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071B1 - 건축용 비계 - Google Patents

건축용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071B1
KR102517071B1 KR1020200176312A KR20200176312A KR102517071B1 KR 102517071 B1 KR102517071 B1 KR 102517071B1 KR 1020200176312 A KR1020200176312 A KR 1020200176312A KR 20200176312 A KR20200176312 A KR 20200176312A KR 102517071 B1 KR102517071 B1 KR 10251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mbers
fixed
driving memb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143A (ko
Inventor
조병우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산업
Priority to KR102020017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0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Abstract

건축용 비계가 제공된다. 이 건축용 비계는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이동 공간 및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발판을 포함한다. 작업 발판은 직사각형의 평면을 갖는 본체에 해당하는 발판부 및 발판부의 장축 방향의 양측의 말단들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 걸이부들을 포함한다. 고정 걸이부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며 양 측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기어 톱니를 갖는 상하 구동 부재, 상하 구동 부재를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에 결합시키면서 상하 구동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 상하 구동 부재의 양 측면들 각각에 구비되며 상하 구동 부재의 제 1 기어 톱니에 대응하는 제 2 기어 톱니를 가지면서 고정 걸이 부재의 갈고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 및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을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 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비계{Scaffold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 공사 현장에서 임시로 설치되는 건축 가설 비계로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건축 가설 비계에 설치되는 작업 발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비계는 건축 가설 비계의 사이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 및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발판을 가져야 한다.
작업 발판은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기둥들 사이에 설치 및 고정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작업 발판은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된 발판부의 양측의 말단들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기둥들 사이에 설치 및 고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작업 발판의 입체도로, 작업 발판(1)은 발판 프레임(frame)(2), 발판부(3) 및 고정 부재들(5)로 이루어진다.
발판 프레임(2)은 작업자의 이동 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고, 발판부(3)는 발판 프레임(2)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동 및 작업을 하는 작업자를 지지하고, 그리고 고정 부재(5)는 발판 프레임(2)의 양측의 말단들 각각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기둥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작업 발판(1)의 고정 부재(5)는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 중에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기둥들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 중에 흔들림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기둥들에 거치될 수 있도록 말단이 개방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부재(5)에 의해서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할 때에, 고정 부재(5)가 이탈되는 것에 의해 작업 발판(1)이 지지 기둥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88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39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689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기둥들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고정 및 해체가 용이한 작업 발판을 갖는 건축용 비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용 비계를 제공한다. 이 건축용 비계는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이동 공간 및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 발판은 직사각형의 평면을 갖는 본체에 해당하는 발판부 및 발판부의 장축 방향의 양측의 말단들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 걸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걸이부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며 양 측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기어 톱니를 갖는 상하 구동 부재, 상하 구동 부재를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에 결합시키면서 상하 구동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 상하 구동 부재의 양 측면들 각각에 구비되며 상하 구동 부재의 제 1 기어 톱니에 대응하는 제 2 기어 톱니를 가지면서 고정 걸이 부재의 갈고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 및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을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각각은 구동 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서로 다른 높이들을 갖는 제 1 결합 홀 및 제 2 결합 홀, 및 제 1 결합 홀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된 제 1 구동 홈 및 제 2 결합 홀로부터 하측으로 확장된 제 2 구동 홈을 가지고, 구동 부재의 일단은 제 1 결합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구동 부재의 타단은 제 2 결합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리고 구동 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앙 부위는 경사를 가지고, 그리고 상하 구동 부재는 구동 부재의 중앙 부위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제 1 구동 홈의 상측과 제 2 구동 홈의 하측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높이는 갖는 구동 홀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부재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중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 각각의 하부 말단은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의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하 구동 부재의 하부 말단은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의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고, 그리고 상하 구동 부재의 상부 말단은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건축용 비계는 갈고리 형상의 갖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며 양 측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기어(gear) 톱니를 갖는 상하 구동 부재 및 상하 구동 부재의 양 측면들 각각에 구비되며 상하 구동 부재의 제 1 기어 톱니에 대응하는 제 2 기어 톱니를 가지면서 고정 걸이 부재의 갈고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을 포함하는 고정 걸이부를 포함하는 작업 발판을 포함함으로써, 지지 프레임과 작업 발판 사이의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작업이 보조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고정 및 해체가 용이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비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건축용 비계에 사용되는 작업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 부분을 발췌한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의 일 구성인 구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지지 프레임에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가 해체되는 것을 보여주는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나의 구성 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 요소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결합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또는 결합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item)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밑(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장치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장치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를 뒤집을 경우, 다른 장치의 '아래(below)' 또는 '밑(beneath)'으로 기술된 장치는 다른 장치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rounded)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를 구성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 부분을 발췌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의 일 구성인 구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지지 프레임에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입체도 및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일 구성인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일 구성인 고정 걸이부가 해체되는 것을 보여주는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건축용 비계는 지지 프레임(100) 및 작업 발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복수의 지지 기둥들(110), 복수의 팔대들(120) 및 복수의 가새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둥(110), 팔대(120) 및 가새(130)는 원통형인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지지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지지 기둥(110), 팔대(120) 및 가새(130)는 작업 발판(200), 작업 발판(200) 위에서 이동 및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및 작업 발판(200) 위에 놓이는 건축 자재의 합산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가벼운 구조물이면 충분하다.
작업 발판(200)은 지지 프레임(100)의 팔대(120)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이동 공간 및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 발판(200)은 직사각형의 평면을 갖는 본체에 해당하는 발판부(210) 및 발판부(210)의 장축 방향의 양측의 말단들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100)의 팔대(120)와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 걸이부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판부(210)는 위에서 이동 및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및 위에 놓이는 건축 자재의 합산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강판 구조물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의 작업 발판(200)의 본체에 해당하는 발판부(210)는 위에서 이동 및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및 위에 놓이는 건축 자재의 합산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다른 재질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또한, 발판부(210)는 상부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복수의 돌기들 또는 홀(hole)들(도 3 참조)을 가질 수 있다.
고정 걸이부(220)는 말단에 갈고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며 양 측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기어 톱니(225)를 갖는 상하 구동 부재(224), 상하 구동 부재(224)를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에 결합시키면서 상하 구동 부재(224)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240), 상하 구동 부재(224)의 양 측면들 각각에 구비되며 상하 구동 부재(224)의 제 1 기어 톱니(225)에 대응하는 제 2 기어 톱니(229)를 가지면서 고정 걸이 부재(222)의 갈고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 및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을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 핀(pin)들(2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 각각은 구동 부재(240)와 결합되기 위한 서로 다른 높이들을 갖는 제 1 결합 홀(223a) 및 제 2 결합 홀(223b), 및 제 1 결합 홀(223a)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된 제 1 구동 홈(223ae) 및 제 2 결합 홀(223b)로부터 하측으로 확장된 제 2 구동 홈(223b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 각각은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과 결합되기 위하 제 3 결합 홀(223c)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부재(240)의 일단은 제 1 결합 홀(223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구동 부재(240)의 타단은 제 2 결합 홀(223b)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리고 구동 부재(24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앙 부위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하 구동 부재(224)는 구동 부재(240)의 중앙 부위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제 1 구동 홈(223ae)의 상측과 제 2 구동 홈(223be)의 하측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높이는 갖는 구동 홀(226)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240)는 상하 구동 부재(224)의 구동 홀(226)을 통해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 사이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부재(240)의 이동에 의해 상하 구동 부재(224)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상하 구동 부재(224)가 상부로 움직이면 상하 구동 부재(224)의 제 1 기어 톱니(225)에 맞물린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 각각의 제 2 기어 톱니(229)에 의해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이 지지 프레임(100)의 팔대(120)로부터 벌어져 작업 발판(200)이 지지 프레임(100)으로부터 해체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하 구동 부재(224)가 하부로 움직이면 상하 구동 부재(224)의 제 1 기어 톱니(225)에 맞물린 한 쌍의 고장 해체 부재들(228) 각각의 제 2 기어 톱니(229)에 의해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이 지지 프레임(100)의 팔대(120)로 오므려져 작업 발판(200)이 지지 프레임(100)으로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구동 부재(240)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 중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도 6b 및 도 7b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손이나 발, 또는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 중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동 부재(240)를 미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하 구동 부재(224)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하 구동 부재(224)의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지지 프레임(100)과 작업 발판(200) 사이의 고정 상태 또는 해체 상태를 만들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 각각의 하부 말단은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의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의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 각각의 하부 말단을 잡아 벌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작업 발판(200)을 지지 프레임(100)으로부터 해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하 구동 부재(224)의 하부 말단은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의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작업 발판(200)의 고정 걸이부(220)를 지지 프레임(100)의 팔대(120)에 걸치는 간단한 작업으로 작업 발판(200)을 지지 프레임(100)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하 구동 부재(224)의 상부 말단은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222)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작업자들이 건축용 비계에서 이동할 때에 작업 발판(200)의 고정 걸이부(220)를 밟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상하 구동 부재(224)의 하부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228)이 지지 프레임(100)의 팔대(120)로부터 벌어져 작업 발판(200)이 지지 프레임(100)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비계는 갈고리 형상의 갖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며 양 측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기어 톱니를 갖는 상하 구동 부재 및 상하 구동 부재의 양 측면들 각각에 구비되며 상하 구동 부재의 제 1 기어 톱니에 대응하는 제 2 기어 톱니를 가지면서 고정 걸이 부재의 갈고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을 포함하는 고정 걸이부를 포함하는 작업 발판을 포함함으로써, 지지 프레임과 작업 발판 사이의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작업이 보조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 가설 비계의 지지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고정 및 해체가 용이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비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지지 프레임
110 : 지지 기둥
120 : 팔대
130 : 가새
200 : 작업 발판
210 : 발판부
220 : 고정 걸이부
222 : 고정 걸이 부재
223a, 223b, 223c : 제 1, 제 2, 제 3 결합 홀
223ae, 223be : 제 1, 제 2 구동 홈
224 : 상하 구동 부재
225, 229 : 제 1, 제 2 기어 톱니
226 : 구동 홀
228 : 고정 해체 부재
230 : 결합용 관통 홀
240 : 구동 부재
250 : 고정 핀

Claims (5)

  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이동 공간 및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 발판은
    직사각형의 평면을 갖는 본체에 해당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의 장축 방향의 양측의 말단들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 걸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걸이부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상기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며 양 측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기어 톱니를 갖는 상하 구동 부재;
    상기 상하 구동 부재를 상기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상하 구동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
    상기 상하 구동 부재의 양 측면들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 구동 부재의 상기 제 1 기어 톱니에 대응하는 제 2 기어 톱니를 가지면서 상기 고정 걸이 부재의 상기 갈고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을 상기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 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 구동 부재의 하부 말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의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건축용 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각각은:
    상기 구동 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서로 다른 높이들을 갖는 제 1 결합 홀 및 제 2 결합 홀; 및
    상기 제 1 결합 홀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된 제 1 구동 홈 및 상기 제 2 결합 홀로부터 하측으로 확장된 제 2 구동 홈을 가지고,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 1 결합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구동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 2 결합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중앙 부위는 경사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상하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중앙 부위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구동 홈의 상측과 상기 제 2 구동 홈의 하측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높이는 갖는 구동 홀을 갖는 건축용 비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 중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건축용 비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해체 부재들 각각의 하부 말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 걸이 부재들의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건축용 비계.
  5. 삭제
KR1020200176312A 2020-12-16 2020-12-16 건축용 비계 KR10251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12A KR102517071B1 (ko) 2020-12-16 2020-12-16 건축용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12A KR102517071B1 (ko) 2020-12-16 2020-12-16 건축용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43A KR20220086143A (ko) 2022-06-23
KR102517071B1 true KR102517071B1 (ko) 2023-04-04

Family

ID=8222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312A KR102517071B1 (ko) 2020-12-16 2020-12-16 건축용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6830A (ja) * 2010-11-17 2012-06-07 Eagle Kuranpu Kk 内吊りクランプ
JP2020139388A (ja) * 2019-02-23 2020-09-03 株式会社杉孝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 仮設床材及びそのつかみ金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397A (ko) 2003-07-01 2003-07-25 Mk 공업 주식회사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0356890Y1 (ko) 2003-07-01 2004-07-21 엠케이공업 주식회사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130068880A (ko) 2011-12-16 2013-06-26 (주)의조산업 건축용 비계 작업발판
KR101372731B1 (ko) * 2012-04-25 2014-03-11 황찬석 작업발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6830A (ja) * 2010-11-17 2012-06-07 Eagle Kuranpu Kk 内吊りクランプ
JP2020139388A (ja) * 2019-02-23 2020-09-03 株式会社杉孝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 仮設床材及びそのつかみ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43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2075B1 (ja) 足場または支保工の支柱用鋼管
KR20020092792A (ko) 프레임 조립 비계에서의 난간 설치방법
JP2013076315A (ja) クサビ用枠付クランプ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2517071B1 (ko) 건축용 비계
CN111424954A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及其附墙导向座、使用方法
JP4683595B2 (ja) 枠組み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JP2020016139A (ja) 仮設床材
KR101459723B1 (ko) 비계용 발끝막이판
JP2004300748A (ja) 足場用手摺り
JP3788407B2 (ja) 安全手摺
JP6207781B1 (ja) 仮設足場用安全具
JP4109637B2 (ja) 作業用構台解体方法および簡易足場
JP4951056B2 (ja) 作業用構台解体方法
JP3943391B2 (ja) 枠組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JP4690383B2 (ja) 解体作業用ゴンドラユニット
JP2540483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解体用足場支持金具
JP4044874B2 (ja) 安全手摺
JP5904633B2 (ja) 枠組足場用手摺枠
KR200206946Y1 (ko) 작업용발판
JPH0541151Y2 (ko)
JP3892240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組立方法
JPH0738423U (ja) 仮設足場用手摺枠の建枠ホルダー
JPH0711930Y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型枠
JPH0318580A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