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672B1 - 가축 사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가축 사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672B1
KR100947672B1 KR1020090046620A KR20090046620A KR100947672B1 KR 100947672 B1 KR100947672 B1 KR 100947672B1 KR 1020090046620 A KR1020090046620 A KR 1020090046620A KR 20090046620 A KR20090046620 A KR 20090046620A KR 100947672 B1 KR100947672 B1 KR 10094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closing
heating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희
엄덕규
엄준호
Original Assignee
신동희
엄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희, 엄준호 filed Critical 신동희
Priority to KR102009004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05Mixing or agitating manure, du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원료를 자동으로 가열, 교반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축 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는 사료 제조를 위한 가열공간이 마련된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에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투입부와, 상기 가열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탱크에 설치되어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가열탱크와 연결되어 제조된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사료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는 원료의 투입과 제조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축의 사료 제조가 용이하며, 인력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축, 사료, 제조장치

Description

가축 사료 제조장치 {Feed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축 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원료를 자동으로 가열, 교반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축 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농촌의 전통적인 갈무리 조사료(지방, 단백질, 전분 등의 함량이 적고 섬유가 많은 청초, 건초따위)는 여물이었다. 여물은 마소를 먹이기 위하여 짚이나 마른풀을 잘게 썬 것으로, 마른 여물에 쌀겨 혹은 보리겨와 물을 솥에넣고 끓인 여물은 수백년에 걸쳐 한국농촌의 이상적인 마소먹이 였으나, 한국 농촌이 근대화 되면서 인력과 연료의 부족으로 소먹이가 농후사료로 대체되었다.
주성분이 전분질인 옥수수 나 펠렛사료 등 농후사료는 전량 수입에 의존될 뿐 아니라 소먹이로 사용되어 소화흡수율이 60% 정도에 그치므로 사료의 효율이 낮고, 축산품의 육질이 전통 한우육에 미치지 못하며, 정육율이 낮아 양축산업의 채산성을 악화시키는 것이었다.
이에 비하여 한국의 전통적인 소먹이 여물은 연료를 사용하는 어려움은 있으나, 볏짚을 사료의 주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소화흡수율을 높여 먹이 효 율을 높이며, 수입 농후사료의 사용량을 적게할수 있고, 특히 육질에 있어서 전통 한우의 품질을 얻게 하여 고가 축산품을 제공하게 하므로, 외화를 절감하고 양축산업의 채산성을 높일 수 있는대책으로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가마솥에 여물을 끓이는 설비는 연료와 인력소모가 많아 대형화 중형화 되어가는 양축농가에서 이용할 수 없을뿐 아니라 채산성의 개선효율도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마소를 먹이기 위한 사료가 전통적인 갈무리 조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재료의 공급, 가열, 교반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인력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축 사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는 사료 제조를 위한 가열공간이 마련된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에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투입부와, 상기 가열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탱크에 설치되어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가열탱크와 연결되어 제조된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사료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탱크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가열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단 일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제1 개폐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입출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를 회동시키는 입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투입부는 상기 서포트부 또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며, 하단이 지지면과 인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버켓과, 상기 이동버켓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버켓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지지면 또는 지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연장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수직구간과, 상기 수직구간의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절곡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버켓구동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지지되는 실린더바디와, 상기 실린더바디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스프로킷과,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스프로킷을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이동버켓에 고정되는 승강체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는 원료의 투입과 제조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축의 사료 제조가 용이하며, 인력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축 사료 제조장치(100)는 가열탱크(110)와, 가열탱크(110)에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투입부(130)와, 가열탱크(1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50)과, 가열탱크(110)에 설치되어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160)와, 상기 가열탱크(110)와 연결되어 제조된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사료배출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탱크(110)는 원료를 가열 및 교반하여 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가열공간(112)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체(111), 서포트부(114), 개폐부재(115), 개폐구동부(118)를 구비한다.
본체(111)는 상방으로 개방된 가열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1)는 하부 일측에 제조된 사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공(113)으로 사료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공(113)을 중심으로 본체(111)의 하면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부(114)는 본체(111)를 지지면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1)가 지지면에 대하여 소정간격 승강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배출공(113)을 통해 배출된 사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사료배출부(170)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부(114)는 후술하는 가열수단(150)의 하우징(151)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본체(111)를 지지한다.
개폐부재(115) 및 개폐구동부(118)는 개방된 본체(111)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원료의 투입시에는 가열공간(112)을 개방하고, 가열 및 교반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가열공간(112)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개폐부재(115)와 개폐구동부(118)를 통해 가열공간(112)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개폐부재(115)는 본체(111)의 상단 일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 개폐부(116)와, 상기 제1 개폐부(116)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2 개폐부(1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개폐부(116,117)는 펼침상태로 각각의 하면이 가열공간(112)을 향하도록 본체(111)의 상단을 덮음으로써 가열공간(112)을 폐쇄한다. 그리고 개폐구동부(118)에 의해 제1 개폐부(116)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 개폐부(117)는 제1 개폐부(116)와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들려 가열공간(112)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개폐부재(115)가 일단이 본체(111)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후술하는 원료투입부(130)의 가이드레일(131)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레일(131)의 수직구간(132)이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15)가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제1, 제2 개폐부(116,117)를 포함하게 되면, 개폐부재(115)가 가열공간(112)을 개방하기 위해 회동하더라도 제2 개폐부(117)의 단부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지 않으므로 가이드레일(131)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가이드레일(131) 의 높이를 지나치게 높일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제2 개폐부(117)의 단부에는 이동롤러가 장착되어 있어서, 개폐부재(115)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질 때 본체(111)의 상단을 따라 제2 개폐부(117)의 단부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개폐구동부(118)는 상기 개폐부재(115)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11)의 일측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디(119)와, 바디(119)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입출부재(120)를 포함한다.
입출부재(120)의 끝단은 제2 개폐부(117)에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입출부재(120)가 바디(119)로부터 인출되면 개폐구동부(118)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제1 개폐부(116)와 힌지결합된 제2 개폐부(117)의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들리면서 제1, 제2 개폐부(116,117)가 상호 접철되도록 회동하여 가열공간(112)을 개방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입출부재(120)를 바디(119)의 내부로 인입시키면 개폐구동부(118)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제1, 제2 개폐부(116,117)가 회동하여 가열공간(112)을 폐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개폐부(116)는 제2 개폐부(117)와 연동하여 접철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부재(120)가 제2 개폐부(117)에 연결되어 있으나, 제1 개폐부(116)에 입출부재(120)가 연결되고 제2 개폐부(117)가 제1 개폐부(116)의 구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구동부(118)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입출부재(120)를 구동시키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입출부재(120)가 본체(111)에 나사결합된 입출스크류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11)에 설치되어 입출스크류를 회전 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입출부재(120)를 회전시키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모터의 구동시 입출부재(120)를 회전시켜 본체(111)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가열수단(150)은 상기 본체(111)의 하부를 감싸는 하우징(151)과, 하우징(151)의 내부에 충진되는 가열유체와, 하우징(151)에 설치되는 전열부재(152)를 포함한다. 전열부재(152)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고, 그 열기에 의해 가열유체가 가열되며, 가열유체는 본체(111)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11) 내부에 원료 및 물을 함께 충진시킨 다음 가열수단(150)을 통해 끓일 수 있다.
교반부(160)는 원료가 가열되는 동안 사료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열공간(112) 내에서 원료를 교반시키는 것으로, 본체(111)에 설치되는 회전축(161)과, 회전축(161)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62)를 포함한다. 회전축(161)은 가열공간(112) 내부에서 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양 단은 각각 본체(111)의 벽면을 관통하여 본체(111)의 외측에 설치된 브라켓(16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교반날개(162)는 회전축(161)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를 교반시킨다.
상기 회전축(161)은 교반모터(164)에 의해 회전력을 공급받는다.
본체(111)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61)의 일측 단부에는 종동기어(166)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포트부(114)에 설치된 상기 교반모터(164)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16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165)와 종동기어(166)는 구동체인(167)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교반모터(164)의 구동시 이 구동력이 회전축(161)에 전달되어 교반날개(162)가 회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161)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회전축(161)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호스가 회전축(161)의 일측에 결합될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료가 후술하는 원료투입부(130)에 의해 투입된 후, 회전축(161)의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가열공간(112)으로 분사하여 사료를 제조토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원료투입부(130)는 사료 제조를 위한 원료를 본체(111)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서포트부(114)에 지지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31)과,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버켓(135)과, 이동버켓(135)을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시키는 버켓구동부(138)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31)은 두 개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 하단이 지지면에 인접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구간(132)과, 수직구간(132)의 단부로부터 본체(111)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구간(133)을 포함한다.
수직구간(132)의 상단은 본체(111)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으며, 절곡구간(133)은 수직구간(132)의 상단으로부터 이동버켓(135)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곡률지게 절곡되어 본체(111)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31)은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 외측면을 향해 인입된 가이드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버켓(135)은 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136)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34)에 인입되어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37)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롤러(137)는 두 개의 가이드롤러(137)에 각각 두개씩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버켓(135)은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승하강되는 동안 이동버켓(135)의 타측에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원료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11)의 상단에는 이동버켓(135)이 절곡구간(13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버켓(135)의 타측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원료의 투입이 이루어질 때, 원료가 본체(111)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버켓구동부(138)는 이동버켓(135)을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열탱크(110)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140)와, 상기 액튜에이터(140)에 설치되는 가이드 스프로킷(143)과, 승강체인(144)을 구비한다.
상기 액튜에이터(140)는 서포트부에 지지되어 있는 실린더바디(141)와, 실린더바디(141)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실린더로드(142)를 포함하는데, 실린더바디(141)와 실린더로드(14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142)는 수직방향으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액튜에이터(140)는 유압실린더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열탱크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유압공급기로부터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실린더로드(142)와 연결되어 실린더바디(141)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미도시)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져 실린더로드(142)가 승강하게 되고, 실린더바디(141)로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면 자중에 의해 실린더로드(142)와 피스톤이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스프로킷(143)은 실린더로드(142)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승강체인(144)의 연장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승강체인(144)은 일단이 서포트부(114)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스프로킷(143)을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이동버켓(13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로드(142)가 유압에 의해 상방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면, 승강체인(144)의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이동버켓(135)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실린더로드(142)가 최 상단에 위치했을 때에는 이동버켓(135)이 절곡구간(133)에 진입하여 단부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저장된 원료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가축 사료 제조장치(100)는 상기 원료투입부(130)에 의해 원료의 투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원료를 본체(111)에 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료를 본체(111)의 상측 개구부까지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원료의 투입이 용이하다.
상기 사료배출부(170)는 원료를 가열 및 교반하여 제조한 사료를 자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료배출부(170)는 배출관(171)과, 배출관(171)에 설치되는 스크류피더(173)와, 스크류피더(173)를 회전구동시키는 배출모터(174)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171)은 일단이 본체(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113)과 연통되어 있으며, 배출공(113)과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본체(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171)의 타단은 본체(111)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관(171)의 타측에는 배출관(171)을 따라 이송된 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172)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피더(173)는 배출관(171)의 내부에 배출관(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스크류피더(173)의 회전에 의해 사료가 배출관(17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송된 후 토출구(172)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피더(173)는 배출모터(174)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크류피더(173)의 축과 배출모터(174)의 구동축에 각각 상호 치합되는 기어가 설치되어 배출모터(174)의 구동력이 스크류피더(173)에 전달된다.
상기 스크류피더(173)와 배출모터(174)는 본 실시예의 기어연결 외에도 스프로킷과 체인 또는 풀리와 벨트에 의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100)의 구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자가 사료 원료를 이동버켓(135)에 담고 스위치를 온 시키면 액튜에이터(140)가 구동하여 실린더로드(142)가 승강하면서 승강체인(144)의 타단을 당겨 이동버켓(135)이 승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개폐구동부(118)가 구동하여 본체(111)의 가열공간(112)을 개방하도록 개폐부재(115)를 회동시킨다.
이동버켓(135)이 절곡구간(133)에 진입하면 이동버켓(135)이 기울어지면서 원료가 본체(111) 내부로 투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 액튜에이터(140)에서 유압이 제거되면 자중에 의해 실린더로드(142)가 하강하면서 이동버켓(135)은 초기위치 로 복귀하고, 개폐구동부(118) 역시 개폐부재(115)를 회전시켜 본체(111)를 폐쇄한다.
이후 교반모터(164)의 구동에 의해 교반날개(162)가 투입된 원료를 교반하고, 전열부재(152)에 전원이 인가되어 본체(111)가 가열됨으로써 원료를 끓이게 된다.
사료의 제조가 마쳐지면 배출모터(174)를 구동하여 배출공(113)을 통해 본체(111)로부터 배출된 사료를 스크류피더(173)를 통해 배출관(171)의 상측으로 이송시켜 토출구(172)를 통해 토출시킨다.
토출구(172)에는 해당 사료를 먹일 가축의 먹이통을 위치시켜 사료를 받아 사육장으로 옮기거나, 토출구(172)의 하부에 토출된 사료를 가축의 먹이통으로 자동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하여 사료의 공급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축사료 제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원료투입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가축 사료 제조장치
110; 가열탱크
130; 원료투입부
150; 가열수단
160; 교반부
170; 사료배출부

Claims (4)

  1. 사료 제조를 위한 가열공간이 마련된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에 지지되어 상기 가열탱크에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지지면과 인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버켓과, 상기 이동버켓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버켓구동부를 포함하는 원료투입부와;
    상기 가열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탱크에 설치되어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가열탱크와 연결되어 제조된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사료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열탱크는 원료를 가열 및 교반하여 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가열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본체의 가열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가열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개폐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호 이격되게 두 개가 설치되는데 각각 상기 가열탱크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연장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수직구간과, 상기 수직구간의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곡률지게 연장되는 절곡구간을 포함하고,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 각각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버켓에 장착된 가이드롤러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켓구동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지지되는 실린더바디와, 상기 실린더바디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스프로킷과,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스프로킷을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이동버켓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승강할 때 상기 이동버켓을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버켓이 상기 절곡구간에 진입하여 단부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원료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원료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가열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단 일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제1 개폐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입출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를 회동시키는 입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90046620A 2009-05-27 2009-05-27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0947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620A KR100947672B1 (ko) 2009-05-27 2009-05-27 가축 사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620A KR100947672B1 (ko) 2009-05-27 2009-05-27 가축 사료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672B1 true KR100947672B1 (ko) 2010-03-12

Family

ID=4218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620A KR100947672B1 (ko) 2009-05-27 2009-05-27 가축 사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6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997B1 (ko) 2009-09-11 2012-06-28 신동희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1446764B1 (ko) * 2013-01-15 2014-10-01 신동희 더블스크류형 가축사료 제조장치
KR101562123B1 (ko) * 2014-03-12 2015-10-21 박성규 사료용 발효건조기
KR20160018072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실티 접이식 버킷 구조를 갖는 수직 스크류형 사료 혼합기
KR101731965B1 (ko) * 2015-11-11 2017-05-02 주식회사 실티 사료혼합기의 사료 투입장치
CN110623289A (zh) * 2019-10-17 2019-12-31 赵彦焕 一种家禽饲料加工系统及加工方法与家禽饲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93A (ko) * 1994-11-18 1996-06-17 이종길 유기성 폐기물 발효 건조 장치
KR200279218Y1 (ko) 2002-01-21 2002-06-24 구완회 사료 배합장치
KR20030079671A (ko) * 2002-04-03 2003-10-10 김완 미생물작용과 기계적 처리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완전소멸 처리장치 및 그 부산물의 퇴비화방법
KR100779328B1 (ko) * 2007-01-08 2007-11-28 엄덕규 가축의 먹이용 화식 사료 혼합 익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93A (ko) * 1994-11-18 1996-06-17 이종길 유기성 폐기물 발효 건조 장치
KR200279218Y1 (ko) 2002-01-21 2002-06-24 구완회 사료 배합장치
KR20030079671A (ko) * 2002-04-03 2003-10-10 김완 미생물작용과 기계적 처리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완전소멸 처리장치 및 그 부산물의 퇴비화방법
KR100779328B1 (ko) * 2007-01-08 2007-11-28 엄덕규 가축의 먹이용 화식 사료 혼합 익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997B1 (ko) 2009-09-11 2012-06-28 신동희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1446764B1 (ko) * 2013-01-15 2014-10-01 신동희 더블스크류형 가축사료 제조장치
KR101562123B1 (ko) * 2014-03-12 2015-10-21 박성규 사료용 발효건조기
KR20160018072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실티 접이식 버킷 구조를 갖는 수직 스크류형 사료 혼합기
KR101633458B1 (ko) * 2014-08-08 2016-06-24 주식회사 실티 접이식 버킷 구조를 갖는 수직 스크류형 사료 혼합기
KR101731965B1 (ko) * 2015-11-11 2017-05-02 주식회사 실티 사료혼합기의 사료 투입장치
CN110623289A (zh) * 2019-10-17 2019-12-31 赵彦焕 一种家禽饲料加工系统及加工方法与家禽饲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97B1 (ko)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0947672B1 (ko) 가축 사료 제조장치
CN108849770A (zh) 基于黑水虻饲养的禽畜粪便自动化处理设备
CN207040504U (zh) 一种畜牧养殖用饲料混合设备
CN212595423U (zh) 一种饲料混合搅拌装置
KR100898227B1 (ko) 사료 발효제조기에서 원료의 자동공급장치
CN216874377U (zh) 一种植物组培快繁过程用培养基制备装置
KR100895976B1 (ko) 자동 사료 찜장치
KR101331102B1 (ko) 자동 사료 찜장치 및 그 수행방법
CN214206832U (zh) 一种水产品养殖用饲料投放装置
KR101446764B1 (ko) 더블스크류형 가축사료 제조장치
CN216419057U (zh) 一种蛋鸡养殖用饲料搅拌装置
CN212357077U (zh) 禽畜粪污无害化处理有机肥一体制造机
CN214244389U (zh) 一种连续进取料发酵装置
KR102514699B1 (ko) 스팀 쇠죽장치
CN208742375U (zh) 一种畜牧业饲料搅拌装置
CN206951034U (zh) 一种用于猪饲料的快速搅拌装置
CN219460067U (zh) 一种用于鸡舍养殖的饲料添加装置
KR101871883B1 (ko)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CN220194754U (zh) 一种卧式拌料机
CN213335318U (zh) 一种饲料生产加工用干燥装置
CN220343200U (zh) 一种自动加料的畜牧食槽
CN219628587U (zh) 一种舍饲羊饲料自动喂养系统
CN220369285U (zh) 一种养鸡场用定量投食装置
CN219199912U (zh) 一种豆腐猫砂生产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