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073B1 -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073B1
KR102517073B1 KR1020220133895A KR20220133895A KR102517073B1 KR 102517073 B1 KR102517073 B1 KR 102517073B1 KR 1020220133895 A KR1020220133895 A KR 1020220133895A KR 20220133895 A KR20220133895 A KR 20220133895A KR 102517073 B1 KR102517073 B1 KR 10251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yrinth
ring
shaped body
sealing devic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기
정택호
Original Assignee
터보파워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보파워텍(주) filed Critical 터보파워텍(주)
Priority to KR102022013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073B1/ko
Priority to JP2023178547A priority patent/JP2024059591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5/009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of turbine components other than turbin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 B22F7/08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with one or more parts not made from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2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by non-contact sealings, e.g. of labyrinth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D2230/2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c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D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5D2230/232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 F05D2230/234Lase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로터와 같은 회전체가 다이아프램과 같은 고정체 내에서 회전시 서로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터빈로터의 회전은 원활하도록 유도하면서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빈의 다이아프램과 터빈로터 사이에 장착되는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래비린스 실링장치는 링형상의 몸체와, 상기 링형상의 몸체의 일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링형상의 몸체는 원심주조 또는 링밀로 제조하고, 상기 래비린스부는 3D프린팅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은 원심주조 또는 링밀에 의해 링형상의 몸체를 제작한 후, 상기 링형상의 몸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또는 투쓰)는 3D프린팅으로 제작함으로써 소재와 가공비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래비린스부를 3D프린팅으로 제작하기에 사용환경에 따라 래비린스부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몸체에 래비린스부를 적층시 진동과 원적외선 가열을 통해 적층함으로써 조직의 미세화와 더불어 융착불량감소와 접합력 향상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labyrinth sealing device using vibration and 3D printing}
본 발명은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의 다이아프램과 터빈로터 사이에 장착되는 래비린스 실링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몸체는 링밀 또는 원심주조로 제조하고 돌출부인 래비린스부는 3D프린팅을 이용하여 적층 시, 초음파 진동에 의해 몸체에 래비린스부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빈은 유체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여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 회전식 기계장치이다. 수증기를 이용하는 증기터빈(steam turbine), 연소가스를 이용하는 가스터빈(gas turbine) 등 작동원리,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반적으로 발전용 터빈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함에 있어서, 보일러로부터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 스톱 밸브(stop valve) 및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를 지나 터빈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고,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다이아프램(diaphragm)을 거쳐 터빈로터에 조립된 회전익(Moving Blade)을 회전시킴으로써 터빈로터에 의해 발전기가 회전하면서 전력이 얻어진다.
이때, 다이아프램은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가 최적의 증기 방향을 갖는 증기흐름(Steam Flow)이 되도록 유도하여 터빈 로터(Turbine Rotor)에 조립된 회전익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터빈에서 터빈로터와 같은 회전체와 터빈로터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다이아프레임과 같은 고정체 사이의 실링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누설은 터빈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연료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인이므로 증기 누설을 줄이기 위한 실링(Sealing) 장치의 설계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증기나 가스 터빈 같은 고온 및 고압 터빈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실링장치는 증기나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여 발전기의 에너지 생산 효율을 상승시키고 유체로 인한 회전체의 진동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터빈로터와 같은 회전체가 다이아프램과 같은 고정체 내에서 회전시 서로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터빈로터의 회전은 원활하도록 유도하면서도 가스의 누설은 방지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실링장치를 터빈로터와 다이아프램 사이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비접촉식 실링장치로서는 래비린스 실링장치가 있다.
래비린스 실링장치는 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돌출된 투쓰(Tooth)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래비린스와 터빈로터 사이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이 유지됨과 동시에 복잡하게 돌출된 형태의 투쓰와 터빈로터 간에 접촉이 되지 않기에 터빈로터의 회전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래비린스 실링장치의 종래기술에 대해서는 본 출원이 2014년 04월 08일자로 출원하여 제10-1442739호(등록일자 2014년 09월 15일)로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에 터빈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회전체 사이로 누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밀봉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실링부; 상기 실링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브리스틀을 포함하는 브러시부; 상기 회전체의 외주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브러시부의 전방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쇼크방지부; 및 상기 브러시부의 후방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유체의 유입방향으로부터 유출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싱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 복수개의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는 브리스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쇼크방지부는 상기 브러시부와 대향되는 후방면을 따라 상향하는 상기 유체가 교축되도록 후방측으로 돌설된 복수개의 교축돌기와, 상기 쇼크방지부의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치된 상기 각 교축돌기 사이를 연결하는 교축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가이드홀은 상기 브리스틀 플레이트의 상하방향 및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브리스틀 플레이트의 최상부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의 유체유입구는 상기 쇼크방지부의 최상부측에 형성된 상기 교축돌기의 배치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링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4년 05월 29일자로 출원하여 제10-1449473호(등록일자 2014년 10월 02일)로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에 터빈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회전체 사이로 유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실링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주에 구비된 실링부에 구비되는 터빈용 브러시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유체 일부를 실링하도록 상기 실링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쇼크방지부; 상기 쇼크방지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심부재; 상기 심부재의 후면에 의해 전방면이 가압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회전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브리스틀을 포함하는 브러시부; 상기 브러시부의 후방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브리스틀 플레이트; 및 상기 쇼크방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심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심부재는 상기 가압조절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고경도의 금속 재질로 구비된 가압층과, 상기 가압층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브러시부와 접촉되는 저경도의 금속 재질로 구비된 탄성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용 브러시 실링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래비린스 실링장치는 원심주조 또는 링밀에 의해 링형상의 몸체를 형성한 후, 래비린스의 투쓰를 가공툴로 깍아만드는 과정에서 소재의 낭비가 심하여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투쓰의 형태를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제작기간이 길어진다는 등의 생산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6603호(등록일자 2008년 12월 2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2739호(등록일자 2014년 09월 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헝공보 제10-1449473호(등록일자 2014년 10월 02일) 대한민국 등록특헝공보 제10-1546385호(등록일자 2015년 08월 17일) 대한민국 등록특헝공보 제10-1950924호(등록일자 2019년 02월 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헝공보 제10-2293186호(등록일자 2021년 08월 1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링형상의 몸체를 제작한 후, 상기 링형상의 몸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는 3D프린팅으로 제작함으로써 소재와 가공비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몸체에 래비린스부의 적층시 진동과 원적외선 가열을 통해 접합함으로써 조직의 미세화와 더불어 융착불량감소와 접합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은 터빈로터와 같은 회전체가 다이아프램과 같은 고정체 내에서 회전시 서로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터빈로터의 회전은 원활하도록 유도하면서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빈의 다이아프램과 터빈로터 사이에 장착되는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래비린스 실링장치는 링형상의 몸체와, 상기 링형상의 몸체의 일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링형상의 몸체는 원심주조 또는 링밀로 제조하고, 상기 래비린스부는 3D프린팅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은 원심주조 또는 링밀에 의해 링형상의 몸체를 제작한 후, 상기 링형상의 몸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또는 투쓰)는 3D프린팅으로 제작함으로써 소재와 가공비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래비린스부를 3D프린팅으로 제작하기에 사용환경에 따라 래비린스부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몸체에 래비린스부를 적층시 진동과 원적외선 가열을 통해 적층함으로써 조직의 미세화와 더불어 융착불량감소와 접합력 향상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터빈에 실링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확대 상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래비린스 실링장치의 단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래비린스 실링장치가 터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래비린스 실링장치의 단면 개요도.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은 터빈로터(100)와 같은 회전체가 다이아프램(200)과 같은 고정체 내에서 회전시 서로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터빈로터(100)의 회전은 원활하도록 유도하면서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빈의 다이아프램(200)과 터빈로터(100) 사이에 장착되는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래비린스 실링장치(300)는 링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의 일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32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는 원심주조 또는 링밀로 제조하고, 상기 래비린스부(320)는 3D프린팅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와 래비린스부(320)는 레이저 클래딩을 통한 적층 시 링형상의 몸체(310) 또는 적층분말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적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진동은 2KHz∼100MHz 사이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와 래비린스부(320)는 레이저 클래딩을 통한 적층 시 링형상의 몸체(310) 또는 적층분말에 원적외선을 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파장은 10∼1000㎛ 사이에서 진행하여 모재인 링형상의 몸체(310)의 온도를 25∼900℃ 내로 유지하면서 레이저 클래딩을 통한 적층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터빈에 실링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확대 상세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래비린스형 실링 장치(5)는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다이어프램(3)의 외부링과 내부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래비린스형 실링 장치(5)는 터빈의 비접촉식 환상 밀봉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날카로운 투쓰(6)로 터빈 내에서 흐르는 유체에 교축작용(Throttling Process)을 발생시켜 누설 유량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투쓰(6)를 유체의 흐름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열하여 상기 유체가 교축과 확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강하 효과를 통해 상기 유체의 누설 유량을 저감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종래기술에 기술되어 있는 본 출원이 2014년 04월 08일자로 출원하여 제10-1442739호(등록일자 2014년 09월 15일)로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를 참조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투쓰(6)가 형성되어 있는 래비린스 형태의 실링장치는 원심주조에 의해 링형상의 몸체를 형성한 후, 래비린스를 절삭툴로 깍아만드는 과정에서 소재의 낭비가 심하며, 또한 래비린스의 형태를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제작기간이 길어진다는 등의 생산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래비린스 실링장치의 단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래비린스 실링장치가 터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래비린스 실링장치(300)는 터빈로터(100)와 같은 회전체가 다이아프램(200)과 같은 고정체 내에서 회전시 서로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터빈로터(100)의 회전은 원활하도록 유도하면서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빈의 다이아프램(200)과 터빈로터(100) 사이에 장착되는 래비린스 실링장치(300)를 3D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비린스 실링장치(300)는 링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의 일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3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래비린스 실링장치(300)는 링형상의 몸체(310)는 원심주조 또는 링밀로 제조하고, 래비린스부(320)는 3D프린팅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링형상의 몸체(310)와 래비린스부(320)는 일체로 제작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다른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레이저 클래딩과 같은 적층방식에 의해 서로 간의 견고한 체결 또는 접합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와 래비린스부(320)는 레이저 클래딩을 통한 적층 시 링형상의 몸체(310) 또는 적층분말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접합하였다.
초음파 진동은 2KHz∼100MHz 사이로 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최적의 초음파를 적층부에 전달하기 위해서 적층부로부터 0.5∼2000mm 이내 떨어진 곳에 진동자(도면 미도시)를 부착하여 모재인 링형상의 몸체(310)에 진동을 주면서 레이저 클래딩을 통한 적층을 수행한다.
즉, 진동자는 용접되는 지점으로부터는 0.5∼2000mm 이내 떨어진 링형상의 몸체(310)의 표면에 접촉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과 동시에 레이저 클래딩을 통해 적층할 경우 장점은 적층부에 기공율을 0.01% 이하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결정립의 크기를 기존 레이저 클래딩 보다 50% 이하로 작게 하기 때문에 기계적 특성(경도, 강도, 마모, 피로, 크리프)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와 래비린스부(320)의 더욱 견고한 접합관계를 이루기 위하여 링형상의 몸체(310) 또는 적층분말에 원적외선을 가할 수도 있다.
용융 온도가 높은 인코넬 초내열 소재의 경우 응고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원적외선 히터 파장은 10∼1000마이크론(㎛)을 사용하여 모재의 온도를 25∼900℃ 내로 유지하면서 레이저 클래딩 적층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링형상의 몸체(3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조하고, 래비린스부(320)는 스테인리스 재질과 다른 이종의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래비린스부(320)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래비린스부(320)를 3D프린팅에 의해 더욱 편리하게 제작함과 더불어 제작된 래비린스부(320)를 링형상의 몸체(310)에 견고하게 접합할 수도 있다.
링형상의 몸체(310)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310)에 대응되는 다이아프램(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제조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래비린스 실링장치의 단면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본 발명의 래비린스부(320)는 판재형상의 베이스(321)와, 상기 베이스(321)의 일면에 돌출되는 투쓰부(322)로 제조하도록 한다.
상기 투쓰부(322)의 형상도 솔형태로 제작하거나 복 수개의 얇은 판재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조된 래비린스부(320)는 링형상의 몸체(310)에 래비린스부(320)의 베이스(321)가 접촉되도록 한 후, 레이저 클래딩과 같은 적층 또는 접합방식으로 적층 또는 접합함으로써 래비린스부(320)와 링형상의 몸체(310)는 견고한 결합관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래비린스부(320)의 베이스(321)를 링형상의 몸체(310)와 동일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래비린스부(320)와 링형상의 몸체(310)는 견고한 결합관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투쓰부(322)는 터빈로터(100)의 재질이나 형상 또는 터빈로터(100)의 성능에 따른 사양에 맞추어 베이스(321)와 다른 이종재질 중 하나를 택일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래비린스부(320)와 몸체(310)의 더욱 견고한 결합관계를 가지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321)와 몸체(310)의 서로 접촉하는 일면 중 어느 한 면에는 돌출부(도면 미도시)를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부(도면 미도시)를 형성하여 조립블록처럼 조립하여 레이저 클래딩과 방식으로 적층 또는 접합하여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래비린스부(320)의 몸체(310) 및 래비린스부(320)의 상세한 구성으로서의 베이스(321)와 투쓰부(322)는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또는 제작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래비린스 실링장치(300)는 링 형상의 래비린스 몸체(310)를 원심주조 또는 링밀에 의해 제작하고, 상기 래비린스 몸체(310)의 표면에 3D프린팅에 의해 래비린스부(320)를 적층하거나, 래비린스부(320)를 별도로 3D프린팅에 의해 제작한 후, 래비린스 몸체(310)에 접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적층 또는 접합의 방식으로 레이저 클래딩을 이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은 원심주조 또는 링밀에 의해 링형상의 몸체를 제작한 후, 상기 링형상의 몸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또는 투쓰)는 3D프린팅으로 제작함으로써 소재와 가공비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래비린스부를 3D프린팅으로 제작하기에 사용환경에 따라 래비린스부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몸체에 래비린스부를 적층시 진동과 원적외선 가열을 통해 적층함으로써 조직의 미세화와 더불어 융착불량감소와 접합력 향상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터빈로터
200. 다이아프램
300. 래비린스 실링장치
310. 래비린스 몸체
320. 래비린스부 321. 베이스 322. 투쓰부
1. 로터부 2,20. 케이싱
3. 다이아프램 5. 래비린스형 실링장치
6. 투쓰

Claims (5)

  1. 터빈로터(100)와 같은 회전체가 다이아프램(200)과 같은 고정체 내에서 회전시 서로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터빈로터(100)의 회전은 원활하도록 유도하면서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빈의 다이아프램(200)과 터빈로터(100) 사이에 장착되는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래비린스 실링장치(300)는 링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의 일면에 돌출되는 래비린스부(32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는 원심주조 또는 링밀로 제조하고, 상기 래비린스부(320)는 3D프린팅에 의해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링형상의 몸체(310)와 래비린스부(320)는 레이저 클래딩을 통한 적층 시 링형상의 몸체(310) 또는 적층분말에 2KHz∼100MHz 사이의 초음파 진동과 원적외선을 가하면서 적층하되, 상기 원적외선 파장은 10∼1000㎛ 사이에서 진행하여 모재인 링형상의 몸체(310)의 온도를 25∼900℃ 내로 유지하면서 레이저 클래딩을 통한 적층하며,
    상기 래비린스부(320)는 판재형상의 베이스(321)와, 상기 베이스(321)의 일면에 돌출되는 투쓰부(322)로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래비린스부(320)는 링형상의 몸체(310)에 래비린스부(320)의 베이스(321)가 접촉되도록 한 후, 레이저 클래딩과 같은 적층 또는 접합방식으로 적층 또는 접합하되, 래비린스부(320)의 베이스(321)를 링형상의 몸체(310)와 동일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래비린스부(320)와 링형상의 몸체(310)는 견고한 결합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321)와 몸체(310)의 서로 접촉하는 일면 중 어느 한 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부를 형성하여 조립블록처럼 조립하여 접합함으로써 래비린스부(320)와 몸체(310)가 더욱 견고한 결합관계를 가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33895A 2022-10-18 2022-10-18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KR10251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895A KR102517073B1 (ko) 2022-10-18 2022-10-18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JP2023178547A JP2024059591A (ja) 2022-10-18 2023-10-17 振動及び3dプリンティングを用いたラビリンスシー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895A KR102517073B1 (ko) 2022-10-18 2022-10-18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073B1 true KR102517073B1 (ko) 2023-04-03

Family

ID=8593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895A KR102517073B1 (ko) 2022-10-18 2022-10-18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4059591A (ko)
KR (1) KR102517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294B1 (ko) * 2023-07-24 2023-12-21 터보파워텍(주) 3d프린팅 기술에 의한 래비린스 씰 투스 재생 수리방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03B1 (ko) 2007-11-27 2008-12-31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다이아프램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터빈용 다이아프램
KR101058372B1 (ko) * 2011-03-08 2011-08-22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링 열간 성형방법
KR101442739B1 (ko) 2014-04-08 2014-09-23 터보파워텍(주) 브러시 실링장치
KR101449473B1 (ko) 2014-05-29 2014-10-13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브러시 실링장치
KR101546385B1 (ko) 2015-01-30 2015-08-25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브러시 실링장치
KR101695126B1 (ko) * 2016-01-15 2017-01-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돌기 형상을 이용한 터빈의 실링 강화 구조
KR101950924B1 (ko) 2018-09-20 2019-02-21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복합 실링장치
KR102239315B1 (ko) * 2019-06-05 2021-04-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 방법
CN113154047A (zh) * 2021-04-30 2021-07-23 西安交通大学 基于齿顶小翼结构的自止旋迷宫密封及其加工方法
KR102293186B1 (ko) 2017-04-14 2021-08-25 터보파워텍(주) 브러쉬씰 제조방법
KR20210107125A (ko) * 2019-01-10 2021-08-31 누보 피그노네 테크놀로지 에스알엘 래버린스 밀봉 장치
KR20220054424A (ko) * 2019-09-06 2022-05-02 슈운크 소노시스템스 게엠바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들을 웰딩하기 위한 웰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03B1 (ko) 2007-11-27 2008-12-31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다이아프램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터빈용 다이아프램
KR101058372B1 (ko) * 2011-03-08 2011-08-22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링 열간 성형방법
KR101442739B1 (ko) 2014-04-08 2014-09-23 터보파워텍(주) 브러시 실링장치
KR101449473B1 (ko) 2014-05-29 2014-10-13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브러시 실링장치
KR101546385B1 (ko) 2015-01-30 2015-08-25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브러시 실링장치
KR101695126B1 (ko) * 2016-01-15 2017-01-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돌기 형상을 이용한 터빈의 실링 강화 구조
KR102293186B1 (ko) 2017-04-14 2021-08-25 터보파워텍(주) 브러쉬씰 제조방법
KR101950924B1 (ko) 2018-09-20 2019-02-21 터보파워텍(주) 터빈용 복합 실링장치
KR20210107125A (ko) * 2019-01-10 2021-08-31 누보 피그노네 테크놀로지 에스알엘 래버린스 밀봉 장치
KR102239315B1 (ko) * 2019-06-05 2021-04-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 방법
KR20220054424A (ko) * 2019-09-06 2022-05-02 슈운크 소노시스템스 게엠바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들을 웰딩하기 위한 웰딩 장치 및 방법
CN113154047A (zh) * 2021-04-30 2021-07-23 西安交通大学 基于齿顶小翼结构的自止旋迷宫密封及其加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294B1 (ko) * 2023-07-24 2023-12-21 터보파워텍(주) 3d프린팅 기술에 의한 래비린스 씰 투스 재생 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59591A (ja)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7073B1 (ko) 진동과 3d프린팅을 이용한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KR102517064B1 (ko) 3d프린팅에 의한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 스틸을 적층하는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JP4054607B2 (ja) 板ブラシシール
JP2006132773A (ja) 一体化ブラシシールおよびブラシシール成形方法
JP6012505B2 (ja) 軸シール装置及び回転機械
KR101812402B1 (ko) 터빈의 복합 실링 구조
JP6380859B2 (ja) タービンの多段シーリング構造
JP2020169645A (ja) ターボマシンの構成要素を製造する方法、ターボマシンの構成要素、および、ターボマシン
JP2014218999A (ja) 結合されたガスタービン界面シール
JP2017187025A (ja) ガスタービンの角の漏れをシールするシールアセンブリ
JP2012180748A (ja) 回転機械の静翼ユニット、回転機械の静翼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回転機械の静翼ユニットの結合方法
JP2013139775A (ja) シール組立体及びタービンの組み立て方法
US1192710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byrinth sealing device using vibration and 3D printing
CN103883363B (zh) 一种非接触式刷式密封及其制作方法
KR102502078B1 (ko) 3d프린팅을 이용한 터빈의 래비린스 실링장치 제조방법
JP5116833B2 (ja) 板ブラシシール装置
KR102256876B1 (ko) 축방향 지향 밀봉 시스템
JP2013139792A (ja) タービン構成要素間の流体流れを減少させるためのタービン組立体および方法
JP6367525B2 (ja) 湾曲装着形状のブレードセグメントを有するシステム
CN106640741B (zh) 密封件及压缩机及空调器
KR102579733B1 (ko) 3d프린팅을 이용한 중공형 터빈 래비린스 씰 적층제조 방법
KR101421864B1 (ko) 축 시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축 시일 장치의 제조 지그, 및 축 시일 장치를 구비하는 회전 기계
CN101793166B (zh) 弧形锯轮蒸汽机
KR102536162B1 (ko) 3d프린팅에 의한 가스터빈 슈라우드 블록 제조방법
RU2008141796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бочего колеса 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