 하측의 산세조(156)는 가열수단(158)의 케이싱(158b)사이에서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상승이나 하강할 수 있어, 별도의 가이드수단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시 상기 가이드수단을 산세조 측에 설치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소재 처리장치(100)는, 모터(134)로서 90도 간격으로 스탭핑 회동하는 소재 탑재블록(132)에 복수의 소재(10)들을 탑재하면서, 산세조(156)와 세정용 커버체(174) 및 건조용 커버체(192)를 통하여 소재의 산세, 세정 및 건조가 순차로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소재 예컨대, 시험용 가공소재의 표면 산화피막이나 불순물 등의 제거를 위한 소재 산세처리에 더하여, 산세 처리된 소재의 세정과 건조도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여, 적어도 소재의 산세 처리를 신속하게 구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장치바디(112)의 내측에서 포위된 상태로 산세가 이루어져, 작업장 오염이나 작업자 안전사고도 예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소재 110.... 장치 바디수단
112.... 장치바디 130.... 소재 탑재수단
132.... 소재 탑재블록 134.... 전기 또는 유압 모터
136.... 수직대 142,142'.... 자석
142a,146.... 소재 탑재홈 148.... 고정판
150.... 소재 산세수단 152.... 산세용액
154.... 산세용액 배출라인 156.... 산세조
158.... 가열수단 170.... 소재 세정수단
172.... 세정수 배출라인 174.... 세정용 커버체
176.... 세정수 공급라인 178.... 세정수 분사수단
190.... 소재 건조수단 192.... 건조용 커버체
194.... 에어 공급라인 196.... 에어 분사수단
210.... 가이드수단 230.... 구동 실린더

Claims (11)

  1. 적어도 커버링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바디수단;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들이 탑재되는 소재 탑재수단; 및,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연계되고, 상기 회동하는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인 소재의 다중 처리를 가능토록 제공된 복수의 소재 처리수단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들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된 소재 산세수단; 및, 소재 세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소재 세정수단 다음으로 순차로 배치된 소재 건조수단;을 더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를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바디수단은 상기 처리수단들을 포위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 탑재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수단에 구비된 장치바디의 내측에 제공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계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 탑재부를 구비하는 소재탑재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재탑재블록은, 상기 소재 산세수단, 상기 소재 세정수단 및 상기 소재 건조수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상기 소재 탑재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재 탑재부에서 소재의 산세, 세정, 건조 처리가 동시에 가능한 소재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소재탑재블록을 소재 처리수단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소재탑재블록에 연계되는 전기 또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는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제공되는 수직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 탑재부는, 상기 소재탑재블록에 제공된 자력홈부 또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소재 처리장치.
  6. 적어도 커버링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바디수단;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들이 탑재되는 소재 탑재수단; 및,
    상기 장치 바디수단의 내측에 연계되고, 상기 회동하는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인 소재의 다중 처리를 가능토록 제공된 복수의 소재 처리수단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들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순차로 배치된 소재 산세수단; 및, 소재 세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 처리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소재 세정수단 다음으로 순차로 배치된 소재 건조수단;을 더 포함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소재의 산세와 세정 및 건조를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바디수단은 상기 처리수단들을 포위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 탑재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수단에 구비된 장치바디의 내측에 제공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과 연계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복수의 소재 탑재부를 구비하는 소재탑재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소재탑재블록을 소재 처리수단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소재탑재블록에 연계되는 전기 또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는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제공되는 수직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 탑재부는, 상기 소재탑재블록에 제공된 자력홈부 또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홈부는 상기 소재 탑재블록에 구비된 자석에 복수개 형성되는 제1 소재 탑재홈; 또는, 상기 소재 탑재블록에 형성된 삽입홈에 개별 삽입되는 복수의 자석에 형성된 제2 소재 탑재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소재탑재블록에 형성된 소재 통과개구를 통과하는 소재를 고정토록 상기 소재 탑재블록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소재탑재블록에 제공된 회전링에 안착되고 상기 모터가 고정되면서 그 외곽으로 수직대 상에 장착되는 원통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소재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산세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을 향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소재를 산세하는 산세용액이 채워지고, 산세용액 배출라인이 연계되는 소재 산세조; 및,
    상기 소재 산세조와 인접하여 제공된 가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소재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세정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을 향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정수 배출라인이 연계되는 세정용 커버체; 및,
    상기 세정용 커버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세정수 공급라인이 연계되면서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소재 세정을 가능토록 제공된 세정수 분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소재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건조수단은, 상기 소재 탑재수단를 향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건조용 커버체; 및,
    상기 건조용 커버체에 장착되고 에어공급라인이 연계되면서 에어를 분사토록 제공된 에어 분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소재 처리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들과 연계되면서 커버체의 수평 또는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소재 처리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들은 산세조 또는 커버체들의 수직 또는 수평 이동을 보상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산세조 또는 커버체들은 구동 실린더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소재 처리장치.
KR1020180119514A 2018-10-08 2018-10-08 소재 처리장치 KR10251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14A KR102517814B1 (ko) 2018-10-08 2018-10-08 소재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14A KR102517814B1 (ko) 2018-10-08 2018-10-08 소재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21A KR20200039921A (ko) 2020-04-17
KR102517814B1 true KR102517814B1 (ko) 2023-04-04

Family

ID=7046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514A KR102517814B1 (ko) 2018-10-08 2018-10-08 소재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1899B (zh) * 2022-06-20 2023-07-25 庐江县金鑫金属表面处理有限公司 一种提升热镀锌附着力的方法及其辅助设备
CN117871179A (zh) * 2024-03-12 2024-04-12 烟台恒邦化工助剂有限公司 巯基乙酸异辛酯生产用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071A (ja) * 2001-06-14 2002-12-24 Kitamura Seisakusho:Kk 洗浄装置
CN203508517U (zh) 2013-10-10 2014-04-02 安徽白兔湖动力有限公司 一种多工位全自动缸套清洗机
KR101858855B1 (ko) * 2016-12-21 2018-05-17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의 발생 저감을 위한 인산염 욕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의 표면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26B1 (ko) * 2007-12-26 2010-03-10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표면처리장치
KR20110068013A (ko) 2009-12-15 2011-06-22 동부제철 주식회사 시편 탈지장치
KR101516248B1 (ko) 2013-10-04 2015-05-04 삼성중공업(주) 시편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071A (ja) * 2001-06-14 2002-12-24 Kitamura Seisakusho:Kk 洗浄装置
CN203508517U (zh) 2013-10-10 2014-04-02 安徽白兔湖动力有限公司 一种多工位全自动缸套清洗机
KR101858855B1 (ko) * 2016-12-21 2018-05-17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의 발생 저감을 위한 인산염 욕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의 표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21A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7814B1 (ko) 소재 처리장치
KR102619946B1 (ko) 적층 제조 판의 건식-세정을 위한 방법
US3479222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leaning memory discs
JP4588797B2 (ja) 処理液での浸漬による部品の表面処理のための装置
US20180043403A1 (en) Method for machine-cleaning workpieces and/or machine components, and cleaning system
CN105107797A (zh) 一种零部件表面污染物的复合清洗装置及方法
EP0201256A2 (en) Article impregnating apparatus
CN113399369A (zh) 一种横移式筒体清洗装置及方法
CA2544513C (en) Housingless washer
US3642013A (en) Apparatus for cleaning hollow cylinders and the like
US4907526A (en) Installation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ubstrates out of a vacuum tank
US2808064A (en) Degreasing machine
US5299587A (en) Rotating and reciprocating immersio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4485761A (en) Apparatus for treating work pieces
CN115772673A (zh) 一种酸洗池循环酸洗装置及方法
JPH09257994A (ja) 放射性廃棄物の放射能除染装置
CN212316219U (zh) 用于管道连接的法兰螺母加工用的热浸镀锌装置
JPS6362599B2 (ko)
CH684883A5 (fr) Machine thermostable à aspersion pour découper par électroérosion une pièce avec un fil-électrode.
US4360431A (en) Self-unloading centrifuge
JPH0568952A (ja) 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装置
US1643175A (en) Sand-blast apparatus
US6240153B1 (en) Reactor stud cleaning booth
KR101698477B1 (ko) 드립 팬 유지보수장치 및 드립 팬 유지보수방법
US5326403A (en) Equipment for discharging treated articles from a barrel in a surface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