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893B1 - 치아 이동 기구 - Google Patents

치아 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893B1
KR102512893B1 KR1020227027431A KR20227027431A KR102512893B1 KR 102512893 B1 KR102512893 B1 KR 102512893B1 KR 1020227027431 A KR1020227027431 A KR 1020227027431A KR 20227027431 A KR20227027431 A KR 20227027431A KR 102512893 B1 KR102512893 B1 KR 10251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slide
jaw
fix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078A (ko
Inventor
슈지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슈지 야마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지 야마구치 filed Critical 슈지 야마구치
Publication of KR2022011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A61B17/6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for alveolar dis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킬 때에 효과적이며, 상악뿐만 아니라 하악의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응용하는 것이 가능한 치아 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아 이동 기구(1)는, 상악의 구개측 또는 상악 혹은 하악의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궤도부(6)와, 궤도부(6)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13)와, 슬라이드부(13)보다도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설치되는 고정부(2)와, 일단부는 슬라이드부(13)에 보유 지지되고, 타단부는 슬라이드부(13)보다도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있어서 보유 지지되어, 슬라이드부(13)를 원심측 단부(5)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치아 이동 기구
본 발명은, 구치 또는 견치(소구치, 대구치, 또는 견치, 특히 소구치 또는 견치)를 원심 이동(사랑니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치아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악의 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구로서,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과 같은 치아 이동 기구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치아 이동 기구는, 동 문헌의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심측 단부(4)로부터 원심측 단부(5)를 향하여 구개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궤도부(6)와, 궤도부(6)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상악의 구치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51)에 걸림 결합하는 슬라이드부(7)와, 슬라이드부(7)보다도 근심측 단부(4) 가까이에 있어서 궤도부(6)에 고정되는 로크부(8)와, 로크부(8)와 슬라이드부(12) 사이에 개재하여 슬라이드부(12)를 원심측 단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9)와, 구개에 매립된 묻힘 부재(53)(동 문헌의 도 2 참조)에 고정됨과 함께 원심측 단부(5)에 연결되는 고정부(2, 3)를 구비한다.
이러한 치아 이동 기구에 의하면, 로크부(8)에 지지된 탄성부(9)에 의해 상악의 구치에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것을 원심 이동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제6557887호 공보
그런데 상기의 치아 이동 기구는, 원심 이동시킬 구치에 대하여 로크부(8)를, 궤도부(6)의 근심측 단부(4) 가까이에 설치하여, 로크부(8)과 슬라이드부(12) 사이에 탄성부(9)를 개재시킬 필요가 있다. 즉, 원심측의 구치(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킬 때는, 궤도부(6)에 있어서 근심측에 충분한 길이가 있기는 하지만, 근심측의 구치(소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궤도부(6)에 있어서의 근심측의 길이에 여유가 없어지게 된다. 특히, 제1 소구치를 원심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궤도부(6)에 있어서의 근심측의 길이가 부족하여, 로크부(8)나 탄성부(9)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치아 이동 기구는, 상악의 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것이고, 하악의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수단에 의지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특허문헌 1의 치아 이동 기구와 같은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1 소구치와 같이 근심측에 위치하는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킬 때에 효과적이며, 상악뿐만 아니라 하악의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응용하는 것이 가능한 치아 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치 또는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기 위한 치아 이동 기구이며, 근심측 단부로부터 원심측 단부를 향하여 상악의 구개측 또는 상악 혹은 하악의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궤도부와, 상기 궤도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원심 이동시킬 상기 구치 또는 상기 견치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에 연결됨과 함께, 악골에 매립된 제1 묻힘 부재에 대하여, 및/또는, 상기 구치 혹은 상기 견치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는 다른 구치에 대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와,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보유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 상기 고정부, 또는 악골에 매립된 제2 묻힘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당해 원심측 단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궤도부가 상악의 구개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경우, 상기 고정부는, 상악의 구개측의 상기 악골에 매립된 상기 제1 묻힘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궤도부가 상악 또는 하악의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경우, 상기 고정부는, 상악 또는 하악의 협측의 상기 악골에 매립된 상기 제1 묻힘 부재, 및/또는, 상기 다른 구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치아 이동 기구에서는, 종래의 치아 이동 기구와 같이, 궤도부에 대하여 로크부를, 원심 이동시킬 구치보다도 근심측 단부 가까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제1 소구치와 같이 근심측에 위치하는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전혀 지장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궤도부에 연결하여 이것을 치열을 따르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는, 악골에 매립된 제1 묻힘 부재에 설치해도 되고, 원심 이동시킬 구치나 견치보다도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는 다른 구치에 설치해도 되기 때문에, 상악뿐만 아니라 하악의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치 등의 치근에 가까운 부위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쉽기 때문에, 구치 등을 뿌리마다 원심 이동시킬 수 있고, 구치 등이 비스듬해지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치아 이동 기구의 제1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슬라이드부에 있어서의 탄성부를 보유 지지하는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고정부(제1 고정부)에 있어서의 탄성부를 보유 지지하는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치아 이동 기구의 제2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고정부(제3 고정부)에 있어서의 탄성부를 보유 지지하는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치아 이동 기구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소재나 형상, 구성, 제조에 관한 공법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금속제라고 한 것을 다른 소재(합성 수지 등)로 변경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1은, 치아 이동 기구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이것을 환자의 상악에 설치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상악의 구개를 향하여 정면으로 대향한 시점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를 붙인 치아는 상악 우측 견치(UR3), 상악 우측 제1 소구치(UR4), 상악 우측 제2 소구치(UR5),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 상악 우측 제2 대구치(UR7) 및 상악 좌측 제1 대구치(UL6)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상악 우측 제1 소구치(UR4)를 원심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상악 우측 제2 소구치(UR5)는 발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치아 이동 기구(1)를 설명함에 있어서, 먼저 보유 지지 부재(51)와 앵커 스크루(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의 「제1 묻힘 부재」에 상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유 지지 부재(51)는, 원심 이동시킬 구치나 견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보유 지지 부재(51)는, 금속제의 플레이트부(52)와 금속제의 와이어부(53)를 일체적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플레이트부(52)와 와이어부(53)를 연결하는 데 있어서는, 예를 들어 양자를 용접해도 되고, 코오킹에 의해 연결시켜도 된다. 또한 3D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슬라이드부(13)와 함께 플레이트부(52)와 와이어부(53)를 당초부터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3D 프린터의 조형 방식은, 이하에서의 설명도 포함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분말 소결 적층 조형 방식(레이저·신터링)이어도 되고, 광조형 방식이어도 되고, 잉크젯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트부(52)에 통 형상으로 되는 부위를 마련하고, 이 부위에 와이어부(53)를 걸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보유 지지 부재(51)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부(52)를 상악 우측 제1 소구치(UR4)의 구개측에 고착시킴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51)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플레이트부(52) 대신에, 원심 이동시킬 구치 등의 주위를 둘러싸는 밴드 형상의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앵커 스크루는, 악골에 매립되는 부재이다. 도 1에 있어서 앵커 스크루는, 구개의 정중앙 전방부에 묻혀 도시하지 않지만, 특허문헌 1의 도 2에 있어서 부호 "53"을 붙여 도시한 부재와 마찬가지로, 개략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앵커 스크루의 헤드부에는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납작머리 고정 나사(54)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앵커 스크루는, 합계 2개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치아 이동 기구(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치아 이동 기구(1)는, 고정 나사(54)를 체결함으로써 앵커 스크루에 구속되는 고정부(제1 고정부)(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고정부(2)는, 금속제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근심측에는, 매설된 2개의 앵커 스크루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2개 마련되고, 원심측은 두 갈래로 나뉘어 있다. 그리고, 근심측의 2개의 구멍에 고정 나사(54)를 삽입 관통시켜서 앵커 스크루에 대하여 체결함으로써, 제1 고정부(2)를 구개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2)의 원심측에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이 되는 훅부(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치아 이동 기구(1)는, 근심측 단부(4)로부터 원심측 단부(5)를 향하여 구개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궤도부(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궤도부(6)는, 좌우에 1쌍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원심측 단부(5)가, 두 갈래로 나뉜 제1 고정부(2)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궤도부(6)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 되는 금속제의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고, 이것을 제1 고정부(2)에 용접함으로써 양자를 일체화시키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이 0.7 내지 1.5mm 정도의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궤도부(6)로서 사용하는 와이어는, 특별히 종류를 따지지 않고 채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횡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이나 타원 형상이 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중실 형상이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 형상이 되는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3D 프린터에 의해 제1 고정부(2)와 궤도부(6)를 당초부터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되고, 이들을 형성하는 수단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궤도부(6)에 있어서의 원심측 단부(5)의 근방에는, 제1 고정부(2)와는 다른 고정부(제2 고정부)(7)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고정부(7)는,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에 대하여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설치되는 금속제의 밴드 형상 부분(8)과, 금속제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고, 밴드 형상 부분(8)에 대하여 구개측에서 연결되는 연결 부분(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결 부분(9)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궤도부(6)에 삽입 관통되는 원통 형상 부분(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 형상 부분(10)의 근심측에는, 나사(11)을 조임으로써 궤도부(6)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12)이 마련되어 있다. 상악 우측 제2 소구치(UR5)를 발치하면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가 근심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악 우측 제1 소구치(UR4)의 원심 이동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지만,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에 설치된 밴드 형상 부분(8)은, 연결 부분(9)을 통해 원통 형상 부분(10)에 연결되어 있고, 원통 형상 부분(10)은 고정 부분(12)에 의해 근심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의 근심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밴드 형상 부분(8) 대신에, 예를 들어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3D 프린터에 의해 밴드 형상 부분(8), 연결 부분(9) 및 원통 형상 부분(10)을 당초부터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원통 형상 부분(10)과 고정 부분(12)은 다른 부재이지만, 이들을 일체화(예를 들어 별이로 형성한 것을 용접하거나, 3D 프린터에 의해 당초부터 일체화하는 등) 해도 된다. 이렇게 원통 형상 부분(10)과 고정 부분(12)을 일체화함으로써, 궤도부(6)는 제1 고정부(2)에 추가하여 제2 고정부(7)에 의해서도 보유 지지되기 때문에, 궤도부(6)를 원하는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해 둘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7)는, 플레이트로 형성된 강성이 높은 제1 고정부(2)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가 협측이나 구개측으로 기우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것을 교정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궤도부(6)에 있어서의 근심측 단부(4)의 근방에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슬라이드부(1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부(13)는, 상술한 와이어부(53)의 단부에 용접되어 있고, 보유 지지 부재(51)와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치아 이동 기구(1)는, 슬라이드부(13)를 원심측 단부(5)를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탄성부)(1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코일 스프링(14)은, 그 양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4)의 일단부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부(3)에 걸려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4)의 타단부는, 코일 스프링(14)을 잡아 늘인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부(53)에 걸려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슬라이드부(13)에 대하여 훅부(후술하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훅부(15))를 마련하고, 이 훅부에 코일 스프링(14)의 타단부를 걸도록 해도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14)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리 형상으로 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실시 형태의 치아 이동 기구(1)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슬라이드부(13)가 궤도부(6)로 안내되면서 원심측 단부(5)를 향하여 가압될 때, 보유 지지 부재(51)를 장착한 상악 우측 제1 소구치(UR4)에도 코일 스프링(14)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궤도부(6)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악 우측 제1 소구치(UR4)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부(6)의 근심측 단부(4) 부근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슬라이드부(13)만이며, 궤도부(6)는 근심측 단부(4) 부근에 있어서 길이에 여유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치료에 있어서 슬라이드부(13)를 근심측 단부(4)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발생해도, 궤도부(6)을 새로 만드는 일 없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궤도부(6)의 근심측 단부(4) 부근에 길이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상악 우측 제1 소구치(UR4)보다도 근심측에 위치하는 상악 우측 견치(UR3)여도, 지장 없이 원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4)을 설치하는 구조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1, 도 3의 (a)에 도시한 훅부(3) 대신에, 도 3의 (b)에 도시한 J자 형상의 훅부(15)를 마련하고, 이 훅부(15)에 코일 스프링(14)의 단부를 걸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시한 훅부(15)는, 제1 고정부(2)로부터 근심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듯한 형태를 이루는 것이지만, 원심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듯한 형태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치열을 향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는 듯한 형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부분(10)의 원심측에 고정 부분(12)을 추가하고, 나사(11)를 조여서 이 고정 부분(12)을 궤도부(6)에 고정할 때에, 코일 스프링(14)의 단부를 나사(11)와 고정 부분(12)으로 집도록 해도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14)의 단부에 다른 선재를 감아서 고정하고(코오킹에 의해 고정해도 됨), 이 선재를 고정 부분(12)의 주위에 감아서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때는, 고정 부분(12)의 주위에 홈을 마련하여, 이 홈에 선재를 감게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궤도부(6)의 원심측 단부(5) 부근에 있어서의 구개에 앵커 스크루(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의 「제2 묻힘 부재」에 상당)를 묻어, 이 앵커 스크루를 이용하여 코일 스프링(14)의 단부를 보유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치아 이동 기구(1)는, 두 갈래로 나뉜 제1 고정부(2)를 사용하고 있지만, 편측(원심 이동시킬 구치나 견치가 위치하는 측)만의 제1 고정부(2)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고정부(7)는, 상악 우측 제1 대구치(UR6)와 상악 좌측 제1 대구치(UL6)에 설치했지만, 편측을 다른 구치에 설치(예를 들어 상악 우측 제2 대구치(UR7)와 상악 좌측 제1 대구치(UL6)에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어느 한쪽에만 설치해도 된다. 또한, 궤도부(6)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고정부(2)와 제2 고정부(7)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한쪽 만이어도 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치아 이동 기구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환자의 하악에 설치한 치아 이동 기구(21)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부호를 붙인 치아는 하악 우측 견치(LR3), 하악 우측 제1 소구치(LR4), 하악 우측 제2 소구치(LR5), 하악 우측 제1 대구치(LR6), 하악 우측 제2 대구치(LR7), 하악 우측 제3 대구치(LR8), 하악 좌측 제1 대구치(LL6) 및 하악 좌측 제2 대구치(LL7)이다. 또한 도 4에서는, 하악 우측 제1 소구치(LR4)를 원심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하악 우측 제2 소구치(LR5)는 발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이동시킬 하악 우측 제1 소구치(LR4)에는, 보유 지지 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보유 지지 부재(61)는, 금속제의 플레이트부(62)와 금속제의 와이어부(63)를 일체적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또한, 와이어부(63)는 후술하는 슬라이드부(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제조 시에 있어서는, 플레이트부(62), 와이어부(63), 슬라이드부(30)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보유 지지 부재(61)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부(62)를 하악 우측 제1 소구치(LR4)의 협측에 고착시킴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악 우측 제1 대구치(LR6)와 하악 우측 제2 대구치(LR7) 사이의 하방에는, 하악의 악골에 대하여 협측에 묻혀, 납작머리 고정 나사(64)를 설치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앵커 스크루(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의 「제2 묻힘 부재」에 상당)가 묻혀 있다. 또한 앵커 스크루는, 도시한 위치 이외의 부위에 마련해도(예를 들어 하악 우측 제2 대구치(LR7)와 하악 우측 제3 대구치(LR8)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그리고 치아 이동 기구(2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악 우측 제1 대구치(LR6)와 하악 우측 제2 대구치(LR7) 및 하악 좌측 제1 대구치(LL6)와 하악 좌측 제2 대구치(LL7)에 설치되는 고정부(제3 고정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제3 고정부(22)는, 금속제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하악 우측 제1 대구치(LR6)(하악 좌측 제1 대구치(LL6))에 대하여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설치되는 환상 부분(23)과, 환상 부분(23)에 일체로 연결됨과 함께 하악 우측 제2 대구치(LR7)(하악 좌측 제2 대구치(LL7))의 설측을 연장하는 연장 돌출 부분(2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2개의 환상 부분(23)은, 그것들의 근심측에 있어서, 금속제의 와이어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설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U자 형상의 연결 와이어 부분(25)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다. 그리고 하악 우측 제1 대구치(LR6)에 설치된 환상 부분(23)에는, 협측에 있어서, 후술하는 궤도부(29)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치아 이동 기구(21)는, 근심측 단부(27)로부터 원심측 단부(28)를 향하여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궤도부(2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궤도부(29)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 되는 금속제의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궤도부(29)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3 고정부(22)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을 생략하여, 궤도부(29)를 제3 고정부(22)에 직접 연결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궤도부(29)는, 직경이 0.7 내지 1.5mm 정도의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궤도부(29)로서 사용하는 와이어는, 특별히 종류를 따지지 않고 채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횡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이나 타원 형상이 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중실 형상이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 형상이 되는 것을 채용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3D 프린터에 의해 제3 고정부(22)(환상 부분(23), 연장 돌출 부분(24)), 연결 와이어 부분(25), 연결 플레이트 부분(26) 및 궤도부(29)를 당초부터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되고(이들을 모두 일체화해도 되고, 몇몇을 부분적으로 일체화해도 된다), 이들을 형성하는 수단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궤도부(29)에 있어서의 근심측 단부(27)의 근방에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슬라이드부(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부(30)는, 상술한 와이어부(63)의 단부에 용접되어 있고, 보유 지지 부재(61)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치아 이동 기구(21)는, 슬라이드부(30)를 원심측 단부(28)를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탄성부)(31)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도 3의 (a)에 도시한 코일 스프링(14)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의 코일 스프링(31)의 양단부도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31)의 일단부는, 하악 우측 제1 대구치(LR6)와 하악 우측 제2 대구치(LR7) 사이에 묻은 앵커 스크루(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고정 나사(64)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31)의 타단부는, 코일 스프링(31)을 잡아 늘인 상태에서 와이어부(63)에 걸려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치아 이동 기구(21)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31)의 가압력이, 슬라이드부(30)와 보유 지지 부재(61)를 통해 하악 우측 제1 소구치(LR4)에 작용하기 때문에, 궤도부(29)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하악 우측 제1 소구치(LR4)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치아 이동 기구(21)에 있어서도, 궤도부(29)의 근심측 단부(27) 부근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슬라이드부(30)만이며, 궤도부(29)는 근심측 단부(27) 부근에 있어서 길이에 여유가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부(30)를 근심측 단부(27)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발생해도, 궤도부(29)를 새로 만드는 일 없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궤도부(29)의 근심측 단부(27) 부근에 길이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하악 우측 견치(LR3)를 원심 이동시킬 때도 지장이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치아 이동 기구(21)에 있어서도, 그 기능을 충족하도록 하여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31)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는, 상술한 앵커 스크루 대신에,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도부(29)의 원심측 단부(28)에 걸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3 고정부(22)도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의 형상을 변경하고, 또한 이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이 위치하는 부위에 있어서 하악의 악골의 협측에 앵커 스크루를 묻고, 고정 나사(64)를 사용하여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을 앵커 스크루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31)의 단부를 약간 길게 절첩한 형상으로 해 두고, 이 단부를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에 걸도록 하여 코일 스프링(31)을 보유 지지해도 된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 부분(26)이나 궤도부(29)에 대하여 훅부(도 3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훅부(15))를 마련하고, 이 훅부를 이용하여 코일 스프링(31)을 보유 지지해도 된다. 또한, 궤도부(29)를 소정의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데 있어서는, 제3 고정부(22)를 이용하지 않고, 상술한 하악의 악골의 협측에 묻힌 앵커 스크루만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치아 이동 기구(21)는, 궤도부(29)가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었지만, 예를 들어 연결 와이어 부분(25)을 궤도부(29)로서 사용함으로써 궤도부(29)가 설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궤도부(29)와 같은 형태가 되는 것을, 설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시켜도 된다. 또한, 궤도부(29)를 설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하악 좌측 제1 대구치(LL6) 등에 설치된 제3 고정부(22)를 이용하여 이것을 보유 지지하도록 해도 되고, 하악의 악골 설측에 묻힌 앵커 스크루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치아 이동 기구(21)는, 궤도부(29)가 상악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도록(구개측이어도 협측이어도 됨) 구성함으로써, 상악의 구치나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의 설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효과가 상기의 효과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는, 적어도 이하의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1] 구치 또는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기 위한 치아 이동 기구이며,
근심측 단부로부터 원심측 단부를 향하여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궤도부와,
상기 궤도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원심 이동시킬 상기 구치 또는 상기 견치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에 연결됨과 함께, 악골에 매립된 제1 묻힘 부재에 대하여, 및/또는, 상기 구치 혹은 상기 견치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는 다른 구치에 대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와,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보유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 상기 고정부, 또는 악골에 매립된 제2 묻힘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당해 원심측 단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치아 이동 기구.
[2] 상기 궤도부는, 상악의 구개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는, 상악의 구개측의 상기 악골에 매립된 상기 제1 묻힘 부재에 설치되는 것인 [1]에 기재된 치아 이동 기구.
[3] 상기 궤도부는, 상악 또는 하악의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는, 상악 또는 하악의 협측의 상기 악골에 매립된 상기 제1 묻힘 부재 및/또는, 상기 다른 구치에 설치되는 것인 [1]에 기재된 치아 이동 기구.
[4] 상기 궤도부는, 하악의 설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른 구치에 설치되는 것인 [1]에 기재된 치아 이동 기구.
1: 치아 이동 기구
2: 제1 고정부(고정부)
4: 근심측 단부
5: 원심측 단부
6: 궤도부
7: 제2 고정부(고정부)
13: 슬라이드부
14: 코일 스프링(탄성부)
21: 치아 이동 기구
22: 제3 고정부(고정부)
27: 근심측 단부
28: 원심측 단부
29: 궤도부
30: 슬라이드부
31: 코일 스프링(탄성부)
51: 보유 지지 부재
61: 보유 지지 부재

Claims (1)

  1. 구치 또는 견치를 원심 이동시키기 위한 치아 이동 기구이며,
    근심측 단부로부터 원심측 단부를 향하여 상악의 구개측 또는 상악 혹은 하악의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궤도부와,
    상기 궤도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원심 이동시킬 상기 구치 또는 상기 견치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에 연결됨과 함께, 악골에 매립된 제1 묻힘 부재에 대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구치 또는 상기 견치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는 다른 구치에 대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제1 묻힘부재 및 상기 다른 구치에 대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와,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보유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보다도 상기 원심측 단부 가까이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에 보유 지지되거나, 상기 고정부에 보유 지지되거나, 악골에 매립된 제2 묻힘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상기 원심측 단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궤도부가 상악의 구개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경우,
    상기 고정부는, 상악의 구개측의 상기 악골에 매립된 상기 제1 묻힘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궤도부가 상악 또는 하악의 협측의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경우, 상기 고정부는, 상악 또는 하악의 협측의 상기 악골에 매립된 상기 제1 묻힘 부재에 설치되거나, 상기 다른 구치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1 묻힘 부재 및 상기 다른 구치에 설치되는 것인
    치아 이동 기구.
KR1020227027431A 2020-02-06 2021-02-03 치아 이동 기구 KR102512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18495 2020-02-06
JP2020018495A JP6774693B1 (ja) 2020-02-06 2020-02-06 歯移動器具
PCT/JP2021/003807 WO2021157581A1 (ja) 2020-02-06 2021-02-03 歯移動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078A KR20220116078A (ko) 2022-08-19
KR102512893B1 true KR102512893B1 (ko) 2023-03-21

Family

ID=7291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431A KR102512893B1 (ko) 2020-02-06 2021-02-03 치아 이동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91022A1 (ko)
JP (1) JP6774693B1 (ko)
KR (1) KR102512893B1 (ko)
DE (1) DE112021000897T5 (ko)
WO (1) WO2021157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3967B1 (ja) * 2023-03-13 2023-08-09 修二 山口 歯列矯正器具
JP7348696B1 (ja) 2023-04-25 2023-09-21 修二 山口 歯移動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2073A (ja) 1998-04-23 2002-04-23 マイケル・オー・ウィリアムズ ピボット式取付けボスを包含する下顎及び上顎弓エキスパンダー及び顎整復装置
JP2005525830A (ja) 2000-12-29 2005-09-02 マイケル・オー・ウィリアムズ 両顎拡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910A (en) * 1982-05-24 1988-02-09 Keller Duane C Apparatus for orthopedic and/or orthodontic treatment
JPS59143529A (ja) 1983-02-04 1984-08-17 タキロン株式会社 合成樹脂被覆鋼管支柱とその製造方法
US5334015A (en) * 1992-03-26 1994-08-02 Blechman Abraham M Magnetic orthodontic appliance
US5829971A (en) * 1994-04-04 1998-11-03 Razdolsky; Yan Osteodistraction device for use in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a method of making the device
DE19824371B4 (de) * 1998-05-30 2008-12-24 Creative Orthodontics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Vorrichtung zur kieferorthopädischen Zahnbehandlung
BE1013760A6 (nl) * 2001-05-17 2002-07-02 Clerck Hugo De Orthodontisch implantaat.
JP2005270175A (ja) * 2004-03-23 2005-10-06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0805752B1 (ko) * 2006-09-08 2008-02-21 김옥경 치아 교정기
KR100814509B1 (ko) * 2007-02-12 2008-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클릭 인장력을 인가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US7780444B1 (en) * 2008-01-07 2010-08-24 Veris Medical, Inc. Orthodontic anchor
KR101115052B1 (ko) * 2010-05-13 2012-03-06 (주)이비아이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DE202010008972U1 (de) * 2010-11-08 2011-03-31 Schmid, Edwin Spannelement für eine Zahnspange
TWM495832U (zh) * 2014-06-19 2015-02-21 Densmart Dental Co Ltd 牙科矯正裝置
KR101466158B1 (ko) *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US11813138B2 (en) * 2018-08-24 2023-11-14 Memory Medical Systems, Inc. Modular aligner device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
JP6557887B1 (ja) * 2019-01-07 2019-08-14 修二 山口 歯移動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2073A (ja) 1998-04-23 2002-04-23 マイケル・オー・ウィリアムズ ピボット式取付けボスを包含する下顎及び上顎弓エキスパンダー及び顎整復装置
JP2005525830A (ja) 2000-12-29 2005-09-02 マイケル・オー・ウィリアムズ 両顎拡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74693B1 (ja) 2020-10-28
DE112021000897T5 (de) 2022-11-17
JP2021122545A (ja) 2021-08-30
WO2021157581A1 (ja) 2021-08-12
KR20220116078A (ko) 2022-08-19
US20230091022A1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1428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KR102512893B1 (ko) 치아 이동 기구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US9636192B2 (en) Telescopic orthodontic appliance
KR101084556B1 (ko) 악정형 교정 치료 장치, 특히 어금니 결손 위치의 교정 장치
JP6375311B2 (ja) クラスii及びiii矯正のための矯正力モジュール
JP5475440B2 (ja) パッドを有するブラケット
EP2482752B1 (en) Orthodontic archwire with integral elements exerting force on the teeth
WO2020145016A1 (ja) 歯移動器具
KR102092592B1 (ko) 교정 와이어 지지용 튜브형 치과교정기구
KR101462042B1 (ko)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US20220226075A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expansion of dentition
US20100216084A1 (en) Connection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of straightening irregular teeth
EP2514388B1 (en) Universal lingual bracket system
JP2007289346A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KR101129136B1 (ko)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
JP7323967B1 (ja) 歯列矯正器具
KR20230115420A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