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231B1 -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231B1
KR102642231B1 KR1020230166139A KR20230166139A KR102642231B1 KR 102642231 B1 KR102642231 B1 KR 102642231B1 KR 1020230166139 A KR1020230166139 A KR 1020230166139A KR 20230166139 A KR20230166139 A KR 20230166139A KR 102642231 B1 KR102642231 B1 KR 102642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frame
work table
coupled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세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16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7Weight compensa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Vibration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stationary work-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다리를 포함하고 바닥을 지지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A device for surface treatment of the upper part of a suspension plate}
본 발명은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지 테이블이 유지한 웨이퍼를 연삭 지석으로 연삭하는 연삭 장치(예컨대,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5037255호 공보 참조)에서는, 연삭 중인 연삭 지석에 가공열을 축열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연삭 지석과 웨이퍼의 접촉 부분에 연삭수를 공급하여, 제열과, 연삭 부스러기의 제거를 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가공될 판재가 올려진 테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서스 판재 상부를 정밀하게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는, 작업다리를 포함하고 바닥을 지지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일측프레임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타측프레임부; 상기 일측프레임부와 타측프레임부를 상측에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부; 상기 일측프레임부 및 타측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하는 작업프레임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중앙에 사각판 형상으로 설치되어 가공될 판재를 올려놓는 서브테이블; 및 상기 서브테이블의 상부에서 하부 작업테이블로 압력을 가해 서브테이블이 작업테이블의 상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프레임부 및 타측프레임부는,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슬라이딩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수평슬라이딩모듈; 및 상기 수평슬라이딩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작업프레임부를 승하강 슬라이동 이동시키는 수직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프레임부는, 상기 수직슬라이딩모듈에 결합되는 작업프레임; 상기 작업프레임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롤러; 상기 작업프레임 하부 타측에 결합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며 하측 서브테이블에 올려진 가공될 판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처리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저감모듈은, 납작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푸시부; 상기 하우징의 양측 벽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설치되는 탄성체부; 상기 탄성체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부에 의한 압력과 상기 탄성체부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푸시볼;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 측면 및 탄성체부의 하부를 동시에 지지하고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저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공될 판재가 올려진 테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서스 판재 상부를 정밀하게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프레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테이블 및 고정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저감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평탄도 교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고정유닛 및 지그판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고정유닛 및 전장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저감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10)는, 작업테이블(100), 일측프레임부(200), 타측프레임부(300), 연결프레임부(400), 작업프레임부(500), 서브테이블(600) 및 고정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테이블(100)은, 작업다리(110)를 포함하고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각테이블 형태의 작업테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업다리(110)는, 각 모서리마다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측프레임부(2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측프레임부(3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부(400)는, 상기 일측프레임부(200)와 타측프레임부(300)를 상측에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프레임부(500)는, 상기 일측프레임부(200) 및 타측프레임부(300)에 결합되어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작업프레임부(500)는, 작업프레임(510), 제1 롤러(520), 제2 롤러(530) 및 표면처리띠(54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프레임(510)은, 상기 수직슬라이딩모듈에(220) 결합되어 승하강 이동할 수 있다.
제1 롤러(520)는, 상기 작업프레임(510) 하부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2 롤러(530)는, 상기 작업프레임(510) 하부 타측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할 수 있다.
표면처리띠(540)는, 상기 제1 롤러(520) 및 제2 롤러(530)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며 하측 서브테이블(600)에 올려진 가공될 판재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다.
즉, 수직슬라이딩모듈(220)에 의해 작업프레임()이 승하강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1 롤러(520) 및 제2 롤러(530)에 의하여 무한궤도 운동하고 있는 표면처리띠(540)도 승하강 이동하게 된다. 표면처리띠(540)가 하강 운동하여 서브테이블(600)에 올려진 가공될 판재에 접촉하게 되고, 표면처리띠(540)가 무한궤도 운동하며 가공될 판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테이블(600)은,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중앙에 사각판 형상으로 설치되어 가공될 판재가 올려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공될 판재는 예를 들어 SUS 판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유닛(700)은, 상기 서브테이블(600)의 상부에서 하부 작업테이블(100)로 압력을 가해 서브테이블(600)이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측프레임부(200) 및 타측프레임부(300)는, 수평슬라이딩모듈(210) 및 수직슬라이딩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슬라이딩모듈(210)은,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슬라이딩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은 일반 레일, 스크류 레일 등과 같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레일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테이블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이 있고, 상기 프레임 위에 스크류 레일과 스크류 레일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체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직슬라이딩모듈(220)은, 상기 스크류 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슬라이딩모듈(220)은, 상기 수평슬라이딩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작업프레임부를 승하강 슬라이동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은 일반 레일, 스크류 레일 등과 같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레일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다리(110)는, 하부에 바닥으로 또는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충격저감모듈(80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저감모듈(800)은, 납작한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우징(810),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푸시부(820), 상기 하우징의 양측 벽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설치되는 탄성체부(830), 상기 탄성체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부에 의한 압력과 상기 탄성체부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푸시볼(840)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 측면 및 탄성체부의 하부를 동시에 지지하고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저감모듈(8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저감모듈(800)은, 탄성체부로 전달되거나, 작업다리(110)로부터 탄성체부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작업테이블(10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테이블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표면처리 작업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감모듈(850)은, 상기 탄성체부(830)와 하우징(8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지지체(860)와 하지지체(870)에 의해 중앙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감모듈(850)은, 제1 저감바디(852), 제1 저감스프링(853), 홈부(854), 제2 저감바디(855) 및 제2 저감스프링(8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감바디(852)는, 상기 하우징(810)의 하부 내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저감스프링(853)에 의해 상하좌우측이 지지됨으로써, 상화좌우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1 저감스프링(853)은, 상기 제1 저감바디(852)의 상하좌우 방향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저감바디(852)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홈부(854)는, 상기 제1 저감바디(852)의 전면을 따라 “+” 형상으로 전방으로 둥글게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저감바디(855)는, 상기 홈부(854)의 형상에 대응하여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홈부(85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홈부(854)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저감바디(855)는, 제2 저감스프링(856)에 의해 상화좌우측이 지지됨으로써, 상하좌우측으로 발생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저감스프링(856)은, 상기 제2 저감바디(855)의 상하좌우측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방향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저감바디(855)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저감모듈(850)은, 작업다리로 또는 작업테이블로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켜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700)은, 상기 서브테이블(600)의 상부에서 하부 작업테이블(100)로 압력을 가해 서브테이블이 작업테이블(100)의 상부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가공되는 판재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작업 정밀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700)은, 제1 고정암(710), 제2 고정암(720), 결합부(900) 및 컨트롤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암(710)은, 제2 고정암(720) 보다 길게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테이블(600)의 상부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암(720)은, 제1 고정암(710) 보다 짧게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테이블(600)의 상부면을 하측으로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암(710)과 제2 고정암(720)을 통해 서브테이블(600)의 상부면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컨트롤부(730)는, 상기 제1 고정암(710)과 제2 고정암(720)의 후방이 서로 교차되어 결합되어 생기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일반적인 그립 플라이어 공구의 뒷 부분과 같이 조임볼트가 형성되어 제1 고정암과 제2 고정암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결합부(900)는, 제1 고정암(710)과 제2 고정암(720)의 관통홀에 동시에 체결되어 고정할 수 있는 연결 결합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900)는, 몸체부(910), 관통부(920), 제1 기둥부(930) 및 제2 기둥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결합부(900)의 최상단에는 제1 기둥부(9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기둥부(930)는 몸체부(910)의 중앙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암(710) 및 제2 고정암(720)의 관통홀의 상단에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둥부(930)의 하측에 위치한 몸체부(910)는 제1 기둥부(930)의 내측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둥부(930)의 하측 양단에는 몸체고정부(93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몸체고정부(933)에 의하여 내측에 삽입된 몸체부(91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몸체고정부(933)는 제1 기둥부(930)의 하측 양단에 위치하되 제1 기둥부(930)의 측면을 관통하여 내측에 위치한 몸체부(910)의 상단을 가압하여 몸체부(910)가 제1 기둥부(930)의 하단에 고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900)는 관통부(920)와 몸체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부(920)는 이형철근이나 강관 및 강선으로 구성되어, 제1 고정암과 제2 고정암의 관통홀 내에 삽입되며, 선두측의 몸체부(910)에 의해 관통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관통부(92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 있어 회전하며 제1 고정암 및 제2 고정암의 관통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고정암과 제2 고정암의 관통홀을 쉽게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관통부(920)는 제1 고정암과 제2 고정암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몸체부(910)는 관통부(9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관통부(920)를 제1 고정암과 제2 고정암에 형성된 관통홀 내에 삽입하는 것으로, 제1 기둥부(930) 및 제2 기둥부(950)가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몸체부(910)는 관통부(920)의 상단측에 구성되며, 고정체(913)와 날개부(911)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고정체(913)는 날개부(911)의 상단을 보호하며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체(913)는 제1 기둥부(93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고정체(913)의 직경은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체(913)의 하단은 날개부(911)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은 날개부(91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1 기둥부(93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체(913)와 제1 기둥부(930)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결합 시에는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날개부(911)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수직으로 4등분된 채 형성될수 있다.
즉, 날개부(911)는 4개로 분할 절단된 조각들이 모여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분할 절단된 조각들이 벌려진 채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날개부(911)는 결합부(900) 하단의 관통부(920)가 관통홈 내에 삽입된 후 충격을 흡수하는 날개 구조의 구성으로 고정체(913)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 절단되어 나눠지는데, 이 절단면이 정면상 균등한 위치에 네 개 또는 다수 개 형성되어, 정면상 균등한 날개부(9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날개부(911)의 분할 절단된 조각들의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 절단된 조각들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수축될 때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기둥부(950)는 관통부(920)의 상단에 위치하며 관통부(920)가 하단 내측에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날개부(911)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둥부(950)는 관통부(920)로부터 날개부(911)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최상단은 날개부(911)의 분할 절단된 절단면들이 서로 밀착한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둥부(950)는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통부(920)가 관통홈에 삽입된 후 제2 기둥부(950)에 의하여 제2 기둥부(950)의 상단에 위치한 몸체부(910), 제1 기둥부(930)가 관통홈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9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날개부의 다른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날개부(911)는 제1 날개(9111), 제2 날개(9112), 제3 날개(9113), 제4 날개(9114), 부착부(9117) 및 관통기둥부(9115)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911)는 관통기둥부(9115)가 외측면에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날개부(911)의 분할 절단된 각 조각인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된 후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의 각 절단면 사이에는 스프링 등의 수축 이완이 가능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 따라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의 사이 간격이 일시적으로 좁혀진 뒤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즉, 날개부(911)의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구동함에 따라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위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기둥부(9115)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날개부(911)의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는 관통기둥부(9115)에 의하여 수축 구동이 완료된 후 제자리로 돌아가는 구동이 보다 수월하게 구동될 수 있다.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의 외주면에는 관통기둥부(9115)가 안착할 수 있도록 관통기둥부(9115)의 형상대로 홈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기둥부(9115)가 원형 모양인 경우 원형 모양으로 홈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고, 관통기둥부(9115)가 사각진 모양인 경우 사각진 모양으로 홈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의 하단에는 관통기둥부(9115)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볼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관통기둥부(9115)는 제1 유동체 내지 제4 유동체 (5111, 5112, 5113, 5114)의 홈 하단에 형성된 볼에 의하여 제1 유동체 내지 제4 유동체 (5111, 5112, 5113, 5114)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축 구동이 완료된 후 제자리로 구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의 외면에는 자석스티커 등의 자성을 띄게 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의 외면은 자성을 띌 수 있어 부착부(9117)가 부착될 수 있다.
부착부(9117)는 관통기둥부(9115)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자성을 띄고 있어 제1 날개 내지 제4 날개(9111, 9112, 9113, 9114)의 외주면에 자성에 의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00)의 구성으로 인해 제1 고정암(710)과 제2 고정암(720)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서브테이블(600) 또한, 작업테이블(100)의 중앙 상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결국은 작업의 정밀성 및 품질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Claims (3)

  1. 작업다리를 포함하고 바닥을 지지하는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일측프레임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타측프레임부;
    상기 일측프레임부와 타측프레임부를 상측에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부;
    상기 일측프레임부 및 타측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하는 작업프레임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중앙에 사각판 형상으로 설치되어 가공될 판재를 올려놓는 서브테이블; 및
    상기 서브테이블의 상부에서 하부 작업테이블로 압력을 가해 서브테이블이 작업테이블의 상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프레임부 및 타측프레임부는,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슬라이딩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수평슬라이딩모듈; 및
    상기 수평슬라이딩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작업프레임부를 승하강 슬라이동 이동시키는 수직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프레임부는,
    상기 수직슬라이딩모듈에 결합되는 작업프레임;
    상기 작업프레임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롤러;
    상기 작업프레임 하부 타측에 결합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며 하측 서브테이블에 올려진 가공될 판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처리띠;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다리는,
    하부에 바닥으로 또는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충격저감모듈;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격저감모듈은,
    납작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푸시부;
    상기 하우징의 양측 벽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설치되는 탄성체부;
    상기 탄성체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부에 의한 압력과 상기 탄성체부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푸시볼;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 측면 및 탄성체부의 하부를 동시에 지지하고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저감모듈;을 포함하는,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166139A 2023-11-24 2023-11-24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KR10264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139A KR102642231B1 (ko) 2023-11-24 2023-11-24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139A KR102642231B1 (ko) 2023-11-24 2023-11-24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231B1 true KR102642231B1 (ko) 2024-02-29

Family

ID=9004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6139A KR102642231B1 (ko) 2023-11-24 2023-11-24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2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346A (ja) * 1998-09-18 2000-04-04 Japan Nuclear Fuel Co Ltd<Jnf> 分析用試料切り出し装置用の金属板材保持装置
KR101650405B1 (ko) * 2015-04-06 2016-08-23 박길미 자동 정밀 사상 장치
KR102135385B1 (ko) * 2020-03-31 2020-07-17 신현조 각도변형이 가능한 지그가 포함된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346A (ja) * 1998-09-18 2000-04-04 Japan Nuclear Fuel Co Ltd<Jnf> 分析用試料切り出し装置用の金属板材保持装置
KR101650405B1 (ko) * 2015-04-06 2016-08-23 박길미 자동 정밀 사상 장치
KR102135385B1 (ko) * 2020-03-31 2020-07-17 신현조 각도변형이 가능한 지그가 포함된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162B2 (en) Machine tool comprising an adjustable clamping table for workpieces
KR101758981B1 (ko) 소재 고정용 진공 지그가 구비된 연마 장치
JP5287979B2 (ja) 2軸工作機械
US10293442B2 (en) C-type CNC machine center
MY138793A (en) Lightweight bondhead assembly
CN105848837B (zh) 工业机器人及其框架单元
KR200455732Y1 (ko) 공작기계
KR102642231B1 (ko) 서스 판재 상부를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치
JP2007296602A (ja) 工作機械のベッド
JP5947252B2 (ja) 旋盤
JP5265401B2 (ja) 門型工作機械
TWI730248B (zh) 工作機械用進給螺桿裝置之螺帽支撐裝置、工作機械用進給螺桿裝置及平面磨床
KR20170004005U (ko) 2축 슬라이드가 가능한 슬라이드 바이스
JP3185109U (ja)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用固定治具
CN113561022B (zh) 一种高加工精度的立柱移动式数控磨床
JP7368811B2 (ja) 多軸ロボット用の固定装置
KR102520063B1 (ko) 형강 가공 드릴용 고정 지그
WO2017163758A1 (ja) リニアブレーキの支持方法、リニアブレーキ組付体及びリニアブレーキアダプタ
KR101502813B1 (ko) 면삭가공용 가공툴 수평유지 장치
CN114559268A (zh) 一种l形工件的固定装置以及加工总成
CN112238355A (zh) 位置调整装置以及超精密加工机
KR102582955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클램핑 장치
KR101336414B1 (ko) 공작 기계
CN112571137B (zh) 机床
WO2015097797A1 (ja) ラックマウント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