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083B1 -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083B1
KR101228083B1 KR1020100138408A KR20100138408A KR101228083B1 KR 101228083 B1 KR101228083 B1 KR 101228083B1 KR 1020100138408 A KR1020100138408 A KR 1020100138408A KR 20100138408 A KR20100138408 A KR 20100138408A KR 101228083 B1 KR101228083 B1 KR 10122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ipe
inlet
air
process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729A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riority to KR102010013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0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이 수용되는 원료 수용탱크의 내부로 물, 스팀, 또는 열풍을 각각 공급하여 식품을 옮기지 않고 세척, 증자 및 발효를 진행할 수 있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가공물질이 공급되어 배출되는 가공물질 공급부와,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원료가 투입되어 수용되는 원료 수용부와, 상기 원료 수용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FOOD FERMENTATION AND STEAM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이 수용되는 원료 수용탱크의 내부로 물, 스팀, 또는 열풍을 각각 공급하여 식품을 옮기지 않고 세척, 증자 및 발효를 진행할 수 있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발효식품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발효식품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발효식품은 미생물의 발효작용이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의 촉매작용을 이용하여 원재료의 맛과 영양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주류 및 빵은 물론 김치, 요구르트, 치즈, 된장, 간장, 청국장, 고추장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발효식품은 원래의 재료에는 없는 영양분이나 특유의 맛이 가미되므로, 그 숙성기간이 길고 발효과정에서 특유의 향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콩을 누룩곰팡이에 의해 발효시켜 제조하는 청국장은 발효과정에서 종균으로 이용되는 바실러스균류에 의해 독특한 풍미를 갖는 한편, 다량의 칼슘을 포함하여 비타민A 및 비타민B와 장내에서 유해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다량의 균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발효시간이 오래 걸리고 특유의 향이 발생되어 일반 가정에서 제조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콩과 같은 단단한 재료를 사용하는 발효식품의 경우 원재료를 찌는 증자과정을 거친 후, 발효시키게 된다. 그리고 발효식품은 생산할 때에 최적 온도보다 고온이 되면 발효균을 잃게 되고, 최적 온도보다 저온이 되면 발효가 멈추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식품을 발효시킬 때에는 최적의 발효조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발효장치가 사용된다.
전술한 기술은 본 고안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발효식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료를 세척하는 장치 세척된 원료를 증자하는 장치 및 원료를 발효하는 장치를 각각 사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원료를 각 공정이 끝날 때 마다 옮겨야 하므로,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료 수용탱크의 내부로 물, 스팀, 또는 열풍을 선택적으로 각각 공급하여 식품을 옮기지 않고 식품의 세척, 증자 및 발효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식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식품의 가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가공물질이 공급되어 배출되는 가공물질 공급부와,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원료가 투입되어 수용되는 원료 수용부와, 상기 원료 수용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물질은 물, 스팀 및 공기이고,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원료가 세척, 증자 또는 발효될 수 있도록 물, 스팀 또는 공기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는,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공기 가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원료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내부로 상기 가공물질이 유입되는 유입부재와, 상기 원료 수용부의 회전중심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입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재로 유입되는 상기 가공물질을 분사하는 노즐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며 상기 원료 수용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가공물질이 상기 노즐부재를 경유하여 재유입되도록 상기 유입관의 중앙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막과, 상기 가공물질이 상기 유입관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관에 마련되는 배출밸브와, 되도록 상기 유입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스팀 또는 공기가 각각 유입되며, 상기 물, 스팀 또는 공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입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노즐부재가 상기 원료 수용부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유입부재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유도관과, 상기 가공물질이 분사되도록 분사구멍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유도관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입부재에 지지되는 분사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원료 수용부의 공기 및 스팀이 상기 유입부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부재에 결합되는 배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유입부재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의 입구에 결합되는 원료유입 방지망과, 상기 원료유입 방지망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이 가열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외부에 마련되는 히터와,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공기 블로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에 의하면, 원료 수용탱크의 내부로 물, 스팀, 또는 열풍을 선택적으로 각각 공급하여 식품을 옮기지 않고 식품의 세척, 증자 및 발효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식품의 가공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물질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100)는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가공물질이 공급되어 배출되는 가공물질 공급부(120)와, 이 가공물질 공급부에서 배출되는 가공물질에 의해 가공되는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수용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100)는 원료 수용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구동부(140)와, 원료 수용부(130)의 내부로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 가열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100)는 원료 수용부(130)에 수용된 원료를 세척, 증자 또는 발효시킬 수 있도록 가공물질 공급부(120)에 공급되는 가공물질로 물, 스팀공기 및 공기가 사용되며, 공기가 공기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되어 가공물질 공급부(120)로 공급된다.
프레임(110)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111)과, 이 베이스 프레임(111)에 양립되며 가공물질 공급부(120)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3)과, 공기 가열부(1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11)에서 이격되는 보조 프레임(115)으로 구성된다. 양립되는 수직프레임(113) 사이에는 원료 수용부(1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원료 수용부(130)의 원료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물질 공급부(120)는 양단부가 수직프레임(113)에 고정되며, 내부로 물, 스팀 또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재(121)와, 이 유입부재(121)로 공급되는 가공물질(물, 스팀 또는 공기)을 원료 수용부(130)의 원료로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재(123)로 구성된다.
또한, 가공물질 공급부(120)는 원료 수용부(13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 및 스팀이 유입부재(121)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입부재(121)에 결합되는 배기부재(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부재(121)는 원료 수용부(1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원료 수용부(130)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13)에 결합되며, 노즐부재(123) 및 배기부재(125)가 중앙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유입부재(121)는 노즐부재(123)를 통해 가공물질이 분사되도록 가공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관(121a)과, 이 유입관(121a)으로 유입되는 가공물질이 노즐부재(123)를 경유하도록 유입관(121a)을 밀폐시키는 밀폐막(121b)과, 가공물질을 선택적으로 유입 및 배출시키는 유입밸브(121c) 및 배출밸브(121d)를 포함한다.
유입관(121a)은 원료 수용부(1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단부가 수직프레임(113)에 각각 결합되며, 일단에 유입밸브(121c)가 연결되고, 타단에 배출밸브(121d)가 연결된다.
또한, 유입관(121a)은 내부로 유입되는 가공물질이 노즐부재(123)를 경유하여 재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밀폐막(121b)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밀폐막(121b)은 노즐부재(123)와 배기부재(125) 사이에 위치되어 유입관(121a)을 밀폐시킨다.
즉, 노즐부재(123)는 밀폐막(121b)의 전방에서 유입관(121a)에 연통되고, 배기부재(125)는 밀폐막(121b)의 후방에서 유입관(121a)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유입관(121a)의 중앙부가 밀폐막(121b)에 의해 밀폐되면 유입관(121a)으로 공급되는 가공물질인 물, 스팀 또는 공기가 밀폐막(121b)의 전방에서 노즐부재(123)로 유도되어 분사되고, 분사된 후 남게 되는 잔량이 밀폐막(121b)의 후방을 통해 유입관(121a)으로 재유입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밀폐막(121b)은 유입관(121a)으로 유입되는 가공물질을 차단하여 노즐부재(123)로 유도함은 물론 원료 수용부(130) 내부에 잔존하는 가공물질을 배기부재(125)를 통해 배출밸브(121d)로 배출시킬 때 가공물질이 노즐부재(12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입관(121a)으로 가공물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밸브(121c)는 가공물질인 물, 스팀 및 공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121a)에서 분기된다. 구체적으로, 유입밸브(121c)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유입밸브(121e),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유입밸브(121f) 및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 유입밸브(121g)로 구성된다.
배출밸브(121d)는 원료 수용부(130)의 내부 압력 또는 온도가 조절되도록 유입관(121a)과 배기부재(125)를 통해 스팀 또는 공기가 배출된다.
노즐부재(123)는 유입관(121a)으로 공급되는 가공물질이 원료에 보다 원활하게 접촉 및 전달될 수 있도록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중심 하측에 위치된다. 즉, 노즐부재(123)는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중심인 유입관(12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결합된다.
또한, 노즐부재(123)는 유입관(121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이는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으로 인하여 원료 수용부(130)의 원료가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방향으로 쏠리더라도 노즐부재(123)가 수용된 원료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노즐부재(123)는 유입관(121a)에서 유입되는 가공물질이 보다 넓은 영역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유도관(123a)과, 이 유도관(123a)에 결합되는 분사관(123b)으로 구성된다. 유도관(123a)은 상단이 유입관(121a)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하단이 분사관(123b)에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유도관(123a)은 밀폐막(121b)의 전방측에서 유입관(121a)에 결합된다.
분사관(123b)은 유도관(123a)으로 유입되는 가공물질이 유입되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구멍(123c)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관(123b)은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원료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유도관(123a) 및 유입관(121a)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분사관(123b)은 그 중앙부가 유도관(123a)에 연통되도록 접합되고, 양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유입관(121a)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분사관(123b)은 그 중앙부가 유도관(123a)접합되고, 양단부가 유입관(121a)에 접합되어 지지되므로,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원료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그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보다 넓은 영역으로 가공물질이 분사된다.
또한, 분사관(123)에는 원료 수용부(130)의 내부에서 가공되는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는 원료 온도감지센서(127)가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원료의 가공온도가 보다 정확하게 측정되므로, 원료의 가공온도에 따라 공기 가열부(15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분사관(123b)은 내부로 유입된 가공물질이 유입관(121a)으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배기부재(125)의 후방측에서 유입관(121a)에 연통되게 접합된다.
배기부재(125)는 밀폐막(121b)의 원료 수용부(130)의 압력 및 온도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유입관(121a)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부재(125)는 유입관(121a)에 연통되게 접합되는 배기관(125a)과, 이 배기관(125a)의 단부에 설치되는 원료유입 방지망(125b) 및 커버(125c)로 구성된다.
배기관(125a)은 노즐부재(123)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밀폐막(121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유입관(121a)에 접합된다.
원료유입 방지망(125b)은 배기관(125a)의 단부에 설치되어 배기관(125a)으로 원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125c)는 지지핀(125c')을 통해 원료유입 방지망(125b)에 고정되어 원료유입 방지망(125b)을 커버하며, 원료가 원료유입 방지망(125b)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유입관(1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료 수용부(130)는 베어링을 통해 유입관(12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131)와, 이 지지부재(131)에 결합되며 원료가 수용되는 원료 수용탱크(133)로 구성된다.
지지부재(131)는 원료 수용탱크(133)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유입관(121a)에 삽입되며, 어느 하나가 구동부(140)에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31)는 유입관(121a)에 실링된다.
원료 수용탱크(133)는 볼트, 나사, 용접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지지부재(131)에 고정되며, 지지부재(131)와 함께 회전된다.
또한, 원료 수용탱크(133)는 내부로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원료투입구(135)가 마련되고, 내부에 잔존하는 가공물질 예를 들어 원료를 세척한 후 남게 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밸브(137)가 마련된다. 이때, 원료투입구(135)는 도어(도시생략)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원료 수용탱크(133)는 구동부(140)에 의해 유입관(121a)에서 회전되어 원료투입구(135)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가공이 완료된 원료를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더하여, 원료를 투입할 때에도 작업자의 키 맞게 원료투입구(135)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료의 투입 또한 용이하다.
즉, 원료 수용부(130)는 구동부(140)의 회전에 의해 원료 수용탱크(133)의 원료투입구(135)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되므로, 원료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다.
구동부(140)는 원료 수용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마련되는 모터(141), 이 모터(141)의 모터축에 축결합되는 제1 스프로킷(143)과, 원료 수용부(130)의 지지부재(131)에 결합되는 제2 스프로킷(145)과, 제1 스프로킷(143)및 제2 스프로킷(145)을 연결하기 위한 체인(147)으로 구성된다. 이때, 모터(141)의 구동력은 감속기를 통해 제1 스프로킷(143)에 전달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100)는 원료 수용부(130)의 원료를 발효시킬 때 원료 수용부(130)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유입관(121a)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공기 가열부(150)는 제3 유입밸브(123g)에 연결되는 연결관(151)과, 이 연결관(151)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53) 및 연결관(15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블로어(155)로 구성된다.
연결관(151)은 공기 블로어(155)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히터(153)에 의해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직경이 확장된 가열부(151a)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열부(151a)의 외면을 감싸도록 히터(153)가 설치되어, 가열부(151a)를 가열한다. 즉, 연결관(151)은 일단이 공기 블로어(155)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유입밸브(123g)에 연결되며, 중앙부에 가열부(151a)가 확장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관(151)은 가열부(151a)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가열된다.
또한, 연결관(151)에는 유입관(121a)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 센서(151b)가 구비된다. 이로 인하여, 히터(153)에 의해 가열되는 연결관(151)의 공기 가열온도를 원료의 발효에 적정한 온도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즉, 원료 수용부(13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여 원료의 발효 환경을 보다 적절하게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100)는 원료의 발효시 발효에 필요한 발효균을 공기와 함께 투입할 수 있도록 유입밸브(121c)에 발효균 공급구(160)가 더 마련된다. 이때, 발효균 공급구(160)는 공기 가열부(150)에 의해 공기가 공급될 때에만 발효균이 공급되도록 개폐구(도시생략)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료의 가공 방법에 따라 원료 수용탱크(133)로 공급되는 가공물질인 물, 스팀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원료 수용탱크(133)의 원료를 세척할 때에는 제1 유입밸브(121e)를 개방하여 유입관(121a)으로 물을 공급하고, 원료 수용탱크(133)의 내부에 물이 일정량 담수되면 구동부(140)를 가동시켜 원료 수용탱크(13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원료 수용탱크(133)의 원료가 어느 정도 세척되면 배수밸브(137)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다시 물을 공급하여 원료를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원료의 세척이 완료되면, 원료 수용탱크(133)의 원료
이때, 유입관(121a)로 공급되는 물이 노즐부재(123)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될 뿐만 아니라, 원료 수용탱크(133)의 회전으로 인하여 원료가 노즐부재(123)에 충돌되면서 분산되므로, 원료를 보다 깨끗하고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원료 수용탱크(133)의 회전에 의해 요동되는 원료가 원료유입 방지망(125b) 및 커버(125c)에 의해 배기관(125a)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세척을 위한 원료로는 고구마, 감자, 콩, 도라지, 인삼 등이 있으며, 회전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이 없다면 어떠한 원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원료 수용탱크(133)의 원료를 증자 예컨대 콩과 같이 딱딱한 원료를 부드럽게 증자하고자 할 때에는 제2 유입밸브(121c)를 개방하여 유입관(121a)으로 스팀을 공급한다. 그러면, 유입관(121a)으로 공급되는 스팀이 밀폐막(121b)에 의해 차단되어 노즐부재(123)의 분사관(123b)으로 유입되어 분사된다.
그리고 원료 수용탱크(133)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면서 원료 수용탱크(133)를 회전시키게 되면 원료 수용탱크(133) 내부의 원료가 적층되지 않고 분산되므로, 모든 원료를 균일하게 증자시킬 수 있다.
더하여, 지속적이 스팀의 공급으로 인하여 원료 수용탱크(133)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배출밸브(121d)를 개방하여 배기부재(125)를 통해 원료 수용탱크(133) 내부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켜 원료 수용탱크(133)의 온도 및 압력을 적정하게 유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원료를 알맞게 증자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을 원료 수용탱크(133)로 공급할 때 노즐부재(123)를 통해서는 적층된 원료의 내부로, 배기부재(125)를 통해서는 적층된 원료의 상측으로 동시에 스팀이 공급되므로, 원료의 증자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스팀이 노즐부재(123) 및 배기부재(125)를 통해 동시에 공급되므로, 원료의 증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원료 수용탱크(133)의 원료를 세척 또는 증자할 때 노즐부재(123)가 원료 수용탱크(133)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원료 수용탱크(133)의 회전으로 인하여 원료 수용탱크(133)의 원료가 원료 수용부(130)의 회전방향으로 쏠림 형상이 발생하여도 적층된 원료의 중앙부에서 물 또는 스팀이 분사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100)를 이용하여 원료를 발효시킬 때에는 제3 유입밸브(121c)를 개방하여 유입관(121a)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공기 가열부(150)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원료 수용탱크(133)의 내부 온도를 원료의 발효온도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에는 원료 수용탱크(133)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료의 발효공정을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100)는 청국장 등을 제조할 때 물, 스팀, 열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콩의 세척, 증자 및 발효를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다. 즉, 원료를 옮기지 않고 하나의 기계로 원료의 세척, 증자 및 발효를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원료의 가공시간을 줄일 수 있다.
100 : 식품 증장 및 발효 장치 110 : 프레임
111 : 베이스 프레임 113 : 수직프레임
120 : 가공물질 공급부 121 : 유입부재
121b : 밀폐막 123 : 노즐부재
123a : 유도관 123b : 분사관
125 : 배기부재 125a : 배기관
125b : 원료유입 방지망 125c : 커버
130 : 원료 수용부 131 : 지지부재
133 : 원료 수용탱크 140 : 구동부
141 : 모터 143 : 제1 스프로킷
145 : 제2 스프로킷 145 : 체인
150 : 공기 가열부 151 : 연결관
153 : 히터 155 : 공기 블로어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가공물질이 공급되어 배출되는 가공물질 공급부;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원료가 투입되어 수용되는 원료 수용부; 및 상기 원료 수용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원료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내부로 상기 가공물질이 유입되는 유입부재; 및 상기 유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부재로 유입되는 상기 가공물질을 분사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질은 물, 스팀 및 공기이고,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원료가 세척, 증자 또는 발효될 수 있도록 물, 스팀 또는 공기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공기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며, 상기 원료 수용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가공물질이 상기 노즐부재를 경유하여 재유입되도록 상기 유입관의 중앙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막;
    상기 가공물질이 상기 유입관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관에 마련되는 배출밸브; 및
    되도록 상기 유입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스팀 또는 공기가 각각 유입되며, 상기 물, 스팀 또는 공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입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노즐부재가 상기 원료 수용부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유입부재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유도관;
    상기 가공물질이 분사되도록 분사구멍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유도관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입부재에 지지되는 분사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는 상기 원료 수용부의 공기 및 스팀이 상기 유입부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부재에 결합되는 배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유입부재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배기관;
    상기 배기관의 입구에 결합되는 원료유입 방지망; 및
    상기 원료유입 방지망에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열부는,
    상기 가공물질 공급부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가열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외부에 마련되는 히터; 및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공기 블로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KR1020100138408A 2010-12-30 2010-12-30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KR101228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408A KR101228083B1 (ko) 2010-12-30 2010-12-30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408A KR101228083B1 (ko) 2010-12-30 2010-12-30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29A KR20120076729A (ko) 2012-07-10
KR101228083B1 true KR101228083B1 (ko) 2013-02-14

Family

ID=4671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408A KR101228083B1 (ko) 2010-12-30 2010-12-30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14B1 (ko) 2013-07-16 2014-01-08 정순묵 정제 염수를 이용한 위생 새우젓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520B1 (ko) * 2012-10-12 2014-10-14 주식회사 대율산업 위생 cip 회전 증자기 및 이를 이용한 작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0734B1 (en) * 1997-09-11 2001-04-03 Hak-Ju Jun Soft unpolished r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0734B1 (en) * 1997-09-11 2001-04-03 Hak-Ju Jun Soft unpolished r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14B1 (ko) 2013-07-16 2014-01-08 정순묵 정제 염수를 이용한 위생 새우젓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29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42102A (zh) 一种山楂发酵饮料的制作方法
US8932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am-cooking
KR101228083B1 (ko) 식품 증자 및 발효 장치
CN110934252B (zh) 一种自动卤制生产线和卤制方法
CN207428022U (zh) 香菇菌种接种机
CN105342461B (zh) 一种制浆方法和一种食物料理机
CN104366572A (zh) 一种禽蛋的自动化加工装置
KR101876158B1 (ko) 발효잡곡쌀의 제조방법
CN107361148A (zh) 一种熟浆热磨的豆奶加工工艺
KR20190031045A (ko) 마늘 요구르트용 소형 발효장치
CN209355669U (zh) 干香菇快速烘干装置
CN110575085B (zh) 用于制备酸豆乳的装置及方法
KR101487539B1 (ko) 곡물 증숙 건조 일관 제조장치
KR101871883B1 (ko) 스팀식 화식사료 제조기
CN107307087A (zh) 一种豆奶的泡豆工艺
KR102067537B1 (ko) 쌀음료제조장치
CN204377833U (zh) 禽蛋的自动化加工装置
CN213074349U (zh) 黄豆酱生产用的泡、蒸一体装置
KR101450520B1 (ko) 위생 cip 회전 증자기 및 이를 이용한 작동방법
CN208228244U (zh) 一种用于食品物料颗粒的预煮设备
CN109652268A (zh) 一种醪糟自动化生产设备
CN109419403B (zh) 烹饪器具、豆浆制取的方法及计算机装置
CN208708645U (zh) 一种制作酱油的黄豆处理装置
KR101779145B1 (ko) 청국장용 콩 증숙장치
CN201976554U (zh) 豆芽培育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