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705B1 - 치과용 파일 - Google Patents

치과용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705B1
KR102517705B1 KR1020207029696A KR20207029696A KR102517705B1 KR 102517705 B1 KR102517705 B1 KR 102517705B1 KR 1020207029696 A KR1020207029696 A KR 1020207029696A KR 20207029696 A KR20207029696 A KR 20207029696A KR 102517705 B1 KR102517705 B1 KR 10251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dental
shape
virtual circl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744A (ko
Inventor
신사쿠 쿠로야나기
코이치 나바나
노리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2Files for root canals; Handgrips or gui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유연성, 절삭성, 내(耐)파절성이 우수한 치과용 파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10)은, 나선 형상으로 선단을 향하여 단면이 작아진 작업부(11)를 갖고, 그 작업부(11)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단면 형상이 1개인 원호(40)와 3개의 선(41, 42, 43)으로 구성되는 대략 장방형이며, 그 대략 장방형의 네 모서리의 점은, 상기 원호(40)를 일부분으로 하는 가상 원(50)의 원 상과 가상 원(50)의 내측에 각각 2점씩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대략 장방형의 내측에 가상 원(50)의 중심 위치가 있고, 상기 원호(40)를 일부분으로 하는 가상 원(5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3개의 선(41, 42, 43)까지의 각각의 수선(垂線)의 길이 중 최단의 수선의 길이가, 상기 가상 원(50)의 반경에 대하여 45% 이상 65% 이하인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파일
본 발명은, 치과 치료에 있어서 근관의 확대·청소에 사용되는 치과용 파일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에 있어서 근관의 확대나 청소에 사용되는 치과용 근관 절삭구로서, 리머나 파일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리머는 주로 회전시킴으로써 근관 내를 절삭하고, 파일은 회전시키거나 축방향으로 밀고 당기거나 하여 근관 내의 절삭을 하는 것이다.
종래의 치과용 근관 절삭구는 스테인리스제였지만, 최근은 만곡한 근관의 치료에 적합한 탄력성이 높은 니켈 티탄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동력으로서는 수동식뿐만 아니라, 치과용 핸드 피스(엔진)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전동식도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식으로 함으로써, 치료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치과용 파일의 평면도이다. 여기에 나타낸 치과용 파일(100)은, 치과용 핸드 피스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 치과용 파일(100)은, 나선 형상으로 선단을 향하여 가늘어진 형상의 칼날로 이루어지는 작업부(101)와, 그 작업부(101)의 후단에 이어지는 샤프트(102)와, 그 샤프트(102)의 후단에 이어지고 치과용 핸드 피스에 장착되는 파지부(103)를 갖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파일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우선, 가는 선재로 작업부가 되는 부분을 센터리스 가공기에 의해 일정한 테이퍼율(예를 들면, 6/100 등)이 되도록 가공하고, 그 후, 날홈 연삭기에 의해 작업부의 칼날이 되는 홈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굵은 선재로 가공하면, 작업부가 되는 부분의 테이퍼와, 칼날이 되는 홈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연삭량이 많고 숫돌을 상하게 하기 쉬운 점에서, 가는 선재로 테이퍼 형성과 칼날 형성의 2단계로 연삭한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니켈 티탄제의 치과용 파일의 경우에는, 특히 숫돌을 상하게 하기 쉽기 때문에, 가는 선재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치과용 파일에 요구되는 주된 성능으로서는, 복잡한 형상의 근관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 근관을 적절하게 절삭할 수 있는 절삭성, 작업 중에 파손하는 일이 없는 내(耐)파절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성능이 높을수록, 근관 형성을 용이하고 또한 빠르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시술자 및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보 제4247346호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유연성, 절삭성, 내파절성에 높은 성능을 갖는 치과용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은, 나선 형상으로 선단을 향하여 단면이 작아진 작업부를 갖고, 그 작업부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단면 형상이 1개인 원호와 3개의 선으로 구성되는 대략 장방형이며, 그 대략 장방형의 네 모서리의 점은, 상기 원호를 일부분으로 하는 가상 원의 원 상과 가상 원의 내측에 각각 2점씩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대략 장방형의 내측에 가상 원의 중심 위치가 있고, 가상 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3개의 선까지의 각각의 수선(垂線)의 길이 중 최단의 수선의 길이가, 가상 원의 반경에 대하여 45% 이상 6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부의 나선 형상이, 선단에 가까울수록 나선 피치가 좁은 것으로 하면 좋다.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에 의하면, 유연성, 절삭성, 내파절성에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나선 피치를 선단에 가까울수록 좁은 것으로 하면, 근관으로부터의 인상 하중을 저감할 수 있어, 보다 근관 형성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a)는 치과용 파일의 평면도이며, (b)는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치과용 파일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선재의 평면도, (b)는 테이퍼재의 평면도, (c)는 치과용 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3] 치과용 파일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코어가 3변에 접하고 있는 도면, (b)는 코어가 1변에 접하고 있는 도면, (c)는 코어가 2변에 접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 코어율의 차이에 의한 단면 형상을 비교하는 도면으로서, (a)는 코어율 45%, (b)는 코어율 65%이다.
[도 5] 작업부의 나선 피치를 변화시킨 비교도로서, (a)는 등피치의 치과용 파일, (b)는 선단을 향하여 피치가 좁은 치과용 파일이다.
[도 6] 성능 비교를 행한 작업부의 단면 형상으로서, (a)는 종래품의 단면, (b)는 본 발명의 단면이다.
[도 7] 일반적인 치과용 파일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의 평면도이며, 도 1(b)는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치과용 파일(10)은, 근관을 절삭하는 작업부(11)와, 그 작업부(11)의 후단에 이어지는 샤프트(12)와, 그 샤프트(12)의 후단에 이어지고 치과용 핸드 피스에 장착되는 파지부(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작업부(11)는, 선단을 향하여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며, 또한, 상사형(相似形)의 단면이 나선 형상으로 연결된 구성을 하고 있다. 작업부(11)의 임의 위치에서의 단면 형상은, 3개의 선(41, 42, 43)과, 1개의 원호(40)(이하, 「랜드」라고 함.)로 외연(外緣)이 형성된 대략 장방형이다. 즉, 단면 형상의 개관(槪觀)은 장방형으로서, 3개의 선(41, 42, 43)은,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까운 곡선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작업부(11)의 단면 형상의 상세에 대해서는, 추가로 나중에 서술한다.
도 2는, 치과용 파일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선재의 평면도, (b)는 테이퍼재의 평면도, (c)는 치과용 파일의 평면도이다. 치과용 파일(10)의 작업부(11)는, 이하의 제조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우선, 니켈 티탄 제품의 선재(30)를 준비한다. 이 선재(30)의 단면은 원형이며, 길이는 완성품의 치과용 파일(10)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니켈 티탄 제품으로 하는 것은, 탄력성이 풍부한 소재이며, 복잡한 형상의 근관에 추종하기 쉽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선재(30)를 연삭하고, 선단을 향하여 일정한 비율로 가늘어진 테이퍼 부분(32)을 갖는 테이퍼재(31)를 형성한다. 테이퍼 부분(32)은, 완성품에서는 작업부(11)가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작업부(11)에 상당하는 길이 및 테이퍼율의 원추 형상으로 한다. 여기에서, 테이퍼 부분(32)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의 반경을 R로 하면, 축방향에 대한 직경(2R)의 변화율이 테이퍼율이며, 그 테이퍼율은, 예를 들면 4/100 ~ 6/100(한 쪽의 구배는 2/100 ~ 3/100)의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테이퍼 부분(32)을 도 1(b)의 단면 형상이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추가로 연삭하여, 작업부(11)가 형성된다.
도 3은, 치과용 파일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코어가 3변에 접하고 있는 도면, (b)는 코어가 1변에 접하고 있는 도면, (c)는 코어가 2변에 접하고 있는 도면이다.
작업부(11)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랜드(40)는 테이퍼 부분(32)의 표면인 채로 연삭하지 않고, 3개의 선(41, 42, 43)의 부분만 연삭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선(41)과 선(42), 및, 선(42)과 선(43)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즉, 선(41)과 선(43)은 평행하며, 선(42)이 선(41) 및 선(43) 모두와도 직교하고 있다. 또한, 선(41)과 랜드(40)의 교점이 절삭날(15)이 되기 때문에, 절삭날(15)에 경사각을 형성하기 위해, 선(41)은 근소하게 휜 곡선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선(42)과 선(43)에 대해서도, 작업부(11)가 나선 형상인 점에서, 완전한 직선으로 연삭하는 것은 어렵고, 직선에 가까운 곡선이 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선(41)과 선(43)도, 완전한 평행이 아닌 경우도 있고, 또한 선(42)과 선(41)이 이루는 각 및, 선(42)과 선(43)이 이루는 각에 대해서도, 90°가 아닌 경우도 있다. 단, 이들은 완만한 곡선이기 때문에, 작업부(11)의 단면 형상의 개관으로서는, 장방형이라고 해도 좋다. 따라서, 선(41, 42, 43)은, 직선이라고 간주하여 이하의 설명을 한다.
테이퍼재(31)의 축심 위치를 O로 하고, 임의의 위치의 단면에 있어서의 테이퍼 부분(32)의 반경을 R로 한다. 그리고, 완성품인 치과용 파일(10)에 있어서, 축심 위치(O)를 중심으로 한 반경(R)의 원을 가상 원(50)으로 한다. 즉, 랜드(40)는 가상 원(50)의 일부분이라는 것이 되기 때문에, 랜드(40)의 양단의 점은 가상 원(50)의 원 상에 있게 된다. 그리고, 축심 위치(O)는, 가상 원(50)의 중심 위치(O)이며, 당연히 이 중심 위치(O)는, 작업부(11)의 단면 형상인 대략 장방형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가상 원(50)의 중심 위치(O)에서 3개의 선(41, 42, 43)까지의 거리는, 중심 위치(O)로부터 3개의 선(41, 42, 43)으로 각각 내려뜨린 수선의 길이라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 이 수선 중 최단의 것의 길이를 r0으로 하면, 중심 위치(O)로부터 반경(r0)의 원형 부분은, 나선 형상의 작업부(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하는 부분이며, 이것을 치과용 파일(10)의 코어(51)로 한다. 또한, 반경(r0)은 치과용 파일(10)의 선단을 향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코어(51)는 선단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원추 형상이라는 것이 된다.
도 3(a)는, 선(41, 42, 43)으로 내려뜨린 수선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의 도면이며, 바꿔 말하면, 코어(51)가 작업부(11)의 단면의 3변인 선(41, 42, 43)에 접하고 있는 경우의 도면이다. 따라서, 작업부(11)의 단면은, 테이퍼 부분(32)의 원형 단면에 대하여 3방향으로부터 (R-r0)의 깊이만큼 연삭함으로써 형성된 것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각각의 수선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를 기본으로 하지만, 수선의 길이를 각각 다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b)는, 선(42)으로 내려뜨린 수선의 길이(r0)가 최단이 되는 경우의 도면이며, 바꿔 말하면, 코어(51)가 작업부(11)의 단면의 1변인 선(42)에만 접하고 있는 경우의 도면이다. 여기에서, r0 이외의 수선의 길이를 r1 및 r2로 하면, r0<r1, r0<r2이며, r1=r2가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코어(51)가 접하는 선이 선(41)이나 선(43)인 경우도 있고, 그 때는 최단의 수선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또한, 작업부(11)의 단면은, 테이퍼 부분(32)의 원형 단면에 대하여 3방향으로부터 각각, (R-r0), (R-r1), (R-r2)의 깊이만큼 연삭함으로써 형성된 것이 된다.
도 3(c)는, 선(41) 및 선(43)으로 내려뜨린 수선의 길이(r0, r0)가 최단이 되는 경우의 도면이며, 바꿔 말하면, 코어(51)가 작업부(11)의 단면의 2변인 선(41) 및 선(43)에 접하고 있는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코어(51)가 접하는 2변은, 선(41)과 선(42)이라도 좋고, 선(42)과 선(43)이라도 좋다. 또한, 작업부(11)의 단면은, 테이퍼 부분(32)의 원형 단면에 대하여 3방향으로부터 각각, (R-r0), (R-r0), (R-r3)의 깊이만큼 연삭함으로써 형성된 것이 된다.
또한, 코어 반경(r0)과 가상 원 반경(R)의 비율(r0/R×100)을 코어율로 하면, 코어율은 작업부(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값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코어율은 45% 이상 65%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코어율의 차이에 의한 단면 형상을 비교하는 도면으로서, (a)는 코어율 45%, (b)는 코어율 65%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코어(51)는, 작업부(11)의 단면의 3변에 접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령 코어율을 45%보다 작게 하면, 작업부(11)의 단면 형상은, 도 4(a)보다도 단면이 가늘고 긴 대략 장방형이 되고, 강도가 부족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코어율을 약 70%로 하면 선(41)과 선(42)의 교점(16), 및, 선(42)과 선(43)의 교점(17)이, 각각 대략 가상 원(50)의 원 상이 되기 때문에, 근관을 절삭할 때에, 이들의 교점(16, 17)이 근관의 벽으로 파고 들어가기 쉬워져, 유연성이나 내파절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선(41)과 선(42)의 교점(16) 및 선(42)과 선(43)의 교점(17)은, 모두 가상 원(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근관에서 구부러진 개소에 있어서는, 교점(16, 17)이 근관벽에 맞닿는 경우도 있지만, 그에 의해 유연성이나 내파절성이 떨어지는 경우는 없다. 오히려, 교점(16, 17)이, 완만하게 깎는 절삭날로서 기능하여 절삭성에 기여하는 것도 생각된다.
작업부(11)의 단면의 무게 중심 위치를 G로 하면, 중심 위치(O)와 무게 중심 위치(G)는, 3개의 선(41, 42, 43)을 형성했음으로써, 도 3(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랜드(40)의 쪽으로 어긋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오프센터라고 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10)은, 오프센터로 되어 있음으로써 유연성이나 내파절성이 우수함과 함께, 절삭편의 배출성이 좋기 때문에 날이 잘 들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테이퍼율이 4/100일 때는, 코어율을 60% 이상 65% 이하, 테이퍼율이 6/100일 때는, 코어율을 55% 이상 60% 이하로 하면, 보다 유연성이나 내파절성의 성능이 좋은 것을 시험에 의해 알고 있다.
도 3(a)의 경우, 랜드 길이(L)는, L=2R×arcsin(r0/R)으로 구해지기 때문에, 코어율이 결정되면, 랜드 길이(L)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율이 45% 이상 65% 이하인 경우, 랜드 길이(L)는, 0.93R≤L≤1.42R이라는 것이 된다. 즉, 코어(51)가 작업부 단면의 3변에 접하는 경우에는, 코어율 대신에 랜드 길이(L)가 0.95R 이상 1.40R 이하라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10)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성능이 좋은 치과용 파일을 요구하여, 작업부의 나선 피치를 변화시켜, 성능 비교를 해 보았다. 도 5는, 작업부의 나선 피치를 변화시킨 비교도로서, (a)는 등피치의 치과용 파일, (b)는 선단을 향하여 피치가 좁은 치과용 파일(이하, 「앞부분 좁힘 피치」라고 함.)이다. 또한, 피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랜드(40)가 보이는 부분은, 전부 칠하여 기재하고 있다. 등피치의 것은, 모두 피치가 동일하지만, 앞부분 좁힘 피치의 것은, 선단에 가까울수록 피치가 좁아지는 구성이다. 또한, 도 5(b)와는 반대로 선단을 향하여 피치를 넓게 한 제품도 생각되지만, 그 경우는, 선단 부근의 강도가 약해지고,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져 버리기 때문에, 비교 대상으로부터는 제외하는 것으로 했다.
비교 시험으로서는, 작업부(11)가 근첨(根尖)으로 진행되는 힘을 추정하는 스크루잉 시험과, 근관으로부터 인발할 때의 인상 하중의 비교를 행했다. 그 결과, 근첨으로 진행되는 힘은, 피치를 바꾸어도 대략 동일한 정도였지만, 인상 하중은, 앞부분 좁힘 피치의 쪽이 가벼워졌다. 이것은, 앞부분 좁힘 피치의 쪽이, 작업부(11)의 근원측의 피치가 넓기 때문에, 절삭날(15)의 경사각이 근관벽에 대하여 둔해져, 저항이 작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치과용 파일(10)의 성능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나선 피치를 선단을 향하여 앞 좁힘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종래품과 성능 비교를 행했다. 도 6은, 성능 비교를 행한 작업부의 단면 형상으로서, (a)는 종래품의 단면, (b)는 본 발명의 단면이다. 종래품의 작업부(111)의 단면은, 평행한 선(141, 143)과, 상대하는 랜드(140, 142)에 의해 형성된 대략 장방형이며, 절삭날(115)은 2개소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부(11)의 단면은, 1개의 랜드(40)와 3개의 선(41, 42, 43)으로 형성된 대략 장방형이며, 절삭날(15)은 1개소뿐이다.
우선, 유연성이나 절삭성을 비교하기 위해, 근관 추종성 시험을 행했다. 근관 추종성 시험은, 근관을 본 뜬 S자 근관 모형에 각각의 작업부(111, 11)를 삽입하고, 절삭했을 때에, 근관벽이 균등하게 절삭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즉, 근관의 한 쪽의 벽만이 크게 절삭되는 것(트랜스포테이션)을 억제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근관 추종성 시험의 결과, 종래품의 치과용 파일(110)보다도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10)의 쪽이 근관벽이 균등하게 절삭되었기 때문에, 근관 추종성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그 이유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부(11)의 단면은, 종래품보다도 단면 2차 모멘트가 작기 때문에 유연성이 높은 것과, 랜드가 1개소에서 단면이 오프센터이기 때문에, 종래품보다도 근관벽과의 사이에 극간이 있다는 것이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10)의 쪽이, S자 등으로 구부러진 근관에 있어서도, 그 근관 형상에 추종하기 쉬운 구조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10)은, 적당한 길이의 랜드를 갖고, 절삭날(15)이 1개소이기 때문에, 근관을 지나치게 깎지 않고 적당히 절삭할 수 있다. 그와 함께, 근관에서 구부러진 개소에 있어서는, 교점(16, 17)이 근관벽에 맞닿고, 완만하게 깎는 절삭날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S자 등으로 구부러진 근관에 있어서도, 근관벽을 균등하게 절삭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내파절성을 비교하기 위해, 비틈 파단 각도 비교 시험이나 피로 파단 시험을 행했다. 비틈 파단 각도의 비교는, 치과용 파일을 비틀어, 파단했을 때의 각도를 측정하는 시험이지만, 종래품은 680°였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 파일은 590°이며, 본 발명 파일의 쪽이 파단 각도는 작았지만, 모두 500° 이상의 비틈 파단 각도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성능적으로는, 문제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피로 파단 시험에 대해서는, 만곡 근관을 모의한 지그에 치과용 파일을 삽입하고, 파단할 때까지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시험이지만, 피로 파단 시험에서는 종래품이 2800 회전이었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 파일이 3950 회전이라는 결과이며, 종래품보다도 본 발명 파일의 쪽이 1.4배 이상 피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부(11)는, 랜드가 1개소에서 오프센터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랜드가 적절한 길이이며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근관벽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피로가 축적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치과용 파일은, 유연성, 절삭성, 내파절성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는 것을 알았다.
10 치과용 파일
11 작업부
12 샤프트
15 절삭날
16, 17 교점
30 선재
31 테이퍼재
32 테이퍼 부분
40 원호(랜드)
50 가상 원
51 코어
R 가상 원 반경
r0 코어 반경(최단의 수선의 길이)
L 랜드 길이

Claims (4)

  1. 나선 형상으로, 선단을 향하여 단면이 작아진 작업부를 갖고,
    상기 작업부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단면 형상이 1개의 원호와 3개의 직선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유사 형상이며,
    상기 직사각형 유사 형상의 정점은, 상기 원호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정점을 제외하고, 상기 원호를 일부분으로 하는 가상 원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상원의 내측에 배치된 2개의 정점은 서로 인접하고, 또한 상기 직사각형 유사 형상의 내측에 상기 가상 원의 중심 위치가 있고,
    상기 원호와, 상기 3개의 직선의 적어도 하나와의 교점이, 절삭날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 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3개의 직선까지의 각각의 수선(垂線)의 길이 중 최단의 수선의 길이가, 상기 가상 원의 반경에 대하여 45% 이상 65% 이하이고,
    상기 직사각형 유사 형상에 있어서, 상기 원호 상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정점 간의 거리보다 상기 원호 상에 배치되는 정점과 상기 가상원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정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거리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의 나선 형상이, 선단에 가까울수록 나선 피치가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파일.
  3. 삭제
  4. 삭제
KR1020207029696A 2018-04-10 2019-04-10 치과용 파일 KR102517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5740A JP7218094B2 (ja) 2018-04-10 2018-04-10 歯科用ファイル
JPJP-P-2018-075740 2018-04-10
PCT/JP2019/015702 WO2019198777A1 (ja) 2018-04-10 2019-04-10 歯科用ファイ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744A KR20200128744A (ko) 2020-11-16
KR102517705B1 true KR102517705B1 (ko) 2023-04-03

Family

ID=6816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696A KR102517705B1 (ko) 2018-04-10 2019-04-10 치과용 파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04211B2 (ko)
EP (1) EP3777751B1 (ko)
JP (1) JP7218094B2 (ko)
KR (1) KR102517705B1 (ko)
CN (1) CN111936080B (ko)
BR (1) BR112020019682A2 (ko)
MX (1) MX2020009986A (ko)
RU (1) RU2751751C1 (ko)
SA (1) SA520420273B1 (ko)
WO (1) WO2019198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8094B2 (ja) 2018-04-10 2023-02-06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ファイル
JP7064004B2 (ja) 2018-08-29 2022-05-09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ファイル
CN114390917B (zh) * 2019-10-11 2024-07-09 马尼株式会社 牙科用锉
JP7329462B2 (ja) * 2020-01-31 2023-08-18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根管治療器具
JP7372184B2 (ja) * 2020-03-13 2023-10-31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ファイル
JP7503958B2 (ja) * 2020-08-07 2024-06-21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ファイル
JP7370952B2 (ja) * 2020-10-06 2023-10-30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ファイル
KR102571762B1 (ko) 2021-06-18 2023-08-25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파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1516A1 (en) * 1999-03-01 2000-09-08 Essential Dental Systems, Inc. Non circular endodontic instruments
JP2001170077A (ja) 1999-12-17 2001-06-26 Manii Kk 歯科用根管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14480A1 (en) 2002-04-18 2006-01-19 Ormc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nstrument
US20140329199A1 (en) * 2011-11-24 2014-11-06 Medic Nrg Ltd. Endodontic file having an outer spiral cord
US20150320517A1 (en) * 2013-01-30 2015-11-12 Maillefer Instruments Holding Sarl Instrument for drilling dental root canals
KR101569202B1 (ko) * 2014-07-02 2015-11-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단면구조를 가지는 니켈-티타늄 전동 파일구조
CN206910405U (zh) 2016-08-05 2018-01-23 长沙得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根管锉锉体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9571A (en) 1979-08-03 1981-11-10 Inventive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Dental file
US5897316A (en) 1994-04-28 1999-04-27 Buchanan; Leonard Stephen Endodontic treatment system
US5735689A (en) * 1995-12-11 1998-04-07 Tycom Dental Corporation Endodontic dental instrument
US5713736A (en) * 1996-05-01 1998-02-03 Tulsa Dental Products, L.L.C. Endodontic dental instrument
BR0206749A (pt) 2001-02-05 2004-02-10 Leonard Stephen Buchanan Limas dentárias de múltiplos afunilamentos
JP4269302B2 (ja) 2001-02-28 2009-05-27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リーマ
US6783438B2 (en) 2002-04-18 2004-08-31 Ormc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dodontic instrument
JP4247346B2 (ja) 2004-03-30 2009-04-02 マニー株式会社 治療器具用の断面角形先細棒の研削方法及び治療器具
ATE503433T1 (de) * 2005-04-08 2011-04-15 Michael J Scianamblo Sich biegende endodontische instrumente
JP5233016B2 (ja) 2007-05-30 2013-07-10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の回転駆動切削具
KR101011695B1 (ko) * 2008-08-07 2011-01-28 임두만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KR100971363B1 (ko) * 2008-12-15 2010-07-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형 근관치료용 파일
US9333050B2 (en) 2009-02-27 2016-05-10 Mani, Inc. Gutta-percha remover
IL204195A (en) 2010-02-25 2013-02-28 Medic Nrg Ltd Rotary nail file for root canal treatment with a friction connector
US8916009B2 (en) 2011-05-06 2014-12-23 Dentsply International Inc. Endodontic instru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EP2460489A1 (fr) 2010-12-03 2012-06-06 Maillefer Instruments Holding S.À.R.L. Instrument pour l'alésage des canaux radiculaires dentaires
FR2971932B1 (fr) * 2011-02-25 2014-01-17 Micro Mega Int Mfg Sa Instrument canalaire du type alesoir.
CN202437374U (zh) * 2012-01-10 2012-09-19 孙健瑶 机用根管锉
CH707745B1 (fr) * 2013-03-12 2017-05-31 Fkg Dentaire S A Instrument endodontique, notamment pour l'alésage d'un canal radiculaire.
KR101344570B1 (ko) 2013-06-14 2013-12-26 김형우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CN104739525B (zh) * 2014-01-01 2018-02-23 上海埃蒙迪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往复式左旋刃根管锉
CN204446150U (zh) * 2014-12-19 2015-07-08 上海埃蒙迪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凸形镍钛根管锉
KR101629143B1 (ko) 2015-03-06 2016-06-09 주식회사 써지덴트 치내요법 기구
CN206044757U (zh) * 2016-07-26 2017-03-29 深圳市速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非等轴截面的弹性根管锉
CN206518609U (zh) * 2016-08-31 2017-09-26 四川省海纳联创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磨牙根管的根管锉
CN206239536U (zh) * 2017-03-21 2017-06-13 深圳市速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柔性根管器械
JP7218094B2 (ja) 2018-04-10 2023-02-06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ファイル
CN209548113U (zh) 2018-12-28 2019-10-29 常州益锐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新扫荡齿科牙锉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1516A1 (en) * 1999-03-01 2000-09-08 Essential Dental Systems, Inc. Non circular endodontic instruments
JP2001170077A (ja) 1999-12-17 2001-06-26 Manii Kk 歯科用根管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14480A1 (en) 2002-04-18 2006-01-19 Ormc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nstrument
US20140329199A1 (en) * 2011-11-24 2014-11-06 Medic Nrg Ltd. Endodontic file having an outer spiral cord
US20150320517A1 (en) * 2013-01-30 2015-11-12 Maillefer Instruments Holding Sarl Instrument for drilling dental root canals
KR101569202B1 (ko) * 2014-07-02 2015-11-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단면구조를 가지는 니켈-티타늄 전동 파일구조
CN206910405U (zh) 2016-08-05 2018-01-23 长沙得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根管锉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80864A (ja) 2019-10-24
CN111936080A (zh) 2020-11-13
WO2019198777A1 (ja) 2019-10-17
US20210145541A1 (en) 2021-05-20
EP3777751A4 (en) 2021-12-22
CN111936080B (zh) 2022-02-18
SA520420273B1 (ar) 2023-12-14
BR112020019682A2 (pt) 2021-01-05
RU2751751C1 (ru) 2021-07-16
EP3777751A1 (en) 2021-02-17
EP3777751B1 (en) 2023-09-13
KR20200128744A (ko) 2020-11-16
EP3777751C0 (en) 2023-09-13
MX2020009986A (es) 2020-10-12
JP7218094B2 (ja) 2023-02-06
US11504211B2 (en)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7705B1 (ko) 치과용 파일
EP0019356B1 (en) An endodontic instrument and a method of making it
US7094056B2 (en) Endodontic instrument having reversed helix
EP2174616B1 (en) Stainless steel bur
JP4269302B2 (ja) 歯科用リーマ
US11890155B2 (en) Dental file
EP3021780A1 (en) Endodontic instrument with narrow radial lands
JP5368835B2 (ja) 捩れ及び繰り返し疲労による破損に対する耐久性が高い長手方向に研削されたヤスリ
WO2017111079A1 (ja) 歯科用根管切削具
EP3429504B1 (en) Non-circular endodontic instruments
CN114052948A (zh) 牙科用锉
JP7418183B2 (ja) 歯科用ファイル及び歯科用ファイルの製造方法
JP2020108857A (ja) 歯科用根管切削具
WO2021070680A1 (ja) 歯科用ファイル
EP3651682B1 (en) Endodontic instrument
JP7249257B2 (ja) 歯科用ファイル
WO2017090028A1 (en) Endodontic file with blunt abrasive edges
JP4480731B2 (ja) 爪楊枝
KR20150030862A (ko) 파절 위험성이 저하된 치내요법 기구
JP5326163B2 (ja) ステンレススチールバー
JP2009034310A (ja) ステンレススチー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