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525B1 -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525B1
KR102516525B1 KR1020200109794A KR20200109794A KR102516525B1 KR 102516525 B1 KR102516525 B1 KR 102516525B1 KR 1020200109794 A KR1020200109794 A KR 1020200109794A KR 20200109794 A KR20200109794 A KR 20200109794A KR 102516525 B1 KR102516525 B1 KR 10251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aphid
convex
tailed
aph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601A (ko
Inventor
김윤중
이형근
홍기정
권기면
Original Assignee
거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창군 filed Critical 거창군
Priority to KR102020010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5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식성 천적류 대량사육을 위해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천연먹이인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대량으로 사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단계; 소독된 종자를 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는 단 계; 성장된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 및 증식 단계; 증식된 긴꼬리볼록 진딧물 잠두콩 재배포트를 테이블에 설치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단계; 수 확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거하여 냉동트레이에 넣어 냉동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긴꼬리볼록진딧물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무당벌레류, 진디혹파리, 풀잠자리류, 꽃등에류 등 포식성 천적 사육에 먹이로 활용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상기 포식성 천적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Methods of mass rearing and storage about Megoura crassicauda Mordvilko for breeding predatory natural enemies.}
본 발명은 포식성 천적류 대량사육을 위해 먹이원 곤충의 대량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먹이원으로 사용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의 대량사육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출원 이전의 선행기술로는 농업, 임업 등의 경영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하늘소류 해충을 방제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화학적 방제 방법의 부작용 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방제를 실현하기 위한 생물적 방제에 있어서 이용성이 우수 한 외부 기생성 벌류의 대량사육을 통한 방제 및 그 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하늘소류 해충에 있어서 방제효율이 높고 이용성이 우수한 외부기생성 벌류 를 선발하고 이용을 위한 대량생산체계를 갖추기 위한 고효율 대용기주를 탐색하고 그 효과적인 시용과 시용에 따른 환경적인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사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기주식물을 이용한 천적곤충의 사육용 식물재배와 천 적곤충 사육용 먹이곤충을 최적의 환경에서 대량 사육하여 천적곤충과 천적의 먹이 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천적곤충의 대량 생산 시설에 관한 것이다. 식물 생육에 필 요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이 구비된 사육시설과, 상기 사육시설 내에 배치되도록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구성되고 여기에 다단의 선반이 배 치된 이동 가능한 사육대와, 기 사육대의 선반에 배치되는 상하 2단으로 분할 구성 된 용기로써, 고형배지를 담아 기주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재배용기와, 이 재배용 기와 맞물려 받침 역할을 하면서 수분 및 양액을 저장 공급할 수 있는 하단의 수분 및 양액 공급용기로 구성된 사육판과, 상기 사육시설 내에는 사육판의 수분 및 양 액 공급용기에 수분과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사육대의 각 선반 높낮이에 맞춰 배관 설치되고 각 선단에 공급노즐이 각각 구비된 수분 및 양액 공급 파이프라인을 포함함으로써, 양액 재배되는 기주식물에 진딧물류 및 천적곤충을 접종 증식시켜 대량 사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6469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30174호
진딧물은 기하급수적으로 번식하는 특성뿐만 아니라 세대 순환이 빨라 발생 초기에 예방하지 않으면 방제하기 어려운 해충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천적을 이 용한 생물적 방제를 활용하는 경우 기생성 천적인 기생벌을 이용하여 작물의 정식 초기나 진딧물 발생초기에 예방적으로 적용을 하여 효과적으로 진딧물방제를 수행 하나, 실제 농가에서는 진딧물 발생 시기를 잘못 판단하여 이미 진딧물의 발생이 만연하여 발견되어 진디벌류를 사용하여 방제하기에는 밀도가 높은 경우가 발생하 곤 한다.
이때에는 일차적으로 진딧물의 밀도를 낮추고 그 후 진디벌류의 천적을 도입 하여 진딧물을 방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진디벌류는 대표적으로 콜 레마니진디벌, 복숭아혹진디벌, 싸리진디벌, 어비진디벌, 진디면충좀벌 등이 활용 될 수 있으며, 진딧물의 밀도가 이미 높아진 경우에 일차적으로 밀도를 낮추어 줄 수 있는 천적으로는 급속하게 많은 진딧물을 섭식하여 개체수를 집중적으로 낮추어 줄 수 있는 포식성 천적들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 포식성 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천적으로는 무당벌레류, 진디혹파리, 풀잠자리 류, 꽃등에 류 등이 포함된다. 이들 포식성 천적들은 진딧물 해충에 대한 섭식력이 매우 높아 높은 밀도의 진딧물 군집을 방제하는데 매우 유용하여 농작물에 진딧물의 밀도가 높은 경우 급속하게 진딧물의 밀도를 낮출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한 장점은 있으나, 농작물에 진딧물의 밀도가 낮거나 혹은 낮은 밀도로 진딧물의 밀도가 조절된 후에는 작물에서 이들 천적의 정착률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어 진딧물을 깨끗하게 방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포식성 천적은 포식력이 높아 진딧물 발생이 높은 곳에서 속 효적으로 밀도를 내리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장점은 이들 포식성 천적을 대량 사육할 경우에는 반대로 단점으로 작용된다. 이들 포식성 천적의 높은 포식력은 이들 천적을 대량 사육할 경우 매우 많은 양의 먹이가 소요된다. 이에 먹이로 공급될 수 있는 천연먹이인 진딧물을 효율적으로 대량사육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필 요가 있다. 포식성 천적을 대량 사육하여 적기에 공급하여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포식성 천적류 대 량사육을 위해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천연먹이인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대량으로 사육 하는 방법 및 저장방법을 하기의 과제해결 수단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과제해결 수단을 제 공한다.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소독단계(S1); 및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는 잠두콩 발아및성장단계(S2); 및
상기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성장된 잠두콩 재배포트의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 진딧물을 접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S3);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 에서 증식되면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S4);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냉동트레이에 넣어 냉 동보관하는 냉동보관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단계에서 잠두콩은 물 1L, 황유제(다싹, 모두싹) 5~10ml, 스미치온 유제 2~4ml의 용액에 24~48시간 침지하 여 상기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잠두콩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 을 성장시키는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잠두콩을 파종하는 재배포트는 직경 15~20cm 크기에 잠두콩 종자 15~20 립을 파종하여 발아 후 잠두콩 싹이 5~10cm까지 성장 시킨후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 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증식용기는 메쉬의 크기가 0.1~0.5mm인 나일론 재질의 스크린망 케이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크기는 30 Х 30 Х 30 cm ~ 50 Х 50 Х 50 cm로 하고 상기 스크링망 케이지 내 잠두콩 재배포트는 3~4 재배포트를 입식하며,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에 심어진 잠두콩 싹 1주 당 긴꼬리볼록진딧물을 10~20 개체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온도는 23~27℃로 유지시키고, 1 일 16 시간 명조건 및 8 시간 암조건으로 장일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 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 이 증식된 잠두콩 재배포트를 흐르는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 위에서 눕혀 진딧물이 자유 낙하하 거나, 에어건 등으로 잠두콩 싹을 털어 낙하시켜 상기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끝에 설치된 망체를 이용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가운데가 V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V형 구조의 벽면 에서 물이 흘러내려리고, 상기 테이블이 일측으로 기울어 있어, 상기 벽면에서 흘 러내린 물이 한 쪽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를 6~8개 놓을 수 있으 며, 상기 V형 구조의 각도는 45~90°가 적절하고, 상기 V형 구조의 벽면의 길이는
50~10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에서 끝에 설치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망체는 0.1~0.3mm의 메쉬 크기이며, 망체 상단에는 깔대기 모양의 망체 뚜껑을 구비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수확 중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동보관단계에서 수확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냉동트레이에 넣어 서 보관하는 경우 물과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혼합하여 냉동보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동트레이는 가로 10 cm Х 세로 20 cm Х 높이 1cm 크기에 가 로 1cm Х 세로 1cm Х 높이 1cm로 구획된 200개의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과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혼합은 물 50ml에 100~150ml를 혼합하여 상기 200개의 공간에 균일하게 넣어 냉동보관하고 사용 시 해동하여 건조 후 사 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소독단계(SA1); 및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는 잠두콩 발아및성장단계(SA2); 및
상기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성장된 잠두콩 재배포트의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 진딧물을 접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SA3);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 에서 증식되면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SA4);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열풍건조하여 냉장보관 하는 단계(SA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 한다.
또한, 상기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단계에서 잠두콩은 물 1L, 황유제(다싹, 모두싹) 5*10ml, 스미치온 유제 2~4ml의 용액에 24~48시간 침지하 여 상기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잠두콩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 을 성장시키는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잠두콩를 파종하는 재배포트는 직경 15~20cm 크기에 잠두콩 종자 15~20립을 파종하여 발아 후 잠두콩 싹이 5~10cm까지 성장 시킨후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 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증식용기는 메쉬의 크기가 0.1~0.5mm 인 나 일론 재질의 스크린망 케이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 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크기는 30 Х 30 Х 30 cm ~ 50 Х 50 Х 50 cm로 하고 상기 스크링망 케이지 내 잠두콩 재배포트는 3~4 재배포트를 입식하며,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에 심어진 잠두콩 싹 1주 당 긴꼬리볼록진딧물을 10~20 개체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온도는 23~27℃로 유지시키고, 1 일 16 시간 명조건 및 8 시간 암조건으로 장일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 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 이 증식된 잠두콩 재배포트를 흐르는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 위에서 눕혀 진딧물이 자유 낙하하 거나, 에어건 등으로 잠두콩 싹을 털어 낙하시켜 상기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 끝에 설치된 망체를 이용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가운데가 V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V형 구조의 벽면 에서 물이 흘러내려리고, 상기 테이블이 일측으로 기울어 있어, 상기 벽면에서 흘 러내린 물이 한 쪽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를 6~8개 놓을 수 있으 며, 상기 V형 구조의 각도는 45~90°가 적절하고, 상기 V형 구조의 벽면의 길이는
50~10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에서 끝에 설치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망체는 0.1~0.3mm의 메쉬 크기이며, 망체 상단에는 깔대기 모양의 망체 뚜껑을 구비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수확 중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수거하여 물기를 제 거한 후 열풍건조기의 30~40℃에서 5~10분간 건조를 하여 4~8℃냉장실에 저온 보관하고 필요시 먹이로 활용하며, 저온저장은 10~15일 이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식성 먹이로 유용한 긴꼬리볼록진딧물의 생태적 특성을 확인하 여, 최적화된 사육도구 및 환경, 먹이를 제공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연중대량 사 육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긴꼬리볼록진딧물의 효과적인 수확방법 및 효율적인 장기저장 방법을 개발하여 필요한 특정시기에 포식성 천적의 먹이로 대량 사용될 수 있어, 포식성 천적을 대량사육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진딧물 방제에 생물적방제가 가능토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약을 사용 하지 않고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최상의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환경오염과 농약으로부터 오는 인축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생산방법의 과정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긴꼬리볼록진딧물 증식용 스크린망 케이지의 모식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긴꼬리볼록진딧물 수확용 V테이블의 모식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긴꼬리볼록진딧물 수집용 깔대기모양의 뚜껑을 포함하는 채망 의 모식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수확된 긴꼬리볼록진딧물 냉동 저장용 트레이 용기의 모식도
본 발명은 포식성 천적류 대량사육을 위해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천연먹이인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대량으로 사육하는 방법 및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는 긴꼬리볼록진딧물의 사육에 기주식물로 사용하는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고 재 배포트(또는 포트)에 파종을 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고,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 하고 증식하여 진딧물 수확용 테이블에 설치하여 진딧물을 수확하고, 수확한 진딧 물은 열풍 건조하여 저온저장을 하여 포식성 천적사육에 먹이로 사용하거나, 수확 한 진딧물을 냉동트레이에 넣어 냉동하고 냉동하여 포식성 천적 사육에 먹이로 활 용할 때 해동하고 건조하여 포식성 천적의 먹이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긴꼬리볼록진 딧물의 대량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딧물의 번식 특성에 따른 천적 곤충의 이용을 위한 천적곤충의 사육과 공급을 위한 기초가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 즉. 해충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별히 긴꼬리볼록진딧물의 대량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긴꼬 리볼록진딧물을 대상으로한 이유는 다른 진딧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 고, 조그만 충격에도 상기 잠두콩 싹과 같은 식물에서 잘 떨어지는 특성이 있어, 수 확량이 많고, 수확이 쉽기 때문이다.
그럼, 진딧물 방제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효율적 으로 진딧물을 방제하는 것이 쉽지않기 때문에, 추가적인 포식성 천적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겠다.
진딧물은 기하급수적으로 번식하는 특성뿐만 아니라 세대 순환이 빨라 발생 초기에 예방하지 않으면 방제하기 어려운 해충이다(이유1). 이러한 특성 때문에 천 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를 활용하는 경우 기생성 천적인 기생벌을 이용하여 작물 의 정식초기나 진딧물 발생초기에 예방적으로 적용을 하여 효과적으로 진딧물방제 를 수행하나 실제 농가에서는 진딧물 발생 시기를 잘못 판단하여 이미 진딧물의 발 생이 만연하여 발견되어 진디벌류를 사용하여 방제하기에는 밀도가 높은 경우가 발 생하곤 한다(이유2). 이때에는 일차적으로 진딧물의 밀도를 낮추고 그 후 진디벌류 의 천적을 도입하여 진딧물을 방제할 수 있고,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진디벌류는 대표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 복숭아혹진디벌, 싸리진디벌, 어비진디벌, 진디면충좀 벌 등이 활용될 수 있으나, 진딧물의 밀도가 이미 높아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진 디벌류로는 진딧물의 개체수를 급속하게 낮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렇게 진딧물의 밀도가 이미 높아진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진딧물을 잡아먹 어 없애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천적이 바로 포식성 천적이다.
상기 포식성 천적은 무당벌레류, 진디혹파리, 풀잠자리류, 꽃등에류 등이 포 함된다. 이들 포식성 천적들은 진딧물 해충에 대한 섭식력이 매우 높아 높은 밀도 의 진딧물 군집을 방제하는데 매우 유용하여 농작물에 진딧물의 밀도가 높은 경우 급속하게 진딧물의 밀도를 낮출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한 장점은 있다.
한편, 포식성 천적의 가장 큰 장점인 포식력이 진딧물 발생이 높은 곳에서 속효적으로 밀도를 내리는 장점이 있으나, 이들 포식성 천적을 대량사육할 경우에 는 많은 먹이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포식성 천적을 진딧물 방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먹이로 공급될 수 있는 천연먹이인 진딧물을 효율적으로 대량사육방법이 할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포식성 천적의 먹이가되는 진딧물 중 에서도 그 크기가 크고, 수확하기 쉬운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활용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 및 저 장방법은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단계; 및
소독된 종자를 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싹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성장된 잠두콩싹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 및 증식 단계; 및
증식된 긴꼬리볼록진딧물 잠두콩포트를 테이블에 설치하여 진딧물을 수확하는 단계; 및
수확된 진딧물을 수거하여 냉동트레이에 넣어 냉동보관하거나
또는 수확된 진딧물을 열풍건조하여 냉장보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단계에서 잠두콩은 물 1L, 황유제(다싹, 모두싹) 5~10ml, 스미치온 유제 2~4ml의 용액에 24~48시간 침지하여 종자를 소독하고 흐르는 물에 약 30분간 씻고 종자파종에 이용한다.
상기 소독된 종자를 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싹을 성장시키는 단계에서 잠두콩를 파종하는 포트는 직경 15~20cm 크기에 잠두콩 종자 15~20립을 파종하는 것이 포트 크기 대비 적정밀도의 종자 갯수이며, 발아 후 잠두콩싹이 5~10cm까지 성장시킨 후 진딧물 접종용 기주로 키우는 것이 바람직한데 잠두콩싹이 너무 작은 상태에서 진딧물을 접종하면 진딧물에 흡즙된 잠두콩싹이 사그러질 위험이 있고 너무 성장이 된 후 접종을 하면 식물만 크게 성장하고 진딧물의 밀도는 비교적 적어지는 단점이 발 생한다.
성장된 잠두콩싹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 및 증식 단계에서 잠두콩싹에 긴꼬 리볼록진딧물을 접종하여 증식하는 용기는 나일론 재질의 스크린망 케이지가 적합 하며, 나일론 스크린망의 메쉬는 0.1~0.5mm의 크기가 적정하고 색상은 흰색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크기는 30Х30Х30cm~50Х50Х50cm로 하고 케이지내 잠두콩 포트는 3~4포트 입식이 적절하고 잠두콩싹 1주 당 긴꼬리볼록진딧물의 접종량은 10~20개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공간 온도는 23~27℃조건을 유지시키고 16시간 명 조건 및 8시간 암조건으로 장일조건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긴꼬리볼록진 딧물은 자연상태에서 갈퀴나물 등 콩과작물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여름 및 가을보다
봄철과 같은 비교적 저온기에 발생빈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 진딧물의 사 육공간도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확시기는 긴꼬리볼록진딧물의 밀도가 높아지면 일부 진딧물들은 잠두콩 기주식물을 이탈하여 스크린망 케이지에서 붙어 배회가 시작되는데, 이때는 잠두콩 기주식물 상태 대비 진딧물 밀도가 포화상태이므로 이 시기를 수확시기로 판단하여 재배포트를 진딧물 수확용 테이블로 이동하여 진딧물을 수확한다.
상기의 증식된 긴꼬리볼록진딧물 잠두콩 재배포트를 테이블에 설치하여 진딧물 을 수확하는 단계에서 상기 테이블은 V형태의 벽체를 구비하고, V형 벽체의 양쪽상 단에 진딧물이 증식된 잠두콩 재배포트를 눕혀 진딧물이 자유 낙하하거나 잠두콩 싹을 에어건으로 털어 낙하시키면 상단부에 수분분사용 파이프에서 물이 흐르도록하여 낙하된 진딧물들이 물에 씻겨 내려와 한 곳으로 흘려내려 망체를 이용하여 진딧물 을 포집하는데 수확 시 잠두콩 재배포트에서 이탈한 진딧물이 생기지 않게 수시로 털어주고 전체 진딧물량에서 80~90% 정도 낙하되면 잠두콩 재배포트는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V형 테이블의 상단에 눕혀놓을 재배포트는 한쪽에 6~8개에 총 12~16개가 적절하고, V형 테이블의 각도는 45~90°가 적절하며, V형 테이블의 판 높이 는 50~100cm를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고, 테이블의 각도가 너무 완만할 경우 진딧물이 씻겨 내려가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의 경사진 방향의 끝단에 상기 물에 의하여 씻겨 내려온 진딧물의 수확을 위하여 수확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확통의 상단은 깔대기 모양으로 상기 테이블에서 물과 함께 낙하한 진딧물이 흩어지지 않고 모아져 상 기 깔대기를 통하여 채망통으로 낙하된다. 상기 낙하된 진딧물은 진딧물이 수확되 는 채망에 의하여 걸러진다.
상기 채망은 메쉬크기가 0.1~0.3mm 이고, 물받침통에 의하여 받쳐저 진딧물이 빠 져나갈 수 없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채망통의 측면에 상기 채망에 걸러진 진딧물이 바로 수거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면 산소의 농도가 낮아 져 진딧물이 일시적인 기절상태가 되어 수확 후 처리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채망통의 측면에 상기 채망에 걸러진 진딧물이 바로 수거될 수 있도록, 액체질소를 노즐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체질소가 진딧물을 순 간적으로 냉동하여 수확과 동시에 바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확된 진딧물을 수거하여 10Х20Х1cm 크기(1Х1Х1cm의 큐브크기)의 트레이에 물 50ml 양에 진딧물 100~150ml 양을 혼합하여 트레이에 부어 모든 큐브에 균일한 양을 넣어 냉동보관하고 진딧물을 사용시 필요량의 큐브 개수를 해동하여 건조 후 먹이로 활용한다.
그리고, 수확된 진딧물을 수거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30~40℃에서 5~10분간 건조를 하여 4~8℃냉장실에 저온보관하고 필요시 먹이로 활용 하며, 저온저장은 10~15일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과제해결 수단은 하기와같다.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소독단계(S1); 및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는 잠두콩 발아및성장단계(S2); 및
상기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성장된 잠두콩 재배포트의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 진딧물을 접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S3);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 에서 증식되면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S4);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냉동트레이에 넣어 냉 동보관하는 냉동보관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 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단계에서 잠두콩는 물 1L, 황유제(다싹, 모두싹) 5~10ml, 스미치온 유제 2~4ml의 용액에 24~48시간 침지하 여 상기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잠두콩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 을 성장시키는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잠두콩을 파종하는 재배포트는 직경 15~20cm 크기에 잠두콩 종자 15~20 립을 파종하여 발아 후 잠두콩 싹이 5~10cm까지 성장 시 킨 후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 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 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증식용기는 메쉬의 크기가 0.1~0.5mm 인 나 일론 재질의 스크린망 케이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 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크기는 30 Х 30 Х 30 cm ~ 50 Х 50 Х 50 cm로 하고 상기 스크링망 케이지 내 잠두콩 재배포트는 3~4 재배포트를 입식하며,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에 심어진 잠두콩 싹 1주 당 긴꼬리볼록진딧물을 10~20 개체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온도는 23~27℃로 유지시키고, 1 일 16 시간 명조건 및 8 시간 암조건으로 장일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 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 이 증식된 잠두콩 재배포트를 흐르는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 위에서 눕혀 진딧물이 자유 낙하하 거나, 에어건 등으로 잠두콩 싹을 털어 낙하시켜 상기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 끝에 설치된 망체를 이용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가운데가 V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V형 구조의 벽면 에서 물이 흘러내려리고, 상기 테이블이 일측으로 기울어 있어, 상기 벽면에서 흘 러내린 물이 한 쪽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를 6~8개 놓을 수 있으 며, 상기 V형 구조의 각도는 45~90°가 적절하고, 상기 V형 구조의 벽면의 길이는
50~10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에서 끝에 설치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망체는 0.1~0.3mm의 메쉬 크기이며, 망체 상단에는 깔대기 모양의 망체 뚜껑을 구비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수확 중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동보관단계에서 수확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냉동트레이에 넣어 서 보관하는 경우 물과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혼합하여 냉동보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동트레이는 가로 10 cm Х 세로 20 cm Х 높이 1cm 크기에 가 로 1cm Х 세로 1cm Х 높이 1cm로 구획된 200개의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과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혼합은 물 50ml에 100~150ml를 혼합하 여 상기 200개의 공간에 균일하게 넣어 냉동보관하고 사용 시 해동하여 건조 후 사 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소독단계(SA1); 및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는 잠두콩 발아및성장단계(SA2); 및
상기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성장된 잠두콩 재배포트의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 진딧물을 접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SA3);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 에서 증식되면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SA4);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열풍건조하여 냉장보관 하는 단계(SA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 한다.
또한, 상기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단계에서 잠두콩은 물 1L, 황유제(다싹, 모두싹) 5~10ml, 스미치온 유제 2~4ml의 용액에 24~48시간 침지하 여 상기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잠두콩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 을 성장시키는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잠두콩을 파종하는 재배포트는 직경 15~20cm 크기에 잠두콩 종자 15~20 립을 파종하여 발아 후 잠두콩 싹이 5~10cm까지 성장 시 킨 후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 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접 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증식용기는 메쉬의 크기가 0.1~0.5mm 인 나 일론 재질의 스크린망 케이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 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크기는 30 Х 30 Х 30 cm ~ 50 Х 50 Х 50cm로 하고 상기 스크링망 케이지 내 잠두콩 재배포트는 3~4 재배포트를 입식하며,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에 심어진 잠두콩 싹 1주 당 긴꼬리볼록진딧물을 10~20 개체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망 케이지의 온도는 23~27℃로 유지시키고, 1 일 16 시간 명조건 및 8 시간 암조건으로 장일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 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 이 증식된 잠두콩 재배포트를 흐르는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 위에서 눕혀 진딧물이 자유 낙하하 거나, 에어건 등으로 잠두콩 싹을 털어 낙하시켜 상기 물이 있는 테이블 또는 수로 끝에 설치된 망체를 이용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가운데가 V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V형 구조의 벽면 에서 물이 흘러내려리고, 상기 테이블이 일측으로 기울어 있어, 상기 벽면에서 흘 러내린 물이 한 쪽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를 6~8개 놓을 수 있으 며, 상기 V형 구조의 각도는 45~90°가 적절하고, 상기 V형 구조의 벽면의 길이는 50~10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에서 끝에 설치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망체는 0.1~0.3mm의 메쉬 크기이며, 망체 상단에는 깔대기 모양의 망체 뚜껑을 구비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수확 중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수거하여 물기를 제거 한 후 열풍건조기의 30~40℃에서 5~10분간 건조를 하여 4~8℃? 냉장실에 저온보 관하고 필요시 먹이로 활용하며, 저온저장은 10~15일 이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50 : 재배포트
200 : 케이지
210 : 케이지 프레임
220 : 스크린망
300 : 테이블
310 : V형 벽면
320 : 포트 거치대
330 : 에어건
340 : 물분사 노즐
400 : 수확통
410 : 깔대기통
415 : 깔대기
420 : 망채통
425 : 망체
430 : 물받침통
440 : 이산화탄소공급부
445 : 이산화탄소노즐
450 : 액체질소통
455 : 액체질소노즐
500 : 냉동저장트레이
510 : 냉동저장트레이 뚜껑

Claims (14)

  1.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소독단계(S1); 및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는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S2); 및
    상기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성장된 잠두콩 재배포트의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 진딧물을 접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S3);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에서 증식되면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S4);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냉동트레이에 넣어 냉 동보관하는 냉동보관단계(S5);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 이 증식된 잠두콩 재배 포트를 흐르는 물이 있는 테이블 위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자유 낙하하거나, 에어건으로 잠두콩 싹을 털어 낙하시켜 상기 물이 있는 테이블 끝 에 설치된 망체를 이용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
  2. 진딧물 기주인 잠두콩 종자를 소독하는 소독단계(SA1); 및
    상기 소독단계에서 소독된 종자를 재배포트에 파종하여 잠두콩 싹을 성장시키는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SA2); 및
    상기 잠두콩발아및성장단계에서 성장된 잠두콩 재배포트의 잠두콩 싹에 긴꼬리볼록 진딧물을 접종하여 증식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SA3);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에서 증식되면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SA4);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수확단계에서 수확된 진딧물을 열풍건조하여 냉장보관하는 단계(SA5); 및
    상기 긴꼬리볼록진딧물증식단계에서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증식된 잠두콩 재배 포트를 흐르는 물이 있는 테이블 위에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자유 낙하하거나, 에어건으로 잠두콩 싹을 털어 낙하시켜 상기 물이 있는 테이블 끝 에 설치된 망체를 이용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가운데가 V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V형 구조의 벽면에서 물이 흘러내리고, 상기 테이블이 일측으로 기울어 있어, 상기 벽면에서 흘러내린 물이 한 쪽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잠두콩 재배포트 를 6 ~ 8개 놓을 수 있으며, 상기 V형 구조의 각도는 45~90°가 적절하고, 상기 V형 구조의 벽면의 길이는 50 ~ 10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서 끝에 설치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수확하는 망체는 0.1~0.3mm의 메쉬 크기이며, 망체 상단에는 깔대기 모양의 망체 뚜껑을 구비하여 긴꼬리볼록진딧물이 수확 중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보관단계에서 수확된 긴꼬리볼록진딧물을 냉동트레이에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 물과 긴꼬리볼록진딧물을 혼합하여 냉동보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꼬리볼록진딧물 사육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09794A 2020-08-31 2020-08-31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KR10251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94A KR102516525B1 (ko) 2020-08-31 2020-08-31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94A KR102516525B1 (ko) 2020-08-31 2020-08-31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601A KR20220028601A (ko) 2022-03-08
KR102516525B1 true KR102516525B1 (ko) 2023-03-31

Family

ID=8081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794A KR102516525B1 (ko) 2020-08-31 2020-08-31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9580B (zh) * 2022-09-08 2024-01-09 湖南农业大学 一种灰带管蚜蝇的饲养基质和人工饲养方法
CN115349581B (zh) * 2022-09-08 2024-01-09 湖南农业大学 一种棕腿斑眼蚜蝇的饲养基质和人工饲养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271A (ja) 2001-09-12 2003-03-18 Chiba Prefecture 生物農薬及びそれに用いる天敵昆虫の増殖方法
JP2006230229A (ja) 2005-02-23 2006-09-07 Arysta Lifescience Corp 天敵昆虫の餌昆虫と餌植物の運搬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351847B1 (ko) * 2012-11-13 2014-01-22 구경본 천적 응애류 포획장치, 이를 이용한 천적 응애류 포획 및 제형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7173B2 (ja) * 1994-07-28 2004-07-28 農薬バイオテクノロジー開発技術研究組合 ダニ類の増殖方法
KR100864699B1 (ko) 2007-03-08 2008-10-23 주식회사 킨섹트 하늘소류 해충의 생물적 방제용 개미침벌의대량생산방법
KR101053217B1 (ko) * 2008-11-28 2011-08-02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지중해가루명나방의 알을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의 대량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 대량사육방법
KR101096011B1 (ko) * 2009-02-26 2011-12-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초롱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방법
KR101130174B1 (ko) * 2009-09-23 2012-04-12 김학남 천적곤충의 대량 생산 시설
KR101293094B1 (ko) * 2011-06-20 2013-08-09 강해진 쪽파재배방법
KR20150062672A (ko) * 2013-11-29 2015-06-08 경기도 깍지벌레 방제를 위한 천적 풀잠자리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271A (ja) 2001-09-12 2003-03-18 Chiba Prefecture 生物農薬及びそれに用いる天敵昆虫の増殖方法
JP2006230229A (ja) 2005-02-23 2006-09-07 Arysta Lifescience Corp 天敵昆虫の餌昆虫と餌植物の運搬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351847B1 (ko) * 2012-11-13 2014-01-22 구경본 천적 응애류 포획장치, 이를 이용한 천적 응애류 포획 및 제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601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033B2 (en) Self contained fully automated robotic crop production facility
JP4110157B2 (ja) 可変式空間有効利用型栽培法
CN100546459C (zh) 利用日光温室种植饲草的方法
KR102516525B1 (ko)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Kratky Three non-circulating hydroponic methods for growing lettuce
CN103155906A (zh) 食蚜瘿蚊批量繁殖工艺及应用技术
CN105794724B (zh) 一种方便观察和饲养稻飞虱的方法
CN103960201A (zh) 一种小菜蛾室内繁殖方法
CN105123467B (zh) 一种无公害盆栽生菜的栽培方法
CN104430070A (zh) 一种凶猛性鱼类苗种培育方法
CN111183843B (zh) 亮腹釉小蜂载体植物系统及其构建方法和应用
JP2007151543A (ja) 水耕栽培装置および水耕栽培方法
Kratky A suspended pot, non-circulating hydroponic method
JP2000201539A (ja) プッシュプル式の植物根部エアプル―ニング用トレイ及びコンテシステム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CN205695091U (zh) 一种方便观察和饲养稻飞虱的装置
CN106234310B (zh) 一种高效繁殖智利小植绥螨的方法
Balliu et al. Seedling production
CN107787698A (zh) 一种避免土传病害侵染的马铃薯种薯的生产方法
US20220289640A1 (en)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CN105532583A (zh) 一种昆虫病原线虫的活体繁殖方法
CN109258152A (zh) 一种泰山紫草瓶内微茎扦插繁殖方法
CN105145297A (zh) 一种无公害盆栽矮化圣女果的栽培方法
CN111802332B (zh) 一种利用大麦上多种蚜虫混合种群饲养食蚜瘿蚊的方法
CN102696438A (zh) 一种用于建立飞虱种群的水稻苗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