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127B1 - 글씨 교정기 - Google Patents

글씨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127B1
KR102514127B1 KR1020220034395A KR20220034395A KR102514127B1 KR 102514127 B1 KR102514127 B1 KR 102514127B1 KR 1020220034395 A KR1020220034395 A KR 1020220034395A KR 20220034395 A KR20220034395 A KR 20220034395A KR 102514127 B1 KR102514127 B1 KR 10251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riting instrument
point
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이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수 filed Critical 이민수
Priority to KR102022003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2Finger, hand or arm suppor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에서 제1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에서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2 지지대 및 제2 지점에서 제2 방향과 제3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대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씨 교정기 {APPARATUS FOR HANDWRITING LETTER CORRECTION}
본 발명은 글씨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글씨를 배우기 시작하는 사용자 또는 올바르게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를 잡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필기구를 잡고 글씨를 쓸 때 손가락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거나 미끌어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올바르게 필기구를 잡지 못하고 잘못된 방법으로 필기구를 잡고 글씨를 쓰기 때문에 글씨를 장시간 쓰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피로도가 증가하고 글씨 형태가 바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필기구를 올바른 방식으로 잡지 못하고 움켜쥐고 잡는 경우, 일 예로, 도 1과 같이 손가락을 움켜쥐어 검지와 엄지가 서로 접촉하여 A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않고, 또한 손가락 내부, B 부분에도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특히 사용자가 글씨를 쓸때 피로도가 증가하고 글씨 모양이 바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66170호(2019.06.13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써, 필기구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고 글씨를 쓰는 경우 손가락이 설정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글씨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필기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에서 제1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에서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2 지지대 및 제2 지점에서 제2 방향과 제3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대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제2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 내지 상기 제3 지지대는 설정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지지대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시 사용자의 검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2 지지대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일측 단부보다 필기구를 중심으로 X 축 방향에서 더 먼 지점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하여 지지대의 단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촉시, 사용자 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3 지지대는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시 사용자의 엄지 하단의 제3 지점에 접촉하여 사용자 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씨 교정기를 장착한 필기구를 잡고 글씨는 쓸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설정된 모양을 유지하여 올바른 손모양으로 글씨를 쓸 수 있다.
본 발명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시간 글을 쓰는 경우에도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적게 쌓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필기구를 잘못 잡은 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글씨 교정기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씨 교정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글씨 교정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글씨 교정기의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씨 교정기를 장착한 펜을 사용자가 잡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글씨 교정기를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씨 교정기는, 필기구(P)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제1 지점(111)에서 제1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제2 지점(112)에서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2 지지대(130) 및 제2 지점(112)에서 제2 방향과 제3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대(130)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3 지지대(1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방향 내지 제4 방향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편의상 도면에 도시한 것으로,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방향은 필기구의 중심(C)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을 의미하고, 제3 방향은 필기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제2 방향은 필기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제4 방향은 필기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필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10)에 고정될 수 도 있고, 상기 몸체부(110)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대(130)는 제1 지점(111)을 축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도 3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런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110)에 접촉하게 되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111)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에 위치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대(120)는 도면상 제1 방향과 제4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사용자가 필기구를 쥐었을때 검지와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필기구를 손에 쥐었을 때 검지가 상기 제1 지지대(120)를 가압하되 상기 제1 지지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접촉하여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펜을 움켜쥐었을 때 검지를 상기 제1 지지대(120)가 지지하여 검지와 엄지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C 부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제2 지점(112)에서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대(130)와 상기 제3 지지대(140)는 상기 제2 지점(1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점(112)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10)에서 제2 방향과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대(130)의 단부(131)는 상기 제3 방향과 제4 방향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대(1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제1 지점(111)에서 몸체와 접촉하여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상기 제2 지지대(130)는 80도에서 100도 사이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대(130)의 일측 단부(131)는, 상기 제1 지지대(120)의 일측 단부(121)보다 필기구를 중심으로 X 축 방향에서 더 먼 지점에 위치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대(120)의 단부(121)와 필기구의 중심까지의 거리(a) 보다 상기 제2 지지대(130)의 단부(131)와 필기구의 중심까지의 거리(b)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펜을 쥐었을때, 상기 제2 지지대(130)의 단부(131)가 상기 손바닥 내측에서 중지 또는 약지와 접촉하게 되고 중지 또는 약지가 필기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필기구를 쥐었을대 손바닥 내부에 도 7에 도시한 공간(S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지지대(140)는 몸체부(110)의 제2 지점(112)에서 제2 방향과 제3 방향 사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2 지지대(130)와 상기 제3 지지대(140)는 제2 지점(112)을 중심으로 90도에서 120도 사이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지지대(14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필기구를 쥐었을때, 사용자의 엄지 하단의 제3 지점에 접촉하여 엄지 하단이 검지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손바닥 내부에 도 7에 도시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대(140) 또한 상기 제2 지점(1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씨 교정기구는 엄지와 검지와 중지의 단부를 필기구에 접촉한 상태에서 몸체부(110)를 감싸는 방식으로 필기구를 쥐었을 때, 검지가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접촉하며 검지가 제1 지지대(12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1 지지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검지는 상기 제1 지지대(120)에 의해 엄지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동시에, 상기 제2 지지대(130)는 손바닥 내부에서 중지 또는 약지와 접촉하게 되어 중기 또는 약지가 필기구 방향으로 인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3 지지대(140)는 엄지 밑의 손바닥의 제3 지점에 지지되어 엄지 밑 손바닥 부분이 필기부 방향으로 인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검지와 엄지 사이에 C 부분의 공간이 형성되고, 손바닥 내부에도 공간(S)이 형성되어, 엄지, 검지, 중지로 필기구를 잡을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손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펜을 움켜쥐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씨 교정기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필기구와 지면을 40도에서 50도 각도와 같은 바람직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몸체
111: 제1 지점
112: 제2 지점
120: 제1 지지대
121: 단부
130: 제2 지지대
131: 단부
140: 제3 지지대
141: 단부

Claims (5)

  1. 필기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대 내지 제3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필기구 파지시 검지와 접촉하며,
    상기 제2 지지대는 필기구 파지시 손바닥 내측에서 중지 또는 약지와 접촉하고,
    필기구 파지시 사용자 손바닥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지지대는 필기구 파지시 엄지 하단의 손바닥 일측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대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일측 단부보다 필기구의 중심에서 더 먼 지점에 위치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몸체부 일측을 중심으로 90°이상 120°이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필기구를 파지시 사용자의 검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대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 교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34395A 2022-03-21 2022-03-21 글씨 교정기 KR10251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95A KR102514127B1 (ko) 2022-03-21 2022-03-21 글씨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95A KR102514127B1 (ko) 2022-03-21 2022-03-21 글씨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127B1 true KR102514127B1 (ko) 2023-03-23

Family

ID=8579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95A KR102514127B1 (ko) 2022-03-21 2022-03-21 글씨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1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45A (ko) * 2004-01-02 2005-07-08 신정빈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100000233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엔젤테크 집필교정구
KR20100066170A (ko) 2008-12-09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세션 상태 추적을 통한 서비스 거부 공격 방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12455A (ko) * 2016-03-31 2017-10-12 김연준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필기구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45A (ko) * 2004-01-02 2005-07-08 신정빈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100000233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엔젤테크 집필교정구
KR20100066170A (ko) 2008-12-09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세션 상태 추적을 통한 서비스 거부 공격 방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12455A (ko) * 2016-03-31 2017-10-12 김연준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필기구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321Y1 (ko) 볼펜 겸용 터치펜
US3972628A (en) Writing instrument support
KR102514127B1 (ko) 글씨 교정기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974887A (en) Pen and pencil holder.
CN209851890U (zh) 一种握笔器
US1861241A (en) Writing instrument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JP2019031008A (ja) 指関節の可動域を活かした筆記支援ツール
JPH074948Y2 (ja) 筆記具
KR200488563Y1 (ko) 교정 필기구
JP2009126047A (ja) ペン
US20020094223A1 (en) Write angle instruments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WO2024058070A1 (ja) ペンの構造、ボールペン、及びタッチペン
KR20240078668A (ko) 손 위의 메모패드
JP2004262156A (ja) ペン差し具
KR101977870B1 (ko)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CN210821511U (zh) 一种动态矫正握笔姿势的书写工具
CN210821510U (zh) 一种动态矫正握笔姿势的书写套件及工具件
JP3017069B2 (ja) 幼児用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9166665A (ja) 筆記具
TWI720386B (zh) 動態矯正握筆姿勢的書寫工具
JPH04324479A (ja) 書き方矯正具
JP3035639U (ja) ツーウェイボール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