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696B1 -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696B1
KR102251696B1 KR1020190151834A KR20190151834A KR102251696B1 KR 102251696 B1 KR102251696 B1 KR 102251696B1 KR 1020190151834 A KR1020190151834 A KR 1020190151834A KR 20190151834 A KR20190151834 A KR 20190151834A KR 102251696 B1 KR102251696 B1 KR 10225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aw material
drying
supply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인
Priority to KR102019015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 B01F15/0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21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horizont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 C05F17/929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05Mixing or agitating manure, dung
    • B01F2215/00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은, 유기성 폐기물 원료를 건조 또는 상기 원료를 건조하며 발효시키는 건조/발효기; 건조/발효기에 원료를 장입시키는 원료 장입수단; 건조/발효기에 건조/발효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 원료 발효 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게 건조/발효기 내부 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건조/발효기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수단; 원료 건조 또는 발효 시 건조/발효기 내부에 발생하는 습증기 및 악취를 흡입해 제거하며, 건조/발효기 내부의 압력을 감압하는 습증기 제거수단; 및 습증기 제거수단에 의해 습기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불포화공기를 건조/발효기 내부로 공급하는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FEED AND FERTILIZER USING ORGANIC WASTE}
본 발명(Disclosure)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남은 음식물이나 가축의 분뇨 그리고 가축 도축 시 발생하는 폐기물이나, 각종 식품공장과 농·수·축산물의 유통, 가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들을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해양투기나 매립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과정을 거치거나, 혹은 에너지와 열을 사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과정을 통해 사료의 원료나 비료의 원료로 이용하는 자원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방식 중 자원화 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 시키면서 미생물 발효제를 이용해 발효시키는 것으로, 종래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스템들은 장기간에 걸쳐 가열하므로 열 손실이 크고, 특히 미생물이 증식하지 못하고 사멸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특허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115425호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4152호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72163호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6165호
본 발명(Disclosure)은, 저온에서 원료(유기성 폐기물)를 건조 시키면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생물이 다량으로 함유된 사료 및 비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은, 유기성 폐기물 원료를 건조 또는 상기 원료를 건조하며 발효시키는 건조/발효기; 건조/발효기에 원료를 장입시키는 원료 장입수단; 건조/발효기에 건조/발효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 원료 발효 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게 건조/발효기 내부 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건조/발효기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수단; 원료 건조 또는 발효 시 건조/발효기 내부에 발생하는 습증기 및 악취를 흡입해 제거하며, 건조/발효기 내부의 압력을 감압하는 습증기 제거수단; 및 습증기 제거수단에 의해 습기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불포화공기를 건조/발효기 내부로 공급하는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원료 장입수단은, 장입 컨베이어; 및 장입 컨베이어의 연장단과 건조/발효기의 원료 투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파쇄기;를 포함하며, 장입 컨베이어의 상부 측에는 다수의 스팀분사노즐이 장입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스팀분사노즐로는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의 스팀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스팀이 장입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원료에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건조/발효기는, 내부드럼; 내부드럼과의 사이에 스팀 유동 공간을 형성되도록 내부드럼 외측을 감싸며, 양단이 내부드럼의 양단에 용접 고정된 플랜지에 용접 고정되는 외부드럼; 내부드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내부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양단이 내부드럼의 양단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공의 교반축; 교반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교반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교반축의 중공부와 연결되도록 빈 다수의 교반날개; 및 교반축 및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되, 외부드럼에는 스팀 유동 공간 내로 스팀이 공급되게 하는 다수의 스팀 공급공과 스팀 유동 공간 내부의 스팀을 배출되게 하는 다수의 스팀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부드럼 상에는 외부드럼의 외측에서 스팀 유동 공간을 지나 내부드럼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장되는 원료 투입구, 감압구 및 관찰구가 형성되되, 원료 투입구 및 관찰구에는 도어가 장착되고, 관찰구에는 투시창이 장착되고, 내부드럼에는 원료 건조 시 또는 원료 발효 시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침출수 배출라인이 연결되되, 침출수 배출라인은 내부드럼에서부터 스팀 유동 공간 및 외부드럼을 관통해 건조/발효기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교반축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은 내부드럼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마감하는 제 1 및 제 2 엔드커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또는 제 2 엔드커버에는 건조 또는 발효가 완료된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 배출구 및 원료 배출구를 단속하는 원료 배출도어가 장착되고, 내부드럼의 양단 외측으로 노출된 교반축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미케니컬 샤프트 씰의 회전부가 장착되되, 제 1 미케니컬 샤프트 씰의 고정부에는 제 1 삼방향 밸브의 제 1 유입구 측이 연결되고, 제 2 미커니컬 샤프트 씰의 고정부에는 제 2 삼방향 밸브의 제 1 유출구 측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은, 스팀 보일러;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원료 장입수단의 스팀분사노즐들에 공급하는 제 1 스팀 공급 라인;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하는 제 2 스팀 공급 라인; 및 교반축의 중공부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스팀 보일로 공급하는 제 1 응축수 공급 라인;을 포함하되, 제 1 스팀 공급 라인의 일단은 스팀 보일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원료 장입수단의 스팀분사노즐들에 연결되되, 제 1 스팀 공급 라인에는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분사노즐들에 공급되게 하는 제 1 스팀 공급 펌프 및 스팀분사노즐들에 분사되는 스팀을 가열시키는, 제 1 스팀 공급 라인을 감싸는 저항선에 전류를 인가해 스팀을 가열시키는 제 1 전열기가 배치되고, 제 2 스팀 공급 라인의 일단은 스팀 보일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삼방향 밸브의 제 2 유입구 측에 연결되되, 제 2 스팀 공급 라인에는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되게 하는 제 2 스팀 공급 펌프가 배치되며,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의 일단은 제 2 삼방향 밸브의 제 2 유출구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팀 보일러와 연결되되,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에는 응축수를 스팀 보일러로 공급하는 급수펌프가 배치되고, 급수펌프와 제 2 삼방향 밸브 사이의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에는 응축수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은,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 유동 공간 측으로 공급하는 제 3 스팀 공급 라인; 및 스팀 유동 공간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스팀 보일러 측으로 공급하는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을 더 포함하되, 제 3 스팀 공급 라인의 일단은 제 2 스팀 공급 펌프와 제 1 삼방향 밸브 사이의 제 2 스팀 공급 라인에 연결되고 제 3 스팀 공급 라인의 타단은 분기되어 스팀 공급공들에 연결되며,제 2 응축수 회수 라인의 일단은 응축수 탱크와 제 2 삼방향 밸브 사이의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스팀 배출공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온도 조절수단은, 냉각수가 저장되는 물탱크; 물탱크의 냉각수를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라인; 및 교반축의 중공부에서 배출되는 열교환된 냉각수를 물탱크로 공급하는 냉각수 회수 라인;을 포함하되, 냉각수 공급 라인의 일단은 물탱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삼방향 밸브의 제 3 유입구에 연결되되, 냉각수 공급 라인에는 물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되게 하는 냉각수 공급 펌프가 배치되며, 냉각수 회수 라인의 일단은 제 2 삼방향 밸브의 제 3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물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습증기 제거수단은, 습증기 제거 라인; 습증기 제거 라인에 배치되고, 원료 건조 또는 발효 시 내부드럼 내부의 습증기를 흡입하여 내부드럼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진공펌프; 습증기 제거 라인의 선단 측에 연결되고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습증기를 집진하는 집진기; 진공펌프와 집진기 사이의 습증기 제거 라인에 배치되어 집진기로부터 습증기 제거 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제 1 열교환기; 진공펌프와 제 1 열교환기 사이의 습증기 제거라인에 배치되어 제 1 열교환기로부터 습증기 제거 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응축수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기수분리기; 및 진공펌프의 후단 측에 배치되며, 기수분리기에서 습증기 제거 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및 수분을 제거하는 스크러버;를 포함하되, 제 1 열교환기는 물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여 습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집진기는, 상부 및 측면은 폐쇄되고 하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역 원뿔 형상으로 제공되되, 흡입구가 감압구와 연결되도록 외부드럼에 장착되는 집진기 몸체; 집진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습증기 및 악취는 통과시키고 습증기 및 악취와 함께 흡입된 건조 또는 발효 중인 원료는 걸러내는 집진 필터; 및 습증기 제거 라인과 연결되고, 집진기 몸체의 외부 측에서부터 집진기 몸체 및 집진 필터를 관통해 집진 필터 내부로 연장되는 습증기 배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은, 스크러버를 거치면서 악취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내부드럼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 불포화 공기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고, 불포화 공기 공급 라인을 따라 스크러버에서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공기가 불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제 2 열교환기 및 제 2 전열기;를 포함하되,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의 일단은 스크러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내부드럼의 내부로 연장되며, 제 2 열교환기는 스팀 보일러의 스팀이 저장되는 스팀탱크에 저장된 스팀을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여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고, 제 2 전열기는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을 감싸는 저항선에 전류를 인가해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에서,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은, 원료 발효 시 내부드럼 내부로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는,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에 배치되는 공기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입 컨베이어에 올려진 원료 운반 시 스팀분사노즐을 통해 고온의 스팀이 원료에 분사되기 때문에 원료에 포함된 세균 등은 살균 및 멸균할 수 있으며, 또한 원료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예열되기 때문에 원료의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쇄기가 어류 등의 비늘 및 채소 등의 표피를 분쇄하고 분리시키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이 내부드럼과 외부드럼 사이에 형성된 스팀 유동 공간과 교반축 및 각각의 교반날개에 공급되기 때문에 원료가 건조 또는 발효되는 내부드럼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며, 그로 인해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건조 및 발효 시 내부드럼 내부를 감압시키고, 내부드럼 내부로 불포화 공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발효 시 공기탱크의 제습 공기를 선택적으로 내부드럼 내부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혐기성 미생물을 물론 호기성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발효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진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발효기에서의 스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발효기에서의 냉각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은 원료 장입수단(110)과, 건조/발효기(115)와,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137), 온도 조절수단(149), 습증기 제거수단(155) 및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166)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료는 유기성 폐기물, 예를 들면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분뇨, 가축 도축 시 발생하는 폐기물, 각종 식품공장과 농산물의 유통, 가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등일 수 있다.
먼저, 원료 장입수단(110)은 원료를 건조/발효기(115) 측으로 장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료 장입수단(110)은 장입 컨베이어(111)를 포함한다.
장입 컨베이어(111)는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로 이루어지며, 건조 또는 발효시킬 원료를 건조/발효기(115) 측으로 운반한다.
여기서,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장입 컨베이어(111)의 구성 및 작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장입 컨베이어(111)의 시작단 측에는 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입호퍼(112)가 마련되며, 장입 컨베이어(111)의 상부 측에는 다수의 스팀분사노즐(113)이 장입 컨베이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스팀분사노즐(113)들은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137)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steam)을 장입 컨베이어(111)에 의해 운반되는 원료에 분사한다. 이에 의해 원료에 포함된 세균 등은 살균 및 멸균되며, 원료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예열되기 때문에 원료의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팀분사노즐(113)들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은 대략 200~400도의 온도로 분사된다.
한편, 원료 장입수단(110)은 장입 컨베이어(111)에 의해 운반된 원료를 넘겨받아 분쇄하고, 분쇄된 원료를 건조/발효기(115) 측으로 장입시키는 파쇄기(114)를 더 포함한다.
파쇄기(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입 컨베이어(111)의 연장단과 건조/발효기(115) 사이에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파쇄기(114)는 분쇄된 원료가 배출되는 하부가 건조/발효기(115)의 원료 투입구(123)와 마주하도록 건조/발효기(115)에 지지될 수 있다.
즉, 파쇄기(114)를 통과하면서 분쇄된 원료는 파쇄기(114)의 하부 및 원료 투입구(123)를 거쳐 건조/발효기(115)의 내부로 장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파쇄기(114)의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파쇄기(114)가 원료를 분쇄하고, 원료 중에 포함된 어류 등의 비늘 및 채소 등의 표피를 분쇄하고 분리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이렇게 파쇄기(114)가 원료를 분쇄하고, 특히 어류 등의 비늘 및 채소 등의 표피를 분쇄하고 분리시키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도 1에는 통상의 롤 파쇄기(114)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한 쌍의 원통형 분쇄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쇄롤 사이로 원료를 넣어 분쇄하는 통상의 롤 파쇄기(114)가 도시되어 있다.
건조/발효기(115)는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137)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을 이용해 원료를 건조시키거나 또는 원료에 미생물을 배양하면서 원료를 발효시킨다.
건조/발효기(115)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고 특허등록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1161호"에 개시된 토착미생물 배양 장치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진다.
즉, 건조/발효기(1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연장된 원통 형상의 내부드럼(116)과, 수평하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드럼(116)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드럼(120)을 포함한다.
이때, 외부드럼(120)은 내부드럼(116)과의 사이에 스팀 유동 공간(118)이 형성되도록 이격되며, 외부드럼(120)의 양단은 내부드럼(116)의 양단에서 용접고정된 플랜지(119)에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외부드럼(120)에는 스팀 유동 공간(118) 내로 스팀이 공급되게 하는 다수의 스팀 공급공(121)과 스팀 유동 공간(118) 내부의 스팀을 배출되게 하는 다수의 스팀 배출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드럼(120) 상에는 내부드럼(116) 내부로 원료를 장입시키는 원료 투입구(123), 내부드럼(116) 내부의 압력을 감압할 수 있게 하는 감압구(124) 및 내부드럼(116)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관찰구(125)가 형성되되, 원료 투입구(123), 감압구(124) 및 관찰구(125)는 외부드럼(120)의 외측에서 스팀 유동 공간(118)을 지나 내부드럼(116)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장된다.
이때, 원료 투입구(123) 및 관찰구(125)에는 각각 원료 투입구(123) 및 관찰구(125)를 단속하는 도어가 장착된다.
또한, 내부드럼(116)에는 원료 건조 시 또는 원료 발효 시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침출수 배출라인(126)이 연결되는데, 침출수 배출라인(126)은 스팀 유동 공간(118) 및 외부드럼(120)을 관통해 건조/발효기(115)의 외부로 연장되며, 침출수 배출라인(126) 상에는 내부드럼(116)에 장입된 원료의 유출은 막으면서 침출수만이 배출되게 하는 필터(도시되지 않음) 및 침출수 배출라인(126)을 단속하는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여기서, 침출수 배출라인(126)으로 배출되는 침출수는 액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건조/발효기(115)는 내부드럼(1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내부드럼(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양단이 내부드럼(116)의 양단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공의 교반축(127)과, 중공의 교반축(127)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교반날개(128)를 더 포함한다.
교반축(127)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은 내부드럼(116)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마감하는 제 1 및 제 2 엔드커버(129a, 129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어느 하나의 엔드커버(129a, 129b)에는 건조 및 발효가 완료된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 배출구(130) 및 원료 배출구(130)를 단속하는 원료 배출도어(131)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는 제 1 엔드커버(129a)에 형성된 원료 배출구(130) 및 원료 배출도어(131)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드럼(116)의 양단 외측으로 노출된 교반축(127)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통상의 제 1 및 제 2 미케니컬 샤프트 씰(132a, 132b; Mechanical Shaft Seal)이 장착된다.
즉, 내부드럼(116)의 양단 외측으로 노출된 교반축(127)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미케니컬 샤프트 씰(132a, 132b)의 회전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미케니컬 샤프트 씰(132a, 132b)의 고정부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삼방향 밸브(133, 134)가 장착된다.
이때, 제 1 삼방향 밸브(133)는 제 1, 제 2 및 제 3 유입구(133a, 133b, 133c)를 가지는데,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1 유입구(133a)는 제 1 미케니컬 샤프트 씰(132a)의 고정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삼방향 밸브(134)는 제 1, 제 2 및 제 3 유출구(134a, 134b, 134c)를 가지는데, 제 2 삼방향 밸브(134)의 제 1 유출구(134a)는 제 2 미케니컬 샤프트 씰(132b)의 고정부에 연결된다.
교반날개(1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127)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교반축(1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교반날개(128)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고, 교반날개(127)의 빈 내부는 교반축(127)의 중공부와 연결된다. 즉 교반축(127)의 중공부로 유입된 스팀 또는 냉각수는 각각의 교반날개(128) 내부로 유동된다.
이렇게 스팀 및 냉각수가 교반축(127) 및 각각의 교반날개(128)의 내부로 유동되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조/발효기(115)는 교반축(127) 및 교반날개(128)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연결 관계 및 감속기와 교반축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137)은 스팀 보일러(138), 제 1 스팀 공급 라인(139), 제 2 스팀 공급 라인(142) 및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을 포함한다.
스팀 보일러(138)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이용해 보급수를 가압시켜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스팀 보일러(138)의 구성을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스팀 보일러(138)가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제 1 스팀 공급 라인(139)은 스팀 보일러(138)에서 발생된 스팀을 원료 장입수단(110) 측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제 1 스팀 공급 라인(139)의 일단은 스팀 보일러(138)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원료 장입수단(110)의 스팀분사노즐(113)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스팀 공급 라인(139) 상에는 스팀 보일러(138)에서 스팀을 흡입해 스팀분사노즐(113)들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제 1 스팀 공급 펌프(140)가 배치되며, 스팀분사노즐(113)에 인접한 제 1 스팀 공급 라인(139)에는 스팀분사노즐(113) 측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대략 200~400도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통상의 제 1 전열기(141)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전열기(141)는 제 1 스팀 공급 라인(139)을 소정의 길이로 감싸는 저항선에 전류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을 이용해 스팀을 대략 200~400도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으로, 제 1 전열기(141)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스팀 공급 라인(142)은 스팀 보일러(138)에서 발생된 스팀을 건조/발효기(115)의 교반축(127)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제 2 스팀 공급 라인(142)의 일단은 제 1 스팀 공급 라인(139)에 간섭되지 않게 스팀 보일러(13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2 유입구(133b)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스팀 공급 라인(142) 상에는 스팀 보일러(138)에서 스팀을 흡입해 건조/발효기(115)의 교반축(127)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제 2 스팀 공급 펌프(143)가 배치된다.
즉, 제 2 스팀 공급 펌프(143)의 작동에 의해 스팀은 제 2 스팀 공급 라인(142)을 따라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2 유입구(133b)로 공급되고, 제 2 유입구(133b)로 공급된 스팀은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1 유입구(133a)를 걸쳐 교반축(127)의 중공부로 공급되며, 교반축(127)의 중공부로 공급된 스팀은 교반축(127)의 중공부와 연결된 각각의 교반날개(128)의 빈 내부로 안내된다.
이렇게 스팀이 교반축(127)의 중공부 및 각각의 교반날개(128)의 빈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원료가 건조 및 발효되는 내부드럼(116)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은 건조/발효기(115)의 교반축(127)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스팀 보일러(138) 측으로 공급한다. 즉, 교반축(127)에서 배출되는 스팀은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 측으로 유동하면서 차가운 외기와 만나 응축수로 상변화되는데,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은 이렇게 교반축(127)에서 배출되어 상변화된 응축수를 스팀 보일러(138) 측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의 일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삼방향 밸브(134)의 제 2 유출구(134b)에 연결되고,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의 타단은 스팀 보일러(138)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 상에는 응축수를 스팀 보일러(138) 측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45)가 배치되며, 제 2 삼방향 밸브(134)와 급수펌프(145) 사이의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 상에는 응축수 탱크(146)가 배치된다.
응축수 탱크(146)로는 응축수가 수집되며, 급수펌프(145)는 응축수 탱크(146) 내부로 수집된 응축수를 스팀 보일러(138)로 공급한다. 이때 응축수 탱크(146)로는 원료의 건조 또는 발효과정에서 증발 및 소모된 양 만큼 연수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보급수가 공급된다.
이렇게 스팀 보일러(138)가 응축수 탱크(146)부터 응축수를 공급받아 가열시키기 때문에 스팀 보일러(138)의 과도한 에너지 손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137)은 제 3 스팀 공급 라인(147) 및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148)을 더 포함한다.
제 3 스팀 공급 라인(147)은 스팀 보일러(138)에서 발생된 스팀을 건조/발효기(115)의 내부드럼(116)과 외부드럼(120) 사이에 형성된 스팀 유동 공간(118)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제 3 스팀 공급 라인(147)의 일단은 제 2 스팀 공급 펌프(143)와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2 유입구(133b) 사이의 제 2 스팀 공급 라인(142)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수로 분기되어 외부드럼(120)에 형성된 각각의 스팀 공급공(121)에 연결된다.
즉, 제 2 스팀 공급 펌프(143)의 작동에 의해 스팀 보일러(138)의 스팀은 교반축(127)의 중공부로 공급될 뿐만 아니라 스팀 유동 공간(118) 측으로도 공급된다. 그리고 스팀 유동 공간(118) 측으로 공급된 스팀은 각각의 교반날개(128)의 내부로 공급된 스팀과 함께 원료가 건조 및 발효되는 내부드럼(116)의 내부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148)은 건조/발효기(115)의 스팀 유동 공간(118)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스팀 보일러(138)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148)은 일단은 응축수 탱크(146)와 제 2 삼방향 밸브(134)의 제 2 유출구(134b) 사이의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8)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수로 분기되어 외부드럼(120)에 형성된 각각의 스팀 배출공(122)에 연결된다.
즉, 각각의 스팀 배출공(122)을 통해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148) 측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응축수로 상변화되고, 상변화된 응축수는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148) 및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8)을 따라 응축수 탱크(146)에 수집된 후 급수펌프(145)의 작동에 의해 스팀 보일러(138)로 공급된다.
온도 조절수단(149)은 원료 발효 시 미생물이 활발하게 증식할 수 있게 건조/발효기(115)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서 온도 조절수단(149)은 물탱크(150), 냉각수 공급 라인(152) 및 냉각수 회수 라인(154)을 포함한다.
물탱크(15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건조/발효기(115)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물탱크(150)는 냉각수를 저장하고 냉각수를 보충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물탱크(150)에 저장된 냉각수는 인접 배치되는 통상의 쿨링타워(151)에 의해 일정 온도, 바람직하게는 대기 온도까지 냉각된다.
여기서, 물탱크(150)와 쿨링타워(151)의 연결 관계는 및 쿨링타워(151)를 통한 냉각수의 냉각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각수 공급 라인(152)은 물탱크(150)에 저장된 냉각수를 건조/발효기(115)의 교반축(127)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냉각수 공급 라인(152)의 일단은 물탱크(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3 유입구(133c)에 연결된다.
그리고 냉각수 공급 라인(152) 상에는 물탱크(150)에 저장된 냉각수를 흡입해 건조/발효기(115)의 교반축(127)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냉각수 공급 펌프(153)가 배치된다.
즉, 냉각수 공급 펌프(153)의 작동에 의해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 라인(152)을 따라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3 유입구(133c)로 공급되고, 제 3 유입구(133c)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 1 삼방향 밸브(133)의 제 1 유입구(133a)를 걸쳐 교반축(127)의 중공부로 공급되며, 교반축(127)의 중공부로 공급된 냉각수는 교반축(127)의 중공부와 연결된 각각의 교반날개(128)의 빈 내부로 안내된다.
이렇게 냉각수가 교반축(127)의 중공부 및 각각의 교반날개(128)의 빈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원료 발효 시 내부드럼(116)의 내부 온도를 대략 28~35도 사이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내부드럼(116)의 내부 온도를 대략 28~35도로 낮추는 것은, 28~35도 사이의 온도에서 미생물의 배양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냉각수 회수 라인(154)은 건조/발효기(115)를 교반축(127)에서 배출된 냉각수, 즉 교반축(127) 및 교반날개(128)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각수를 물탱크(150)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냉각수 회수 라인(144)의 일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삼방향 밸브(134)의 제 3 유출구(134c)에 연결되고, 냉각수 회수 라인(144)의 타단은 물탱크(150)에 연결된다.
즉, 건조/발효기(115)를 교반축(127)에서 배출된 냉각수는 제 2 삼방형 밸브(134)의 제 1 유출구(134a)로 배출되어 제 3 유출구(134c)를 통해 냉각수 회수 라인(144) 측으로 공급되고, 냉각수 회수 라인(144)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물탱크(150) 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교반축(127) 및 교반날개(128) 내부로의 스팀 공급 및 냉각수 공급, 그리고 스팀 배출 및 냉각수의 배출은 제 1 삼방향 밸브(133) 및 제 2 삼방향 밸브(134)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 1 삼방향 밸브(133) 및 제 2 삼방향 밸브(134)의 작동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습증기 제거수단(155)은 원료 건조 시 또는 원료 발효 시 건조/발효기(115)의 내부드럼(116) 내부에 발생하는 습증기 및 악취를 흡입해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내부드럼(116)의 압력을 감압시킨다.
습증기 제거수단(155)은 습증기 제거 라인(156)과, 습증기 제거 라인(156)의 선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배치되는 집진기(157), 제 1 열교환기(162), 기수분리기(163), 진공펌프(164) 및 스크러버(165)를 포함한다.
집진기(157)는 습증기 제거 라인(156)의 선단 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집진기(157)는 집진기 몸체(158), 집진 필터(160) 및 습증기 배출덕트(161)를 포함한다.
집진기 몸체(158)는 상부 및 측면은 폐쇄되고 하부에는 흡입구(159)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역 원뿔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렇게 형성된 집진기 몸체(158)는 진공펌프(164)의 작동에 의해 내부드럼(116) 내부의 습증기 및 악취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159)가 감압구(124)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집진기 몸체(158)의 하부는 흡입구(159)와 감압구(124)가 연결되도록 외부드럼(120)에 장착된다.
집진 필터(160)는 집진기 몸체(158)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집진 필터(160)는 집진기 몸체(158)의 폐쇄된 상부에서부터 흡입구(159)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집진 필터(160)는 흡입구(159)를 통해 흡입된 습증기 및 악취는 통과시키고 습증기 및 악취와 함께 흡입된 건조 또는 발효 중인 원료는 걸러낸다.
여기서, 집진 필터(160)에 의해 걸려진 원료는 자중에 의해 흡입구(159) 및 감압구(124)를 거쳐 내부드럼(116)의 내부로 낙하되거나, 진공펌프(164)의 작동이 중지되면 흡입구(159) 및 감압구(124)를 거쳐 내부드럼(116)의 내부로 낙하된다.
한편, 습증기 배출덕트(161)는 집진기 몸체(158)의 외부 측에서부터 집진기 몸체(158) 및 집진 필터(160)를 관통해 집진 필터(160) 내부로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습증기 배출덕트(1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습증기 제거 라인(156)의 선단과 연결되며, 집진 필터(160)를 통과한 습증기 및 악취는 습증기 배출덕트(161)를 따라 집진기(157)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집진기(157) 외부로 배출된 습증기 및 악취는 습증기 제거 라인(156)을 따라 제 1 열교환기(162)로 안내된다.
제 1 열교환기(162)는 집진기(157)의 후단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 1 열교환기(162)는 진공펌프(164)의 작동에 의해 집진기(157)로부터 습증기 제거 라인(156)을 따라 안내되는 습증기를 응축시킨다.
이때, 제 1 열교환기(162)는 물탱크(150)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여 습증기를 응축시키는데, 이렇게 물탱크(150)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기 위한 제 1 열교환기(162)와 물탱크(150)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수분리기(163)는 제 1 열교환기(162)의 후단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수분리기(162)는 진공펌프(164)의 작동에 의해 제 1 열교환기(162)로부터 습증기 제거 라인(156)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악취)와 응축수를 분리시키고, 응축수를 수집한다.
즉, 기수분리기(163)는 공기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응축수를 분리시켜 수집한다.
진공펌프(164)는 기수분리기(163)의 후단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진공펌프(1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드럼(116) 내부의 습증기를 흡입하며, 동시에 내부드럼(116) 내부를 압력을 강하시켜 내부드럼(116) 내부를 저압 환경이 되게 한다.
즉, 진공펌프(164)는 내부드럼(116) 내부를 감압시킴으로서, 원료에 포함된 수분이 낮은 온도에서도 부글거리며 끓어오르게(沸騰) 하는데, 이에 의해 원료는 낮은 온도, 대략 28~35도 사이의 온도에서도 건조 또는 발효가 진행되고, 특히 발효 시 미생물이 활발하게 증식 및 배양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진공펌프(164)는 기수분리기(163)에 의해 응축수와 분리된 공기를 습증기 제거 라인(156)을 통해 스크러버(165) 측으로 안내한다.
스크러버(165)는 진공펌프(164)의 후단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스크러버(165)는 진공펌프(164)의 작동에 의해 기수분리기(163)에서 안내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및 공기에 포함된 수분(mist)를 제거한다.
그리고 스크러버(165)는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포화공기 공급수단(166)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제 1 열교환기(162), 기수분리기(163), 진공펌프(164) 및 스크러버(165)의 구성 및 작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166)은 습증기 제거수단(155)을 거치면서 습기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가열시켜 건조/발효기(115)의 내부드럼(116) 내부로 공급한다.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166)은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과,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 상에 배치되는 제 2 열교환기(168) 및 제 2 전열기(169)를 포함한다.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는 습증기 제거수단(155)의 스크러버(165)와 건조/발효기(115)의 내부드럼(116)을 연결시킨다. 다시 말해,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의 일단은 스크러버(165)와 연결되고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의 타단은 다수로 분기되어 내부드럼(116)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렇게 연장된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 상에는 스크러버(165) 측에서부터 내부드럼(116) 측으로 제 2 열교환기(168) 및 제 2 전열기(169)가 배치된다.
제 2 열교환기(168) 및 제 2 전열기(169)는 스크러버(165)로부터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공기가 불포화 상태가 되게 한다.
제 2 열교환기(168)는 스팀탱크(170)에 저장된 스팀을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여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며, 제 2 전열기(169)는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을 소정의 길이로 감싸는 저항선에 전류를 통하여 공기를 가열시킨다.
여기서, 스팀탱크(170)에 저장된 스팀을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기 위한 제 2 열교환기(168)와 스팀탱크(169)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팀 보일러(138)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탱크(169)에 저장하기 위한 스팀 보일러(138)와 스팀탱크(170)의 연결 관계 또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제 2 열교환기(168) 및 제 2 전열기(169)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불포화공기는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의 타단을 통해 내부드럼(116) 내부로 공급되고, 내부드럼(116) 내부로 공급된 불포화공기는 내부드럼(116) 내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진공펌프(164)에 의해 습증기 제거수단(155) 측으로 흡입된다.
한편,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 상에는 원료 발효 중인 내부드럼(116) 내부로 제습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공기탱크(171)가 더 배치된다.
공기탱크(17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된 제습 공기가 저장된다. 그리고 공기탱크(171)는 호기성 미생물 배양 시에 만 선택적으로 제습공기를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167)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공기탱크(171)에는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원료 발효 시 내부드럼(116)의 내부를 감압시킨 상태 하에서 미생물을 배양하면 내부드럼(116) 내부에 공기가 없기 때문에 산패되지 않은 상태의 혐기성 배양이 이루어지고, 공기탱크(171)를 통해 제습공기를 불포화공기와 함께 내부드럼(116) 내부로 공급하면 미생물의 호기성 배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습증기 제거수단(155) 및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166)은 원료 건조 또는 발효 작업과 동시에 작동하여 건조 또는 발효가 완료될 때 까지 작동하거나, 원료 건조 또는 발효 작업 도중에 작동할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을 이용해 유기성 폐기물, 즉 원료를 사료 또는 비료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료를 장입 컨베이어(111)에 올려 파쇄기(114) 측으로 운반시킨다.
이때, 장입 컨베이어(111)에 올려져 파쇄기(114) 측으로 운반되는 원료에 포함된 세균 등은 스팀분사노즐(113)들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 및 멸균된다.
그리고 파쇄기(114)는 운반된 원료를 분쇄해 건조/발효기(115)의 내부드럼(116) 내부로 장입시킨다. 파쇄기(114)에 의해 분쇄된 원료는 파쇄기(114)의 하부 및 원료 투입구(123)를 거쳐 내부드럼(116)의 내부로 장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료가 내부드럼(116)의 내부로 장입되면, 원료 투입구(123)를 차단시킨 상태 하에서 교반축(127)을 회전시키고, 교반축(127)과 교반날개(128)의 내부 및 스팀 유동 공간(118) 내부로 스팀을 공급해 원료를 건조시킨다.
이때, 교반축(127) 및 교반날개(128) 내부로의 스팀은 제 2 스팀 공급 라인(140)을 통해 공급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 1 삼방향 밸브(133)는 제 2 유입구(133b)와 제 1 유입구(133a)를 연결시켜 스팀이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스팀 유동 공간(118) 내부로의 스팀은 제 2 스팀 공급 라인(140)과 연결된 제 3 스팀 공급 라인(147)을 통해 공급된다.
한편, 교반축(127) 및 교반날개(128)로 공급된 스팀과 스팀 유동 공간(118)으로 공급된 스팀은 각각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144) 및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148)을 통해 스팀 보일러(138) 측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제 2 삼방향 밸브(134)는 제 1 유출구(134a)와 제 2 유출구(134b)를 연결시킨다.
한편, 내부드럼(116) 내부에 장입된 원료의 수분율이 대략 40~60%가 되도록 건조가 되면 작업지시서에 따라 원료를 건조만 시킬 것인지 또는 미생물을 배양시키면서 원료를 발효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미생물을 배양시키면서 원료를 발효시킬 경우, 관찰구(125)를 통해 내부드럼(116) 내부로 쌀겨, 밀기울, 옥분 등의 배지를 투입한 후 습증기 제거수단(155)의 진공펌프(164)를 작동시켜 내부드럼(116)의 내부를 감압시키면서 내부드럼(116) 내부로 포화공기 공급수단(166)을 통해 내부드럼(116)의 내부로 불포화 공기를 공급시키면서 원료를 발효시킨다.
이때, 미생물이 호기성 미생물일 경우 공기탱크(171)의 공기를 공급하면서 원료를 발효시킨다.
한편, 발효 과정에서 내부드럼(116) 내부의 온도가 35도를 초과하면, 교반축(127)과 교반날개(128)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시킨다.
냉각수는 온도 조절수단(149)의 냉각수 공급 라인(152)을 통해 공급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 1 삼방향 밸브(133)는 제 3 유입구(133b)와 제 1 유입구(133a)를 연결시켜 냉각수가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교반축(127) 및 교반날개(128)로 공급된 스팀과 스팀 유동 공간(118)으로 공급된 스팀은 냉각수 회수 라인(154)을 통해 물탱크(150)로 공급되는데, 이때 제 2 삼방향 밸브(134)는 제 1 유출구(134a)와 제 3 유출구(134c)를 연결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은 원료 발효 시 스팀 공급과 냉각수 공급을 반복하면서 내부드럼(116)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 배양이 활발한 온도인 28~35도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원료의 건조 및 발효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을 작동을 정지시킨 후, 원료 배출구(130)를 개방시켜 건조 및 발효가 완료된 원료, 즉 사료 또는 비료를 배출한 후 포장작업과 같은 후행하는 작업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전술한 원료의 건조 및 발효는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은 장입 컨베이어(111)에 올려진 원료 운반 시 스팀분사노즐(113)을 통해 고온의 스팀이 원료에 분사되기 때문에 원료에 포함된 세균 등은 살균 및 멸균할 수 있으며, 또한 원료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예열되기 때문에 원료의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은 파쇄기(114)가 어류 등의 비늘 및 채소 등의 표피를 분쇄하고 분리시키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은 스팀이 내부드럼(116)과 외부드럼(120) 사이에 형성된 스팀 유동 공간(118)과 교반축(127) 및 각각의 교반날개(128)에 공급되기 때문에 원료가 건조 또는 발효되는 내부드럼(116)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은 원료 건조 및 발효 시 내부드럼(116) 내부를 감압시키고, 내부드럼(116) 내부로 불포화 공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 및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100)은 원료 발효 시 공기탱크(171)의 제습 공기를 선택적으로 내부드럼(116) 내부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혐기성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기성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유기성 폐기물 원료를 건조 또는 상기 원료를 건조하며 발효시키는 건조/발효기;
    상기 건조/발효기에 상기 원료를 장입시키는 장입 컨베이어와, 상기 장입 컨베이어의 연장단과 상기 건조/발효기의 원료 투입구 사이에 배치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원통형 분쇄롤 사이로 상기 원료를 분쇄하는 파쇄기를 가지는 원료 장입수단;
    상기 건조/발효기에 건조/발효 열원을 공급하는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
    상기 원료 발효 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게 상기 건조/발효기 내부 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건조/발효기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수단;
    습증기 제거 라인, 상기 습증기 제거 라인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 건조 또는 발효 시 상기 건조/발효기의 내부드럼 내부의 습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부드럼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습증기 제거 라인의 선단 측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습증기를 집진하는 집진기,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집진기 사이의 상기 습증기 제거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기로부터 상기 습증기 제거 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제 1 열교환기 사이의 상기 습증기 제거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습증기 제거 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응축수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기수분리기, 및 상기 진공펌프의 후단 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상기 습증기 제거 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및 수분을 제거하는 스크러버를 가지는 습증기 제거수단; 및
    상기 습증기 제거수단에 의해 습기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불포화공기를 상기 건조/발효기 내부로 공급하는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집진기는,
    상부 및 측면은 폐쇄되고 하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역 원뿔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흡입구가 상기 건조/발효기의 감압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건조/발효기의 외부드럼에 장착되는 집진기 몸체;
    상기 집진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습증기 및 악취는 통과시키고 습증기 및 악취와 함께 흡입된 건조 또는 발효 중인 상기 원료는 걸러내는 집진 필터; 및
    상기 습증기 제거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집진기 몸체의 외부 측에서부터 상기 집진기 몸체 및 상기 집진 필터를 관통해 상기 집진 필터 내부로 연장되는 습증기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입 컨베이어의 상부 측에는 다수의 스팀분사노즐이 상기 장입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스팀분사노즐로는 상기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의 스팀 보일러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스팀이 상기 장입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원료에 분사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발효기는,
    상기 건조/발효기는,
    상기 내부드럼;
    상기 내부드럼과의 사이에 스팀 유동 공간을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드럼 외측을 감싸며, 양단이 상기 내부드럼의 양단에 용접 고정된 플랜지에 용접 고정되는 상기 외부드럼;
    상기 내부드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내부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내부드럼의 양단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공의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반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상기 교반축의 중공부와 연결되도록 빈 다수의 교반날개; 및
    상기 교반축 및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드럼에는 상기 스팀 유동 공간 내로 스팀이 공급되게 하는 다수의 스팀 공급공과 상기 스팀 유동 공간 내부의 스팀을 배출되게 하는 다수의 스팀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드럼 상에는 상기 외부드럼의 외측에서 상기 스팀 유동 공간을 지나 상기 내부드럼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장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감압구 및 관찰구가 형성되되, 상기 원료 투입구 및 상기 관찰구에는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드럼에는 원료 건조 시 또는 원료 발효 시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침출수 배출라인이 연결되되, 상기 침출수 배출라인은 상기 내부드럼에서부터 상기 스팀 유동 공간 및 상기 외부드럼을 관통해 상기 건조/발효기의 외부로 연장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은 상기 내부드럼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마감하는 제 1 및 제 2 엔드커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또는 제 2 엔드커버에는 건조 또는 발효가 완료된 상기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 배출구 및 상기 원료 배출구를 단속하는 원료 배출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내부드럼의 양단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교반축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미케니컬 샤프트 씰의 회전부가 장착되되,
    상기 제 1 미케니컬 샤프트 씰의 고정부에는 제 1 삼방향 밸브의 제 1 유입구 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미커니컬 샤프트 씰의 고정부에는 제 2 삼방향 밸브의 제 1 유출구 측이 연결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은,
    스팀 보일러;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원료 장입수단의 스팀분사노즐들에 공급하는 제 1 스팀 공급 라인;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하는 제 2 스팀 공급 라인; 및
    상기 교반축의 중공부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스팀 보일로 공급하는 제 1 응축수 공급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팀 공급 라인의 일단은 상기 스팀 보일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상기 원료 장입수단의 스팀분사노즐들에 연결되되, 상기 제 1 스팀 공급 라인에는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스팀분사노즐들에 공급되게 하는 제 1 스팀 공급 펌프 및 상기 스팀분사노즐들에 분사되는 스팀을 가열시키는, 상기 제 1 스팀 공급 라인을 감싸는 저항선에 전류를 인가해 스팀을 가열시키는 제 1 전열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팀 공급 라인의 일단은 상기 스팀 보일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삼방향 밸브의 제 2 유입구 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 2 스팀 공급 라인에는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되게 하는 제 2 스팀 공급 펌프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 2 삼방향 밸브의 제 2 유출구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팀 보일러와 연결되되, 상기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에는 응축수를 상기 스팀 보일러로 공급하는 급수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제 2 삼방향 밸브 사이의 상기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에는 응축수 탱크가 배치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조/발효 열원 공급수단은,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스팀 유동 공간 측으로 공급하는 제 3 스팀 공급 라인; 및
    상기 스팀 유동 공간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스팀 보일러 측으로 공급하는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스팀 공급 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 2 스팀 공급 펌프와 상기 제 1 삼방향 밸브 사이의 상기 제 2 스팀 공급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스팀 공급 라인의 타단은 분기되어 상기 스팀 공급공들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응축수 회수 라인의 일단은 상기 응축수 탱크와 상기 제 2 삼방향 밸브 사이의 제 1 응축수 회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상기 스팀 배출공들에 연결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수단은,
    냉각수가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냉각수를 상기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라인; 및
    상기 교반축의 중공부에서 배출되는 열교환된 냉각수를 상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냉각수 회수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의 일단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삼방향 밸브의 제 3 유입구에 연결되되,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에는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교반축의 중공부로 공급되게 하는 냉각수 공급 펌프가 배치되며,
    상기 냉각수 회수 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 2 삼방향 밸브의 제 3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여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스크러버를 거치면서 악취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내부드럼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 라인을 따라 상기 스크러버에서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공기가 불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제 2 열교환기 및 제 2 전열기;를 포함하되,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의 일단은 상기 스크러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상기 내부드럼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스팀 보일러의 스팀이 저장되는 스팀탱크에 저장된 스팀을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여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고,
    상기 제 2 전열기는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을 감싸는 저항선에 전류를 인가해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원료 발효 시 상기 내부드럼 내부로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불포화 공기 공급라인에 배치되는 공기탱크;를 더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KR1020190151834A 2019-11-25 2019-11-25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KR10225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34A KR102251696B1 (ko) 2019-11-25 2019-11-25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34A KR102251696B1 (ko) 2019-11-25 2019-11-25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696B1 true KR102251696B1 (ko) 2021-05-14

Family

ID=7591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34A KR102251696B1 (ko) 2019-11-25 2019-11-25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699B1 (ko) * 2022-10-21 2023-03-29 주식회사 국제기공 스팀 쇠죽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439A (ko) * 1998-03-12 1998-07-25 최재명 발효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372163B1 (ko) 1998-07-08 2003-03-17 이성춘 음식물쓰레기 발효사료 및 비료화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523873B1 (ko) * 2005-04-19 2005-10-24 임종덕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설비장치와 방법
KR100646165B1 (ko) 2005-05-23 2006-11-14 김도중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및 사료 제조장치
KR101272123B1 (ko) * 2013-02-07 2013-06-07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1404152B1 (ko) 2012-10-29 2014-06-05 김숙희 액상발효분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로 기능성 사료와 액상비료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시설
KR20180018980A (ko) * 2016-08-14 2018-02-22 김중관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439A (ko) * 1998-03-12 1998-07-25 최재명 발효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372163B1 (ko) 1998-07-08 2003-03-17 이성춘 음식물쓰레기 발효사료 및 비료화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523873B1 (ko) * 2005-04-19 2005-10-24 임종덕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설비장치와 방법
KR100646165B1 (ko) 2005-05-23 2006-11-14 김도중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및 사료 제조장치
KR101404152B1 (ko) 2012-10-29 2014-06-05 김숙희 액상발효분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로 기능성 사료와 액상비료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시설
KR101272123B1 (ko) * 2013-02-07 2013-06-07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20180018980A (ko) * 2016-08-14 2018-02-22 김중관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699B1 (ko) * 2022-10-21 2023-03-29 주식회사 국제기공 스팀 쇠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05983U (zh) 一种养殖牛的废弃物资源化利用装置
US20220089506A1 (en) Indoor food waste fermentation and recycling process
CN107755412A (zh) 一种餐厨垃圾处理系统及工艺
CN108101600A (zh) 一种村镇混合有机固体废弃物好氧堆肥装置
CN206898052U (zh) 餐厨垃圾资源化利用装置
JP4571055B2 (ja) 発酵蒸留乾燥システム
JP4302308B2 (ja) 有機物の発酵飼料化装置
CN204052346U (zh) 无臭的餐厨垃圾处理流水线
KR102251696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CN109679830A (zh) 一种农村生物质连续发酵系统
CN109761658A (zh) 一种微生物法垃圾二次分类处理装置及垃圾处理方法
KR20100107886A (ko) 삼차원 복합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KR100973154B1 (ko) 진공 흡입식 음식물 발효 건조장치
KR100964081B1 (ko) 양어 사료용 발효장치
KR100907555B1 (ko) 축산분뇨 건조처리장치
CN206232618U (zh) 一种固体有机物好氧加压高温发酵的装置
JP2908223B2 (ja) 有機性廃棄物の発酵処理システム
JP2004198054A (ja) 真空乾燥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
CN111729922A (zh) 厨余垃圾处理系统
CN216460817U (zh) 一种应用于油樟枝叶碳化的处理装置
KR101874987B1 (ko)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
CN108456030A (zh) 一种农业用有机肥制造发生器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94230A (ko) 가축분뇨 발효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952640B1 (ko) 유기성 폐기물 대량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