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83B1 -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83B1
KR101871883B1 KR1020170096857A KR20170096857A KR101871883B1 KR 101871883 B1 KR101871883 B1 KR 101871883B1 KR 1020170096857 A KR1020170096857 A KR 1020170096857A KR 20170096857 A KR20170096857 A KR 20170096857A KR 101871883 B1 KR101871883 B1 KR 10187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nk
steam
feed
tan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용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태백사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태백사료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태백사료
Priority to KR102017009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04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 B08B9/0813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가 개시된다.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는 하광상협으로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원형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제조할 사료의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가 구비된 탱크부;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탱크부가 올려져 상기 탱크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부가 올려지는 경우, 상기 탱크부의 개방된 하단과 연결되는 유입구가 상면에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부에서 제조된 화식사료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유닛; 상기 탱크부에 투입된 원료를 증숙시켜 화식사료가 제조되도록 상기 탱크부 내에 고온의 증기를 제공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탱크부 내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탱크부 내면에 고착된 오염물을 세척하는 탱크청소유닛; 상기 케이싱부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화식사료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사료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STEAM TYPE COOKED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TTLE}
본 발명은 화식사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방식과 달리 고온고압 스팀을 사용하여 제조가 매우 빠르고 단위 제조수량이 크게 늘어나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기 내 잔류 사료가 없게 완전 배출함으로써 제조기에 곰팡이균 등의 서식을 억제하며, 유지보수가 간단함은 물론, 기계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이동식으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축산산업에서 전통사육방식으로, 볏짚,보리,쌀겨,조사료,땅콩박,옥수수 등의 곡물 원료를 끓여 여물(화식사료)을 만들어 먹이는 방식을 통해 고품질의 가축을 사육할 수 있다.
이러한, 화식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화식사료 제조기에 대해서, 등록특허 10-1574467호 및, 등록특허 10-0973696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574467 및 등록특허 10-0973696호에 개시된 화식사료 제조기는 쌀겨, 볏짚 등의 원료를 물과 혼합하여 물을 끓여서 원료를 익힘으로써 화식사료를 제조하는 방식이어서, 원료들의 영양소가 물로 빠져나가 제조된 화식사료의 영양성분 비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등록특허 10-1574467호의 화식사료 제조기는 원료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탱크와, 숙성시키는 탱크 등 여러 탱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조된 화식사료를 탱크에서 완전히 배출시키는 것이 어려워 탱크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0973696호의 화식사료 제조기는 단순히 사료통의 하부에 축분연료를 통해 연소되는 연소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사료통에 물과 볏짚등의 원료를 넣고 끓이는 형태로서, 열에 의한 잠재적 위험요소가 크고, 연료의 투입과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사료통에 제조된 사료들을 완전히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사료통 내부에 제조된 사료 찌꺼기들이 남아 있게 되어 사료통 내부가 곰팡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곰팡이나 세균 번식을 억제하도록 사료통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44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36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고온고압 스팀을 사용하여 원료를 증숙시켜 화식사료를 제조하는 방식으로서, 화식사료의 제조시간이 매우 빠르고 단위 제조수량이 크게 늘어나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된 화식사료를 완전히 배출할 수 있어 곰팡이 균등의 서식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간단하며, 기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는 하광상협으로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원형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제조할 사료의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가 구비된 탱크부;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탱크부가 올려져 상기 탱크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부가 올려지는 경우, 상기 탱크부의 개방된 하단과 연결되는 유입구가 상면에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부에서 제조된 화식사료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유닛; 상기 탱크부에 투입된 원료를 증숙시켜 화식사료가 제조되도록 상기 탱크부 내에 고온의 증기를 제공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탱크부 내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탱크부 내면에 고착된 오염물을 세척하는 탱크청소유닛; 상기 케이싱부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화식사료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사료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유닛, 상기 스팀공급부, 상기 사료이송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스팀공급부가 상기 탱크부내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탱크부 내에 원료가 증숙되어 상기 화식사료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부 내에서 상기 원료가 증숙되어 상기 화식사료가 제조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료이송유닛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부는 외통과 내통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 공간에는 열매체유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매체유가 충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유 보일러는 축분연료로 가동되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탱크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탱크부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작업자가 들어가서 상기 탱크부의 내면을 청소하도록 상기 탱크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탱크부의 상면에는 상기 탱크부 내의 증기압력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과압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압밸브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이처럼, 본 발명은 탱크부에 투입된 원료가 고온의 증기에 의해 쪄서 익혀지는 증숙가공을 통해 화식사료로 만들어지므로, 화식사료 제조효율이 월등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탱크부에 제조된 화식사료를 남김없이 모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탱크부 내부의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양질의 화식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탱크부가 하광상형의 원형컵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더욱더 화식사료가 탱크부에 남아 있을 가능성을 줄여, 탱크부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유닛을 통해 탱크부를 케이싱부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작업자가 탱크부 내부에 쉽게 들어갈 수 있고, 이에 따라 탱크부의 수작업이나 내부 구성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가 적용된 사료제조설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탱크부의 상면을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서 케이싱부에 설치된 사료이송유닛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사료이송유닛 및 승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팀식 사료제조기(100)는 공급된 원료를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쪄서 익히는 증숙을 통해 화식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팀식 사료제조기(100)가 적용된 자동화 사료제조설비는 도 1과 같이, 스팀식 사료제조기(100)에 공급할 원료를 혼합하도록 내부에 교반유닛(미도시)이 구비된 원료혼합기(10)와, 이 원료혼합기(10)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경사지게 상향이동시켜 본 발명의 스팀식 사료제조기(100)에 공급하는 제1컨베이어밸트부(20)와, 스팀식 사료제조기(100)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화식사료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제2컨베이어밸트부(30)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부(30)로부터 화식사료를 공급받아 상향경사지게 이동시키는 제3컨베이어벨트부(40)와, 상기 제3컨베이어벨트부(40)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화식사료를 운송전 저장하기 위한 사료저장부(50)로 구성된다. 이때, 사료저장부(50)는 화식사료를 수용하는 저장탱크(51)와, 이 저장탱크(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부(53)와, 이 이송스크류부(53)로부터 배출된 화식사료를 이동시키는 제4컨베이어벨트(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100)는 탱크부(110), 케이싱부(120), 셔터유닛(130), 스팀공급부(140), 탱크청소유닛(150), 사료이송유닛(160), 승강유닛(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탱크부(110)는 하광상형의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원형컵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탱크부(110)는 대량생산을 위하여 대규모로 구성되는데, 상단 직경(1.8m), 하단직경(2.5m), 높이(4.5m)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탱크부(110)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탱크부(110)의 상면 중앙에는 도 4와 같이, 원료 투입구(115)가 형성되고, 근접한 위치에는 과압밸브(117)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원료투입구(115)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개폐도어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압밸브(117)는 통상의 과압밸브로 이루어지며, 탱크부(110) 내부에 공급된 증기에 의해 탱크부(110)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과압증기는 과압밸브(117)를 통해 자동배출될 수 있게 된다.
탱크부(110)는 내통(111)과 외통(113)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이중관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내통(111)과 외통(113)의 사이공간에 고온의 열매체유를 공급하기 위한 열매체유 보일러(18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매체유 보일러(181)는 축분연료를 사용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름, 가스 보일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열매체유 보일러(181)의 배출관(183)과 회수관(184)은 탱크부(110)의 외통(113)의 상단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배출관(181)과 회수관(184)이 내통(111)과 외통(113) 사이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케이싱부(120)에 대해 탱크부(110)가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관(181)과 회수관(184)은 플렉서블한 관체(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열매체유 보일러(181)의 가동에 따라, 고온의 열매체유가 배출관(183)을 통해 배출되어 내통(111)과 외통(113)의 사이공간에 충진됨으로써, 탱크부(110)의 내부에 열을 가하면서 보온기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장시간 사용에 따라 열매체유의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열매체유를 회수관(184)을 통해 열매체유 보일러(181)로 회수하고, 가열된 고온의 열매체유를 내통(110)과 외통(113) 사이에 재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케이싱부(120)는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원형의 유입구(121)와 형성되고, 하단 전방측에는 배출구(12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싱부(120)는 탱크부(110) 내에서 만들어진 화식사료가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 케이싱부(120)는 지면에 올려져 바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지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설치될 수도 있다. 케이싱부(120)의 내부에는 셔터유닛(130) 및 사료이송유닛(160)이 설치된다.
케이싱부(120) 상면에는 탱크부(110)가 올려져 탱크부(1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탱크부(110)가 케이싱부(120)의 상단에 설치된 경우, 유입구(121)와 탱크부(110)의 하단에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탱크부(110)의 내경과 유입구(121)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탱크부(110)의 하단이 유입구(121)와 연결되도록 탱크부(110)가 케이싱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탱크부(110)는 케이싱부(120)에 결합된 형태가 아니라, 올려져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싱부(120)의 유입구(121) 테두리 상면에는 탱크부(110)의 하단과 접촉되어 케이싱부(120)의 유입구(121) 테두리와 탱크부(110)의 하단을 실링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셔터유닛(130)은 케이싱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121)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셔터유닛(130)은 케이싱부(120)의 폭방향 양측단에 형성된 슬롯(125)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셔터플레이트(131,132)와, 이 한 쌍의 셔터플레이트(131,132) 외측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된어, 한 쌍의 셔터플레이트(131,132)를 밀거나 당겨 한 쌍의 셔터플레이트(131,132)가 유입구(121)를 닫거나 개방시키는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유닛(134,136)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셔터플레이트(131,132)가 유입구(121)를 차단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유닛(134,136)의 로드가 수축되도록 구동되면, 각각의 셔터플레이트(131,132)가 케이싱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유입구(121)가 개방될 수 있다.
스팀공급부(140)는 탱크부(110) 내에 투입된 원료(볏짚,보리,쌀겨,조사료,땅콩박,옥수수 등의 곡물 원료)를 증숙시키도록 탱크부(110)의 내부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탱크부(11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스팀공급부(140)는 탱크부(110)의 상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스팀공급배관(141)과, 이 스팀공급배관(141)의 내측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팀분사배관(143)과, 스팀공급배관(141)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제공하는 스팀발생기(14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팀발생기(145)는 히터를 통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스팀발생기(145)는 스팀공급배관(141)과 연결하기 위한 플렉서블한 연결호스(146)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팀발생기(145)가 가동하면, 스팀발생기(145)로부터 발생된 증기는 연결호스(146), 스팀공급배관(141)을 거쳐, 스팀분사배관(143)을 통해 탱크부(110) 내에 고온의 증기가 배출될 수 있다.
스팀분사배관(143)은 탱크부(110)의 중심부에 수직한 형태로 설치되며, 아울러, 스팀분사배관(143)은 외주면에 다수의 균등분할되게 복수의 분사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이 분사공(미도시)들은 스팀분사배관(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도 2와 같이, 증기(p)가 탱크부(110) 내부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증기(p)가 탱크부(110)의 내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외측)로 분사되어 탱크부(110) 내에 투입된 원료들을 쪄서 익혀주기 때문에 신속하게 화식사료가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증기(p)가 탱크부(110)의 내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분사되어 원료들이 증숙될 뿐 아니라, 탱크부(110)의 내통(111)과 외통(113) 사이의 공간에 고온의 열매체유가 충진되어 있어, 이 열매체유의 열이 탱크부(110) 자체를 가열하고 이에 따라 탱크부(110) 내에 투입된 원료들에 열을 더욱 가해 주기 때문에, 증기로 원료를 증숙하여 화식사료가 만들어지는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탱크청소유닛(150)은 탱크부(110)의 내면에 물을 분사하여 탱크부(110)의 내면에 고착된 오염물을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
탱크청소유닛(150)은 탱크부(110)의 상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물공급배관(151)과, 이 물공급배관(151)의 내측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물분사배관(153)과, 물공급배관(151)에 물을 제공하는 물공급부(1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물공급부(155)는 수전에 연결된 물펌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물공급부(155)는 플렉시블한 호스(156)를 통해 물공급배관(151)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공급부(155)의 가동에 따라, 물분사배관(153)을 통해 고압의 물이 탱크부(110)의 내면에 분사되어 탱크부(110)의 내면이 청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탱크부(110)는 하광상협의 원형컵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료 또는 제조된 화식사료 등이 탱크부(110)의 내면에 잘 붙지 않고, 하부로 잘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탱크부(110)의 내면에 일부 원료나 화식사료가 달라부터 부식되면서 곰팡이나 세균등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화식사료의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즉, 스팀공급부(140)가 구동되지 않을 때, 탱크부(110)의 내면에 물을 분사하여 탱크부(110) 내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료이송유닛(160)은 케이싱부(120)에 설치되어, 유입구(121)로 유입된 화식사료를 배출구(123)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사료이송유닛(160)은 이송스크류(161), 구동모터(163), 체인풀리(164), 체인(16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송스크류(161)는 케이싱부(1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관통형성된다. 이 이송스크류(161)는 8개로 구성되며, 도 5와 같이, 케이싱부(120)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163)는 2개로 구성되며, 구동모터(163)의 회전축이 첫번째 이송스크류(161)와 5번째 이송스크류(161)의 각각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체인풀리(164)는 8개의 이송스크류(161)의 타단에 각각 설치된다.
체인(166)은 3개씩 두 쌍으로 구성되며, 3개는 첫번째에서 네번째의 이송스크류(161)에 구비된 체인풀리(164) 중 서로 이웃하는 체인풀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3개는 다섯번째에서 여덟번째의 이송스크류(161)에 구비된 체인풀리중(164) 중 서로 이웃하는 체인풀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개의 구동모터(163)를 구동하는 경우, 이 구동력이 체인풀리(164)와 체인(166)에 의해 전달되어, 8개의 이송스크류(161)가 모두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케이싱부(120)의 일측에는 체인풀리(164)와 체인(166)을 감싸 보호 하기 위한 보호케이싱(168)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승강유닛(170)은 탱크부(110)를 케이싱부(120)에 대해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승강유닛(170)은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 본체는 케이싱부(12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유압실린더 로드 끝단은 탱크부(110)의 외주면에 돌출된 브라켓(119)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승강유닛(170)의 구동에 따라, 탱크부(110)가 케이싱부(120)로부터 상승하여 탱크부(110)와 케이싱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탱크부(110)가 케이싱부(120)에 대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탱크부(110)와 케이싱부(120)의 사이공간을 통해 탱크부(110) 내로 들어가, 탱크부(110) 내면 자체를 청소하거나, 스팀공급배관(141), 스팀분사배관(143), 물공급배관(151),물분사배관(153) 등을 유지보수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셔터유닛(130)의 유압실린더유닛(134,136), 스팁공급부(140)의 스팀발생기(145), 구동모터(163), 승강유닛(170)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셔터유닛(130)의 셔터플레이트(131,132)가 유입구(121)를 차단한 상태에서, 원료(볏짚,보리,쌀겨,조사료,땅콩박,옥수수 등의 곡물 원료)를 원료투입구(115)를 통해 탱크부(110) 내에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매체유 보일러(181)로부터 고온의 열매체유가 내통(111)과 외통(113)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고, 스팀발생기(145)가 제어부의 제어에 가동되어 고온의 증기가 탱크부(110) 내에 분사됨으로써, 탱크부(110) 내에 투입된 원료가 증숙됨으로써, 화식사료가 만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가 스팀발생기(145)로부터 증기(P)가 탱크부(110) 내에 30~60분 정도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30~60분의 증기공급에 의해 탱크부(110) 내의 원료가 완전히 증숙되어 화식사료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렇게 화식사료가 완성된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셔터유닛(130)의 제1유압실린더유닛(134)이 구동되어, 셔터플레이트(131,132)가 이동하여 유입구(121)를 개방시킴으로써, 탱크부(110) 내의 화식사료는 유입구(121)를 통해 케이싱부(12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163)가 구동됨으로써, 화식사료가 8개의 이송스크류(161)에 의해 배출구(123) 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탱크부(110)에 투입된 원료가 고온의 증기에 의해 쪄서 익혀지는 증숙가공을 통해 화식사료로 만들어지므로, 제조시간이 월등히 빨라지며, 특히, 내통(111)과 외통(113)에 고온의 열매체유가 충진되어, 이 열매체유의 열로 인해 원료가 가열되면서 증기로 증숙되므로 화식사료가 보다 빨리 만들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부(110)의 하측에 케이싱부(120)가 형성되고, 이 탱크부(110) 내에서 제조된 화식사료가 하나도 남김 없이 케이싱부(120)의 폭방향 전체영역에 설치된 8개의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탱크부(110) 내에 화식사료 찌꺼기가 남아 곰팡이가 발생할 확률을 줄여준다.
특히, 탱크부(110)가 하광상형의 원형컵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더욱더 화식사료가 탱크부(110) 내면에 붙어있을 확률이 적어, 모든 화식사료가 탱크부(110)로부터 떨어져 케이싱부(120)에 공급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식사료의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시기에는 제어부에 의해 물공급부(155)가 가동되어 물분사배관(153)을 통해 고압의 물이 탱크부(110)의 내면에 분사되어 청소가 되므로, 탱크부(110)의 내부 청결도를 높여 양질의 사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부(110)가 케이싱부(120)에 고정결합된 구조가 아니며, 탱크부(110)가 승강유닛(170)에 의해 케이싱부(12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탱크부(110)의 수작업 청소나, 내부 구성의 유지보수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승강유닛(170)이 탱크부(110)를 상승시킴으로써, 탱크부(110)와 케이싱부(120) 사이를 토해 작업자가 탱크부(110) 내로 들어가 작업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탱크부
115...원료투입구
117...과압밸브
120...케이싱부
121...유입부
123...배출부
130...셔터유닛
140...스팀공급부
150...탱크청소유닛
160...사료이송유닛
170...승강유닛

Claims (6)

  1. 하광상협으로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원형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제조할 사료의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가 구비된 탱크부;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탱크부가 올려져 상기 탱크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부가 올려지는 경우, 상기 탱크부의 개방된 하단과 연결되는 유입구가 상면에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부에서 제조된 화식사료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유닛;
    상기 탱크부에 투입된 원료를 증숙시켜 화식사료가 제조되도록 상기 탱크부 내에 고온의 증기를 제공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탱크부 내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탱크부 내면에 고착된 오염물을 세척하는 탱크청소유닛;
    상기 케이싱부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화식사료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사료이송유닛;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는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유입실린더 로드 끝단은 상기 탱크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브라켓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탱크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탱크부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작업자가 들어가서 상기 탱크부의 내면을 청소하도록 상기 탱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유닛, 상기 스팀공급부, 상기 사료이송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스팀공급부가 상기 탱크부내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탱크부 내에 원료가 증숙되어 상기 화식사료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부 내에서 상기 원료가 증숙되어 상기 화식사료가 제조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료이송유닛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케이싱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슬롯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셔터플레이트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외측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셔터플레이트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한 쌍의 셔터플레이트가 상기 유입구를 닫거나 개방시키도록 하는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스팀공급부는 상기 탱크부의 상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스팀공급배관과, 상기 스팀공급배관의 내측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팀분사배관과, 상기 스팀공급배관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제공하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분사배관은 상기 탱크부의 중심부에 수직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팀분사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의 분사공이 균등분할되게 형성되어 증기가 상기 탱크부의 중심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료이송유닛은 상기 케이싱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부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이송스크류와, 상기 복수의 이송스크류의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부는 외통과 내통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 공간에는 열매체유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매체유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식사료 제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 보일러는 축분연료로 가동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식사료 제조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의 상면에는 상기 탱크부 내의 증기압력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과압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압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식사료 제조기.


KR1020170096857A 2017-07-31 2017-07-31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KR10187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57A KR101871883B1 (ko) 2017-07-31 2017-07-31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57A KR101871883B1 (ko) 2017-07-31 2017-07-31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83B1 true KR101871883B1 (ko) 2018-08-02

Family

ID=6325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57A KR101871883B1 (ko) 2017-07-31 2017-07-31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920A (ko) 2021-10-22 2023-05-02 오헌식 IoT를 적용한 곤포 사일리지 스팀 열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411A (ja) * 1998-05-11 1999-11-24 Byuuraa Kk 家畜用粉粒状飼料の熱処理装置及びそのような熱処理装置を備えた処理設備
KR100829347B1 (ko) * 2007-11-02 2008-05-13 윤태영 양어용 사료성형 장치
KR100973696B1 (ko) 2009-09-08 2010-08-03 주식회사 이레 축분연료를 사용하는 화식 사료기
KR20110028089A (ko) * 2009-09-11 2011-03-17 신동희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1115479B1 (ko) * 2011-08-08 2012-02-24 오성이알에스테크 주식회사 사료 혼합 발효기용 세척 건조장치
KR101574467B1 (ko) 2015-02-13 2015-12-03 서상윤 화식 사료 제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411A (ja) * 1998-05-11 1999-11-24 Byuuraa Kk 家畜用粉粒状飼料の熱処理装置及びそのような熱処理装置を備えた処理設備
KR100829347B1 (ko) * 2007-11-02 2008-05-13 윤태영 양어용 사료성형 장치
KR100973696B1 (ko) 2009-09-08 2010-08-03 주식회사 이레 축분연료를 사용하는 화식 사료기
KR20110028089A (ko) * 2009-09-11 2011-03-17 신동희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1115479B1 (ko) * 2011-08-08 2012-02-24 오성이알에스테크 주식회사 사료 혼합 발효기용 세척 건조장치
KR101574467B1 (ko) 2015-02-13 2015-12-03 서상윤 화식 사료 제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920A (ko) 2021-10-22 2023-05-02 오헌식 IoT를 적용한 곤포 사일리지 스팀 열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160B1 (ko) 사료 발효 제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60997B1 (ko) 가축 사료 제조장치
KR101871883B1 (ko)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CN103224856A (zh) 连续蒸煮系统
WO2020029313A1 (zh) 一种食醋固液一体发酵装置
KR100947672B1 (ko) 가축 사료 제조장치
CN213266432U (zh) 一种固态发酵型白酒发酵装置
CN206507161U (zh) 罐头杀菌装置
CN207391381U (zh) 卧式蒸冷饭机组
CN213924791U (zh) 一种食用菌液体菌种发酵装置
CN214571865U (zh) 生物饲料高效发酵装置
CN107743890A (zh) 一种牛羊养殖用饮水设备
CN207135879U (zh) 一种养殖用牛羊自动饮水装置
KR101446764B1 (ko) 더블스크류형 가축사료 제조장치
CN107485317B (zh) 一种通过压力实现自动控温的蒸煮设备
CN211471430U (zh) 一种无抗生物饲料发酵设备
KR101228083B1 (ko)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CN205180249U (zh) 带自动上料装置和水豆分离输送装置的泡豆机
CN220654698U (zh) 一种食用菌加工用分段干燥装置
CN211989922U (zh) 一种用于辣椒种子的清洗装置
CN109588661A (zh) 一种辣椒智能生产线
CN220897949U (zh) 一种酸菜酱料巴氏杀菌机
CN108552068A (zh) 一种用于畜牧方面的智能控制的猪料槽装置
CN216821693U (zh) 一种连续蒸煮设备
CN104509449B (zh) 一种冬季用牲畜喂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