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699B1 - 스팀 쇠죽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쇠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699B1
KR102514699B1 KR1020220136615A KR20220136615A KR102514699B1 KR 102514699 B1 KR102514699 B1 KR 102514699B1 KR 1020220136615 A KR1020220136615 A KR 1020220136615A KR 20220136615 A KR20220136615 A KR 20220136615A KR 102514699 B1 KR102514699 B1 KR 102514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outlet
steam
porridge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형
박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기공
Priority to KR102022013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8Mixing animal food 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쇠죽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죽의 원재료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교반할 수 있고, 특히, 증숙완료된 쇠죽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스팀 쇠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가 투입되고, 증숙완료된 쇠죽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쇠죽의 원재료를 증숙시키기 위한 스팀을 상기 드럼의 내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스팀 배출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의 원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 쇠죽장치{Steam cow porridge device.}
본 발명은 쇠죽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죽의 원재료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교반할 수 있고, 특히, 증숙완료된 쇠죽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스팀 쇠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는 마른 볏짚이나 건초와 같은 여물과, 각종 가축용 곡류(현미, 쌀겨 등)를 물에 삶은 쇠죽을 가축(특히 소)에게 먹이로써 제공하고 있다.
위와 같은 쇠죽을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농민이 직접 가마솥에 물과 함께 여물과 곡류를 넣은 다음 아궁이에 불을 지펴서 수 시간에 걸쳐 삶는 비효율적인 재래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거의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가마솥에 물과 함께 여물과 곡류를 넣어 장시간(보통 3~4시간 정도) 삶아 쇠죽을 제조하는 동안에 작업자가 계속 저어주어야 하며, 제조가 완료된 쇠죽은 국자나 바가지 등으로 일일이 통에 퍼담아서 여물통으로 옮겨야 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쇠죽 제조방법은 오로지 인력에 의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농민의 육체적 노동이 가중될수밖에 없었는데, 하물며 갈수록 고령화되고 있고 인력이 부족한 현재 농촌 실정에서는 더욱더 어려움이 크다할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쇠죽을 삶으면서 저어주고 또 제조가 완료된 쇠죽을 통에 퍼담는 동안에, 작업자는 뜨거운 김(열기)에 근접 노출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항상 화상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소먹이로서 끓인 여물을 제공하여 축산품의 품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료의 소화흡수율을 높여주어 농후사료 및 조사료의 소비량을 감소시켜 양축산업의 채산성을 개선하며, 여물을 구유에서 증기로 가열하여 여물을 찌거나 끓여주므로 연료와 관리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소사육용 사료 증숙장치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8119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8119의 경우, 가열통에서 증숙완료된 소먹이인 끓인 여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가열통이 뒤집혀질 수 있도록 상기 가열통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을 상기 가열통의 하부방향으로 끌어당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많은 힘이 소모되기에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81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쇠죽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죽의 원재료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교반할 수 있고, 특히, 증숙완료된 쇠죽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스팀 쇠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가 투입되고, 증숙완료된 쇠죽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쇠죽의 원재료를 증숙시키기 위한 스팀을 상기 드럼의 내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스팀 배출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의 원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와; 상기 드럼의 내부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안전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축과 연통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공급관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로터리 조인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드럼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저장탱크 안내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스팀공급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부 안내라인과; 상기 스팀공급부 안내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드럼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가 투입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드럼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 개폐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투입구로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를 공급하는 덤핑카트로 구성되는 쇠죽 원재료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는 상기 드럼의 투입구의 후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투입구를 개폐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투입구 개폐판과; 상기 드럼의 투입구의 가장자리에 하부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드럼의 투입구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투입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상하회전이동축과;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의 상부를 따라 회전이동하고,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이 상기 투입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투입구 개폐판의 가장자리 상부면 부위에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플랜지와;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가 상기 드럼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는 상기 드럼의 전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개폐판부는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개폐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개폐판과;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가장자리에 후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전측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전후회전이동축과;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의 전측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의 전측을 따라 회전이동하고,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이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가장자리 전면 부위에 밀착고정되는 전측고정플랜지와;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전측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하부 내면에 상기 드럼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점차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드럼의 하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 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하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의 하부 내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드럼의 배출구 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을 이송하는 이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 개폐판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이동되고, 내측에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숙완료된 쇠죽이 수용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드럼의 배출구는 상기 드럼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상부 내면에 상기 배출구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개폐판부는 상기 배출구의 타측에 타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턱이 안착되는 단차홈이 일정깊이로 함입형성되는 배출구 개폐판과;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일측을 상기 배출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되고, 내측에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숙완료된 쇠죽이 수용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쇠죽의 원재료를 상기 드럼의 내부에 수평구비된 회전축의 스팀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통해 증숙시켜 쇠죽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통해 쇠죽의 원재료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교반할 수 있고, 나아가, 특히, 증숙완료된 쇠죽을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드럼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팀 쇠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드럼의 외주면에 단열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쇠죽 원재료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일예의 투입구 개폐판부와 일예의 배출구 개폐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다른예의 투입구 개폐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드럼의 하부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일예의 이송대차 및 일예의 가이드레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일예의 이송스크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일예의 리드스크류와 저장탱크 및 스팀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다른예의 배출구 개폐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팀 쇠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팀 쇠죽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드럼(20), 회전축(30), 구동부(40) 및 교반날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드럼(2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드럼(20)과 함께 상기 프레임(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다리(10a)가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다리(10a) 중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하부방향에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2개의 지지다리(10a) 사이에는 상기 드럼(20)과 평행을 이루는 일측수평프레임(10b1)이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다리(10a) 중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하부방향에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2개의 지지다리(10a) 사이에는 상기 드럼(20)과 평행을 이루는 타측수평프레임(10b2)이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수직판(10c)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다리(10a) 중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하부방향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2개의 지지다리(10a) 사이에는 상기 드럼(20)과 직교를 이루는 후측수평프레임(10d)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은 소의 먹이인 쇠죽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가 투입된다.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되는 쇠죽의 원재료는 일예로, 마른 볏짚이나 건초와 같은 여물 및 현미, 쌀겨 등 다양한 종류의 가축용 곡류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20)이 사각틀 형상인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드럼(2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에는 증숙완료된 쇠죽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드럼의 외주면에 단열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의 원재료를 증숙시키는 과정 중에 증숙 과정 중인 쇠죽의 원재료가 상기 드럼(20)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쇠죽의 원재료의 증숙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외주면에 단열층(2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열층(21)은 내열성 발포 수지나 글래스울 또는 운모와 같은 세라믹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상부에는 상기 드럼(20)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기(22)와, 상기 드럼(20)의 내부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안전밸브(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압력측정기(22)와 상기 안전밸브(23)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상의 상기 회전축(30)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스팀보일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팀공급부는 다른예로, 물이 수용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탱크의 내부에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회전축(30)과 연통되도록 상기 회전축(30)과 연결되는 스팀공급관(32)을 통해 상기 회전축(30)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스팀공급관(32)의 일측은 상기 스팀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공급관(32)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30)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회전축(30)의 후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스팀공급관(32)의 일측은 상기 스팀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공급관(32)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30)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회전축(30)의 전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관(32)과 연결된 상태인 상기 회전축(30)이 상기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축(30)과 상기 스팀공급관(32)에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팀공급관(32)의 타측과 상기 회전축(30)의 전단부 사이 또는 상기 스팀공급관(32)의 타측과 상기 회전축(30)의 후단부 사이에 로터리 조인트(33)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의 원재료의 증숙완료 후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드럼(2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2a)은 상기 드럼(2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드럼(20)의 하부 일측 또는 하부 타측에 상기 드럼(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2a)에는 상기 배출관(12a)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2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쇠죽 원재료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상부 중간에 형성된 투입구(210)를 통해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3)의 원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투입구(21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형상의 플랜지(도 9의 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는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로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3)의 원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쇠죽 원재료 공급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쇠죽 원재료 공급부(13)는 일예로, 크게, 승강레일(131)과 덤핑카트(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레일(131)은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덤핑카트(132)의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3)의 원재료가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덤핑카트(132)는 상기 승강레일(13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로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3)의 원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와 상기 승강레일(131)의 상부 사이에 상기 덤핑카트(132)로부터 배출되는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3)의 원재료를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1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33)은 상기 승강레일(131)의 상부에서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 방향으로 점차 하향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33)이 안내하는 쇠죽(3)의 원재료가 상기 가이드프레임(13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33)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33)의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133)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일예의 투입구 개폐판부와 일예의 배출구 개폐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에는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개폐판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는 일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투입구 개폐판(231), 상하회전이동축(232), 상부고정플랜지(233) 및 상부링부재(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후측이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후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전측이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를 폐쇄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전측이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복수의 삽입홈(212)과 연통되는 복수의 삽입홈(231a)이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복수의 삽입홈(231a)의 하부방향의 상기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가장자리 저면부위에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의 하부가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의 상부가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은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플랜지(211)의 복수의 삽입홈(212) 및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복수의 삽입홈(231a)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플랜지(233)는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의 상부 외면에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의 상부를 따라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이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복수의 삽입홈(231a)에 삽입될 경우, 상기 상부고정플랜지(233)는 상기 투입구 개폐판(231)의 가장자리 상부면 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링부재(234)는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상부링부재(234)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회전이동축(232)을 용이하게 상하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예의 투입구 개폐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는 다른예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4)에 의해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는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의 후측은 상기 드럼(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노출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의 후단부는 상기 드럼(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의 전측은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상부 내측으로 수평으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4)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와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의 후단부 사이의 상기 드럼(20)의 후측 상부면 부위에 수평으로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4)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141)는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의 후단부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4)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141)의 길이 신축에 의해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230)가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면서 상기 드럼(20)의 투입구(21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는 일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전측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전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출구(220)의 전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사각틀 형상의 플랜지(2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20)에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를 개폐하기 위한 배출구 개폐판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판부(240)는 일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배출구 개폐판(241), 전후회전이동축(242), 전측고정플랜지(243) 및 전측링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상부가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하부가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를 폐쇄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하부가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복수의 삽입홈(223)과 연통되는 복수의 삽입홈(241a)이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복수의 삽입홈(22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의 상기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가장자리 후면 부위에 상기 전후회전이동축(242)의 후측이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전후회전이동축(242)의 전측이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전측회전이동축(242)은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플랜지(222)의 복수의 삽입홈(223) 및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복수의 삽입홈(241a)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플랜지(243)는 상기 전후회전이동축(242)의 전측 외면에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후회전이동축(242)을 따라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후회전이동축(242)이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복수의 삽입홈(241a)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전측고정플랜지(243)는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가장자리 전면 부위에 분리가능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링부재(244)는 상기 전후회전이동축(242)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전측링부재(244)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회전이동축(242)을 용이하게 전후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드럼의 하부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의 내부에서 증숙완료된 쇠죽(3)이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를 통해 상기 드럼(2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200)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하부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00)은 상기 드럼(2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점차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13은 일예의 이송대차 및 일예의 가이드레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배출된 증숙완료된 쇠죽(3)을 축사 등 다양한 종류의 보관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대차(60) 및 가이드레일(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60)는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전측 하부 외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60)의 내측에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되는 증숙완료된 쇠죽(3)이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70)은 상기 드럼(20)과 직교를 이룬상태로 상기 이동대차(6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이동대차(6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다리(10a)의 상하길이는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전측 하부 외부방향에 상기 이동대차(60)가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길이면 족하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지지다리(10a) 중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하부방향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2개의 지지다리(10a)는 상기 이동대차(6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이동대차(60)와 인접하도록 상기 이동대차(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는 일예의 이송스크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3)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50)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교반날개(5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20)의 하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50)의 전측은 상기 드럼(20)의 전측 하부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50)의 후측은 상기 드럼(20)의 하부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50)의 후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2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51)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스크류(250)의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드럼(20)의 배출구 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3)이 이송될 수 있다.
도 15는 일예의 리드스크류와 저장탱크 및 스팀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는, 상기 드럼(2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3)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리드스크류(260) 및 이송몸체(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6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교반날개(5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20)의 하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60)의 전측은 상기 드럼(20)의 전측 하부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60)의 후측은 상기 드럼(20)의 하부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60)의 후단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6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6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몸체(270)는 상기 리드스크류(26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교반날개(5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20)의 하부 내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2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26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 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3)을 이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이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11)은 밧줄, 와이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11)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직판(10c)의 상부 전측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수직판(10c)의 상부 전측에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11)의 하부에는 후크(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하단부 중간에는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판(241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장판(241b)의 하부에 연결고리(24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11)의 후크(11a)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연결고리(241c)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고리(241c)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재사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탱크(15), 저장탱크 안내라인(16), 스팀공급부 안내라인(17) 및 펌프(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5)는 상기 드럼(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드럼(20)의 외부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5)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12a)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 안내라인(16)은 상기 배출관(12a)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저장탱크(15)의 내부로 안내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 안내라인(16)의 전측은 상기 배출관(12a)의 하부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배출관(12a)의 하부에 상기 배출관(12a)과 연통되도록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 안내라인(16)의 후측은 상기 저장탱크(15)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5)의 하부 전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 안내라인(17)은 상기 저장탱크(15)와 상기 스팀공급부(2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5)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스팀공급부(24)로 안내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 안내라인(17)의 전측은 상기 저장탱크(15)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5)의 하부 후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 안내라인(17)의 후측은 상기 스팀공급부(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스팀공급부(24)의 하부 전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펌프(18)는 상기 스팀공급부 안내라인(17)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5)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스팀공급부 안내라인(17)으로 강제펌핑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24)와 상기 스팀공급관(32) 사이에는 상기 스팀공급부(24)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스팀공급관(32)으로 안내하는 스팀안내관(1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19)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19)의 전측은 상기 스팀공급관(32)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팀공급관(32)의 일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19)의 후측은 상기 스팀공급부(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스팀공급부(24)의 후측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다른예의 배출구 개폐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는 다른예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개폐판부(240)는 다른예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과 액츄에이터(2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타측은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의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일측이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경우,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이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일측이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경우,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이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를 개폐하는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수밀성 향상을 위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의 상부 내면에 상기 배출구(22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는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돌출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돌출턱(221)과 응되는 단면형상의 단차홈(241a)이 일정깊이로 함입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단차홈(241a)에 상기 돌출턱(221)이 안착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수평프레임(10b2)의 중간부에는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타측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보조수평프레임(10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45)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245)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타측보조수평프레임(10e)의 일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45)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일측은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일측 외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45)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길이신축에 의해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의 일측이 상기 배출구(22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차(60)는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70)은 상기 이동대차(6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이동대차(6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를 개폐하는 상기 배출구 개폐판(241)은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를 개폐하는 기능과, 증숙완료된 쇠죽(3)을 상기 드럼(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배출구(220)의 일측 외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대차(6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축(30)은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3)의 원재료를 증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드럼(20)의 전측 외부방향과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노출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의 외주면에는 방사형의 복수의 스팀 배출공(310)이 상기 회전축(3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의 복수의 스팀 배출공(310)을 통해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스팀으로 쇠죽(3)의 원재료를 증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회전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동모터(410), 구동회전체(420), 피동회전체(430) 및 회전력전달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0)는 상기 후측수평프레임(10d)의 상부 중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체(420)는 상기 구동모터(410)의 전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피동회전체(430)는 상기 구동회전체(4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30)의 후측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회전체(4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체(420)와 상기 피동회전체(430)는 스프로켓, 풀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40)의 하부는 상기 구동회전체(420)의 하부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40)의 상부는 상기 피동회전체(430)의 상부에 감겨져 상기 구동회전체(420)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회전체(4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40)는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또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날개(50)는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3)의 원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30)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회전축(30)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50)는 상기 회전축(3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50)의 상하길이는 상기 이송스크류(250) 및 상기 이송몸체(270)와 접하지 않을 정도의 상하길이면 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투입된 쇠죽(3)의 원재료를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수평구비된 상기 회전축(30)의 스팀 배출공(310)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통해 증숙시켜 쇠죽(3)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30)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교반날개(50)를 통해 쇠죽(3)의 원재료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교반할 수 있고, 나아가, 특히, 증숙완료된 쇠죽(3)을 상기 드럼(20)의 배출구(220)를 통해 상기 드럼(2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드럼,
30; 회전축, 40; 구동부,
50; 교반날개.

Claims (19)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가 투입되며, 증숙완료된 쇠죽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투입구의 후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투입구를 개폐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투입구 개폐판과, 상기 드럼의 투입구의 가장자리에 하부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드럼의 투입구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투입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상하회전이동축과,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의 상부를 따라 회전이동하고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이 상기 투입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투입구 개폐판의 가장자리 상부면 부위에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플랜지와, 상기 상하회전이동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링부재로 구성되는 투입구 개폐판부와;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쇠죽의 원재료를 증숙시키기 위한 스팀을 상기 드럼의 내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스팀 배출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의 원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가 투입되고, 전측 하부에 증숙완료된 쇠죽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개폐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개폐판과,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가장자리에 후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전측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전후회전이동축과,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의 전측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의 전측을 따라 회전이동하고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이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복수의 삽입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가장자리 전면 부위에 밀착고정되는 전측고정플랜지와, 상기 전후회전이동축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전측링부재로 구성되는 배출구 개폐판부와;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쇠죽의 원재료를 증숙시키기 위한 스팀을 상기 드럼의 내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스팀 배출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의 내부로 투입된 쇠죽의 원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와;
    상기 드럼의 내부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안전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축과 연통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공급관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로터리 조인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드럼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저장탱크 안내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스팀공급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부 안내라인과;
    상기 스팀공급부 안내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투입구로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를 공급하는 덤핑카트로 구성되는 쇠죽 원재료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에 증숙시키고자 하는 쇠죽의 원재료가 투입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드럼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 개폐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가 상기 드럼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투입구 개폐판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하부 내면에 상기 드럼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점차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1.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드럼의 하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 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하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의 하부 내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드럼의 배출구 방향으로 증숙완료된 쇠죽을 이송하는 이송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 개폐판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이동되고, 내측에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숙완료된 쇠죽이 수용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배출구는 상기 드럼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상부 내면에 상기 배출구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개폐판부는 상기 배출구의 타측에 타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개폐하고,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턱이 안착되는 단차홈이 일정깊이로 함입형성되는 배출구 개폐판과;
    상기 배출구 개폐판의 일측을 상기 배출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되고, 내측에 상기 드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숙완료된 쇠죽이 수용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배출구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쇠죽장치.
  18. 삭제
  19. 삭제
KR1020220136615A 2022-10-21 2022-10-21 스팀 쇠죽장치 KR102514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615A KR102514699B1 (ko) 2022-10-21 2022-10-21 스팀 쇠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615A KR102514699B1 (ko) 2022-10-21 2022-10-21 스팀 쇠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699B1 true KR102514699B1 (ko) 2023-03-29

Family

ID=8580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615A KR102514699B1 (ko) 2022-10-21 2022-10-21 스팀 쇠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6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19A (ko) 1995-04-26 1999-01-25 맥기 존 유체 컨테이너와 그 장착 기구
KR19990064734A (ko) * 1999-05-04 1999-08-05 강신탁 음식물 찌꺼기를 사료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0203183Y1 (ko) * 2000-05-26 2000-11-15 김종화 폐축산 처리장치
KR20110028089A (ko) * 2009-09-11 2011-03-17 신동희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2251696B1 (ko) * 2019-11-25 2021-05-14 주식회사 창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19A (ko) 1995-04-26 1999-01-25 맥기 존 유체 컨테이너와 그 장착 기구
KR19990064734A (ko) * 1999-05-04 1999-08-05 강신탁 음식물 찌꺼기를 사료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0203183Y1 (ko) * 2000-05-26 2000-11-15 김종화 폐축산 처리장치
KR20110028089A (ko) * 2009-09-11 2011-03-17 신동희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2251696B1 (ko) * 2019-11-25 2021-05-14 주식회사 창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97B1 (ko) 가축 사료 제조장치
CN105396866A (zh) 一种病死动物尸体的无害化处理系统
KR102139028B1 (ko) 축산분뇨처리장치
KR100947672B1 (ko)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2514699B1 (ko) 스팀 쇠죽장치
KR0137056Y1 (ko) 발효사료제조장치
CN109089894B (zh) 一种畜牧加热器
CN109852531A (zh) 一种宠物用发酵食品生产设备
KR101530005B1 (ko) 가축용 숙성 사료 제조장치
CN205217595U (zh) 一种病死动物尸体的无害化处理系统
KR100895976B1 (ko) 자동 사료 찜장치
CN219249178U (zh) 一种基于循环机构的蒸煮设备
CN217483166U (zh) 一种牧草加工用牧草干燥装置
KR101331102B1 (ko) 자동 사료 찜장치 및 그 수행방법
KR100913388B1 (ko) 이동형 가축 사료 찜 장치
CN216874377U (zh) 一种植物组培快繁过程用培养基制备装置
JP3089543B2 (ja) 飼料の煮熟調整装置
CN208520144U (zh) 一种有机肥料生产用低温烘干机
CN209073511U (zh) 一种牛羊营养舔砖生产装置
CN205962688U (zh) 一种滚筒炒松机
CN213563496U (zh) 一种保温板加工用原料搅拌装置
KR101445207B1 (ko) 가축 사료용 핀 타입 압력스팀기
KR101871883B1 (ko)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CN111567640A (zh) 一种自动续料智能高效茶叶杀青机
CN206453129U (zh) 青贮饲料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