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946Y1 - 작업용발판 - Google Patents

작업용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946Y1
KR200206946Y1 KR2019980006436U KR19980006436U KR200206946Y1 KR 200206946 Y1 KR200206946 Y1 KR 200206946Y1 KR 2019980006436 U KR2019980006436 U KR 2019980006436U KR 19980006436 U KR19980006436 U KR 19980006436U KR 200206946 Y1 KR200206946 Y1 KR 200206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reinforcing
lower structure
vertic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968U (ko
Inventor
안영옥
Original Assignee
안영옥
주식회사송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옥, 주식회사송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안영옥
Priority to KR2019980006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9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946Y1/ko

Link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종부재와 횡부재가 격자형상으로 일정간격지게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진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과; 상기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 사이에 연결설치되어지되, 복수의 홀이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의 종부재가 그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다수개의 보강구조물과; 상기 보강구조물의 수평부재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하측 횡부재의 브라켓트에 대하여 회동가능게 설치된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편과 밀착편 및 상기 지지편과 밀착편 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나사를 갖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구조물은 수직부재의 홀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구조물의 횡부재 및 종부재에 부착설치된 브라켓트의 홀과 핀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의 상하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을 보장하고 안정된 자세를 제공하여 작업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간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건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발판 {Working stage}
본 고안은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사 현장에서 건물의 외벽에 임시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건물의 외부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의 외부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사용되는 발판은 건물의 외부에 다수의 목재 또는 강관으로 제조된 얼개인 비계에 설치되고, 상기 비계는 작업자의 발판을 제공함과 아울러 안전망이 부착설치되어 공사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겸한다.
특히, 고층 건물을 신축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비계는 공사가 진행되어 건물이 증축될 때 마다 건물의 외벽에 연속적으로 연장 가설되며 공사가 종료되면 해체된다. 건물 전체에 대한 비계의 조립과 해체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요하기 때문에 현재의 공사 현장에서는 공사의 진행 단계를 층별로 분리 실시함으로써 하부의 비계를 제거하면서 상부의 비계를 조립해 나가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비계가 제거된 후 건물의 외벽에 대한 작업이 부분적으로 필요한 경우 또는 공사용 승강기 가동부에 의해 비계의 설치가 곤란한 건물의 국부의 외부작업에 있어, 작업자는 안전줄에 매달려 작업하거나 또는 건물에 임시로 설치된 프레임등에 의존하여 작업을 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자세에 인해 작업의 완성도가 저하되고, 자칫 순간적인 실수로 인해 예기치 못한 실족 및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사현장등에서 비계가 제거된 후 또는 비계의 설치가 곤란한 건물의 외벽에 밀착 가능하게 임시로 설치한 후 작업자가 딛고 서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부재와 횡부재가 격자형상으로 일정간격지게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진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과; 상기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 사이에 연결설치되어지되, 복수의 홀이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의 종부재가 그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다수개의 보강구조물과; 상기 보강구조물의 수평부재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하측 횡부재의 브라켓트에 대하여 회동가능게 설치된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편과 밀착편 및 상기 지지편과 밀착편 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나사를 갖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구조물은 수직부재의 홀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구조물의 횡부재 및 종부재에 부착설치된 브라켓트의 홀과 핀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의 상하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작업용 발판의 보강구조물과 하부구조물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작업용 발판 10: 상부구조물
20: 하부구조물 30: 보강구조물
40: 발판 50: 고정부재
51: 회동바 52: 지지편
53: 밀착편 54: 나사
이하, 본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을 첨부도면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1)의 상부구조물(10)은 수개의 횡부재(11)와 종부재(12)가 일정간격지게 배열 설치되어 격자형상을 이루고, 하부구조물(20)도 역시 수개의 횡부재(21)와 종부재(22)가 격자형상을 이루며 일정간격지게 배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구조물(10)(20)의 사이에는 구조물(10)(20) 사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강구조물(30)이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강구조물(30)의 수평부재(33) 상면에는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발판(40)이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보강구조물(30)은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 즉 발판(40)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부구조물(10)을 하부구조물(20)로부터 외부로 이격시킴과 아울러 구조적 완성도가 높은 직삼각형으로 구성됨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이 반듯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보강구조물(30)은 복수의 홀(32)이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부재(31), 상기 수직부재(31)의 상단부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종부재(12)가 그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평부재(33) 및 상기 수평부재(33)와 수직부재(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재(33)의 단부를 지지하는 보강부재(34)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구조물(30)의 수직부재(31)의 홀(32)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구조물(20)의 횡부재(21) 및 종부재(22)에 부착설치된 브라켓트(23)의 홀(24)과 핀(25)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고자하는 건물의 높이와 작업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하부구조물(20)의 횡부재(21) 및 종부재(22)에 부착설치된 브라켓트(23)의 홀(24)과, 보강구조물(30)의 수직부재(31)의 홀(32)중 하나가 일치되도록 정렬시킨 후 핀(25)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핀(25)은 쉽게 빠지지 않는 한 공지의 적당한 형태이면 족하며, 예를 들어 너트로 조여지는 볼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하부구조물(20)에 대한 상부구조물(1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판(40)을 포함하여 상부구조물(10)의 높이를 작업장의 조건에 맞춰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10) 및 하부구조물(20)을 구성하는 횡부재(11,21)와 종부재(12,22)는 목재 또는 강재로 제조될 수 있으나 중량이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강관 또는 프레임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구조물(10)과 하부구조물(20)을 구성하는 횡부재(11,21)와 종부재(12,22)간의 결합은 용접방식에 의해 영구적으로 상호고정 되거나, 또는 조립이 가능한 보울트와 너트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구조물(20)의 상,하단을 이루는 횡부재(21)의 소정위치에는 브라켓트(55)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 브라켓트(55)에 건물 고정을 위한 다수의 고정부재(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건물 마다 외형이 다른점을 감안하여 작업 건물의 창틀턱(60)에 압착이 가능하도록 나사(54)로 된 폭 조절수단이 채용된다. 즉,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50)는 하부구조물(20)을 구성하는 상,하단 횡부재(21)에 형성된 브라켓트(55)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바(51)와, 상기 회동바(51)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편 및 밀착편(52)(53)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편(52)과 밀착편(53)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수단인 나사(54)가 지지편(5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은 상기 고정부재를 건물의 창틀턱에 끼워 고정하여 사용하는데 이의 탈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시에는 장착하고자하는 건물의 조건에 맞도록 상하부 구조물(10)(20) 사이의 높이를 보강구조물(30)로 조절한 후, 고층건물의 공사에 흔히 사용되는 기중기와 같은 적당한 승강 수단에 작업용 발판(1) 상부구조물(10)의 횡부재(11)를 고정한 다음, 작업하고자 하는 건물의 외벽에 작업용 발판(1)을 위치시킨 후 고정부재(50)의 지지편(52) 및 밀착편(53) 사이에 창틀턱과 같은 건물의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50)의 회동바(51)를 회동시킨 후, 지지편(52)을 관통하여 설치된 나사(54)를 밀착편(53)쪽으로 조이면 상기 밀착편(53)이 건물 돌출부(60)의 전면(61)에 밀착됨과 아울러 나사(54)의 단부면이 건물 돌출부(60)의 내면을 압착함으로써 작업용 발판(1)이 건물의 돌출부(60)에 고정된다. 상기 작업용 발판(1)이 건물에 완벽하게 고정된 다음 작업자는 발판(40) 위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분리할 때는 작업용 발판(1)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작업용 발판(1)의 상부구조물(10)을 연결한 다음, 각 고정부재(50)의 나사(54)를 순차적으로 풀어 건물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한 후, 다시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작업용 발판(1)을 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는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다수개로 구성되는데, 고정부재(50)는 하부구조물(20)의 상,하단 횡부재(21)에 형성된 브라켓트를 매개로 각각 다수로 설치되어 창틀턱의 상하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작업용 발판(1)의 보관과 운반 및 작업의 편리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50)의 회동바(51)를 하부구조물(20)의 횡부재(21)에 형성된 브라켓트(55)에 회동가능하게 구성하였으나 회동바(51)를 하부구조물(20)의 횡부재(21)에 고정하는 변경도 또한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1)의 상,하부구조물(10)(20)에는 안전망(70)이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공구등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은 공사현장등에서 비계가 제거된 후 또는 비계의 설치가 곤란한 건물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외벽에 임시로 설치한 후 작업자가 딛고 서서 작업할 수 있는 것으로, 건물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되고 발판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을 보장하고 안정된 자세를 제공하여 작업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용 발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종부재(12)(22)와 횡부재(11)(21)가 격자형상으로 일정간격지게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진 상부구조물(10) 및 하부구조물(20)과;
    상기 상부구조물(10) 및 하부구조물(20) 사이에 연결설치되어지되, 복수의 홀(32)이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직부재(31), 상기 수직부재(31)의 상단부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종부재(12)가 그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평부재(33) 및 상기 수평부재(33)와 수직부재(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재(33)의 단부를 지지하는 보강부재(34)로 구성된 다수개의 보강구조물(30)과;
    상기 보강구조물(30)의 수평부재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40); 및
    상기 하부구조물(20)의 상하측 횡부재(21)의 브라켓트(55)에 대하여 회동가능게 설치된 회동바(51)와, 상기 회동바(51)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편(52)과 밀착편(53) 및 상기 지지편(52)과 밀착편(53) 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나사(54)를 갖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구조물(30)은 수직부재(31)의 홀(32)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구조물(20)의 횡부재(21) 및 종부재(22)에 부착설치된 브라켓트(23)의 홀(24)과 핀(25)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과 하부구조물(20) 사이의 상하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KR2019980006436U 1998-04-22 1998-04-22 작업용발판 KR200206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436U KR200206946Y1 (ko) 1998-04-22 1998-04-22 작업용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436U KR200206946Y1 (ko) 1998-04-22 1998-04-22 작업용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68U KR19990039968U (ko) 1999-11-25
KR200206946Y1 true KR200206946Y1 (ko) 2001-01-15

Family

ID=6951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436U KR200206946Y1 (ko) 1998-04-22 1998-04-22 작업용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9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68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298B2 (en) Hanging scaffold support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6799658B2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JP2002089033A (ja) 屋根工事用作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206946Y1 (ko) 작업용발판
JP3950800B2 (ja) つり足場
JPH10273970A (ja) ベランダ等の乗り越え用ブリッジ装置
JP3898559B2 (ja) 鉄骨工事用仮設足場
JP2003082848A (ja) 簡易吊足場装置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JP2580734Y2 (ja) 移動吊り足場装置
JP5728379B2 (ja) 壁材の取付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壁材の施工方法
JPH0311298Y2 (ko)
GB1568355A (en) Building platform structures
JP3008167B2 (ja) 簡易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JP2572353Y2 (ja) 工事用仮設足場
JP3638761B2 (ja) H形枠組み足場
KR20200136162A (ko) 건축 공사용 발판 조립체
JPH0425877Y2 (ko)
WO1991006729A1 (en) Hanging scaffold
JPH06248794A (ja) 大型組立式移動足場
JPH0623651Y2 (ja) カーテンウォール用サッシの組立装置
JPS6041387Y2 (ja) 足場兼用吊り治具
JPH03215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