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316B1 - 비닐시트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비닐시트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316B1
KR102517316B1 KR1020220055315A KR20220055315A KR102517316B1 KR 102517316 B1 KR102517316 B1 KR 102517316B1 KR 1020220055315 A KR1020220055315 A KR 1020220055315A KR 20220055315 A KR20220055315 A KR 20220055315A KR 102517316 B1 KR102517316 B1 KR 10251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sheet
punching
unit
perforation
plast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포커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포커스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포커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5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4Cutting-out; Stamping-out using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54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air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사용으로 사용되는 비닐시트에 자동으로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비닐시트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는 상기 승강구동수단(32)을 제어하여, 전후방에 구비된 타공유닛(20) 중에서 어느 하나(도면의 경우 전방의 타공유닛(20))는 하강시켜 비닐시트(1)에 밀착시켜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도록 하는 사이에, 나머지 하나(도면의 경우 후방의 타공유닛(2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바꿀 때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작업중인 전방의 타공유닛(20)을 상승시키고 후방의 타공유닛(20)을 하강시키고 후방의 타공유닛(20)을 구동시킴으로써,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바꿀 때,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음으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닐시트 타공장치{vinyl pu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농사용으로 사용되는 비닐시트에 자동으로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비닐시트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사용으로 사용되는 비닐시트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a)이 형성되어, 비닐시트(1)가 두둑을 덮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1a)을 통해 작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이와 같이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는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어 비닐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12)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는 타공유닛(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공유닛(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1a)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타공헤드(2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부(21b)가 둘레면에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타공헤드(22)는 상기 가이드부(21b)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블록(22a)과, 상기 지지블록(2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2c)에 의해 회전되는 절단날(2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공유닛(20)은 둘레면이 상기 비닐시트(1)의 이송속도에 대응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로울러(12)를 구동시켜 비닐시트(1)가 이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타공유닛(20)을 구동시키면, 타공헤드(22)에 구비된 절단날(22b)이 회전되면서 비닐시트(1)를 원형으로 잘라내어, 비닐시트(1)에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구멍(1a)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킨 후, 작업자가 상기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하여야 함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이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됨으로, 긴 시간동안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43381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시간에 손실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어 비닐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12)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는 타공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유닛(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1a)에 의해 회전되고 둘레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부(21b)가 일정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타공헤드(22)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헤드(22)는 상기 가이드부(21b)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블록(22a)과, 상기 지지블록(2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2c)에 의해 회전되는 절단날(22b)을 포함하는 비닐시트 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공유닛(20)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시트(1)의 상측에 상호 전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타공유닛(20)의 지지대(2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31)과, 상기 승강블록(31)에 연결되어 승강블록(3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32)으로 승강블록(31)을 승강시켜 일측의 타공유닛(20)은 상기 비닐시트(1)에 밀착되고 타측의 타공유닛(20)은 비닐시트(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타공유닛(20)에 구비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시트 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공헤드(22)는 상기 지지블록(22a)의 외측면에 상기 절단날(22b)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흡착부재(41)와, 상기 흡착부재(41)에 연결된 배기펌프(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재(41)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기펌프가 연결되는 흡기챔버(41a)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흡기챔버(41a)에 연결되는 흡기공(41b)이 형성되어, 상기 비닐시트(1)가 상기 흡착부재(41)의 외측면에 흡착고정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절단날(22b)에 의해 절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시트 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공유닛(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타공유닛(20)에 의해 잘려진 후 비닐조각에 연결된 비닐시트조각(2)을 제거하는 제거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수단(50)은 상기 비닐시트(1)가 이송되는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닐시트(1)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비닐시트(1)에 붙어있는 비닐시트(1) 조각을 반대쪽으로 밀어내는 분사노즐(51)과, 상기 비닐시트(1)에서 상기 분사노즐(51)과 반대되는 쪽에 위치되며 이송되는 비닐시트(1)에 밀착되는 고정날(52)과, 상기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날(52)과 맞물려 비닐시트조각(2)을 잘라내는 회전날(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시트 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는 상기 승강구동수단(32)을 제어하여, 전후방에 구비된 타공유닛(20) 중에서 어느 하나(도면의 경우 전방의 타공유닛(20))는 하강시켜 비닐시트(1)에 밀착시켜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도록 하는 사이에, 나머지 하나(도면의 경우 후방의 타공유닛(2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바꿀 때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작업중인 전방의 타공유닛(20)을 상승시키고 후방의 타공유닛(20)을 하강시키고 후방의 타공유닛(20)을 구동시킴으로써,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바꿀 때,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음으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닐시트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비닐시트 타공장치의 타공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의 타공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어 비닐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12)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는 타공유닛(2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타공유닛(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1a)에 의해 회전되고 둘레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부(21b)가 일정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타공헤드(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공헤드(22)는 상기 가이드부(21b)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블록(22a)과, 상기 지지블록(2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2c)에 의해 회전되는 절단날(22b)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공유닛(20)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시트(1)의 상측에 상호 전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공유닛(20)은 상기 본체(11)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비닐시트(1)는 상기 타공유닛(2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타공유닛(20)의 지지대(2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31)과, 상기 승강블록(31)에 연결되어 승강블록(3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32)은 상기 본체(1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단이 상기 승강블록(3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승강블록(31)이 승강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닐시트 타공장치는 상기 승강구동수단(32)을 제어하여, 전후방에 구비된 타공유닛(20) 중에서 어느 하나(도면의 경우 전방의 타공유닛(20))는 하강시켜 비닐시트(1)에 밀착시켜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도록 하는 사이에, 나머지 하나(도면의 경우 후방의 타공유닛(2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바꿀 때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작업중인 전방의 타공유닛(20)을 상승시키고 후방의 타공유닛(20)을 하강시키고 후방의 타공유닛(20)을 구동시킴으로써,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시트(1)에 형성되는 구멍(1a)의 간격을 바꿀 때,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음으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비닐시트 타공장치를 정지시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타공헤드(22)에는, 상기 지지블록(22a)의 외측면에 상기 절단날(22b)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흡착부재(41)와, 상기 흡착부재(41)에 연결된 배기펌프(4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흡착부재(41)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기펌프가 연결되는 흡기챔버(41a)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흡기챔버(41a)에 연결되는 흡기공(4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기챔버(41a)는 상기 흡착부재(41)의 내부에 링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41)는 길이가 짧게 구성되어, 상기 절단날(22b)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펌프(42)는 배기관(42a)을 통해 상기 흡기챔버(41a)에 연결되어 작동시 흡기공(41b)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흡기부재의 외측면에 밀착된 비닐시트(1)가 상기 흡기부재의 외측면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비닐시트 타공장치에는, 상기 타공유닛(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타공유닛(20)에 의해 잘려진 후 비닐시트조각(2)에 연결된 비닐시트(1) 중에서 비닐시트(1)에 붙어있는 비닐시트(1) 조각을 제거하는 제거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제거수단(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닐시트(1)가 이송되는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닐시트(1)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비닐시트(1)에 붙어있는 비닐시트(1) 조각을 반대쪽으로 밀어내는 분사노즐(51)과, 상기 비닐시트(1)에서 상기 분사노즐(51)과 반대되는 쪽에 위치되며 이송되는 비닐시트(1)에 밀착되는 고정날(52)과, 상기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날(52)과 맞물려 비닐시트조각(2)을 잘라내는 회전날(53)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51)에는 에어컴프레서(51a)가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서(51a)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비닐시트(1)쪽으로 분사한다.
상기 회전날(53)은 상기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53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3b)의 둘레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날부재(53c)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둘레면이 상기 비닐시트(1)의 이상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날(53)의 둘레부에는 회전날(53)에 의해 잘려진 비닐시트조각(2)을 수집하는 수집통(5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닐시트 타공장치는 상기 배기펌프(42)를 구동시키면, 상기 비닐시트(1)가 흡착부재(41)에 의해 흡착고정됨으로, 상기 절단날(22b)이 회전되어 비닐시트(1)를 잘라낼 때, 비닐시트(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 비닐시트(1)가 절단날(22b)에 의해 원활히 절단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컴프레서(51a)를 작동시켜 분사노즐(51)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53a)로 회전날(53)을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51)에서 분사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비닐시트(1)에 붙어있는 비닐시트조각(2)이 상기 고정날(52) 쪽으로 미려가며, 상기 회전날(53)이 고정날(52)과 맞물리면서 비닐시트조각(2)을 잘라내어 제거한다.
즉, 상기 절단날(22b)을 이용하여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할 때, 경우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시트(1)가 정확하게 원형으로 절단되지 않고, 잘려진 비닐시트조각(2)의 일측이 비닐시트(1)에 붙어있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51)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비닐시트(1)에 붙어있는 비닐시트조각(2)을 상기 고정날(52) 쪽으로 밀어낸 후, 상기 회전날(53)을 이용하여 비닐시트조각(2)을 잘라낼 수 있다.
11. 본체 12. 이송로울러
20. 타공유닛 31. 승강블록
32. 승강구동수단

Claims (3)

  1.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어 비닐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로울러(12)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시트(1)에 구멍(1a)을 형성하는 타공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유닛(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1a)에 의해 회전되고 둘레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부(21b)가 일정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타공헤드(22)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헤드(22)는
    상기 가이드부(21b)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블록(22a)과,
    상기 지지블록(2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22c)에 의해 회전되는 절단날(22b)을 포함하는 비닐시트 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공유닛(20)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시트(1)의 상측에 상호 전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타공유닛(20)의 지지대(2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31)과,
    상기 승강블록(31)에 연결되어 승강블록(3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32)으로 승강블록(31)을 승강시켜 일측의 타공유닛(20)은 상기 비닐시트(1)에 밀착되고 타측의 타공유닛(20)은 비닐시트(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타공유닛(20)에 구비된 타공헤드(22)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타공헤드(22)는
    상기 지지블록(22a)의 외측면에 상기 절단날(22b)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흡착부재(41)와,
    상기 흡착부재(41)에 연결된 배기펌프(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재(41)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흡기펌프가 연결되는 흡기챔버(41a)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흡기챔버(41a)에 연결되는 흡기공(41b)이 형성되어, 상기 비닐시트(1)가 상기 흡착부재(41)의 외측면에 흡착고정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절단날(22b)에 의해 절단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공유닛(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타공유닛(20)에 의해 잘려진 후 비닐조각에 연결된 비닐시트조각(2)을 제거하는 제거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수단(50)은
    상기 비닐시트(1)가 이송되는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닐시트(1)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비닐시트(1)에 붙어있는 비닐시트(1) 조각을 반대쪽으로 밀어내는 분사노즐(51)과,
    상기 비닐시트(1)에서 상기 분사노즐(51)과 반대되는 쪽에 위치되며 이송되는 비닐시트(1)에 밀착되는 고정날(52)과,
    상기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날(52)과 맞물려 비닐시트조각(2)을 잘라내는 회전날(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시트 타공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5315A 2022-05-04 2022-05-04 비닐시트 타공장치 KR10251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15A KR102517316B1 (ko) 2022-05-04 2022-05-04 비닐시트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15A KR102517316B1 (ko) 2022-05-04 2022-05-04 비닐시트 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316B1 true KR102517316B1 (ko) 2023-04-03

Family

ID=8593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315A KR102517316B1 (ko) 2022-05-04 2022-05-04 비닐시트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80Y1 (ko) * 2007-06-11 2008-08-20 전도현 피복비닐 천공기
KR101403009B1 (ko) * 2013-02-22 2014-06-03 전일프라스틱(주) 비닐 천공장치
KR101433819B1 (ko) 2012-11-20 2014-09-23 최성근 비닐 타공 장치
KR102134014B1 (ko) * 2019-10-25 2020-07-14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농작물 재배용 멀칭매트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80Y1 (ko) * 2007-06-11 2008-08-20 전도현 피복비닐 천공기
KR101433819B1 (ko) 2012-11-20 2014-09-23 최성근 비닐 타공 장치
KR101403009B1 (ko) * 2013-02-22 2014-06-03 전일프라스틱(주) 비닐 천공장치
KR102134014B1 (ko) * 2019-10-25 2020-07-14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농작물 재배용 멀칭매트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5633C (en) Wheel soaper
KR101593496B1 (ko)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CN105501589A (zh) 贴标机器人、贴标机及贴标机的贴标方法
CN108609396A (zh) 自动翻板机
KR102517316B1 (ko) 비닐시트 타공장치
CN106876526B (zh) 一种适应不同尺寸花篮的自动插片装置
FI95684C (fi) Menetelmä ja laite materiaalirainan, erityisesti paperirainan alkupään johtamiseksi alhaalta rullauskoneen telalle
JP2002178218A (ja) ブローチ盤の切屑除去装置
JPWO2009119194A1 (ja) コルゲートマシンのトリム処理方法及び装置
US4649606A (en) Method and apparatus to shear the surface of a pile fabric
US5113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rinted elastic bands
US47293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rinted elastic bands
JP2005527457A (ja) 垂直ガラス板を分割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8641358B2 (en) Apparatus for placing battery plates in a line
KR101571646B1 (ko)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CN211491851U (zh) 一种用于智能卡生产的冲孔裁切机
KR102325056B1 (ko) 라벨천공기의 천공밥 제거장치
WO2019093407A1 (ja) 製品搬送装置及び製品搬送システム
KR102257366B1 (ko) 캡핑기
JP2019085176A (ja) 製品搬送装置及び製品搬送システム
EP3362388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handling paper elements
KR100628352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제조장치
KR200348411Y1 (ko) 자동 목재절단기
KR102117191B1 (ko) 교차 적층형 알루미늄 호일 제조장치
CN209935352U (zh) 玻璃纤维板的模板自动清洗和铺膜流水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