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052B1 -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052B1
KR101115052B1 KR1020100045048A KR20100045048A KR101115052B1 KR 101115052 B1 KR101115052 B1 KR 101115052B1 KR 1020100045048 A KR1020100045048 A KR 1020100045048A KR 20100045048 A KR20100045048 A KR 20100045048A KR 101115052 B1 KR101115052 B1 KR 10111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implant
support member
ki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489A (ko
Inventor
조상춘
Original Assignee
(주)이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비아이 filed Critical (주)이비아이
Priority to KR102010004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 후에 인접 치아와 임플란트 사이의 연조직이나 골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술법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돕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임플란트의 인접치아에 부착되는 것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브래킷;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브래킷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브래킷에 가하는 힘의 방향은, 필요에 따라 상기 인접 치아의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치근부 방향이나 치관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Kit of shifting tooth using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이나 임플란트의 인접 치아 주위의 연조직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시술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에 있어서 임플란트를 사용한 보철물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어 현재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런데, 성공적으로 임플란트가 시술된 이후에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이나 인접치아 주위의 연조직이 충분하지 않아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는 임플란트를 시술한 이후에 임플란트와 인접 치아 사이의 연조직(잇몸 등)이 부족한 모습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악 전치부처럼 환자가 타인과 대화 시에 자주 보이게 되는 부위에 임플란트 시술을 한 경우, 임플란트 시술은 성공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위 연조직이나 인접치아 주위의 연조직이 충분하지 않아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술 방법과 이러한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용 키트의 개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 후에 인접 치아와 임플란트 사이의 연조직이나 골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술법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돕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의 인접치아에 부착되는 것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브래킷;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브래킷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브래킷에 가하는 힘의 방향은, 필요에 따라 상기 인접 치아의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치근부 방향이나 치관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는 본체, 마감부 및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트랜스포팅 로드와,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브래킷에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써,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본체와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는 상기 브래킷의 치아 길이 방향의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중앙에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가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가압 부재는 설치되는 위치가 상기 브래킷을 기준으로 치관부측이거나 치근부측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브래킷에 가하는 힘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는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트랜스포팅 로드와,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 나사이고,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에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 나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나사가 상기 브래킷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 측으로 상기 브래킷이 힘을 받고,
상기 회전 나사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지지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브래킷이 힘을 받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접 치아의 치관부로부터 치근부를 향하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부 보철물에 고정되는 부분을 향하여 굽은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접한 골융합 매식체(osseointegrated implant)를 앵커리지(anchorage)로 이용하고, 이를 통해 정교한 교합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치간유두(interproximal papilla)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구성의 장치에서 가압 부재의 위치를 바꾸거나, 가압 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힘의 방향만 바꾸어 포스드 이럽션과 포스드 인트루젼이 모두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더욱이, 포스트 인트루젼을 통해 인접 치아가 제자리로 돌아가므로, 시술 후에 포스드 이럽션된 치아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임플란트를 시술한 이후에 임플란트와 인접 치아 사이의 연조직(잇몸 등)이 부족한 모습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조직이 부족한 상태를 개선하는 시술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인점 치아가 포스드 이럽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조직이 부족한 상태를 개선하는 시술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의 포스드 이럽션된 상태에서 다시 제자리로 인접 치아가 이동한 후 연조직이 개선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실시예1의 키트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키트에서 브래킷에 힘을 주기 시작하는 경우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키트에서 브래킷에 가하는 힘의 방향을 변경하기 시작하는 경우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치관부로부터 치근부로 향하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연조직이 부족한 상태를 개선하는 시술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 부위에 연조직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접치아를 교정술로 서서히 강제로 정출(포스드 이럽션: forced eruption)함으로써 인접치아 주위의 골과 연조직이 치경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테크닉을 포스드 이럽션이라고 지칭한다. 이와 같이 포스드 이럽션으로 골과 연조직이 치경부로 이동된 경우, 인접차이의 처리가 문제되는데, 포스드 이럽션을 시행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교정력을 가하여 인접치아를 치근부로 이동(포스드 인트루젼: forced intrusion)하게 되면, 치아 인접조직은 치아와 함께 이동하지 않고 치경부에 가까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인접치아만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임플란트 인접치아에 포스드 이럽션과 포스드 인트루젼을 병행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연조직을 치관부에 획득하지만 인접치아는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한 키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는 브래킷(10), 지지 부재(20) 및 가압 부재(25)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10)은 이동 대상인 인접치아(40)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 부재(20)의 일부인 트랜스포팅 로드(21a)가 삽입되어 트랜스포팅 로드(21a)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상대 운동하게 되는 부재이다. 상기 브래킷(10)으로는 일반적인 치아 교정에서 사용하는 브래킷(10)이라면 어떤 브래킷(10)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브래킷(10)이 치아에 고정되는 방식과 같이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상기 브래킷(10)이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는 본체(21), 마감부(22) 및 체결구(2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는 인접 치아(4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트랜스포팅 로드(21a)와, 임플란트(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30))에 고정되는 고정부(21b)를 구비한다. 상기 마감부(22)는 브래킷(10)에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21a)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2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써, 상기 체결구(23)에 의해 상기 본체(21)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3)가 체결되는 위치는 도면에서는 고정부(21b)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트랜스포팅 로드(21a)와 마감부(22)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고, 양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 부재(25)는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된 상기 지지 부재(20)에 대해 상기 브래킷(10) 및 상기 브래킷(10)에 고정된 인접 치아(40)를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21a)의 길이 방향으로 밀도록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를 지지점으로 인접 치아(40)를 미는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된 임플란트에 대해 인접 치아(40)가 힘을 받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인접 치아(40)의 이동은 상당한 기간에 걸쳐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압 부재(25)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브래킷(10)에, 타단은 상기지지 부재(20)의 일부분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1의 키트를 이용하여 포스드 이럽션 및 포스드 인트루젼을 실시하는 방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실시예1의 키트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잇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접 치아(40)에는 브래킷(10)이 고정되어 있고, 임플란트의 상부 보철물(30)에는 고정부(21b)가 고정된다. 지지 부재(20)의 고정부(21b)가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30)에 고정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부 보철물(30)의 제작 시에 상부 보철물(30)에 고정부(21b)가 매립된 상태로 상부 보철물(30)을 제작할 수도 있고, 상부 보철물(30)의 표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21b)를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고정부(21b)의 형상은 다양하게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부재(20)와 브래킷(10) 사이의 간격 중 치근부에 가까운 곳에 코일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가압 부재(25)를 배치하면 브래킷(10)은 치관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코일 스프링이 신장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치관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단 몇 시간 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몇 달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정이다.
다시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20)를 상부 보철물(30)의 치관부에 가깝게 위치 이동하여 고정하고, 브래킷(10)과 지지 부재(20) 사이의 간격 중 치관부측의 간격에 코일 스프링인 가압 부재(25)가 위치하도록 하면 인접 치아(40)는 치근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서서히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포스드 이럽션에 의해 치관부 방향으로 이동한 인접 치아(40)를 포스드 인트루젼에 의해 제자리로 보내지 않는다면, 연조직은 회복될 수 있지만 인접 치아(40)는 제거하고 이 자리에 새로운 임플란트를 시술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키트를 사용하여 포스드 이럽션을 실시한 후 포스드 인트루젼을 실시하면, 인접 치아(40)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키트에서 브래킷에 힘을 주기 시작하는 경우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8에 도시된 키트에서 브래킷에 가하는 힘의 방향을 변경하기 시작하는 경우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는, 임플란트의 인접 치아에 부착되는 것으로 가이드 홈(51)이 형성된 브래킷(50);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51)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61); 및 상기 지지 부재(61)에 대해 상기 브래킷(50)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부재(65)를 포함한다.
실시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압 부재(65)가 상기 브래킷(50)에 가하는 힘의 방향은, 필요에 따라 인접 치아의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치근부 방향이나 치관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특히, 실시예2에서는 지지 부재(61)의 위치를 이동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고, 가압 부재(65)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지지 부재를 분해 및 재조립하는 과정이 없이도 힘을 가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61)는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트랜스포팅 로드(61a)와,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고정부(61b)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 부재(65)는 상기 지지 부재(6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 나사이고, 상기 브래킷(50)에는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61a)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51)에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 나사의 나사산(65a)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나사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51)은 도면에는 브래킷을 관통하는 관통공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트랜스포팅 로드의 움직임을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면 부분적으로 형성된 홈이거나 관통되지 않은 구멍이거나 관계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나사공(55)도 브래킷(50)을 관통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관통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나사(가압 부재)(65)가 상기 브래킷(5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지지 부재(61)측으로 상기 브래킷(50)이 힘을 받고, 상기 회전 나사(가압 부재)(65)가 상기 브래킷(5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지지 부재(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브래킷(50)이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키트를 이용하면 인접치아를 임플란트에 대해 치근 방향 또는 치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연조직을 회복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치관부로부터 치근부로 향하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접 치아(40)의 치관부로부터 치근부를 향하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에서 사용되는 지지 부재(20)는, 브래킷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 보철물(30)에 고정되는 부분(21b)을 향하여 굽은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치아들이 전체적으로 U자형과 유사하게 형성된 치주골을 따라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20)가 굽은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30)과 인접 치아(40)에 각각 지지 부재(20)를 연결 또는 고정하기 편리한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에서는 필요에 따라 지지 부재(20)를 구부려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1과 실시예2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에 의하면, 인접한 골융합 매식체(osseointegrated implant)를 앵커리지(anchorage)로 이용하고, 이를 통해 정교한 교합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치간유두(interproximal papilla)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구성의 장치에서 가압 부재의 위치를 바꾸거나, 가압 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힘의 방향만 바꾸어 포스드 이럽션과 포스드 인트루젼이 모두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더욱이, 포스트 인트루젼을 통해 인접 치아가 제자리로 돌아가므로, 시술 후에 포스드 이럽션된 치아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브래킷 20: 지지 부재
21: 본체 21a: 트랜스포팅 로드
21b: 고정부 22: 마감부
23: 체결구 25: 가압 부재
30: 인접 치아 40: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50: 브래킷 51: 가이드 홈
55: 나사공 61: 지지 부재
61a: 트랜스포팅 로드 61b: 고정부
65: 가압 부재 65a: 나사산
11: 접착제

Claims (6)

  1. 임플란트의 인접치아에 부착되는 것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브래킷;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브래킷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브래킷에 가하는 힘의 방향은, 상기 인접 치아의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치근부 방향이나 치관부 방향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본체, 마감부 및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트랜스포팅 로드와,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브래킷에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써,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본체와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는 상기 브래킷의 치아 길이 방향의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중앙에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가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가압 부재는 설치되는 위치가 상기 브래킷을 기준으로 치관부측이거나 치근부측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브래킷에 가하는 힘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치근부와 치관부를 잇는 치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트랜스포팅 로드와,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 나사이고,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트랜스포팅 로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에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 나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나사가 상기 브래킷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 측으로 상기 브래킷이 힘을 받고,
    상기 회전 나사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지지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브래킷이 힘을 받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치아의 치관부로부터 치근부를 향하는 치아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부분을 향하여 굽은 형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KR1020100045048A 2010-05-13 2010-05-13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KR10111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48A KR101115052B1 (ko) 2010-05-13 2010-05-13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48A KR101115052B1 (ko) 2010-05-13 2010-05-13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89A KR20110125489A (ko) 2011-11-21
KR101115052B1 true KR101115052B1 (ko) 2012-03-06

Family

ID=4539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048A KR101115052B1 (ko) 2010-05-13 2010-05-13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1022A1 (en) * 2020-02-06 2023-03-23 Shuji Yamaguchi Tooth mov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8354A1 (en) 2004-09-24 2006-03-30 Norbert Jeckel Orthodont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8354A1 (en) 2004-09-24 2006-03-30 Norbert Jeckel Orthodont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1022A1 (en) * 2020-02-06 2023-03-23 Shuji Yamaguchi Tooth mo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89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2787A (en) Orthodontic bracket
CA3047629C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20170105429A (ko)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US20180318042A1 (en) Orthodontic braces
KR101723781B1 (ko)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KR101737947B1 (ko)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0744838B1 (ko) 치과용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CN105073061B (zh) 自锁正畸器具
KR100674219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천공 가이드 장치
US7934928B2 (en) Implanter
US7300279B2 (en) Orthodontic retainer elements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WO2006098557A1 (en) Dentition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using the same
KR101115052B1 (ko)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이동 키트
US8770970B2 (en) Device for placing a dental splint
CN209790046U (zh) 椭圆柱形正畸种植支抗钉
Mariniello et al. Lingual active retainers to achieve teeth levelling in orthodontics: case series
KR100935254B1 (ko) 치과용 확장장치
US9248004B2 (en) Ultrasonic tip for minimally invasive crown lengthening
JP2013141582A (ja) 歯列矯正用インプラント
JP3816927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101897702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장치
JP5781709B2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JP5706976B1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