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223A -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 Google Patents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223A
KR20160126223A KR1020150057040A KR20150057040A KR20160126223A KR 20160126223 A KR20160126223 A KR 20160126223A KR 1020150057040 A KR1020150057040 A KR 1020150057040A KR 20150057040 A KR20150057040 A KR 20150057040A KR 20160126223 A KR20160126223 A KR 2016012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roasting
piece
uni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557B1 (ko
Inventor
윤일동
Original Assign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5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의 로스팅(ROASTING)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기를 최상의 상태로 시식할 수 있도록 익힘 상태를 표시해 주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불판 위 고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촬상 영상에서 고기 조각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 고기 조각 영상에 대하여 로스팅 타임을 카운팅하되,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고기 조각상에 혹은 고기 조각 영상에 마커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DEVICE FOR DISPLAY A ROASTING STATE OF MEAT}
본 발명은 고기의 로스팅(ROASTING)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기를 최상의 상태로 시식할 수 있도록 익힘 상태를 표시해 주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고기 소비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가정에서는 보통 전기 불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익혀 먹는 것이 일반적이고, 음식점 등에서는 여러 가지 열원을 사용하여 고기를 익혀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열원으로서 숯을 이용하는 방식, 가스를 이용하는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 전기 불판을 이용하는 방식, 장작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열원이 소개되고 있으며, 고기를 굽기 위한 불판 혹은 로스터기 역시 다양한 종류가 소개되고 있다.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져, 일반 소비자들은 고기를 태우지 않으면서 최상의 맛과 질감을 얻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비자들 혹은 음식점 종사자들은 시각적인 경험에 의해 고기를 익히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고기를 태우는 경우가 빈번하며, 태움의 정도 역시 열원 및 로스터기의 종류에 따라 순식간에 변화하기 때문에 맛있게 고기를 굽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고기의 두께, 열원의 온도를 고려하여 최상의 상태로 고기를 굽기 위한 보조장비가 제공된다면, 건강을 중요시하면서도 최상의 맛을 추구하는 현대의 소비자 니즈(needs)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는 휴대기기를 활용하여 최상의 상태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한다면,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최상의 상태로 고기를 구워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3374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판 위에 올려진 고기를 식별하여 로스팅 상태를 표시하여 최상의 상태로 시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기의 두께, 열원 혹은 불판의 온도를 감지하여 최상의 상태로 시식할 수 있도록 고기의 로스팅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는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최상의 상태로 고기를 시식할 수 있도록 고기의 로스팅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불판 위 고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촬상 영상에서 고기 조각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 고기 조각 영상에 대하여 로스팅 타임을 카운팅하되,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고기 조각상에 혹은 고기 조각 영상에 마커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된 혹은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고기의 두께값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상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표시부는 레이저 마커로서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를 표시하는 마커를 조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 탑재된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 가능한 앱 형태의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로서,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설정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상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상기 산출된 고기의 두께값 및 설정된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용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앱은 연결 가능한 불판 온도 감지기로부터 불판 온도를 전달받기 위한 불판 온도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불판 위에 올려진 고기를 식별한 후 고기가 최적의 상태로 구워질 수 있는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되, 고기 두께와 불판 온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여 알려줌으로써, 소비자는 최상의 상태로 로스팅된 고기를 섭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고기를 최적의 상태로 로스팅함에 있어 필요한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자동 감지하여 로스팅 타임을 조절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앱(app)의 형태로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사용 가능하므로, 모바일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별도의 장비 구입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최적의 상태로 로스팅된 고기를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스팅 상태 표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크게 불판 위 고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 촬상 영상에서 고기 조각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 고기 조각 영상에 대하여 로스팅 타임을 카운팅하되,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고기 조각상에 혹은 고기 조각 영상에 마커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불판과 그 불판 위에 놓여진 고기들은 컬러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촬상 영상에서 단순히 에지 검출기법을 이용해 고기 조각 영상만을 추출할 수 있고, 내부 메모리에 고기 두께별로 불판 온도와 최적의 로스팅 타임을 매핑하여 저장해 놓으면 상기 구성만으로도 간단한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를 구현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로스팅 상태를 마커 표시함에 있어, 상기 마커란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가 고기를 인식하였다는, 그리고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일종의 신호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상술한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컨트롤러 구성을 보다 구체화한 또 다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블럭 구성도들을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00)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예를 들어 에지 검출기법을 활용하여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210)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220)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설정된 혹은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고기의 두께값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물론 메모리(400)는 컨트롤러(200)의 일 구성요소로 원칩화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된 모듈로 시스템 구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모리(400)에는 컨트롤러(200)가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됨은 물론, 고기 두께별로 불판 온도와 최적의 로스팅 타임을 매핑해 놓은 테이블 데이터가 저장된다. 참고적으로 고기 두께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로스팅 타임은 적어도 3개의 타임 설정값들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제1설정값은 고기를 최초 뒤집어야 하는 타임값을 나타내며, 제2설정값은 최상의 상태로 로스팅되어 시식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타임값을, 제3설정값은 너무 오래 로스팅되어 시식 불가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타임값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한편, 카메라부(300)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에 일체화된 카메라일 수 있으며,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에 불판 위 고기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외장형 카메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300)는 불판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IR 카메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표시부(500)는 레이저 마커로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X)를 표시하는 마커를 조사한다.
상술한 구성 외에 상기 컨트롤러(200)는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상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면상에서 고기 조각의 두께에 해당하는 화소수를 카운트하면 고기 조각의 두께를 계산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자동 검출하여 로스팅 타임 카운트에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동작은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불판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방식의 불판 온도 감지부(600)와, 고기의 두께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00)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210)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220)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된 혹은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로부터 획득된 고기의 두께값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역시 유저 인터페이스부(100)를 대신하여 고기의 두께를 자동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부(500)는 구현 방식에 따라 레이저 마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마커는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를 표시하는 마커를 조사한다.
구현 방식에 따라 상기 표시부(500)는 카메라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로서,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는 상기 표시부(500)상에 표시되는 각 고기 조각 영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 마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음식점에서 휴대 혹은 거치 사용 가능한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상술한 컨트롤러(200)에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각 기능을 모듈화하여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일명 앱)으로 만들어 일반인들에게 배포할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 탑재된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 가능한 앱 형태의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역시,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설정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상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상기 산출된 고기의 두께값 및 설정된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이고,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각 고기 조각 영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불판 온도를 자동 감지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연결 가능한 불판 온도 감지기로부터 불판 온도를 전달받기 위한 불판 온도 수신부를 상기 앱에 더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 앱 형태로 탑재 가능한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공통된 동작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스팅 상태 표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혹은 앱 형태의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를 이용하여 고기의 로스팅 상태 표시를 서비스 받고자 하는 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고기 두께와 불판 온도를 입력 설정(S10단계)한다.
불판 온도 감지부(600)와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240)가 구비된 경우라면 불판 위에 고기를 올려놓기 전 불판 온도를 감지하고, 카메라부(300)를 통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고기 조각의 두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기기 조작한다.
고기 두께와 불판 온도의 입력 혹은 자동 측정이 이루어지면, 고기 조각 추출부(210)는 카메라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한다. 영상신호가 존재하면 고기 조각 추출부(210)는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에지검출기법을 이용하여 추출(S12단계)한다.
고기 조각 추출과 연동하여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220)는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S14단계)한다.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는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설정된 혹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고기의 두께값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한다.
예를 들어,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는 하나의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이 고기 두께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 중 제1설정값 이상인가를 우선 체크(S16단계)한다. 여기서 제1설정값은 고기를 최초 뒤집어야 하는 타임값이고, 이후 설명될 제2설정값은 최상의 상태로 로스팅되어 시식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타임값이며, 제3설정값은 너무 오래 로스팅되어 시식 불가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타임값이다.
만약 S16단계에서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이 제1설정값 이상이면,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는 도 4에 도시된 고기 조각 B 상에 "뒤집음(∧)" 마커 표시되도록 표시부(500)를 제어(S18단계)한다.
이후 사용자가 고기를 뒤집으면 색 변화를 통해 고기 조각 추출부(210)는 고기가 뒤집어진 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다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220)는 로스팅 타임을 다시 카운트하고, 이러한 로스팅 타임을 저장된 제2설정값과 비교(S20단계)하는 방식으로 "시식가능 마커(○)"를 표시(S22단계)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는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220)에서 하나의 고기 조각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을 제2설정값과 비교(S20단계)하여 제2설정값 초과시 "시식가능 마커(○)"를 표시(S22단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식으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230)는 S24단계와 S26단계를 통해 제3설정값 초과하여 계속 구워지고 있는 고기 조각에 대해서는 "시식불가 마커(X)"를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를 통해 로스팅 상태에 따라 고기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 사인을 전달받아 제때에 고기를 뒤집거나 시식할 수 있으며, 너무 과다하게 타 버린 고기는 건강을 위해 섭취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불판 위에 올려진 고기를 식별한 후 고기가 최적의 상태로 구워질 수 있는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되, 고기 두께와 불판 온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여 알려줌으로써, 소비자는 최상의 상태로 로스팅된 고기를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고기를 최적의 상태로 로스팅함에 있어 필요한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자동 감지하여 로스팅 타임을 조절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앱(app)의 형태로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사용 가능하므로, 모바일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별도의 장비 구입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최적의 상태로 로스팅된 고기를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불판 위 고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촬상 영상에서 고기 조각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 고기 조각 영상에 대하여 로스팅 타임을 카운팅하되,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카운트하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고기 조각상에 혹은 고기 조각 영상에 마커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2. 고기의 두께와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전달된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된 혹은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고기의 두께값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상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레이저 마커로서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를 표시하는 마커를 조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5. 불판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불판 온도 감지부와;
    고기의 두께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된 혹은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로부터 획득된 고기의 두께값 및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상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레이저 마커로서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를 표시하는 마커를 조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카메라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이고,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각 고기 조각 영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 마커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9.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 탑재된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 가능한 앱 형태의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로서, 상기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는,
    불판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설정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상된 고기 조각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두께 산출부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불판에 올려진 하나 이상의 고기 조각을 추출하기 위한 고기 조각 추출부와;
    추출된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타임을 개별 카운트하기 위한 로스팅 타임 카운터부와;
    각 고기 조각에 대하여 카운팅되는 로스팅 타임과 상기 산출된 고기의 두께값 및 설정된 불판 온도에 대응하는 로스팅 타임을 비교하여 각 고기 조각의 현재 로스팅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시 제어하기 위한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고기 조각의 로스팅 상태를 시각 데이터로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연결 가능한 불판 온도 감지기로부터 불판 온도를 전달받기 위한 불판 온도 수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이고, 상기 로스팅 상태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각 고기 조각 영상에 고기 인식, 뒤집음, 시식가능, 시식불가 마커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KR1020150057040A 2015-04-23 2015-04-23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KR10167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040A KR101678557B1 (ko) 2015-04-23 2015-04-23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040A KR101678557B1 (ko) 2015-04-23 2015-04-23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223A true KR20160126223A (ko) 2016-11-02
KR101678557B1 KR101678557B1 (ko) 2016-11-22

Family

ID=5751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040A KR101678557B1 (ko) 2015-04-23 2015-04-23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557A (ko) 2017-06-09 2018-12-19 이진희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07473B1 (ko) * 2019-08-23 2020-05-07 (주) 피큐아이넷 스마트 온도 제어 장치
KR102516026B1 (ko) * 2022-08-23 2023-03-30 피플즈리그 주식회사 육류 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8910A (ja) * 1991-03-11 1994-10-06 ジセデ・アンジエニエリー 加熱装置の制御装置
JPH10238785A (ja) * 1997-02-28 1998-09-08 Sharp Corp 電子レンジ
JP2002364855A (ja) * 2002-04-08 2002-12-18 Sharp Corp 料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調理装置
KR100473374B1 (ko) 2004-06-30 2005-03-14 추성남 구이판 온도 자동 조절이 가능한 구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12079A (ko) * 2012-01-16 2014-09-22 세브 에스아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8910A (ja) * 1991-03-11 1994-10-06 ジセデ・アンジエニエリー 加熱装置の制御装置
JPH10238785A (ja) * 1997-02-28 1998-09-08 Sharp Corp 電子レンジ
JP2002364855A (ja) * 2002-04-08 2002-12-18 Sharp Corp 料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調理装置
KR100473374B1 (ko) 2004-06-30 2005-03-14 추성남 구이판 온도 자동 조절이 가능한 구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12079A (ko) * 2012-01-16 2014-09-22 세브 에스아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557A (ko) 2017-06-09 2018-12-19 이진희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07473B1 (ko) * 2019-08-23 2020-05-07 (주) 피큐아이넷 스마트 온도 제어 장치
KR102516026B1 (ko) * 2022-08-23 2023-03-30 피플즈리그 주식회사 육류 조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52897B1 (ko) * 2022-08-23 2023-07-07 피플즈리그 주식회사 고기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한 조리법 결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557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157290U (zh) 烹饪辅助器具
US108199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mperature sensing in cooking appliance with data fusion
US11268702B2 (en) Heating power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EP2930433B1 (en) Oven comprising a scanning system
KR101777692B1 (ko) 밥솥 작동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240008674A1 (en) Cooking system with error detection
KR101678557B1 (ko) 고기 로스팅 상태 표시기
US20170055755A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heating an inner cooking pan of an induction cooking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90057202A (ko) 무선 제어 요리 시스템
KR20190057020A (ko) 요리 시스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07303804A (ja) ふきこぼれ検知装置、ふきこぼれ検知方法及びふきこぼれ検知プログラム
US20180152995A1 (en) Heating cooker
KR20160107719A (ko) 요리 데이터에 기반한 레시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457954A (zh) 智能称量装置及方法
KR102005404B1 (ko)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7149466B2 (ja) 加熱調理器
EP3449400A1 (en) A food monitoring system
WO2019209371A1 (en) Cooking system for tracking a cooking device
US20200025387A1 (en) Cooktop appliance and engagement system
CN107783432A (zh) 一种烹饪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12925215A (zh) 烹饪辅助系统
CN106855392A (zh) 煎烤条件分析系统与方法
WO2019127650A1 (zh) 智能烤箱
CN110579985A (zh) 一种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2150243B1 (ko) 커피 로스팅 색도 측정 시스템과 그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