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039B1 -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039B1
KR102515039B1 KR1020220013748A KR20220013748A KR102515039B1 KR 102515039 B1 KR102515039 B1 KR 102515039B1 KR 1020220013748 A KR1020220013748 A KR 1020220013748A KR 20220013748 A KR20220013748 A KR 20220013748A KR 102515039 B1 KR102515039 B1 KR 102515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achining
support
processing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 교 정
Original Assignee
세 교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 교 정 filed Critical 세 교 정
Priority to KR102022001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대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회전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회전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전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Rotatable 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 밀링, 머시닝센터, 건드릴 등과 같은 공작기계는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장치이다. 이중 상기 머시닝센터는 가공물을 클램핑한 상태로 다수의 툴을 교체하면서 원호, 드릴, 홈 등의 각종 가공을 행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기술은 피가공물을 단일의 베드상에 클램핑한 상태에서 머시닝센터(또는 밀링머신)에 의한 가공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가공물의 일측면에 집약된 가공만이 가능하였다.
즉, 수직, 수평의 가공이 복합된 피가공물에 있어서는 베드상의 가공물 클램핑 위치를 교체하여 재 클램핑해야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동일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다방면을 한 번의 클램핑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핑한 피가공물이 머시닝 센터에 의해 가공될 때 제1 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모든 면이 한번에 가공 가능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구현한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대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회전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회전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전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부는, 다각형 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직접 회전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 중앙에 위치하며, 피가공물이 끼움 고정되도록 상측에 끼움홈이 구비되는 피가공물 끼움베드;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을 세 방향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분을 가압 고정하는 제1 파지암;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의 일측 부분을 가압 고정하는 제2 파지암; 및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의 타측 부분을 가압 고정하는 제3 파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는,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의 상부에서 상, 하, 전, 후, 좌, 우로 이동 조절하면서 가공툴에 의해 가공 작동하는 머시닝 센터 수단; 및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의 가공툴 일측에 레이져에 의해 레이져빔을 주사하면서 가공위치 및 가공정도를 광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의 가공툴은, 그 가공방향과 레이져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을 관통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지지스크류; 상기 지지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피가공물의 가공 시 상기 지지스크류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며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중부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지지대와 대향하면서 하부 경사면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하부 경사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중부지지대로 전달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지지체 받침대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중부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 경사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며, 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유도유닛이 연결 설치되는 중부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핑한 피가공물이 머시닝 센터에 의해 가공될 때 제1 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모든 면이 한번에 가공 가능한 위치에 놓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제1 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제1 회전부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제1 회전부의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피가공물 끼움베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회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제1 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제1 회전부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제1 회전부의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피가공물 끼움베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회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10)는, 몸체(100), 제1 회전부(200) 및 제2 회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작업대를 이룰 수 있다. 즉, 이러한 베이스 작업대 상면에 제1 회전부(200)가 결합될 수 있고, 측면에 제2 회전부(30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회전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200)와 상기 몸체(100)를 결합시켜 제1 회전부(200)를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모듈(미도시)은 일반적인 회전모듈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회전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회전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를 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부(300)와 상기 몸체(100)를 결합시켜 제2 회전부(300)를 전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모듈(미도시)은 일반적인 회전모듈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회전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 피가공물 끼움베드(220), 지지부(230) 및 파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다각형 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와 직접 회전 결합되어 회전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가공물 끼움베드(2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며, 피가공물(S)이 끼움 고정되도록 상측에 끼움홈(222)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피가공물(S)은 소켓 형태로 형성되고, 끼움베드(220)의 끼움홈을 포함한 직경은 피가공물(S)의 소켓 내부의 내직경에 대응되게 설계되어 피가공물(S)이 끼움홈에 긴밀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2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분(S1)을 지지할 수 있다.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분(S1)은 가공 중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여 가공의 질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230)를 통해 한번 더 지지를 하여 가공 시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파지부(240)는,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을 세 방향에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파지부(240)는 예를 들어,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의 주위에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수직으로 120도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파지부(240)는, 제1 파지암(241), 제2 파지암(242) 및 제3 파지암(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지암(241)은, 지지부(230)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분(S1)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제2 파지암(242)은,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의 일측 부분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제3 파지암(243)은,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의 타측 부분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지암(241), 제2 파지암(242) 및 제3 파지암(243)은, 기존에 공지되어 있거나 향후 개발될 관절이 있는 로봇암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가공물(S)이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되고 난 후 작업자의 제어부(미도시) 조작에 따라 피가공물(S)쪽으로 파지암이 이동하며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지암(241), 제2 파지암(242) 및 제3 파지암(243)은, 피가공물(S)을 파지 시에 미끄럼 방지와 강한 고정력 전달을 위해 피가공물을 파지 고정하는 부위, 즉, 암의 끝부분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10)는, 머시닝 센터 수단(400) 및 가공 제어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머시닝 센터 수단(400)은,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의 상부에서 상, 하, 전, 후, 좌, 우로 이동 조절하면서 가공툴(T)에 의해 가공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400)의 가공툴(T)은, 그 가공방향과 레이져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가공 제어 수단(500)은,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의 가공툴 일측에 레이져에 의해 레이져빔을 주사하면서 가공위치 및 가공정도를 광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10)를 통한 피가공물(S)의 가공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피가공물(S)을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을 시킨 후, 이 상태에서 머시닝 센터 수단(400)의 가공툴(T)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형상 가공을 행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400)은 레이져(미도시)에서 레이져빔을 주사하면서 광센서에 의해 가공물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가공툴(T)에 의해 수직의 통로공 등 가공 부위를 기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일정 깊이로 가공한다.
이 상태에서 머시닝 센터 수단(400)이 이동하여 상기 가공툴(T)의 일측에 구비된 레이져(25)에 의해 가공부위로 레이져빔을 주사하면서 광센서(26)에 의해 감지 작동을 행한다.
즉 상기 수직의 통로공 등 가공부위의 가공위치 및 가공된 깊이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가공툴(T)의 상, 하, 전, 후, 좌, 우 이동조절은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400)의 레이져(미도시)에서 주사된 레이져빔에 의해 광센서가 감지하여 그 좌표값을 정확히 인지하거나 기타의 데이터값으로 인식할 수 있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이져에 의해 가공툴(T)의 피가공물(S) 가공위치를 맞추는 작업은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400)의 가공툴(T)의 가공방향과 레이져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즉, 상기 레이져에 의해 주사되는 레이져빔이 맞닿는 경우에 가공툴(T)은 동일한 가공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공위치의 제어가 간편하고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400)의 가공툴(T)의 이동범위와 가공각도로는 피가공물(S)의 다른 면들을 가공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회전부(200)와 제2 회전부(300)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몸체(100)를 회전시켜 피가공물(S)의 다른 면을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작업자의 제어부(미도시) 조작을 통해 제1 회전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좌, 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의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S)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머시닝 센터 수단(400)의 가공툴(T)의 이동범위와 가공각도로는 가공 불능한 범위까지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회전부(300)는 몸체(100)와 회전모듈로 결합되어 몸체(100)를 전, 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의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S)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머시닝 센터 수단(400)의 가공툴(T)의 이동범위와 가공각도로는 가공 불능한 범위까지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10)의 지지부(230)는, 하우징(231), 탄성체(232), 지지판(233) 및 막대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31)은,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32)는, 하우징(232)의 바닥에 안착되고 지지판(233)과 맞닿는 면에 지지판과 맞물리도록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33)은, 상기 탄성체(232)의 상측에 상기 탄성체(232)가 접합되는 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막대부(234)는, 상기 탄성체(232)가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지지판(233)에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는 봉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홈 또는 굴곡의 깊이는 0.1mm 내지 0.5mm이며, 간격은 0.7mm 내지 1.5mm이고, 형상은 환형 또는 사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233)의 표면적은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판의 표면적에 비하여 120% 내지 180%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30)는, 지지판(233)의 일면이 탄성체(232)와 결합되고, 또 다른 일면은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의해 끼움 고정되지 않는 피가공물 부위(S1)를 지지하여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상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지지판(233)에 홈 또는 굴곡 등이 형성되어 있어 접촉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접합되는 탄성체(232)와의 접합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착력 향상 효과는 가공 시 발생하는 강한 진동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확보까지 이어지게 된다.
제조 비용을 고려할 때 에는 환형 또는 사선형이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가공의 용이성까지 고려할 경우에는 환형의 형태가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233)의 직경은 10~30Ø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탄성체(232)와 지지판(233)의 접합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는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라면 탄성체(232)의 부재 등을 고려하여 접착제의 종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32)에도 홈 또는 굴곡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접촉 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232)와 지지판(233) 각각에 형성된 홈 또는 굴곡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경우, 보다 향상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홈 또는 굴곡의 깊이는 0.1~0.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깊이가 0.1mm미만인 경우에는 접합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접합력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며, 0.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체(232)가 지지판(233)에 접합되는 면의 총 면적이 오히려 감소하여 접합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깊은 홈 또는 굴곡으로 인하여 탄성체(232)를 지지판(233)에 접합시키기 위한 강력한 압착력이 요구되게 된다.
상기 홈 또는 굴곡 사이의 간격은 0.7~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 0.7mm미만인 경우에는 너무 협소한 간격으로 인하여 평평한 면에 비해 접촉 면적 향상 효과가 적으며 가공 또한 용이하지 않고, 1.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접합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접합력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간격이란 탄성체(232)의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있어, 골과 골 혹은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지지판(233)의 표면적은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판의 표면적에 비하여 120~180% 증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120%미만인 경우에는 접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1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과도하게 형성된 홈 또는 굴곡에 의하여 탄성체(232)와의 접합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230)의 구성에 의하여, 피가공물 끼움베드(220)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위(S1)를 지지하여, 가공 시에 유동될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밀한 가공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100. 몸체
200. 제1 회전부
300. 제2 회전부
400. 머시닝 센터 수단
500. 가공 제어 수단

Claims (3)

  1.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대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회전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회전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전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다각형 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직접 회전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 중앙에 위치하며, 피가공물이 끼움 고정되도록 상측에 끼움홈이 구비되는 피가공물 끼움베드;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을 세 방향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되지 않은 피가공물 부분을 가압 고정하는 제1 파지암;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의 일측 부분을 가압 고정하는 제2 파지암; 및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에 끼움 고정된 피가공물의 타측 부분을 가압 고정하는 제3 파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피가공물 끼움베드의 상부에서 상, 하, 전, 후, 좌, 우로 이동 조절하면서 가공툴에 의해 가공 작동하는 머시닝 센터 수단; 및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의 가공툴 일측에 레이져에 의해 레이져빔을 주사하면서 가공위치 및 가공정도를 광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머시닝 센터 수단의 가공툴은, 그 가공방향과 레이져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안착되는고 지지판과 맞닿는 면에 지지판과 맞물리도록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상측에 상기 탄성체가 접합되는 면에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탄성체가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지지판에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는 봉 형상의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 또는 굴곡의 깊이는 0.1mm 내지 0.5mm이며, 간격은 0.7mm 내지 1.5mm이고, 형상은 환형 또는 사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판의 표면적은 홈 또는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판의 표면적에 비하여 120% 내지 180%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13748A 2022-01-28 2022-01-28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KR102515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748A KR102515039B1 (ko) 2022-01-28 2022-01-28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748A KR102515039B1 (ko) 2022-01-28 2022-01-28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039B1 true KR102515039B1 (ko) 2023-03-27

Family

ID=8579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748A KR102515039B1 (ko) 2022-01-28 2022-01-28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0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83A (ko) * 2014-12-26 2016-07-06 박찬문 수직회전과 수평회전이 가능한 클램핑지그
KR102055168B1 (ko) * 2019-07-01 2019-12-12 (주)대성하이텍 개량된 정렬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83A (ko) * 2014-12-26 2016-07-06 박찬문 수직회전과 수평회전이 가능한 클램핑지그
KR102055168B1 (ko) * 2019-07-01 2019-12-12 (주)대성하이텍 개량된 정렬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024B2 (ja) 工作機械
US7625162B2 (en) Machine tool comprising an adjustable clamping table for workpieces
KR101312037B1 (ko) 공작 기계의 채터링 진동 억제장치
JP4969457B2 (ja) 首部研削装置
ATE260161T1 (de) Einrichtung zum positionsdefinierten aufspannen eines werkstücks im arbeitsbereich einer bearbeitungsmaschine
CN101254550B (zh) 转塔刀架及机床
CN110303494B (zh) 机器人加工系统
US20200398392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workpiece and a tool with respect to one another
JP4653107B2 (ja) ツールホルダーにおける振動及び変位の減衰のための装置
KR102515039B1 (ko) 머시닝 센터 가공을 위한 회전 가능한 클램핑 장치
US20060011700A1 (en) Vibration welding machine
KR101803783B1 (ko) 가공원점 설정이 가능한 절삭장치
KR102582955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클램핑 장치
JP6809310B2 (ja) 電磁チャック装置の制御方法、及び電磁チャック装置
KR20210148663A (ko) 가공물 고정 장치
JPH09277078A (ja) レーザ加工装置
JP5101198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ワーク位置決め装置
CN210388398U (zh) 机床用夹具
CN109570533B (zh) 机床
KR102506268B1 (ko) 방진구를 갖는 공작 기계
JP6834827B2 (ja) ガラス基板の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並びにガラス基板の加工機
US20230330799A1 (en) Machine tool
JP2008110419A (ja) 静圧案内テーブ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工作機械
KR102642231B1 (ko)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EP3750463A1 (en) Single-brush rotary-orbita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