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026B1 - 육류 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육류 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6026B1 KR102516026B1 KR1020220135636A KR20220135636A KR102516026B1 KR 102516026 B1 KR102516026 B1 KR 102516026B1 KR 1020220135636 A KR1020220135636 A KR 1020220135636A KR 20220135636 A KR20220135636 A KR 20220135636A KR 102516026 B1 KR102516026 B1 KR 102516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t
- cooking
- region
- information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3062 neural network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882 gra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8 tender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62 pectoralis majo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1 processed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39 rectus abdomin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4 ri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47J2037/0617—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eating plat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28—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에 대한 조리를 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기의 특성 및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된 조리 방법으로 고기를 자동으로 조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외식업계의 인력난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으며, 최저임금상승 및 구인 구직의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폐업을 하거나 혼자서 장사를 하는 비율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외식 업계 3D(Difficult, Dirty, Dangerous) 업종의 구인은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인력 교체 빈도 증가에 따라 인력 구인, 교육, 유지 비용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실질 인건비도 상승하고 있다.
특히 외식 업계 중 고기를 조리하는 업종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 조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조리사는 매우 힘들고(Difficult), 위험하며(Dangerous), 더러운(Dirty)환경 속에서 근무하게 된다. 예컨대, 고기를 높은 온도에서 구울 때 발생되는 발암 물질로 인해 조리사의 건강은 위협받고 있으며, 강한 불을 다루는 업종의 특성상 화상의 위험이 매우 크며, 산업 재해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동 주방(Robotic Kitchen) 시장은 급증하고 있으며, 다양한 푸드 로봇(Food robot)에 대한 개발이 활발한 상황이다.
다만, 현재 개발되고 있는 자동 주방 및 푸드 로봇은 지능이 필요하지 않은 단순한 반복 업무만을 대체하고 있으며, 지능이 필요한 업무 예컨대, 고기의 특성 및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적절한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조리해야하는 육류 조리의 자동화 업무는 대체하고 있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고기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 특성 정보를 파악하는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고기의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조리 방법을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육류 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육류 조리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개시된 고기에 대한 조리를 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고기가 조리되는 플레이트가 촬영된 플레이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플레이트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플레이트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람은 사용자에게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기를 배치할 것을 유도하는 알람일 수 있다.
상기 조리 조건은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리 조건에 따라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조리 조건에 따라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조건은 조리될 고기의 제1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조건이고, 상기 제2 조리 조건은 상기 조리될 고기의 제2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2 알람은 사용자에게 고기를 뒤집을 것을 유도하는 알람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고기가 촬영된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조건을 결정하되,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및 고기의 풍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상기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온도 값에 기반하여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 가장 근접한 영역을 조리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조리 영역에 고기를 배치할 것을 유도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 또는 비-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이에 기반하여 고기의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고,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기의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최적의 조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조리 방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육류 자동 조리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정밀하게 육류 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기존에 설정된 조리 방법에 대한 개선이 이뤄질 수 있는 육류 조리법 개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결과물이 제공될 수 있는 조리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선호도 및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조리가 완료된 고기에 대하여 수행되는 테스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 데이터 및 비-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보조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고기의 제1 면 및 제2 면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고기 특성 획득 방법 및 획득된 고기 특성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다른 실시에에 따라 서버가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조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그릴링 모듈에 포함되는 복수의 불판 중 어느 하나의 높낮이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그릴링 모듈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이 복수의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에 열을 가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릴링 모듈이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에 포함된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에 포함된 하우징 및 복수의 불판과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 및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푸싱 모듈(200)을 설명한다.
도 50 및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 및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푸싱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 및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 조리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7 및 도 5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9 및 도 60은 일 시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1 내지 도 63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4 내지 도 6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법 개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8 및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선호도 및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조리가 완료된 고기에 대하여 수행되는 테스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 데이터 및 비-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보조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고기의 제1 면 및 제2 면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고기 특성 획득 방법 및 획득된 고기 특성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다른 실시에에 따라 서버가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조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그릴링 모듈에 포함되는 복수의 불판 중 어느 하나의 높낮이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그릴링 모듈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이 복수의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에 열을 가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릴링 모듈이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에 포함된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에 포함된 하우징 및 복수의 불판과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 및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푸싱 모듈(200)을 설명한다.
도 50 및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 및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푸싱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 및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 조리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7 및 도 5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9 및 도 60은 일 시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1 내지 도 63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4 내지 도 6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법 개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8 및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프로세스의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프로세스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중간에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기의 적어도 일부가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이미지를 세그멘테이션하여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영역은 상기 전처리된 이미지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영역이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중 근외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중 근내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영역이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중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중 상기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인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제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제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알고리즘 및 상기 제2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알고리즘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이 추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관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고기의 주요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고기의 주요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이되, 상기 고기의 주요 성분은 지방 및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수행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상기 신경망 모델의 학습에 이용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식을 가지도록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형식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기와 관련된 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이미지 데이터는 고기의 종, 부위, 무게, 주변 온도, 습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고기와 관련된 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이미지 데이터는 대기의 상태 및 고기의 무게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대기의 상태는 공기 중 수분의 양, 대기의 온도 및 고기 표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3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예비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고기 특성 정보에 상기 비-이미지 데이터를 보조 지표로써 반영하여 상기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고기의 적어도 일부가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를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전처리된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고기의 적어도 일부가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고기 자동 조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고기의 적어도 일부가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온도 조건 및 시간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온도 조건 및 시간 조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조건은 제1 시간 구간 및 제2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이 제어되도록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는 제1 온도로 제어되고,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는 제2 온도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은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는 제1 온도 곡선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제2 시간 구간에서는 제2 온도 곡선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구간은 고기의 앞면을 조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구간이고, 상기 제2 시간 구간은 고기의 뒷면을 조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곡선은 상기 제2 온도 곡선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구간은 복수의 서브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시간 구간은 제1 서브 시간 구간 및 제2 서브 시간 구간을 포함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은 상기 제1 서브 시간 구간에서는 제1 온도로 제어되고, 상기 제2 서브 시간 구간에서는 제2 온도로 제어되되,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 구간은 복수의 서브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시간 구간은 제3 서브 시간 구간 및 제4 서브 시간 구간을 포함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은 상기 제3 서브 시간 구간에서는 제3 온도로 제어되고, 상기 제4 서브 시간 구간에서는 제4 온도로 제어되되, 상기 제3 온도 및 상기 제4 온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기법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조리 기법 중 어느 하나의 조리 기법을 결정하고, 상기 조리 기법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리 기법은 레스팅(resting) 기법 및 시어링(shearing)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은 제1 온도 조건 및 제2 온도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 조건은 제1 시간 조건 및 제2 시간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온도 조건 및 상기 제1 시간 조건에 기반하여 제1 조리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온도 조건 및 상기 제2 시간 조건에 기반하여 제2 조리 방법을 결정하며, 상기 제1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제1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제2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을 제어하되,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은 상기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제어되되, 제1 시간 구간에서 제1 온도로 제어되다가 점차 온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은 상기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제어되되, 제2 시간 구간에서 제2 온도로 제어되다가 점차 온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맞게 고기가 조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고기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및 고기의 풍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고기를 자동으로 조리하는 장치는, 이송 모듈; 푸싱 모듈;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 및 상기 이송 모듈, 상기 푸싱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그릴링 모듈을 대상 그릴링 모듈로 결정하고, 조리될 고기를 상기 이송 모듈 및 상기 푸싱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그릴링 모듈로 이동시키고, 상기 대상 그릴링 모듈을 미리 정해진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은 제1 그릴링 모듈 및 제2 그릴링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그릴링 모듈 및 상기 제2 그릴링 모듈을 병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모듈은 레일 형태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측정된 값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될 고기를 대상 그릴링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조리될 고기의 적어도 일부가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비-이미지 데이터,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고기 자동 조리 장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 모듈은 조리되기 전의 후보 고기를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저장 모듈에 보관된 상기 후보 고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조리될 고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및 고기의 풍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에는 조리되기 전의 후보 고기를 담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용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관 용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에는 상기 후보 고기의 특성에 관한 정보가 맵핑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맵핑된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저장 모듈에 보관된 상기 후보 고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조리될 고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관 용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는 미리 정해진 배치 기준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치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저장 모듈에 보관된 상기 후보 고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조리될 고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 중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을 상기 대상 그릴링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 중 미리 정해진 값에 가장 근접한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그릴링 모듈을 상기 대상 그릴링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 중 상기 저장 모듈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그리링 모듈을 상기 대상 그릴링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고기 자동 조리 장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링 모듈 중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을 판단하고,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이 복수일 경우, 상기 대기 상태에 있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그릴링 모듈을 판단하고, 상기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그릴링 모듈이 복수일 경우, 상기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상기 저장 모듈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그릴링 모듈을 상기 대상 그릴링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조리 장치에 있어서, 제1 불판; 상기 제1 불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불판;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가 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가 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음 -,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에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또는 상기 제2 불판에 조리될 고기가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불판 또는 상기 제2 불판으로부터 조리된 고기가 토출되는,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배치된 고기는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에 의해 조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은 상기 배치된 고기의 제1 면에 열을 가하고, 상기 제2 불판은 상기 배치된 고기의 제2 면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불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제2 불판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완충 부재 및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돌출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때, 미리 정해진 범위만큼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1 불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불판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및 하우징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덮개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된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서브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과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브 하우징에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1 불판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시점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불판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시점보다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1 불판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불판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불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불판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시점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불판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시점보다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1 불판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 시점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시점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끝단까지의 거리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불판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끝단까지의 거리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불판까지의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조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의 형상 및 상기 제2 불판의 형상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의 형상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제2 불판의 형상은 상기 제1 불판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에 형성된 복수의 홈 및 상기 제2 불판에 형성된 복수의 홈으로 인해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에는 제1 온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불판에는 제2 온도 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불판의 온도 및 상기 제2 불판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에는 제1 방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불판에는 제2 방열판이 구비되되, 상기 제1 불판의 일면과 상기 제2 불판의 일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방열판은 상기 제1 불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열판은 상기 제2 불판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조리 장치에 있어서, 제1 불판 및 제2 불판을 포함하는 그릴링 모듈;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푸싱 모듈; 및 상기 그릴링 모듈 및 상기 푸싱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릴링 모듈이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가 되고,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불판은 상기 제2 불판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또는 상기 제2 불판에 조리될 고기가 배치되고,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배치된 고기는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에 의해 조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릴링 모듈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푸싱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푸싱 모듈이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푸싱 모듈은 제1 푸싱 모듈 및 제2 푸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 모듈 및 상기 제2 푸싱 모듈은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배치되되, 상기 제1 푸싱 모듈은 상기 제2 푸싱 모듈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릴링 모듈이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의 거리는 제3 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3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3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푸싱 모듈이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푸싱 모듈이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푸싱 모듈까지의 제1 거리가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불판까지의 제2 거리에 대응될 때, 상기 제2 푸싱 모듈이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푸싱 모듈까지의 제1 거리가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불판까지의 제2 거리에 대응될 때, 상기 제1 푸싱 모듈이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 모듈에는 청소 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청소 부재로 인하여 상기 제1 푸싱 모듈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불판 또는 상기 제2 불판이 청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 모듈 및 상기 제2 푸싱 모듈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되, 상기 제1 푸싱 모듈은 상기 제2 푸싱 모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동작하고, 상기 제2 푸싱 모듈은 상기 제1 푸싱 모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그릴링 모듈은 제1 그릴링 모듈 및 제2 그릴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푸싱 모듈이 상기 제1 그릴링 모듈 및 상기 제2 그릴링 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조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불판을 포함하는 그릴링 모듈;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클리닝 모듈; 및 상기 그릴링 모듈 및 상기 클리닝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클리닝 모듈이 상기 그릴링 모듈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판을 청소하기 위하여, 상기 그릴링 모듈이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클리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릴링 모듈은 제1 불판 및 제2 불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불판은 상기 제2 불판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 및 상기 제2 불판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릴링 모듈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클리닝 모듈이 상기 그릴링 모듈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모듈은, 페이퍼가 구비된 공급 롤러; 상기 페이퍼를 수거하는 수거 롤러; 및 상기 공급 롤러와 상기 수거 롤러가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롤러 및 상기 수거 롤러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모듈은, 상기 회전 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페이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페이퍼가 상기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급 롤러, 상기 수거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급 롤러에 구비된 상기 페이퍼가 모두 소진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급 롤러, 상기 수거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회전 수 또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기반하여 상기 공급 롤러에 구비된 상기 페이퍼가 소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거 롤러는 구동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급 롤러 또는 상기 회전 롤러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롤러의 형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판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판에는 복수의 홈이 제1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롤러에는 복수의 돌출 부재가 제2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돌출 부재의 형상은 상기 복수의 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과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착 부재는 제1 밀착 부재 및 제2 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착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밀착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 및 상기 제2 밀착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 및 상기 제2 밀착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회전 롤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 및 상기 제2 밀착 부재는 상기 회전 롤러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착 부재는 제3 밀착 부재 및 제4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밀착 부재 및 상기 제2 밀착 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 밀착 부재 및 상기 제4 밀착 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고기에 대한 조리를 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고기가 조리되는 플레이트가 촬영된 플레이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플레이트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플레이트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람은 사용자에게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기를 배치할 것을 유도하는 알람일 수 있다.
상기 조리 조건은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리 조건에 따라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조리 조건에 따라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조건은 조리될 고기의 제1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조건이고, 상기 제2 조리 조건은 상기 조리될 고기의 제2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2 알람은 사용자에게 고기를 뒤집을 것을 유도하는 알람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고기가 촬영된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조건을 결정하되,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및 고기의 풍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상기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온도 값에 기반하여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 가장 근접한 영역을 조리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조리 영역에 고기를 배치할 것을 유도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개선된 조리법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 고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고기에 대한 분석을 통한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1 타겟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제1 타겟 값에 기반하여 기본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고기를 상기 기본 조리법에 따라 조리하여 조리된 고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리된 고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1 결과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타겟 값과 상기 제1 결과 값을 비교하여 제1 비교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 값에 기반하여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 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타겟 값과 상기 제1 결과 값에 기반하여 상기 기본 조리법을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조리법을 수정한 조리법을 상기 최종 조리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제2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2 타겟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조리된 고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2 결과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겟 값과 상기 제2 결과 값을 비교하여 제2 비교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본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제1 타겟 값 및 상기 제2 타겟 값에 기반하여 상기 기본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 값 및 상기 제2 비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교 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타겟 값과 상기 제2 결과 값에 기반하여 상기 기본 조리법을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조리법을 수정한 조리법을 상기 최종 조리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형의 물성은 고기의 풍미, 고기의 육즙 및 고기의 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형의 물성은 고기의 풍미, 고기의 육즙 및 고기의 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되, 상기 제1 유형의 물성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형의 물성은 상기 고기의 연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1 결과 값은 상기 조리된 고기에 대하여 연도 테스트를 수행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연도 테스트는 TPA(Texture Profile Analysis) 테스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형의 물성은 상기 고기의 육즙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1 타겟 값은 상기 대상 고기에 대한 무게이고, 상기 제1 결과 값은 상기 조리된 고기에 대한 무게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과 값은 상기 조리된 고기에 대하여 압력 테스트가 수행된 이후에 측정된 무게일 수 있다.
상기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 값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기본 조리법을 상기 최종 조리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교 값 및 상기 제2 비교 값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기본 조리법을 상기 최종 조리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전체 시스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은 조리 장치(1000), 서버(2000), 사용자 단말(3000), 데이터 획득 장치(4000) 또는 테스트 장치(500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은 조리의 대상이 되는 고기의 특성에 관한 정보(예컨대, 고기의 종, 부위, 지방/단백질 비율 등)와 사용자의 선호도(예컨대, 육즙, 연도 및/또는 풍미의 정도)에 기반하여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한 후, 결정된 고기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 장치의 열원 및 조리 시간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기를 자동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은 상술한 방법으로 조리된 고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개선하는 등의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은 데이터 획득 장치(4000)로부터 조리하고자 하는 고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고기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버(2000)로부터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3000)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고기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 장치(1000)는 열원 또는 가열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장치(4000)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고기를 촬영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비-이미지 데이터는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예컨대, 고기의 종, 부위, 무게, 주변 온도, 습도 등)과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획득 장치(4000)는 서버(2000)로 획득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 장치(4000)는 서버(2000)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비-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데이터 획득 장치(4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이미지 데이터 및 비-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가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비-이미지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고기 특성 정보는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에 관한 정보(예컨대, 지방 및 단백질의 비율, 마블링에 관한 정보 등), 고기의 무게, 형상, 크기, 두께 등에 관한 정보, 고기의 종, 부위, 숙성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도 2를 통해 상술한 방법으로 고기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추출된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가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조리 장치(1000)는 서버(2000)로부터 조리 방법을 수신한 후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열원을 제어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는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열원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는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열원의 동작 시간 및/또는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00)는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열원 외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선호도 및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0)은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0)은 고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0)은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도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 또는 도출되는 사용자 선호도는 고기의 조리 결과와 관련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고기의 맛, 예컨대 고기의 풍미,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서버(2000)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술한 방법으로 고기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고기 특성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고기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조리 장치(1000)는 결정된 조리 방법에 기반하여 열원 또는 그 밖의 조리 장치(10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조리가 완료된 고기에 대하여 수행되는 테스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00)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상술한 방법에 따라 열원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열원 등의 제어를 통해 조리가 완료된 고기를 획득할 수 있다.
테스트 장치(5000)는 조리가 완료된 고기를 획득한 후, 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 장치(5000)는 미리 결정되어 있던 조리 방법에 따라 고기가 적법하게 조리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 장치(5000)는 사용자 단말(30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하여 고기가 적법하게 조리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 장치(5000)에서 수행되는 테스트의 종류 및 방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술한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은 예시적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단계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술한 주체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각각의 단계 및/또는 동작의 주체는 서로 다른 주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술한 육류 자동 조리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2 고기 특성 정보 획득
원육을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원하는 바대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시간과 온도로 원육을 조리하여야 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원육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조리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원육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한 후 이를 고려하여 적당한 시간과 온도로 원육을 조리하는 것은 숙달된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었으므로, 일반 매장이나 일반 수요자들은 이러한 조리 방법을 통해 원육을 조리한다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나아가, 조리하는 사람마다의 경험과 판단에 의해 원육의 특성을 파악하는 경우 객관적이지 못하고, 일정하지 못하며, 일정 부분 부정확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조리 시스템에서는 고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하고자 하는 원육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특성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데 보조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00),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2200) 및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300)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데이터 획득 단계(S210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고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 비-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고기를 촬영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비-이미지 데이터는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예컨대, 고기의 종, 부위, 무게, 주변 온도, 습도 등)과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고기의 다양한 부분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집합일 수 있고, 동영상으로 촬영된 데이터일 수 있다.
서버(2000)는 데이터 분석 단계(S2200)를 통해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및 비-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특성 정보 획득 단계(S2300)를 통해 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고기 특성 정보는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에 관한 정보(예컨대, 지방 및 단백질의 비율, 마블링에 관한 정보 등), 고기의 무게, 형상, 크기, 두께 등에 관한 정보, 고기의 종, 부위, 숙성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 데이터 및 비-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비-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서버(2000)는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되, 보다 정확도 높은 정보 획득을 위하여 비-이미지 데이터를 보조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로부터 1차적으로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비-이미지 데이터를 보조 지표로 활용하여 최종적인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서버(200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및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획득되는 비-이미지 데이터는 그 종류에 따라 별도의 분석 대상이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만이 아니라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분석 결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11), 고기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S212), 고기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S213) 및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4)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 전처리 단계(S213)를 통해 획득된 고기 이미지의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획득되는 고기 특성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 획득을 위한 고기 이미지의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2000)는 획득된 고기 이미지의 형식을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획득된 고기 이미지를 신경망 모델의 학습에 이용된 이미지와 동일한 형식을 가지도록 이미지의 형식을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신경망 모델의 학습에 이용된 이미지와 동일한 형식을 가지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이 수행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획득된 이미지에 존재할 수 있는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블러링 기법 및 미다인 필터를 이용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노이즈를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획득된 이미지의 인텐시티(intensity)를 보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인텐시티(intensity)를 적절하게 보정함으로써, 이미지에 존재할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상술한 방법 외에도 이미지 분석의 정확도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 알려진 다양한 전처리 과정(예컨대, 스무딩 처리 동작, 이미지의 비율 조절,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자르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0)는 전처리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서버(2000)는 전처리가 되지 않은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고기 이미지를 분석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관하여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21), 고기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S222), 고기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23), 관심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S224) 및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5)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에 의해 수행되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21) 및 고기 이미지를 전처리 하는 단계(S22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23)를 통해 고기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획득되는 고기 이미지를 세그멘테이션한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영역 및 이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세그멘테이션한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관심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세그멘테이션 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을 획득하고, 이 중에서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은 획득된 이미지의 영역에서 분석의 대상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은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을 통하여 획득되는 고기와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은 이미지 상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요소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영역은 획득된 이미지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에 대한 영역일 수 있으며, 배경은 제외된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관심 영역은 획득된 이미지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역일 수 있다.
서버(2000)는 관심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S224)를 통하여 추출된 관심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한 뒤, 추출된 관심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2000)는 획득되는 이미지로부터 별도의 관심 영역을 추출하지 않고, 곧바로 획득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버(2000)가 관심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한 후 분류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한 후 분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이 제외된 영역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관심 영역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관심 영역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진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고기의 부위,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 위치 정보 등에 기반하여 정해진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은 관심 영역 중 근외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관심 영역 중 근내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제1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제2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지점은 관심 영역 중 윗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 보다 아래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제1 지점을 포함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제2 지점을 포함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지점은 관심 영역의 외곽을 구성하는 영역 내의 어느 하나의 지점일 수 있고, 상기 제2 지점은 관심 영역의 중앙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영역은 관심 영역 중 고기를 구성하는 특정 성분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관심 영역 중 고기를 구성하는 특정 성분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인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특정 성분은 지방, 단백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마블링의 정도일 수도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은 고기가 촬영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은 고기가 촬영된 이미지에서 고기와 관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한 후 분류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고, 관심 영역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한 후 분류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은 고기 이미지(또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근외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제1 영역 및 근내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제2 영역을 추출한 후 이를 분류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24)를 통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2000)는 상술한 방법으로 추출되어 분류된 제1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상술한 방법으로 추출되어 분류된 제2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2000)는 상술한 방법으로 추출되어 분류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고기 특성 정보는 상술한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하고 분리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34)를 통해 제1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제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35)를 통해 제2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알고리즘과 제2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알고리즘은 관심 영역에서 제1 영역을 추출하기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일 수 있고, 제2 알고리즘은 관심 영역에서 제2 영역을 추출하기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2000)는 서로 다른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하고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제1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제2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신경망 모델은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추출하거나 분류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고, 상기 제2 신경망 모델은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추출하거나 분류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1 신경망 모델은 관심 영역으로부터 근외지방을 추출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고, 상기 제2 신경망 모델은 관심 영역으로부터 근내지방을 추출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관심 영역(또는 고기가 촬영된 이미지)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하고 분류하는 방법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방법 외에도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추출하거나 분류할 수 있고,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추출하거나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기반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0)가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추출하는 시점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가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먼저 추출하고, 이후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추출하는 경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0)는 제1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34)의 수행이 완료된 이후,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35)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우선적으로 추출하고, 이후에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가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먼저 추출하고, 이후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추출하는 경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0)는 제2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35)의 수행이 완료된 이후, 제1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34)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우선적으로 추출하고, 이후에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근외지방과 관련된 제1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추출이 완료된 이후, 근내지방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심 영역으로부터 근외지방과 관련된 영역 및 근내지방과 관련된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분류하여 추출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추출한 후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관심 영역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고기의 부위,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 위치 정보 등에 기반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은 관심 영역 중 근외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관심 영역 중 근내지방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영역은 뼈 또는 힘줄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제1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제2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영역은 관심 영역 중 제3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46)를 통해 관심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제1 영역과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2 영역으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47)를 통해 관심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제2 영역과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3 영역을 추가적으로 추출한 후,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3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 및/또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고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성분(예컨대, 지방, 단백질, 힘줄, 뼈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 및/또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고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성분(예컨대, 지방, 단백질, 힘줄, 뼈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및/또는 신경망 모델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3 정보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 및/또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고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성분(예컨대, 지방, 단백질, 힘줄, 뼈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및/또는 신경망 모델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추출한 후,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 영역에 포함된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구성 성분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추출한 후, 제2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2 영역에 포함된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구성 성분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추출한 후,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근외지방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성분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추출한 후, 제2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근내지방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성분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46)의 수행이 완료된 이후에, 제2 영역으로부터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47)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2000)는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근외지방과 관련된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성분에 대한 분석을 완료한 이후, 제2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근내지방과 관련된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성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되는 정보의 정확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외지방과 관련된 영역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 및 근내지방과 관련된 영역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를 종합 고려하여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고기가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한 후, 제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추출된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관심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2000)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하나의 영역에 대해서만 추출한 후 이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관심 영역을 추출한 후, 관심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보조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모듈을 통해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를 구성하는 제1 보조 모듈은 고기를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 받아 분석의 대상이 되는 영역인 관심 영역(ROI)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보조 모듈은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모듈은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입력된 고기 이미지를 세그멘테이션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를 구성하는 제2 보조 모듈은 제1 보조 모듈을 통해 추출된 관심 영역에 관한 이미지를 입력 받고, 관심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영역은 고기의 근외지방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정보는 근외지방을 구성하는 고기의 성분에 관련된 정보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1 정보와 관련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3을 통해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를 구성하는 제3 보조 모듈은 제1 보조 모듈을 통해 추출된 관심 영역에 관한 이미지를 입력 받고, 관심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고기의 근내지방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보는 근내지방을 구성하는 고기의 성분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영역 내지 제2 정보와 관련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3을 통해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2개의 보조 모듈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제1 보조 모듈을 이용하여 고기가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분석의 대상이 되는 관심 영역(ROI)을 추출할 수 있고, 제2 보조 모듈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을 추출한 뒤 각각의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성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보조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버(2000)를 구성하는 제1 보조 모듈은 고기가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 받아 분석의 대상이 되는 관심 영역(ROI)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보조 모듈은 추출된 관심 영역을 입력 받아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제1 보조 모듈과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제2 보조 모듈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서로 다른 알고리즘 및/또는 서로 다른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00)를 구성하는 제3 보조 모듈은 추출된 제1 영역에 관한 이미지를 입력 받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성분에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4 보조 모듈은 제2 영역에 관한 이미지를 입력 받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성분에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3 보조 모듈 및 제4 보조 모듈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동일한 알고리즘 및/또는 신경망 모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61), 고기 이미지리를 전처리하는 단계(S262), 전처리된 고기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63), 제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264), 제1 영역에 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65) 및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66)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가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61) 내지 제1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264)는 도 8 내지 도 13을 통해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제1 영역에 관한 색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색상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가 상온에 얼마나 오래 방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색상, 채도 및/또는 명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촬영된 고기가 상온에 보관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2000)는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색상, 채도 및/또는 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촬영된 고기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상온에 보관되어 있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들 중 제1 색상에 대응하는 픽셀의 개수 및 제2 색상에 대응하는 픽셀의 개수를 고려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제1 색상에 대응하는 픽셀의 개수 및 제2 색상에 대응하는 픽셀의 개수에 기반하여 고기가 상온에 배치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제1 색상에 대응하는 픽셀의 개수 및 제2 색상에 대응하는 픽셀의 개수에 기반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지방 및 단백질의 비율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가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경망 모델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 및/또는 고기가 상온에 보관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고기의 제1 면 및 제2 면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객체의 윗면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S271), 객체의 아랫면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S272),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73),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74) 및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75)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두께가 두꺼운 고기는 고기의 표면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으로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우, 즉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의 두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고기의 서로 다른 측면(예컨대, 윗면 및 아랫면)이 촬영된 이미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고기 특성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기의 윗면 및 아랫면이 각각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윗면 및 아랫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각각 획득한 후, 이를 종합 고려하여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의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두께가 두꺼운 고기의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게 구성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의 서로 다른 면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가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의 서로 다른 면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고기의 어느 한쪽 면만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서버(2000)는 객체의 윗면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객체의 어느 한쪽 면인 제1 면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의 어느 한쪽 면인 제1 면이 촬영된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객체의 아랫면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객체의 어느 한쪽 면인 제2 면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과는 다른 면일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의 어느 한쪽 면인 제2 면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이 아닌 다른 면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고기의 제1 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관심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분석 및 제2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의 제1 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제1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0)가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고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고기의 제2 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2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관심 영역 중 제3 영역에 대한 분석 및 제4 영역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의 제2 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제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0)가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고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출된 제1 정보 및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출된 제2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에 관한 정보를 최종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고기의 윗면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로 추출되는 제1 정보 및 고기의 아랫면이 촬영된 제2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로 추출되는 제2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고기에 관한 정보를 최종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고기의 윗면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로 추출되는 제1 정보 및 고기의 아랫면이 촬영된 제2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로 추출되는 제2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고기의 윗면 및 아랫면이 아닌 고기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0)는 고기의 윗면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로 추출되는 제1 정보 및 고기의 아랫면이 촬영된 제2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로 추출되는 제2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고기의 윗면 및 아랫면이 아닌 다른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S276a),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S276b),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최종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S276c) 및 결정된 최종 조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76d)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상술바와 같이 고기의 서로 다른 면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이용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추출된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고, 제2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추출된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고기의 제1 면을 조리할 때의 조리 조건(제1 조리 조건) 및 고기의 제2 면을 조리할 때의 조리 조건(제2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건을 종합 고려하여 최종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고기의 윗면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윗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고려하여 고기의 윗면을 조리하는 조건인 제1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2000)는 고기의 아랫면이 촬영된 제2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의 아랫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고려하여 고기의 아랫면을 조리하는 조건인 제2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2000)는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대상 고기를 조리하기 위한 최종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은 고기의 조리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으며, 열원의 세기 및 가열 시간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은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추출된 제1 정보와 제2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추출된 제2 정보는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을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은 윗면에 대한 가열 조건(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 등)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아랫면에 대한 가열 조건(가열 시간 및 가열 온도 등)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획득된 고기 정보에 기반하여 모델링 결과물을 획득하는 단계(S277a) 및 모델링 결과물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77b)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상술바와 같이 고기의 서로 다른 면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이용하여 3D 모델링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제1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추출된 제1 정보 및 제2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추출된 제2 정보에 기반하여 3D 모델링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3D 모델링 결과물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가 반영된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3D 모델링 결과물은 고기의 제1 면을 구성하는 성분 및 고기의 제2 면을 구성하는 성분이 반영된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3D 모델링 결과물은 고기의 윗면을 구성하는 성분 및 고기의 아랫면을 구성하는 성분이 반영된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3D 모델링 결과물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한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3D 모델링 결과물은 고기의 윗면을 구성하는 성분 및 고기의 아랫면을 구성하는 성분에 기반하여 고기 윗면 이미지 및 고기 아랫면 이미지를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한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가 조리되는 중에 실시간으로 고기의 조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고기의 어느 한 면에 대한 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고기를 조리하는데 보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생성된 3D 모델링 결과물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고기의 조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생성된 3D 모델링에 현재 고기의 실시간 조리 상태를 맵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면이 가열되고 있는 경우, 제1 면에 대한 조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맵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면이 가열되고 있는 경우, 가열되고 있는 온도 및 시간을 고려하여 제1 면에 대한 조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면에 대한 조리 상태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면에 대한 조리 상태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가열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제1 면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람일 수 있고, 고기를 뒤집을 것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알람일 수 있다. 이때, 알람의 형태는 소리, 진동, 빛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고기의 아랫면이 조리되고 있는 경우, 서버(2000)는 고기의 아랫면에 대한 조리 상태를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제1 단계(STEP 1) 내지 제3 단계(STEP3)를 통해 고기의 아랫면에 대한 조리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의 아랫면에 대한 조리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알람을 받은 후 고기의 윗면이 조리되도록 고기를 뒤집는 경우, 서버(2000)는 고기의 윗면이 조리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후, 제4 단계(STEP4)를 통해 고기의 윗면에 대한 조리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버(2000)는 고기의 윗면에 대한 조리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고기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한 고기 특성 획득 방법 및 획득된 고기 특성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기는 부위에 따라 명칭이 다르게 결정되고 있다. 예컨대, 고기의 제1 부위는 삼겹살, 제2 부위는 목살, 제3 부위는 항정살 등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이때, 대상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 고기에 해당하더라도, 제1 부위 중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지에 따라 고기의 품질, 조리 방법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 삼겹살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제1 부위 중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지에 따라 그 품질, 조리 방법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상 고기가 어떠한 부위에 해당하는 고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해당 부위 중 어떠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고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81), 고기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S282), 고기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S283), 고기 부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4) 및 고기 부위 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가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고, 고기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 부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촬영된 고기가 목심, 등심, 안심, 앞다리, 뒷다리, 갈비 및 삼겹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촬영된 고기가 미리 정해진 복수 유형의 고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0)가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 부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은 고기가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고기의 부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신경망 모델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관한 것임이 결정되면, 이에 기반하여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 중 어떠한 위치에서 도축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관한 것임이 결정되면, 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부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지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 것임이 결정되면,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근육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복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도축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주요 근육은 깊은 흉근, 넓은 등근, 몸통 피부근, 배곧은근, 배바깥경사근, 배속경사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 것임이 결정되면,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근육의 유무,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복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도축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 것임이 결정되면, 고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성분(예컨대, 지방, 단백질 및/또는 마블링 정도 등)에 기반하여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관한 미리 정해진 복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도축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도 22를 통해 획득되는 고기의 부위 정보 및/또는 부위 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고기의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고기 부위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6a), 제1 정보에 기반하여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S286b), 사용자 입력을 통해 고기 유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6c), 생성된 파라미터 및 고기 유형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S286d), 결정된 조리법에 기반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S286e) 및 결정된 조리법과 관련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286f)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부위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도 22의 고기 부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4)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된 고기가 미리 정해진 복수 유형의 고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는 도 22의 고기 부위 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5)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된 고기가 특정 부위 중 어느 위치에서 도축된 것인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파라미터를 생성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법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를 생셩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에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한다는 정보가 포함될 경우, 서버(2000)는 제1 부위에 해당하는 고기를 제어하는데 적법한 파라미터를 생성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에 촬영된 고기가 제2 부위에 해당한다는 정보가 포함될 경우, 서버(2000)는 제2 부위에 해당하는 고기를 제어하는데 적법한 파라미터를 생성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에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 중 제1 위치에서 도축되었다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서버(2000)는 제1 위치에서 도축된 고기를 제어하는데 적법한 파라미터를 생성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에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 중 제2 위치에서 도축되었다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서버(2000)는 제2 위치에서 도축된 고기를 제어하는데 적법한 파라미터를 생성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관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부위에 해당하는 고기를 조리하는데 적법한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라미터는 열원의 세기에 관한 것일 수 있고, 제2 파라미터는 가열 시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삼겹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삼겹살을 조리하는데 적법하도록 제1 파라미터(예컨대, 열원의 세기) 및 제2 파라미터(예컨대, 가열 시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삼겹살 중 흉추 13번에 위치한 부위일 경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흉추 13번에 위치한 삼겹살을 조리하는데 적법하도록 제1 파라미터(예컨대, 열원의 세기) 및 제2 파라미터(예컨대, 가열 시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고기 유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기 유형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고기의 조리 결과와 관련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고기의 맛, 예컨대 고기의 풍미,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생성된 파라미터 및 고기 유형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고기의 부위 및/또는 고기의 부위 별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 및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되는 고기 유형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데이터(input)를 통해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고기 부위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입력 받아 고기 부위(또는 고기 부위 별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선호도에 관한 고기 유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조리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는 보조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사용자 선호도에 관한 고기 유형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보조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도 22를 통해 획득되는 고기의 부위 정보 및/또는 부위 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고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부위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7a), 기타 고기의 특성과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7b), 제1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87c), 고기 부위 별 위치와 관련된 제3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7d),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고기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S287e) 및 결정된 등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87f)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부위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도 23의 고기 부위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6a)를 통해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기타 고기의 특성과 관련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정보는 고기의 무게, 모양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 정보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고기를 구성하는 구성 성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부위 중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위는 복수의 부위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어느 하나의 부위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제1 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고기 부위 별 위치와 관련된 제3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0)가 고기 부위 별 위치와 관련된 제3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도 22의 고기 부위 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85)를 통해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이와 상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촬영된 고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고기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미리 정해진 제1 부위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촬영된 고기가 미리 정해진 제1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버(2000)는 미리 학습된 신경망 모델이 아닌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통해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고기 등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정보에는 촬영된 고기가 복수 유형의 고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정보에는 촬영된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제3 정보에는 촬영된 고기가 특정 부위 중 어느 위치에서 도축되었는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19), 고기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단계(S292), 고기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S293) 및 고기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94)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색상 정보, 고기의 형태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고기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2000)는 제1 시점에 촬영된 이미지와 제2 시점에 촬영된 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고기 숙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은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전 시점일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의 숙성 정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고기의 숙성 완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고기의 숙성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고기의 숙성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고기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고기를 구성하는 성분, 고기의 부위, 구기의 부위 별 위치 등에 관한 정보 외에도 조리 방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이미지 데이터가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보다 적합한 조리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 외에도 비-이미지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311), 고기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1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13),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14), 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15), 비-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데이터 내지 제3 데이터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S317)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0)가 수행하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311), 고기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1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13)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14)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비-이미지 데이터는 고기의 조리 방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이미지 데이터는 대기 상태에 관련된 정보, 고기의 무게 및 고기의 두께를 측정하여 획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대기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공기 중 수분의 양, 대기의 온도, 고기 표면 및 불판의 온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2000)는 획득된 비-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는 비-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3 데이터는 비-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열원의 세기에 관한 제1 파라미터 및/또는 가열 시간에 관한 제2 파라미터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공기 중 수분의 양에 따라 온도 전달의 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공기 중 수분의 양에 관한 비-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되면 이에 기반하여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대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구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조리 방법에 영향을 주므로 이에 기반하여 제2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고기의 표면 온도에 따라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기반하여 제3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고기의 무게 또는 두께에 따라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기반하여 제4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획득되는 제1 데이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제2 데이터 및 비-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리 방법을 최종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3 조리 방법 선정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이미지 또는 비-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기를 조리하는 방법을 생성할 수 있다. 고기를 굽는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이 반영되도록 고기를 조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맞춤형 고기 조리 방법이 결정될 필요가 있다. 사용자 맞춤형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취향"이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 "고기의 특성 정보"가 모두 반영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취향" 및 "고기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정보를 통해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비-이미지 정보를 통해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고기 특성 정보, 사용자 선호도 및 주변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온도 조건 및 조리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결정된 온도 조건 및 조리 시간에 기반하여 고기 조리 방법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기 조리 방법은 고기를 굽는 온도에 관한 조건, 고기를 굽는 시간에 관한 조건 및/또는 고기를 뒤집는 시간에 관한 조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는 다른 실시에에 따라 서버가 고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서버(2000)는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한 후, 이에 기반하여 복수의 조리 기법 중 어느 하나의 조리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한 후, 획득된 사용자 선호도에 포함된 고기의 육즙, 연도 및 풍미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복수의 조리 기법 중 어느 하나의 조리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
고기를 조리하는 기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레스팅(resting) 기법의 경우 고기를 굽고 난 후에 기다림으로 인해 육즙을 안정화시켜주는 기법이고, 시어링(shearing) 기법의 경우 강한불로 익혀주어 고기의 겉은 바삭해지고 속은 촉촉해지게 하는 기법이다. 이외에도 고기를 조리하는 기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어느 조리 기법에 따라 조리되는지에 따라서 조리된 고기의 육즙, 연도 및 풍미가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0)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획득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던 복수의 조리 기법 중 사용자의 선호도에 포함되어 있는 육즙, 연도 및 풍미를 고려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가장 적합한 어느 하나의 조리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버(2000)는 고기 특성 정보 또는 주변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조리 기법 중 어느 하나의 조리 기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서버(2000)는 결정된 조리 기법을 고려하여 온도 조건 및 조리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온도 조건 및 조리 시간에 기반하여 최종적으로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버(2000)는 우선적으로 복수의 조리 기법 중 어느 하나의 조리 기법을 결정한 후에, 결정된 조리 기법에 적법한 온도 조건 및 조리 시간을 결정한 후, 이에 기반하여 최종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한 후, 이에 기반하여 복수의 조리 기법 중 2이상의 조리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예컨대, 육즙, 연도 또는 풍미)가 반영된 결과물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고기의 윗면 및 아랫면이 다르게 조리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기의 윗면 및 아랫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법을 별도로 각각 결정해줄 필요가 있으므로, 서버(2000)는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한 후, 이에 기반하여 복수의 조리 기법 중 고기의 제1 면을 조리하기 위한 제1 조리 기법을 결정할 수 있고, 고기의 제2 면을 조리하기 위한 제2 조리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결정된 제1 조리 기법에 기반하여 제1 제어 조건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제2 조리 기법에 기반하여 제2 제어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조건 및 제2 제어 조건은 온도 조건 및 조리 시간에 관한 조건일 수 있다. 이후, 서버(2000)는 결정된 제1 제어 조건 및 제2 제어 조건을 고려하여 최종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조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의 (a)를 참조하면, 고기 조리 방법은 시간에 따라 온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기 조리 방법은 최초에는 제1 시점(t1)까지 제1 온도로 가열되고, 그 이후 제2 시점(t2) 까지는 제2 온도까지 서서히 온도가 감소되도록 가열되도록 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고기 조리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서 미리 기준에 따라 온도가 제어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 35의 (b)를 참조하면, 고기 조리 방법은 복수의 시간 구간에 따라 온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고기 조리 방법은 제1 시간 구간에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어되고, 제2 시간 구간에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기 조리 방법은 제1 시간 구간(0 ~ t3)에서는 제1 온도로 가열하다가 점차 온도가 감소되도록 하고, 제2 시간 구간(t3 ~ t5)에서는 제2 온도로 가열하다가 점차 온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방법일 수 있고, 상기 제1 온도는 제2 온도 보다는 높은 온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고기 조리 방법은 제1 시간 구간 및 제2 시간 구간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다르게 온도가 제어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기를 조리하는 경우, 고기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조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고기를 굽는 장치도 고기의 앞면과 뒷면을 조리하기 위해 각각 제어될 필요가 있으므로, 제1 시간 구간에서는 고기의 앞면을 조리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온도를 제어하고, 제2 시간 구간에서는 고기의 뒷면을 조리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 구간과 제2 시간 구간은 미리 정해진 조리 방법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정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시간 구간에서 제어되는 열원의 온도 또한 미리 정해진 조리 방법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도 35의 (c)를 참고하면, 고기 조리 방법은 제1 시간 구간 및 제2 시간 구간에서 각각 온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되되, 제1 시간 구간 및 제2 시간 구간을 각각 복수의 서브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브 시간 구간에서 불연속적(discrete)으로 미리 정해진 온도 값을 제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 도 35의 (b)에서와 같이 시간 구간에 따라 연속적(linear)으로 온도를 제어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0)는 고기 조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시간 구간을 각각 복수의 서브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브 시간 구간에서 특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기 조리 방법은 제1 시간 구간(0 ~ t3) 및 제2 시간 구간(t3 ~ t5)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온도가 제어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시간 구간(0 ~ t3)은 제1 서브 시간 구간(0 ~ t1), 제2 서브 시간 구간(t1 ~ t2) 및 제3 서브 시간 구간(t2 ~ t3)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간 구간(t3 ~ t5)은 제4 서브 시간 구간(t3 ~ t4) 및 제5 서브 시간 구간(t4 ~ t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기 조리 방법은 제1 서브 시간 구간(0 ~ t1)에서는 제1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고, 제2 서브 시간 구간(t1 ~ t2)에서는 제2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고, 제3 서브 시간 구간(t2 ~ t3)에서는 제3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고, 제4 서브 시간 구간(t3 ~ t4)에서는 제4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며, 제5 서브 시간 구간(t4 ~ t5)에서는 제5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36의 (a) 및 (b)를 참조하면, 고기 조리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에서의 온도 제어가 완료된 후에 추가 시간 구간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고기 조리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에서의 온도 제어가 완료된 후에 추가 시간 구간에서는 열원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의 (a)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0 ~ t2)에서 온도 제어가 완료되면, 이후 추가 시간 구간(t2 ~ t3)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거나 열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6의 (b)와 같이 제1 시간 구간(0 ~ t3)에서 온도 제어가 완료되면, 이후 제1 추가 시간 구간(t3 ~ t4)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고, 제2 시간 구간(t4 ~ t6)에서 온도 제어가 완료되면 이후 제2 추가 시간 구간(t6 ~ t7)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4 자동 조리 장치
사용자 취향에 따라 조리된 고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기의 특성 및 사용자 취향에 따라 적절한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조리 방법이 결정된 이후에 해당 조리 방법을 정확히 이행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는 상술한 방법으로 결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온도와 시간을 정확히 제어하여 고기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자동 조리 장치(10)는 저장 모듈(400), 이동 모듈(300), 그릴링 모듈(100) 및 푸싱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자동 조리 장치(10)는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는 저장 모듈(400), 이동 모듈(300), 그릴링 모듈(100) 및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모듈(400)은 조리되기 전의 고기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동 모듈(300)은 저장 모듈(400)에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고기를 그릴링 모듈(10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릴링 모듈(100)은 미리 설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고기에 열을 가하여 고기를 조리할 수 있다. 푸싱 모듈(200)은 그릴링 모듈(100)로 고기를 삽입 배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릴링 모듈(100)에 의해 조리된 고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릴링 모듈(100)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는 이동 모듈(300), 그릴링 모듈(100) 및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모듈(300)은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되는 고기를 그릴링 모듈(100)로 이동시킬 수 있고, 고기를 전달받은 그릴링 모듈(100)은 미리 설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고기에 열을 가하여 고기를 조리할 수 있고, 푸싱 모듈(200)은 그릴링 모듈(100)로 고기를 삽입 배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릴링 모듈(100)에 의해 조리된 고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릴링 모듈(100)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는 그릴링 모듈(100) 및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릴링 모듈(100)은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로부터 고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고기에 열을 가하여 고기를 조리할 수 있고, 푸싱 모듈(200)은 그릴링 모듈(100)로 고기를 삽입 배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릴링 모듈(100)에 의해 조리된 고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릴링 모듈(100)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는 그릴링 모듈(1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릴링 모듈(100)은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로부터 고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고기에 열을 가하여 고기를 조리할 수 있고, 조리가 완료된 고기는 그릴링 모듈(100) 자체에 구비된 별도의 장치,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자동 조리 장치(10)를 구성하는 저장 모듈(400), 이동 모듈(300), 그릴링 모듈(100) 및 푸싱 모듈(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4.1 그릴링 모듈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자동 조리 장치(10)는 동시에 여러 개의 고기를 조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100)은 제1 그릴링 모듈(100a), 제2 그릴링 모듈(100b), 제3 그릴링 모듈(100c) 및 제4 그릴링 모듈(100d)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자동 조리 장치(10)는 하나의 그릴링 모듈(100)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2개의 그릴링 모듈(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그릴링 모듈은 이동 모듈(300)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조리될 고기를 이동 모듈(300)은 통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킨 후 조리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제1 그릴링 모듈(100a), 제2 그릴링 모듈(100b), 제3 그릴링 모듈(100c) 및 제4 그릴링 모듈(100d)을 포함하는 경우, 제1 그릴링 모듈(100a) 내지 제4 그릴링 모듈(100d)은 각각 병렬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그릴링 모듈(100a) 내지 제4 그릴링 모듈(100d)은 모두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그릴링 모듈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느 하나의 그릴링 모듈(100)에 대해서 서술하나, 이는 나머지 그릴링 모듈(1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0)은 복수의 불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복수의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링 모듈(100)은 어느 하나의 불판에 고기가 배치되면, 복수의 불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은 상기 제2 불판(102)을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은 상기 제2 불판(102)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 및 상기 제2 불판(102)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 및 상기 제2 불판(102)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과 제2 불판(102) 사이에 고기를 배치하여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으므로,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고기가 배치될 수 있는 최소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푸싱 모듈(200)을 통해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에 고기를 배치시키거나, 조리가 완료된 고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최소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의 형상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불판(101)의 형상은 제2 불판(10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불판(101)이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2 불판(102)의 경우도 상기 제1 불판(1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각각 열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불판(101)에 구비되는 열원 및 제2 불판(102)에 구비되는 열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에는 각각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제1 불판(101)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제1 불판(101)에 가해지는 온도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불판(102)에 구비된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제2 불판(102)에 가해지는 온도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에는 각각 방열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불판(101)에는 제1 방열판(106a)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불판(102)에는 제2 방열판(106b)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불판(101)의 일면과 제2 불판(102)의 일면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경우, 제1 방열판(106a)은 제1 불판(10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열판(106b)은 제2 불판(102)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불판(101)과 제2 불판(102)의 사이에서 고기가 조리될 때, 제1 방열판(106a) 및 제2 방열판(106b)은 제1 불판(101)의 일면과 제2 불판(102)의 일면 사이에서 고기에 전해지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최소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1은 그릴링 모듈에 포함되는 복수의 불판 중 어느 하나의 높낮이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1)에 포함되는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은 상대적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202)은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202)은 지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불판(101)은 고정되어 있고 제2 불판(102)만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불판(101)은 고정 부재(108a, 108b)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불판(102)은 샤프트(104)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샤프트(104)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샤프트(104)에 의해 지면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불판(101)이 샤프트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불판(101)은 샤프트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샤프트에 의해 지면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불판(102)이 샤프트(104)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방법을 설명하나, 제1 불판(101)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샤프트(104)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통해 샤프트(104)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통해 샤프트(104)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10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링 모듈(100)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제1 탄성 부재(105a), 제2 탄성 부재(105b), 제3 탄성 부재(105c) 및 제4 탄성 부재(105d)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탄성 부재(105a) 내지 제4 탄성 부재(105d)는 샤프트(104)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을 제2 불판(102)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제1 탄성 부재(105a), 제2 탄성 부재(105b), 제3 탄성 부재(105c) 및 제4 탄성 부재(105d)에 의해 샤프트(104)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2는 그릴링 모듈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1 탄성 부재(105a)는 제1 지지부(51), 제2 지지부(52), 완충 부재(53) 및 돌출 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1) 및 제2 지지부(52)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 및 제2 지지부(52)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지지부(51)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는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부(5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지지부(51)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지지부(52)의 형상 또한 제1 지지부(5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지지부(5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는 스토퍼(5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된 스토퍼(55)로 인해 제2 지지부(52)는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에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지지부(51)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지지부(51)에 구비된 스토퍼(55)로 인하여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만 삽입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스토퍼(55)는 개구부일 수 있다. 제1 지지부(51)는 제2 지지부(52)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5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개구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개구부는 제2 지지부(52)가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길이는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길이는 지면으로부터 제1 불판(101)의 높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길이는 하우징(103)의 형상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길이는 하우징(103)의 높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지지부(52)는 돌출 부재(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부(52)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돌출 부재(5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2)에 구비되는 돌출 부재(54)는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스토퍼(5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2)의 돌출 부재는 제2 지지부(5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때, 미리 정해진 범위만큼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1)에 구비되는 스토퍼(55)가 개구부일 경우, 제2 지지부(52)에 구비되는 돌출 부재(54)는 상기 개구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2 지지부(52)의 돌출 부재(54)는 제1 지지부(51)에 형성된 개구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52)의 돌출 부재(54)는 제1 지지부(51)의 개구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다가, 제2 지지부(52)가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으로 최대 삽입될 때에는 제1 지지부(51)의 개구부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52)는 돌출 부재(54)가 제1 지지부(51)의 개구부의 타단에 위치할 때 까지만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2)는 돌출 부재(54)가 제1 지지부(51)의 개구부의 타단에 위치할때까지 제1 지지부(5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05a)는 완충 부재(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53)는 탄성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완충 부재(53)는 제2 지지부(52)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완충 부재(53)는 제2 지지부(52)의 일면에 부착되어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53)는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제2 지지부(5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지지부(5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부(51)는 제2 불판(102) 또는 제2 방열판(106b)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1)는 제2 불판(102) 또는 제2 방열판(106b)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샤프트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을 제2 불판(102) 또는 제2 방열판(106b)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지지부(52)는 하우징(103)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2)가 하우징(103)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샤프트(104)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을 제1 지지부(51), 제2 불판(102) 및 제2 방열판(106b)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이 복수의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에 열을 가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에 고기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불판(101)과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조율하여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에 배치되는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에 고기가 배치되는 경우, 제2 불판(102)을 제1 불판(101)을 향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에 고기가 배치되는 경우, 제1 불판(101)을 제2 불판(102)을 향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에 고기가 배치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을 이동시킴으로써,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도 43의 (a)는 고기가 조리되기 전의 그릴링 모듈(100)의 동작을 도식화 한 도면이고, 도 43의 (b)는 고기가 조리되는 중의 그릴링 모듈(100)의 동작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3의 (a)를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풋 동작은 고기가 조리되기 전에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인풋 동작은 고기가 조리되기 전에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고기를 배치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제1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리는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에 고기를 넣거나 꺼내기에 충분한 거리일 수 있다.
도 43의 (b)를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제2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리는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에서 고기가 조리되기에 충분한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2 거리는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에 배치된 고기에 열이 전달되기에 충분한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2 거리는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할 때의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예컨대, 제1 거리) 보다 짧은 거리일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불판(102)이 샤프트(104)에 의해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복수의 불판(예컨대,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을 이용하여 고기에 열을 가함으로써, 고기의 복수 면에 동시에 열을 가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고기의 복수 면에 동시에 열을 가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조리가 이뤄질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을 통해서는 고기의 제1 면에 열을 가할 수 있고, 동시에 제2 불판(102)을 통해서는 고기의 제2 면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을 통해서는 고기의 제1 면 및 제2 면에 열을 가할 수 있고, 동시에 제2 불판(102)을 통해서는 고기의 제3 면 및 제4 면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릴링 모듈이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릴링 모듈(100)은 상술한 인풋 동작 및 조리 동작 외에도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4의 (a)는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44의 (b)는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44의 (c)는 그릴링 모듈(100)이 아웃풋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44의 (d)는 그릴링 모듈(100)이 클리닝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그릴링 모듈(100)은 인풋 동작을 통해 조리의 대상이 되는 고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조리 동작을 통해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에 열을 가하여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에 배치된 고기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조리 동작이 완료되면, 즉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아웃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웃풋 동작은 조리가 완료된 고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아웃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배치된 고기는 조리가 완료된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그릴링 모듈(100)이 아웃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은 푸싱 모듈(200)에 의해 청소가 이뤄질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클리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클리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가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가장 멀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을 직접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4의 (a) 내지 (d)를 통하여 상술한 그릴링 모듈(100)이 수행하는 복수의 동작은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는, 그릴링 모듈(100)이 수행하는 복수의 동작은 샤프트(104)에 의해 조절되는 제2 불판(102)의 위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에 포함된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0)은 하우징(103)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3)은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03)은 내부 공간에는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도 44의 (b)와 같이 조리 동작을 수행할 경우, 하우징(103)의 내부 공간에는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3)의 내부 공간에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고기가 조리됨으로써, 고기에 열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기름이 외부로 튀지 않고, 하우징(103) 내부에 머무를 수 있다. 이로 인해, 고기가 조리되는 경우 발생하는 기름이 하우징(103) 내부에 수용되고, 하우징(103)의 외부로는 최소한 누출됨으로써 지속하여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그릴링 모듈(100)을 청소하는 경우에도, 하우징(103) 내부에 고여있는 기름을 청소하면 되기 때문에 청소 및 관리가 훨씬 용이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3)의 내부 공간에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05)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3)의 내부 공간에는 제1 탄성 부재(105a) 내지 제4 탄성 부재(105d)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3)은 하우징 본체(103a) 및 하우징 덮개(103b)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03a)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덮개(103b)는 하우징 본체(103a)의 개방된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103b)는 하우징 본체(103a)와 결합하되,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하우징 덮개(103b)가 하우징 본체(103a)에 결합되어 있고, 그릴링 모듈(100)이 클리닝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하우징 덮기(103b)는 하우징 본체(103a)와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103b)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에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 덮개(103b)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3)에는 서브 하우징(107)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상기 서브 하우징(107)을 통해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는 상기 서브 하우징(107)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3)과 서브 하우징(107)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3)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103)은 서브 하우징(107)과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3)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103)은 서브 하우징(107)과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3)과 서브 하우징(107) 사이에는 개폐 부재 또는 거름망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서브 하우징(107)에는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하우징(107)에 송풍팬이 구비됨으로써, 하우징(103) 내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링 모듈에 포함된 하우징 및 복수의 불판과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하우징(103)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05) 및 샤프트(104)에 기반하여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할 경우, 하우징(103)의 내부 공간에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간격은 미리 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2 불판(102)은 샤프트(104)에 의해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05)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104)에 의하여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불판(102)이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05)와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103)도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03)은 제1 시점에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3)이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에는 탄성 부재(105)의 제2 지지부(52)에 형성된 돌출 부재(54)는 제1 지지부(51) 상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제2 시점에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불판(102)이 제1 불판(101)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제2 시점에는 탄성 부재(105)의 제2 지지부(52)에 형성된 돌출 부재(54)가 제1 지지부(51) 상에 형성된 개구부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05)의 제2 지지부(52)에 형성된 돌출 부재(54)가 제1 지지부(51) 상에 형성된 개구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시점부터 제2 불판(102)은 제1 불판(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에는 하우징(103)의 내부 공간에는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제2 시점에 제1 불판(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간격이 되는 제3 시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2 불판(102)은 제2 시점에 제1 불판(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하게 되는 제3 시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가 되는 제3 시점에 조리가 시작되며, 제3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2 시점에는 하우징(103)의 내부 공간에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기가 조리될 때 발생하는 기름이 외부로 튀지 않고, 하우징(103)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도 46의 (a)를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하우징(103) 끝단 사이의 거리인 제1 거리(D1)는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1 불판(101) 사이의 거리인 제2 거리(D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1)보다 크거나 같음으로써, 고기가 조리되는 경우 발생하는 기름이 하우징 내부에 머무르고, 하우징 외부로는 최소한으로 누출될 수 있다.
도 46의 (b)를 참조하면,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모드 외의 모드(예컨대, 인풋 모드, 아웃풋 모드 또는 클리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하우징(103) 끝단 사이의 거리인 제1 거리(D1)는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1 불판(101) 사이의 거리인 제2 거리(D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모드로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2)보다 작거나 같게 됨으로써, 고기를 제2 불판(102)에 배치하거나, 조리가 완료된 고기를 토출하거나,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을 청소할 때 하우징(103)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일정한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에는 고기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홈의 깊이는 고기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홈의 깊이는 고기의 두께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은 다양한 경사, 폭, 깊이 또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은 바닥면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의 적어도 일부에는 평평한 바닥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그릴링 모듈(100)이 고기를 조리할 때, 즉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제1 불판(10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불판(10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은 서로 마주보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불판(101)에 형성된 복수의 홈 및 제2 불판(102)에 형성된 복수의 홈으로 인해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공간내에 고기가 배치되고 조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을 통해 고기의 서로 다른 면에 동시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불판(101)을 통해서는 고기의 제1 면 및 제2 면에 열을 가할 수 있고, 동시에 제2 불판(102)을 통해서는 고기의 제3 면 및 제4 면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도 47을 통해 설명한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형상은 이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의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이 배치된 고기에 열을 가하는 방법은 미리 결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불판(101)을 통해 가해지는 열과 제2 불판(102)을 통해 가해지는 열의 온도는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불판(101)을 통해 열이 제공되는 시간과 제2 불판(102)을 통해 열이 제공되는 시간은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4.2 푸싱 모듈
도 48 및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푸싱 모듈(200)을 설명한다.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200)은 그릴링 모듈(100)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푸싱 모듈(200)은 그릴링 모듈(100)에 조리될 고기가 배치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그릴링 모듈(100)을 통해 조리된 고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그릴링 모듈(100)의 적어도 일부를 청소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조리 장치(10)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100) 및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 조리 장치(10)는 2 이상의 그릴링 모듈(100) 및 1개의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자동 조리 장치(10)는 4개의 그릴링 모듈(100) 및 1개의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푸싱 모듈(200)은 4개의 그릴링 모듈(100)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조리 장치(10)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100) 및 복수의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 조리 장치(10)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100) 및 이에 대응되는 개수의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자동 조리 장치(10)는 4개의 그릴링 모듈(100) 및 4개의 푸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푸싱 모듈은 제1 그릴링 모듈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고, 제2 푸싱 모듈은 제2 그릴링 모듈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고, 제3 푸싱 모듈은 제3 그릴링 모듈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으며, 제4 푸싱 모듈은 제4 그릴링 모듈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도 50 및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모듈(200)은 제1 푸싱 모듈(200a) 및 제2 푸싱 모듈(200b)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싱 모듈(200)은 그릴링 모듈(10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 및 제2 푸싱 모듈(200b)은 각각 그릴링 모듈(10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그릴링 모듈(100)은 제1 동작 내지 제4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푸싱 모듈(200a)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5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푸싱 모듈(200b)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3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6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그릴링 모듈(100)이 수행하는 제1 동작은 인풋 동작일 수 있고, 제3 동작은 아웃풋 동작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릴링 모듈(100)이 다양한 모드로 동작하거나 다양한 상태일 경우에, 푸싱 모듈(200)은 이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2 푸싱 모듈(200b)은 조리될 고기를 그릴링 모듈(100)로 배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푸싱 모듈(200b)은 이와 연동하여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푸싱 모듈(200b)은 이와 연동하여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푸싱 모듈(200b)은 이와 연동하여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그릴링 모듈(100)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그릴링 모듈(100)이 인풋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푸싱 모듈(200b)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2 푸싱 모듈(200b)까지의 제1 거리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2 불판(102)까지의 제2 거리에 대응될 때,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푸싱 모듈(200b)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2 푸싱 모듈(200b)까지의 제1 거리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2 불판(102)까지의 제2 거리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할 때,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0의 (a) 내지 (c)와 같이 제2 푸싱 모듈(200b)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1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푸싱 모듈(200b)은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동작은 제2 푸싱 모듈(200b)이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2 푸싱 모듈(200b)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1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푸싱 모듈(200b)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푸싱 모듈(200b)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1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푸싱 모듈(200b)은 제1 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축일 수 있다. 상기 제1 축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된 홈의 방향에 평행한 축일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상술한 제1 상태이거나 인풋 동작이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값에 기반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일 수 있으며, 기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푸싱 모듈(200b)이 수행하는 상술한 왕복 운동은 제2 푸싱 모듈(200b)이 제1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이동한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이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제1 푸싱 모듈(200a)은 그릴링 모듈(100)에서 조리가 완료된 고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동작 및 그릴링 모듈(100)의 불판을 청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푸싱 모듈(200a)은 이와 연동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아웃풋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푸싱 모듈(200a)은 이와 연동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푸싱 모듈(200a)은 이와 연동하여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는 그릴링 모듈(100)이 아웃풋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는 제1 불판(101) 및 제2 불판(102)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2 거리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는 그릴링 모듈(100)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는 그릴링 모듈(100)이 아웃풋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1 푸싱 모듈(200a)까지의 제1 거리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2 불판(102)까지의 제2 거리에 대응될 때,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1 푸싱 모듈(200a)까지의 제1 거리가 자동 조리 장치(10)의 밑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제2 불판(102)까지의 제2 거리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할 때,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1의 (a) 내지 (c)와 같이 제1 푸싱 모듈(200a)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2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동작은 제1 푸싱 모듈(200a)이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2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푸싱 모듈(200a)은 제1 푸싱 모듈(200a)이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그릴링 모듈(100)이 제2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푸싱 모듈(200a)은 제1 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축일 수 있다. 상기 제1 축은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된 홈의 방향에 평행한 축일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상술한 제2 상태이거나 아웃풋 동작이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값에 기반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일 수 있으며, 기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이 수행하는 상술한 왕복 운동은 제1 푸싱 모듈(200a)이 제1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이동한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이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 모듈(200a) 및 제2 푸싱 모듈(200b)은 상호 간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푸싱 모듈(200a)은 제2 푸싱 모듈(200b)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2 푸싱 모듈(200b)은 제1 푸싱 모듈(200a)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1 푸싱 모듈(200a)과 제2 푸싱 모듈(200b)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푸싱 모듈(200a) 및 상기 제2 푸싱 모듈(200b)은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 모듈(200a) 및 상기 제2 푸싱 모듈(200b)은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배치되되, 상기 제1 푸싱 모듈(200a)은 제1 불판(101)과 가까운 곳에 배치되고, 제2 푸싱 모듈(200b)은 제2 불판(102)과 가까운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불판(102)은 샤프트(104)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불판(101)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푸싱 모듈(200a)은 상기 제2 푸싱 모듈(20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2 및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푸싱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된 고기를 그릴링 모듈(100)로부터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그릴링 모듈(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불판 중 적어도 하나를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2를 참조하여 제1 푸싱 모듈(200a)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보조하는 부속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2를 참조하면, 제1 푸싱 모듈(200a)은 회전 롤러(201), 수거 롤러(202), 공급 롤러(203) 및 적어도 하나의 밀착 부재(204a, 204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롤러(203)에는 페이퍼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 롤러(203)에는 사용되지 않은 페이퍼가 말려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퍼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된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페이퍼는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표면을 닦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기 알려진 다양한 재질일 수 있다.
공급 롤러(203)에 구비된 페이퍼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제1 푸싱 모듈(200a)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공급 롤러(203)에 페이퍼를 보충해줄 수 있다.
공급 롤러(203)에 구비된 페이퍼가 끊어지거나 걸리는 등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1 푸싱 모듈(200a)은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페이퍼가 모두 소진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또는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회전 롤러(201), 수거 롤러(202) 및 공급 롤러(20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회전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페이퍼가 모두 소진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또는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센서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페이퍼가 모두 소진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또는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그릴링 모듈(100)이 특정 동작(예컨대, 조리 동작)을 반복한 횟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거 롤러(202)는 공급 롤러(203)에 구비된 페이퍼의 적어도 일부를 수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거 롤러(202)는 공급 롤러(203)에 구비된 페이퍼의 적어도 일부를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거 롤러(202)는 상기 공급 롤러(203)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롤러(203)에 구비된 페이퍼는 청소 기능을 수행 완료한 후에 수거 롤러(202)에 감길 수 있다.
수거 롤러(202)는 공급 롤러(203) 또는 회전 롤러(201)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거 롤러(202)는 구동부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를 통하여 공급 롤러(203) 또는 회전 롤러(201)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거 롤러(202)를 통해 공급 롤러(203) 또는 회전 롤러(201)에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공급 롤러(203)에 구비된 페이퍼가 밀리거나 끊어지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회전 롤러(201)를 거쳐 수거 롤러(202)로 회수될 수 있다.
수거 롤러(202)는 별도의 장력 유지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유지 모듈을 통해 회전 롤러(201), 수거 롤러(202) 및 공급 롤러(203) 중 적어도 하나와 페이퍼 사이에 발생하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회전 롤러(201)는 상기 공급 롤러(203) 및 수거 롤러(202)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회전 롤러(201)는 상기 공급 롤러(203) 및 수거 롤러(202)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롤러(203) 및 수거 롤러(202)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회전 롤러(201)의 형상은 그릴링 모듈(100)에 구비된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롤러(201)는 복수의 돌출 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돌출 부재는 그릴링 모듈(100)에 구비된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의 형성된 복수의 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링 모듈(100)에 구비된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된 복수의 홈이 제1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회전 롤러(201)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 부재도 상기 제1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릴링 모듈(100)에 구비된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 형성된 복수의 홈의 단면이 제1 형상인 경우, 회전 롤러(201)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 부재도 상기 제1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그릴링 모듈(100)에 구비된 제1 불판(101) 또는 제2 불판(102)에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 롤러(201)에는 제1 돌출 부재 및 제2 돌출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홈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돌출 부재는 상기 제2 홈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회전 롤러(201)와 연결되며 페이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 롤러(203)에 구비된 페이퍼는 상기 플레이트를 거쳐 회전 롤러(201)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적어도 한 쌍의 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말착 부재는 페이퍼가 회전 롤러(201)와 인접한 영역에서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푸싱 모듈(200a)은 제1 밀착 부재(204a) 및 제2 밀착 부재(20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 및 제2 밀착 부재(204b)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 및 제2 밀착 부재(204b)는 쌍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 및 제2 밀착 부재(204b)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 및 제2 밀착 부재(204b)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가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밀착 부재(204b)는 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가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밀착 부재(204b)는 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되되,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와 대칭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 및 제2 밀착 부재(204b)는 플레이트 상에서 회전 롤러(201)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 부재(204a) 및 제2 밀착 부재(204b)는 플레이트 상에서 회전 롤러(20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푸싱 모듈(200a)은 한 쌍의 밀착 부재(204a, 204b)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쌍의 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푸싱 모듈(200a)은 복수 쌍의 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푸싱 모듈(200a)은 제1 밀착 부재, 제2 밀착 부재, 제3 밀착 부재 및 제4 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밀착 부재 및 제2 밀착 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3 밀착 부재 및 제4 밀착 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제1 밀착 부재 및 제2 밀착 부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3 밀착 부재 및 제4 밀착 부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4.3 이동 모듈
도 54 및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 및 도 5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는 그릴링 모듈(100), 푸싱 모듈(200) 및 이동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모듈(300)은 레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모듈(300)은 레일 형태로 구비되며, 플레이트에 배치된 고기를 그릴링 모듈(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릴링 모듈(100)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이동 모듈(300)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그릴링 모듈로 고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모듈(300)에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값에 기반하여, 이동 모듈(300)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그릴링 모듈로 고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4.4 저장 모듈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시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는 저장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400)은 조리되기 전의 고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 모듈(400)에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조리되기 전의 고기가 배치 또는 보관될 수 있다. 저장 모듈(400)은 조리되기 전의 고기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 모듈(400)의 형태는 한정적이지 않으며, 고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기 알려진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4.5 장치 동작 방법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 조리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는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는 단계(S410),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고기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S420), 결정된 고기 종류에 대응하는 고기가 포함되어 있는 보관 용기를 선택하는 단계(S430), 보관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고기와 관련된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게(S440), 선택된 보관 용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50), 사용자 선호도 및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S460) 및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열원을 제어하는 단계(S470)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고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고기의 조리 결과와 관련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고기의 맛, 예컨대 고기의 풍미,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획득되는 고기의 풍미, 육즙 및 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고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저장 모듈(40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용기 중 상기 결정된 고기 종류에 대응하는 고기가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용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관 용기에는 보관되어 있는 고기에 관한 정보가 맵핑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자동 조리 장치(10)는 상기 맵핑된 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기 중 상기 결정된 고기 종류에 대응하는 고기가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용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장 모듈(400)에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모듈(400)에는 고기의 종류 및/또는 특성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기가 일정한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조리 장치(10)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 또는 상기 복수의 용기가 배열된 순서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기 중 상기 결정된 고기 종류에 대응하는 고기가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용기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선택된 보관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추가적으로 구비된 분석 장치를 통해 자체적으로 상기 고기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또는 외부의 분석 장치를 통해 추출된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고기 특성 정보가 이미지 또는 비-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추출될 수 있으며, 추출되는 상세한 방식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선택된 보관 용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선택된 보관 용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그릴링 모듈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조리 장치(10)는 선택된 보관 용기가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 조리 장치(10)는 선택된 보관 용기가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미리 정해진 값에 가장 근접한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그릴링 모듈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 조리 장치(10)는 선택된 보관 용기가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저장 모듈(400)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그릴링 모듈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조리 장치(10)가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미리 정해진 값에 가장 근접한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그릴링 모듈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사용자 선호도, 고기 특성 정보 또는 미리 결정된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자동 조리 장치(10)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을 판단한 후,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이 복수개인 경우,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그릴링 모듈로 선택된 보관 용기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 조리 장치(10)는 복수의 그릴링 모듈 중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을 판단한 후,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릴링 모듈이 복수개인 경우,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그릴링 모듈을 판단하되, 상기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그릴링 모듈이 복수인 경우 저장 모듈(400)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그릴링 모듈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사용자 선호도 및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추가적으로 구비된 장치를 통해 자체적으로 상기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고, 또는 외부의 장치를 통해 결정된 조리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조건은 그릴링 모듈(100)을 통해 고기에 가해지는 열의 세기 또는 고기에 열을 가하는 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상술한 방법으로 결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그릴링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조리 장치(10)는 상술한 방법으로 결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그릴링 모듈(100)의 열원의 세기 및 열원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5 조리 가이드 시스템
조리 장치가 자동으로 고기를 조리해주는 시스템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고기를 굽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고기 상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온도, 굽는 시간, 고기를 뒤집는 타이밍 등이 정밀하게 제어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는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지 않는 한 정밀하게 제어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고기 상태를 만족시키지 못한 채로 조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고기를 굽고자 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고기 상태를 인식한 후, 적절한 조리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7 및 도 5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은 전자 장치(510), 조리 장치(520) 및 사용자 단말(5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조리되는 고기를 촬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거나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520)는 고기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가열 유닛(예컨대,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리 장치(520)에는 열원 외에도 고기를 조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보조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30)은 전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3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거나 사용자에게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8에서와 같이 조리 가이드 시스템은 조리 장치(520) 및 전자 장치(5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5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거나 사용자에게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가이드 시스템은 조리 장치(520) 및 사용자 단말(5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 장치(520)에는 조리되는 고기를 촬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 및 획득되는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거나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가이드 시스템이 조리 장치(520) 및 사용자 단말(530)로 구성된 것에 기반하여 서술한다.
도 59 및 도 60은 일 시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520)는 사용자 입력의 획득을 위한 복수의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단계(S510),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520),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S530), 제1 조리 조건에 대응하도록 열원을 제어하는 단게(S540), 열원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S550), 제2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S560) 및 제3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3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S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5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의 획득을 위한 복수의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와 관련된 정보는 고기의 조리 결과와 관련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고기의 맛, 예컨대 고기의 풍미,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조리 장치(5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조리 조건에 대응하도록 열원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된 조리 조건에 대응하도록 열원 등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조리 장치(520)는 열원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람은 사용자에게 불판에 고기를 올릴 것을 유도하는 알람일 수 있다.
조리 장치(520)는 제2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알람을 출력할 수 있고, 제3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3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리 조건은 고기의 일면에 대한 조리 조건일 수 있고, 상기 제3 조리 조건은 고기의 타면에 대한 조리 조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 장치(520)는 고기의 일면에 대한 제2 조리 조건을 미리 저장해놓고, 고기의 일면에 열원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조리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예컨대, 미리 설정된 온도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리 장치(520)는 고기의 타면에 대한 제3 조리 조건을 미리 저장해놓고, 고기의 타면에 열원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3 조리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예컨대, 미리 설정된 온도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알람은 사용자에게 불판에 올려진 고기를 뒤집을 것을 유도하는 알람일 수 있고, 상기 제3 알람은 고기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알람일 수 있다.
도 61 내지 도 63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가이드 시스템은 전자 장치(510) 및 조리 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 장치(520)에는 고기를 조리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영역은 다른 영역과 온도가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2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520)는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610), 센서를 통해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관한 온도 값을 획득하는 단계(S620),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제1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S630), 제1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640),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제2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S650) 및 제2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66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3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520)는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영역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영역이 아닌 가상의 영역일 수 있다.
조리 장치(52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관한 온도 값을 센서를 통해 획득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제1 조건을 만족하는 제1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은 온도와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예컨대, 조리 장치(52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 가장 근접한 제1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장치(520)는 상기 제1 조건을 만족하는 제1 영역에 고기를 배치하도록 사용자의 동작을 유도하는 알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조리 장치(520)는 제1 영역에서 고기가 조리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제2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영역을 판단하고, 제2 영역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조리 장치(520)는 고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 동안 조리되고(예컨대, 제1 조건에 따라 조리되고), 이후 미리 설정된 제2 온도에서 제2 시간 동안 조리(예컨대, 제2 조건에 따라 조리)되어야 한다는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3의 (a)와 같이 조리 장치(520)는 제1 영역(A)에서 고기가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 동안 조리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도 63의 (b)와 같이 고기가 제2 조건(예컨대, 제2 온도에서 제2 시간 동안 조리)에 따라 조리될 수 있는 제2 영역(B)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6 조리법 개선 시스템
고기를 자동으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조리가 완료된 고기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및 그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다시 수정하는 피드백 시스템도 중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고기에 대한 조리가 완료된 후, 조리가 완료된 고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최초 의도한 값과의 차이를 고려하여 조리 방법을 수정하는 조리법 개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4 내지 도 6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법 개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4를 참조하면, 서버(2000)는 대상 고기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710),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제1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S720),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1 타겟 값을 획득하는 단계(S730), 제1 특성 및 제1 타겟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S740), 대상 고기를 제1 조리법에 따라 조리하여 조리된 결과물을 획득하는 단계(S750), 조리된 고기를 분석하여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려된 제1 결과 값을 획득하는 단계(S760) 및 상기 제1 타겟 값과 상기 제1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770), 제1 타겟 값 및 제1 결과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수정하여 최종 조리법을 결정하는 단계(S781), 제1 조리법을 최종 조리법으로 결정하는 단계(S782) 및 결정된 최종 조리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79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1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가 고기 이미지로부터 고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1 타겟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형의 물성은 고기의 풍미, 고기의 육즙 및 고기의 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타겟 값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획득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타겟 값은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등급이거나 수치일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특성 및 제1 타겟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조리법에 따라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1 결과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과 값은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이는 조리된 결과물의 육즙에 대한 테스트, 연도에 대한 테스트 및 풍미에 대한 테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66은 조리된 결과물의 육즙에 대한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7은 조리된 결과물의 연도에 대한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6의 (a) 및 (b)에서와 같이 조리되기 전의 고기와 조리된 후의 고기 및 조리된 후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고기를 분석하여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연도를 테스트할 수 있으며, 이는 기 알려진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외의 다양한 방식에 따라 결과물에 대한 연도 테스트가 진행될 수도 있다.
도 67의 (a) 및 (b)에서와 같이 인간의 저작운동을 모방한 물성 측정 방법을 통해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연도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TPA(Texture Profile Analysis) 테스트를 통하여 결과물에 대한 연도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기 알려진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제1 타겟 값과 제1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타겟 값과 제1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1 타겟 값 및 제1 결과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수정하여 최종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타겟 값과 제1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조리법을 최종 조리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최초에 설정된 제1 조리법을 개선할 수 있으며, 개선된 최종 조리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5에서와 같이 고기 특성 정보 및/또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기본 조리 방법을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분석(예컨대, 품질 테스트)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 조리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복수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타겟 값을 획득하고, 이에 기반하여 개선된 최종 조리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버(200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1 타겟 값 및 제2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2 타겟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물성은 상기 제2 유형의 물성과 다를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타겟 값 및 제2 타겟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상기 제1 조리법에 따라 조리하여 조리된 결과물을 획득한 후,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제1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1 결과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유형의 물성과 관련된 제2 결과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타겟 값과 제1 결과 값의 차이 또는 제2 타겟 값과 제2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1 타겟 값과 제1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타겟 값과 제1 결과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수정하여 최종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고, 제2 타겟 값과 제2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타겟 값과 제2 결과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수정하여 최종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타겟 값과 제1 결과 값의 차이 및 제2 타겟 값과 제2 결과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타겟 값, 제2 타겟 값, 제1 결과 값 및 제2 결과 값에 기반하여 제1 조리법을 수정하여 최종 조리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8 및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8 및 도 6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조리 조건 획득하는 단계(S810),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20), 조리 조건 및 고기 특성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 생성하는 단계(S830), 생성된 조리 방법에 따라 고기를 조리한 후, 상기 제1 기준 값, 제2 기준 값 및 제3 기준 값을 출력하는 단계(S840), 제1 기준 값, 제2 기준 값 및 제3 기준 값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수신하는 단계(S850),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반하여 제1 기준 값을 수정한 제1 타겟 값 생성하고, 제2 기준 값을 수정한 제2 타겟 값을 생성하고, 제3 기준 값을 수정한 제3 타겟 값을 생성하는 단계(S860) 및 1 타겟 값, 제2 타겟 값 및 제3 타겟 값에 기반하여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하는 단계(S8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제1 기준에 따라 정해진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된 고기에 대하여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한 후, 제1 기준에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제2 기준을 생성한 후, 제2 기준에 따라 정해진 조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조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조리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리 조건은 고기의 연도와 관련된 제1 기준 값, 고기의 육즙과 관련된 제2 기준 값 및 고기의 풍미와 관련된 제3 기준 값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상기 조리 조건 및 고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기 특성 정보는 이미지 또는 비-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출되는 고기의 특성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생성된 조리 방법에 따라 고기를 조리한 후, 제1 기준 값, 제2 기준 값 및 제3 기준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값, 제2 기준 값 및 제3 기준 값은 상기 조리 방법을 생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제1 기준 값, 제2 기준 값 및 제3 기준 값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1 기준 값, 제2 기준 값 및 제3 기준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된 고기에 대한 평가로써 상기 제1 기준 값, 제2 기준 값 및 제3 기준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반하여 제1 타겟 값, 제2 타겟 값 및 제3 타겟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에서의 제1 타겟 값은 제1 기준 값에 사용자의 피드백이 반영된 값이고, 제2 타겟 값은 제2 기준 값에 사용자의 피드백이 반영된 값이며, 제3 타겟 값은 제3 기준 값에 사용자의 피드백이 반영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조리 조건 결정 방법은 제1 타겟 값, 제2 타겟 값 및 제3 타겟 값에 기반하여 개인화된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피드백이 반영된 제1 타겟 값 내지 제3 피드백에 기반하여 조리 방법이 새롭게 결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개인화된 조리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 고기에 대한 조리를 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알람을 출력하고,
고기가 조리되는 플레이트가 촬영된 플레이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플레이트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플레이트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하되,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상기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온도 값에 기반하여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조리 보조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람은 사용자에게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기를 배치할 것을 유도하는 알람인,
조리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조건은 제1 조리 조건 및 제2 조리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리 조건에 따라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조리 조건에 따라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알람을 출력하는,
조리 보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 조건은 조리될 고기의 제1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조건이고, 상기 제2 조리 조건은 상기 조리될 고기의 제2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조건인,
조리 보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람은 사용자에게 고기를 뒤집을 것을 유도하는 알람인,
조리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고기가 촬영된 고기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조리 보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획득하고,
상기 고기 특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조리 조건을 결정하되,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고기의 육즙, 고기의 연도 및 고기의 풍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인,
조리 보조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온도 값에 가장 근접한 영역을 조리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조리 영역에 고기를 배치할 것을 유도하는 알람을 출력하는,
조리 보조 장치.
- 고기에 대한 조리를 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고기가 조리되는 플레이트가 촬영된 플레이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플레이트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플레이트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상기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온도 값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기에 대한 조리를 보조하는 방법.
-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조리 조건에 기반하여 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열원에 대한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고기가 조리되는 플레이트가 촬영된 플레이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플레이트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플레이트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온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조리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상기 제1 온도 값 및 상기 제2 온도 값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5322 | 2022-08-23 | ||
KR20220105322 | 2022-08-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6026B1 true KR102516026B1 (ko) | 2023-03-30 |
KR102516026B9 KR102516026B9 (ko) | 2023-11-13 |
Family
ID=85223388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5630A KR102516025B1 (ko) | 2022-08-23 | 2022-10-20 |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0220135633A KR102498430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20135637A KR102498602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조리법 개선 방법 및 장치 |
KR1020220135634A KR102500644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20135636A KR102516026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0220135632A KR102498429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20135631A KR102552897B1 (ko) | 2022-08-23 | 2022-10-20 | 고기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한 조리법 결정 방법 및 장치 |
KR1020220135635A KR102498432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30039677A KR20240027521A (ko) | 2022-08-23 | 2023-03-27 |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0230086181A KR20240027530A (ko) | 2022-08-23 | 2023-07-04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5630A KR102516025B1 (ko) | 2022-08-23 | 2022-10-20 |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0220135633A KR102498430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20135637A KR102498602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조리법 개선 방법 및 장치 |
KR1020220135634A KR102500644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5632A KR102498429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20135631A KR102552897B1 (ko) | 2022-08-23 | 2022-10-20 | 고기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한 조리법 결정 방법 및 장치 |
KR1020220135635A KR102498432B1 (ko) | 2022-08-23 | 2022-10-20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30039677A KR20240027521A (ko) | 2022-08-23 | 2023-03-27 |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0230086181A KR20240027530A (ko) | 2022-08-23 | 2023-07-04 | 육류 자동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65476A1 (ko) |
KR (10) | KR102516025B1 (ko) |
WO (1) | WO20240436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6025B1 (ko) * | 2022-08-23 | 2023-03-30 | 피플즈리그 주식회사 |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589593B1 (ko) * | 2023-06-13 | 2023-10-17 | 주식회사 올투딜리셔스 |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직화 방법으로 육류를 조리하는 로봇 |
KR102658768B1 (ko) | 2023-12-26 | 2024-04-18 |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 이미지 처리 기반 육류 내 특성 분석 및 가격 산출 처리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6223A (ko) * | 2015-04-23 | 2016-11-02 |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
KR20180134557A (ko) * | 2017-06-09 | 2018-12-19 | 이진희 |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9660A (en) * | 1974-01-21 | 1976-04-13 | Kuhlman Harvey G | Apparatus for forming shells of dough |
US4244284A (en) * | 1979-05-29 | 1981-01-13 | Three Rivers Development Corporation | Meat cooking apparatus |
IL78657A0 (en) * | 1986-05-01 | 1986-08-31 | Ruben Masel | Grilling appliance |
JPS634077A (ja) * | 1986-06-23 | 1988-01-09 | Brother Ind Ltd | 超硬合金の接合方法 |
DE69101172T2 (de) * | 1990-05-04 | 1994-07-21 | Restaurant Technology | System zur Zubereitung von Nahrungsmitteln und Verfahren. |
US5960705A (en) * | 1998-10-21 | 1999-10-05 | Sbjr Restaurant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food particles |
JP2003290050A (ja) * | 2002-04-02 | 2003-10-14 | Pfu Ltd | 加熱調理器 |
JP5156981B2 (ja) * | 2008-05-26 | 2013-03-06 | 株式会社マスダック | 焼き板の自動洗浄装置 |
JP5820977B2 (ja) * | 2009-05-13 | 2015-11-2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KR20110017705A (ko) * | 2009-08-14 | 2011-02-22 | 이복덕 | 전기 구이장치 |
JP2012209080A (ja) * | 2011-03-29 | 2012-10-25 | Rb Controls Co | Ihコンロ装置およびihコンロ用グリル調理器具 |
KR101314935B1 (ko) * | 2012-04-12 | 2013-10-04 | 왕태철 | 육류 구이기의 가열판 간격조절을 위한 모터의 제어장치 |
KR101440578B1 (ko) * | 2012-09-25 | 2014-09-17 | 한국식품연구원 | Rfid 태그와 nfc 태그를 이용한 실시간 물품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60028741A (ko) * | 2014-09-04 | 2016-03-14 | 라동균 | 청소유니트를 구비한 석쇠 |
KR101679177B1 (ko) * | 2016-02-16 | 2016-11-25 | 강성호 | 전동형 스크래핑 불판장치 |
KR101707641B1 (ko) * | 2016-05-16 | 2017-02-20 | 주식회사 포커스 | 누룽지 제조장치 |
US10244895B2 (en) * | 2016-08-31 | 2019-04-02 | Mark Fleming | Automated grill cleaning system |
KR101892995B1 (ko) * | 2018-06-04 | 2018-08-31 | 유영구 | 유통을 위한 육류처리 방법 |
KR102079651B1 (ko) * | 2018-08-21 | 2020-02-20 | 롯데알미늄(주) | 그릴 스테이션 및 패티 조리 시스템 |
JP6774998B2 (ja) * | 2018-11-29 | 2020-10-28 | ニチワ電機株式会社 | 両面焼き調理器 |
CN113473890B (zh) * | 2019-03-01 | 2024-04-23 | 索尼集团公司 | 烹饪机器人、烹饪机器人控制装置和控制方法 |
KR102157611B1 (ko) * | 2019-08-12 | 2020-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공지능 조리 기기 |
KR102380289B1 (ko) * | 2019-12-12 | 2022-03-29 | 대한민국 | 소고기 등급 판정 장치 및 방법 |
KR102311419B1 (ko) * | 2020-01-31 | 2021-10-12 | 전지은 | 진공 저온 조리기 |
KR102236974B1 (ko) * | 2020-09-04 | 2021-04-06 |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 이미지 기반 포장 육류 품질 분류 및 판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20220037631A (ko) * | 2020-09-18 | 2022-03-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220040225A (ko) * | 2020-09-23 | 2022-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KR20220078068A (ko) * | 2020-12-03 | 2022-06-10 | 주식회사 미트런랩 | 축산품의 등급을 판정할 수 있는 축산품 관리시스템 |
KR102549521B1 (ko) | 2021-01-20 | 2023-06-30 | 엑시노 주식회사 | 감광성 조성물을 위한 수지 |
KR102516025B1 (ko) * | 2022-08-23 | 2023-03-30 | 피플즈리그 주식회사 | 고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
2022
- 2022-10-20 KR KR1020220135630A patent/KR1025160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0-20 KR KR1020220135633A patent/KR1024984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0-20 KR KR1020220135637A patent/KR1024986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0-20 KR KR1020220135634A patent/KR1025006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0-20 KR KR1020220135636A patent/KR1025160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0-20 KR KR1020220135632A patent/KR1024984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0-20 KR KR1020220135631A patent/KR102552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0-20 KR KR1020220135635A patent/KR1024984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2-27 US US18/114,972 patent/US20240065476A1/en active Pending
- 2023-03-27 KR KR1020230039677A patent/KR20240027521A/ko unknown
- 2023-07-04 KR KR1020230086181A patent/KR20240027530A/ko unknown
- 2023-08-18 WO PCT/KR2023/012270 patent/WO2024043624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6223A (ko) * | 2015-04-23 | 2016-11-02 |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
KR20180134557A (ko) * | 2017-06-09 | 2018-12-19 | 이진희 |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8429B9 (ko) | 2023-11-13 |
KR102498429B1 (ko) | 2023-02-10 |
KR102500644B1 (ko) | 2023-02-16 |
KR102498602B1 (ko) | 2023-02-10 |
KR102498432B1 (ko) | 2023-02-10 |
KR102552897B1 (ko) | 2023-07-07 |
KR20240027521A (ko) | 2024-03-04 |
KR102498430B9 (ko) | 2023-11-13 |
WO2024043624A1 (ko) | 2024-02-29 |
KR102498602B9 (ko) | 2023-11-13 |
KR102498430B1 (ko) | 2023-02-10 |
KR102552897B9 (ko) | 2023-11-13 |
KR102516025B1 (ko) | 2023-03-30 |
KR20240027530A (ko) | 2024-03-04 |
KR102516026B9 (ko) | 2023-11-13 |
KR102498432B9 (ko) | 2023-11-13 |
US20240065476A1 (en) | 2024-02-29 |
KR102500644B9 (ko) | 2023-11-13 |
KR102516025B9 (ko) | 2023-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6026B1 (ko) | 육류 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 |
CN109998360A (zh) | 一种用于自动烹饪食物的方法和装置 | |
US10402980B2 (en) | Imaging system object recognition and assessment | |
CN108960315B (zh) | 一种调理肉制品品质智能评价系统及方法 | |
CN110806699A (zh) | 烹饪设备的控制方法、装置、烹饪设备及存储介质 | |
WO2022202410A1 (ja) | 判定装置、学習装置、判定システム、判定方法、学習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230140684A1 (en) | Edible oil deterioration level determination device, edible oil deterioration level determination system, edible oil deterioration level determination method, edible oil deterioration level determination program, edible oil deterioration level learning device, learned model for use in edible oil deterioration level determination, and edible oil exchange system | |
CN110132890A (zh) | 根据食材成分优化无人厨房烹饪操作的方法及装置 | |
EP2710527A1 (en) | Evaluation of animal products based on customized models | |
US20090274340A1 (e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assessing fat and muscle depth | |
Allen | Recent developments in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carcass and meat quality for industrial application | |
CN110288643A (zh) | 烹饪器具、烹饪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12856921B (zh) | 一种冰箱、冰箱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2565570B1 (ko) | 육류 숙성도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
Allen | New methods for grading beef and sheep carcasses | |
WO2022065074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11435447A (zh) | 识别留胚米的方法、装置和烹饪器具 | |
WO2023054100A1 (ja) | 食用油の劣化度判定装置、食用油の劣化度判定システム、食用油の劣化度判定方法、食用油の劣化度学習装置、および食用油の劣化度判定に用いられる学習済モデル | |
WO2022163435A1 (ja) | 学習装置、予測装置、学習方法、プログラム、及び、学習システム | |
Grimes et al. | Hyperspectral imaging: A non-invasive technique to predict beef tenderness | |
WO2024182367A1 (en) | A vision-based quality control and audit system and method of auditing, for carcass processing facility | |
JP2021082015A (ja) |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Naganathan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pectral imaging systems and algorithms for beef tenderness grading | |
Mladenov | Complex Assessment of Dairy and Meat Products Quality | |
Monteiro et al. | COBEM 2019-2035 IDENTIFICATION OF THE MARBLE MEAT STANDARD THROUGH THE NEURAL NETWORK FOR QUALITY GRA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