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701B1 -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701B1
KR102512701B1 KR1020197005341A KR20197005341A KR102512701B1 KR 102512701 B1 KR102512701 B1 KR 102512701B1 KR 1020197005341 A KR1020197005341 A KR 1020197005341A KR 20197005341 A KR20197005341 A KR 20197005341A KR 102512701 B1 KR102512701 B1 KR 102512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avity
outer shell
fire extinguisher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795A (ko
Inventor
필립페 슬라마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5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18Extinguisher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0Means for cutting-off the glowing ash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18Extinguishers for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고체 열원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가 설명된다. 소화기는 제1 부분과 대향하는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길이방향 축을 갖는 내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쉘은 내부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외부 쉘은 개방 위치와 덮인 위치 사이에서 내부 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1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공동을 포함하고 있다. 공동은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덮인 위치에서 외부 쉘로 둘러싸여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
본 개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담배가 연소되기보다는 가열되는 다수의 흡연 물품이 당 업계에 제안되어 있다. 가열식 흡연 물품의 하나의 공지된 유형에서, 가연성 열원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 예를 들어 담배를 함유하는 기재로의 열 전달에 의해서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연성 열원의 내부, 주위 또는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O-A2-2009/022232는 가연성 열원, 이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가연성 열원의 후방부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인접하는 전방부 주위 및 이들과 접촉하는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흡연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사용 동안에, 휘발성 화합물이 가연성 열원으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해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되어, 흡연 물품을 통해서 흡인된 공기에 비말동반된다. 방출된 화합물은 냉각되면서 응축되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가연성 연료 요소 또는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가 태워지거나 연소되어서 담배로부터 휘발성 화합물을 가열하고 방출하는 종래의 궐련에 비해서 더 크고, 보다 조밀하며, 열원을 분쇄하거나(crushing) "비벼 끔(stubbing out)"으로써 쉽게 소화되지 않는 연소 구역 또는 가열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종래의 궐련의 연소 구역에서 발견된 것보다 열 형태의 상당히 많은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 열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소화하거나 용이하게 폐기하도록 열을 제거하는 데 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요구 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연소 고체 열원을 편리하게 소화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위한 휴대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한 손으로 조작될 수 있고 사용하기에 간편한 휴대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체 열원을 발화시키기 위한 점화 소자를 휴대용 소화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고체 열원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가 설명된다. 휴대용 소화기는 제1 부분과 대향하는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길이방향 축을 갖는 내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공동을 포함하고 있다. 외부 쉘은 내부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외부 쉘은 개방 위치와 덮인 위치 사이에서 내부 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공동은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덮인 위치에서 외부 쉘로 둘러싸여 있다.
휴대용 소화기는 내부 요소를 개방 위치와 덮인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외부 쉘의 안내 요소를 따라 이동 가능한 내부 요소에 고정된 구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은 연소 고체 열원을 소비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요소는 2개 이상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 또는 외부 쉘은 절연되어 수용된 고체 열원에 잔류하는 열을 수용하거나 소멸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휴대용 소화기는 공동 내에 수용된 고체 열원을 소화시키고 수용된 열원에서 발생된 열을 소멸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다. 휴대용 소화기는 한 손으로 잡히고 작동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고체 열원이 동시에 소화될 수 있다. 외부 쉘은 연소 열원을 소화시킬 때 50℃ 미만의 외부 표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소화기는 내부 요소의 제2 부분 상에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쉘은 덮인 위치에서 내부 요소와 동일 선 상에 있도록(coextensive)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쉘은 내부 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여 가열 요소를 노출시킬 수 있다. 소비자는 가열 요소를 작동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고체 열원을 발화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휴대용 소화기는 미사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을 발화시키도록 구성된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소화기는 이러한 열원을 발화 및 소화시킬 있는 이중 목적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소화기는 세장형의 장박형(obround) 본체를 한정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용 소화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 시에,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일 수 있고, 증기(예를 들어, 실온에서는 보통 액체 또는 고체인, 기체 상태에 있는 재료의 미립자)뿐만 아니라, 기체 및 응축된 증기의 액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또는 니코틴 소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니코틴은 담배 물질로부터 나온다. 에어로졸 형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고체이고, 담배 잎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용어 "탄소질"은 예를 들어 탄소 분말과 같은, 탄소를 포함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용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소화기는 제1 부분과 대향하는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세장형의 길이방향 축을 갖는 내부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은 연소 고체 열원을 수용하고 담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공동을 포함하고 있다. 외부 쉘 또는 슬리브는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되며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 가능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다. 공동은 내부 부재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연소 열원은 공동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부러지거나 절단될 수 있다. 수용된 연소 고체 열원은 그후 공동 내에 밀폐되어 소화될 수 있다. 외부 쉘 또는 슬리브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여 공동의 개방 말단을 폐쇄 또는 밀봉할 수 있다. 덮여 있는, 폐쇄된 또는 밀봉된 공간은 연소 열원을 소화시킬 수 있다. 공동 또는 외부 쉘 또는 슬리브는 들어있는 열원으로부터 방출된 나머지 열을 보유하기 위해 단열될 수 있다. 소화기는 연소 고체 열원에서 방출되는 열을 소멸시킬 수 있다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하거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부재는 내부 부재 본체 내에 열을 보유하고 소멸시키는 히트 싱크를 형성한다. 덮여 있는, 폐쇄된 또는 밀봉된 공동은 공동과 연소 고체 열원으로의 공기 또는 산소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며 열원의 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휴대용 소화기는 내부 부재에 고정된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동 부재는 사용자가 가열된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사용자가 외부 슬리브를 덮인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구동 부재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한 손으로 조작될 수 있다. 휴대용 소화기는 내부 부재의 대향하는 제2 부분 상에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열 요소는 외부 슬리브 내로 후퇴할 수 있다. 외부 슬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에서 내부 요소와 동일 선 상에 있을 수 있다.
단열 물질은 열 장벽 역할을 하며 감소된 열전도율 값을 갖고 있다. 열 전도 (히트 싱크) 물질은 증가된 열전도율 값을 갖고 있으며 열전도에 의해 열을 소멸시킨다. 열 전도 물질은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 물질은 중합체, 글라스, 점토, 실리콘, 세라믹, 에어로겔 등을 포함한다. 소화기의 부분을 형성하는 물질은 적어도 약 350℃, 또는 적어도 약 500℃, 또는 적어도 약 600℃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임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화기는 제1 부분과 대향하는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내부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세장형 본체를 한정하고 있다. 내부 부재는 임의의 세장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내부 부재는 세장형의 원형 형상 또는 세장형의 비원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내부 부재는 세장형의 장박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내부 부재는 세장형의 다각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다각형 형상은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장사방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재는 세장형의 장박형 형상을 한정한다.
내부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약 120mm 미만, 또는 약 100mm 미만 또는 약 80mm 미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내부 부재는 약 40mm 내지 약 120mm, 또는 약 50mm 내지 약 100mm, 또는 약 50mm 내지 약 80, 또는 약 50mm 내지 약 70mm의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동은 내부 부재의 제1 부분에서 한정되어 있다. 공동은 내부 부재 내의 폐쇄 말단 및 열원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말단을 갖고 있다. 2개 이상의 공동이 내부 부재의 제1 부분에 한정될 수 있다. 공동 또는 공동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위한 열원을 수용하고 담을 수 있는 크기로 될 수 있다. 공동 또는 공동들은 폐쇄 말단에서 개방 말단까지 연장된 원통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동 또는 공동들은 내부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또는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열원은 내부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수직인 방향을 따라 내부 부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연소 고체 열원을 둘러싸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연소 고체 열원을 둘러싸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연소 고체 열원만을 둘러싸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의 약 40% 미만,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의 약 30% 미만,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의 약 20% 미만,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길이의 약 10% 미만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동 또는 공동들은 약 5mm 내지 약 12mm, 또는 약 6mm 내지 약 10mm, 또는 약 7mm 내지 약 9m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공동 또는 공동들은 약 10mm 내지 약 30mm, 또는 약 14mm 내지 약 25mm, 또는 약 16mm 내지 약 20mm 범위의 길이 (또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적어도 700℃의 온도를 적어도 10초 동안 견딜 수 있는 물질로 한정될 수 있다. 공동은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공동은 단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동은 금속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공동은 세라믹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공동은 중합체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공동 밖으로 열을 안내하도록 공동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열 전도 물질일 수 있다. 히트 싱크는 열전도 물질과 열 접촉할 수 있다. 히트 싱크는 예를 들어 금속과 같은 열 전도 물질 덩어리, 또는 핀과 같은 열 방사 요소 또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은 물질의 상변화로 인한 열을 흡수한다. 히트 싱크는 내부 부재 내에 들어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변화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전이의 높은 잠열, 예를 들어 적어도 약 90kJ/k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40kJ/kg의 전이의 잠열을 갖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변화 물질은 저장조 내에 들어있고 내부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은 공동과 열 접촉할 수 있으며, 공동으로부터 열을 제거하고 공동 내에 들어있는 열원을 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은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변화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변화 물질은 액체에서 기체로의 상변화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을 흡수한다. 한 구현예에서, 저장조는 상변화 고체가 들어 있다. 그러나, 임의의 적합한 유체, 상변화 고체, 또는 유체들의 조합, 상변화 고체들의 조합, 또는 유체와 상변화 고체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상변화 물질은 열원과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대신 간접적인 열 접촉을 통하여, 공동 내에 (완전히) 들어있는 열원과 직접적으로 열 접촉하는 공동으로부터 열을 끌어낸다.
상변화 물질은 약 40℃ 내지 약 600℃, 약 50℃ 내지 약 300℃,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00℃의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은, 예를 들어 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변화 물질은 낮은 비등점을 갖는 휘발성 액체일 수도 있다. 적합한 휘발성 액체는 암모니아,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또는 에탄올), 물, 프로판 및 부탄,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휘발성"은 적어도 약 20Pa의 증기압을 갖는 액체를 지칭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 모든 증기압은 ASTM E1194-07에 따라 측정된 25℃에서의 증기압이다.
공동 또는 공동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연소 고체 열원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동은 연소 고체 열원이 공동 내에 수용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구부림으로써 연소 고체 열원을 전단시킬 수 있는 무딘 외부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무딘 에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고체 열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동은 연소 고체 열원이 공동 내에 수용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구부림으로써 연소 고체 열원을 전단시킬 수 있는 둥근 또는 만곡된 외부 에지를 가질 수 있다.
공동 또는 공동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연소 고체 열원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동은 연소 고체 열원이 공동 내에 수용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구부림으로써 연소 고체 열원을 절단할 수 있는 외부 에지를 따라 예리한 에지 또는 절단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의 고체 열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절단 요소는, 예를 들어 면도날 에지와 같은 얇은 절단 에지일 수 있다. 절단 요소는 내부 부재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 부재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내부 부재의 제2 부분 상에 가열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위하여 열원을 발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화염 라이터일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기 저항성 가열 요소일 수 있다. 배터리 또는 충전식 전력 공급부가 전기 가열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또는 충전식 전력 공급부가 내부 부재 내에 들어있을 수 있다. USB 요소는 배터리 또는 충전식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재충전 전력 또는 전압을 배터리 또는 충전식 전력 공급부에 제공할 수 있다 USB 요소는 내부 부재 상에 또는 내부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SB 요소는 마이크로-USB 장치이다.
외부 쉘은 내부 부재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쉘은 내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외부 쉘은 개방 위치와 덮인 위치 사이에서 (내부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거나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공동은 접근 가능하다. 덮인 위치에서, 공동은 외부 쉘에 의하여 덮이거나 폐쇄된다. 덮인 위치에서 외부 쉘은 공동으로의 공기 흐름을 제한하여 열원을 소화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열 요소가 포함된 경우, 가열 요소는 외부 쉘이 (공동 또는 공동들을 덮는) 덮인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될 수 있고 발화 위치로 지칭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공동들 또는 공동들과 가열 요소 모두는 외부 쉘로 둘러싸여 있다. 폐쇄 위치에서, 외부 쉘은 내부 부재와 동일 선 상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동일 선 상에 있을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공동 또는 공동들과 가열 요소 모두는 접근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쉘은 임의의 세장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외부 쉘은 내부 부재의 세장형 형상과 일치하는 세장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외부 쉘은 세장형의 원형 형상 또는 세장형의 비원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외부 쉘은 세장형의 장박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외부 쉘은 세장형의 다각형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다각형 형상은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장사방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쉘은 세장형의 장박형 형상을 한정하고 있다. 외부 쉘은 내부 부재의 외부 표면과 일치할 수 있는 내부 쉘의 표면을 한정하고 있다
외부 쉘은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약 120mm 미만, 또는 약 100mm 미만, 또는 약 80mm 미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쉘은 약 40mm 내지 약 120mm, 또는 약 50mm 내지 약 100mm, 또는 약 50mm 내지 약 80mm, 또는 약 50mm내지 약 70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쉘은 내부 부재와 동일 선 상에 있다. 외부 쉘과 내부 부재는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쉘은 사용자의 한 손에 잡힐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외부 둘레 또는 원주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쉘은 약 100mm 미만 또는 약 90mm 미만의 외부 둘레 또는 원주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쉘은 약 50mm 내지 약 100mm 또는 약 50mm 내지 약 80mm 범위의 외부 둘레 또는 원주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쉘은 열전도 물질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외부 쉘은 단열 물질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외부 쉘은 금속성 외부 표면과 단열 내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쉘은 덮인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서 공동 또는 공동들에 인접한 단열 물질 또는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단열 물질은 덮인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서 공동 또는 공동들에 인접한 내부 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할 수 있다. 단열 물질은 세라믹, 에어로졸 또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소화기는 열 또는 히트 싱크를 유지하도록 단열 물질로 또는 휴대용 소화기를 통하여 열을 소멸시키도록 열 전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소화기의 외부 표면은 공동 내에 수용되고 덮인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이 소화될 때 약 50℃ 미만, 또는 약 40℃ 미만, 또는 약 35℃ 미만, 또는 약 3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한다.
외부 쉘은 안내 요소 또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요소 또는 슬롯은 외부 쉘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 부재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그리고 이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안내 요소 또는 슬롯은 외부 쉘의 길이의 적어도 50%, 또는 외부 쉘의 길이의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외부 쉘의 길이의 약 80% 내지 약 9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외부 쉘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연소 고체 열원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쉘은 연소 고체 열원이 공동 내에 수용되면 외부 쉘을 덮인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연소 고체 열원을 전단시킬 수 있는 무딘 외부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뭉툭한 외부 에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의 고체 열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외부 쉘은 연소 고체 열원이 공동 내에 수용되면 외부 쉘을 덮인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연소 고체 열원을 전단시킬 수 있는 둥근 또는 만곡형 외부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쉘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연소 고체 열원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쉘은 연소 고체 열원이 공동 내에 수용되면 외부 쉘을 덮인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연소 고체 열원을 절단할 수 있는 외부 에지를 따라서 예리한 에지 또는 절단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요소 또는 예리한 에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의 고체 열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요소는 얇은 절단 에지일 수 있다. 절단 요소는 외부 쉘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 부재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내부 부재는 내부 부재에 고정된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요소는 내부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내부 부재의 길이를 따라 고정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내부 부재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어 소화기의 배향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외부 쉘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외부 쉘의 안내 요소 또는 슬롯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소비자 또는 사용자가 외부 쉘에 대해 내부 부재를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하나의 손가락 또는 엄지 손가락으로 구동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동안에 외부 쉘을 동일한 손으로 잡을 수 있다. 구동 부재를 (외부 쉘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작동 또는 이동시키는 것은 내부 부재의 제1 부분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 공동 또는 공동들을 노출시킨다.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구동 부재의 이동을 역전시키는 것은 내부 부재의 제1 부분을 덮인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시켜 외부 쉘로 공동 또는 공동들을 덮는다. 구동 부재를 제2 방향으로 더 작동 또는 이동시키는 것은 내부 부재의 제2 부분을 발화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열 요소를 노출시킨다. 안내 부재를 따라서 구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은 내부 요소를 (덮여 있는 공동 또는 공동들과 함께 가열 요소를 노출시키는) 발화 위치로부터 (가열 요소와 공동 또는 공동들 모두 덮여 있는) 덮인 위치로 이동시키고, 안내 부재를 따르는 구동 부재의 추가 이동은 내부 요소를 (공동 또는 공동들을 노출시키고 가열 요소가 덮여 있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공동 또는 공동만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에서, 제1 부분은 노출되거나 외부 쉘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내부 부재의 약 30% 내지 60%가 개방 위치에서 노출될 수 있다. 내부 부재의 약 20mm 내지 약 35mm가 개방 위치에서 노출될 수 있다.
(가열 요소만을 노출시키는) 발화 위치에서, 제2 부분은 노출되거나 외부 쉘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내부 부재의 약 20% 내지 40%가 개방 위치에서 노출될 수 있다. 내부 부재의 약 10mm 내지 약 25mm가 발화 위치에서 노출될 수 있다.
(외부 쉘이 공동들 또는 공동들 그리고 또한 선택적으로 가열 요소를 덮는) 덮인 위치에서, 내부 부재의 길이방향 길이는 적어도 약 90%, 또는 적어도 약 95%, 또는 적어도 약 99%가 외부 쉘로 덮여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쉘은 내부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 선 상 (동일 길이)에 있다.
휴대용 소화기는 공동 또는 공동들을 노출시키고 그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연소 열원을 공동 내로 삽입하여 작동될 수 있다. 고체 열원이 공동 내에 수용되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고체 열원을 절단할 수 있거나 분리시킬 수 있거나 부러뜨릴 수 있으며, 잘라진 열원을 공동 내에 유지시킬 수 있다.
키트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휴대용 소화기 및 고체 열원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키트는 2개 이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5개 이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고 있다. 휴대용 소화기는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소화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6mm 내지 약 9mm 또는 약 7mm 내지 약 8mm 범위의 직경을 갖고 있다. 전형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60mm 내지 약 100mm 또는 약 70mm 내지 약 85mm 범위의, 또는 약 80mm의 길이를 갖고 있다.
고체 열원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약 6mm 내지 약 9mm 또는 약 7mm 내지 약 8mm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약 6mm 내지 약 11mm 또는 약 7mm 내지 약 9mm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고체 열원은 단일체 요소를 한정할 수 있다. 연소 후에, 고체 열원은 연소되지 않은 고체 열원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물리적 치수를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근위 말단에서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있다. 고체 열원은 원위 말단을 한정하고 있다. 마우스피스는 근위 말단을 한정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하우징 내에 그리고 근위 말단과 원위 말단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열 전달 요소는 고체 열원에 의해 발생된 열을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 흐르는 공기와 에어로졸 발생 기재 자체로 전달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와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아가는, 니코틴을 함유하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열원은 사용시 연소 가스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하지 않거나 흡입 공기와 결합하지 않는 '블라인드(blind)' 가연성 열원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열원은 탄소질 열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탄소질'은 탄소를 포함하는 가연성 열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소모성 물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탄소질 열원은 가연성 열원의 건조 중량 기준 적어도 약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5%의 탄소 함량을 갖고 있다. 고체 열원은 가연성 탄소계 열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탄소계 열원'은, 예를 들어 탄소 분말과 같은, 주로 탄소로 구성된 열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체 열원은 WO2012/164077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탄소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발화 보조제를 포함하는 탄소질 열원일 수 있다.
예시적인 고체 열원은 탄소 분말;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개질 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밀가루와 같은 곡물 가루; 및 예를 들어 사탕무우(beet)로부터 유도된 백색 결정질 설탕과 같은 설탕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고체 열원은 탄소 분말,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개질 셀룰로오스; 및 선택적으로 벤토나이트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소화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탄소질 고체 열원은 약 0.6g/cm3 내지 약 1g/cm3 사이의 겉보기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고체 열원은 약 1 그램 내지 약 10 그램의 질량을 가질 수 있다. 탄소질 열원은 흡연 물품의 비궐련 담배 또는 담배 물질로 형성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 및 가열에 응답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습윤제, 향미제(flavourant), 바인더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기타 첨가제와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조밀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열화에 실질적으로 내성이 있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odecanedioate)및디메틸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과 같은 다가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다.
가열에 반응해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은 식물계 물질의 충전물일 수 있다. 가열에 응답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재료는 균질화된 식물계 재료의 충전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 차(예를 들어 녹차); 페퍼민트; 라우렐(laurel); 유칼립투스; 바실; 세이지; 버베나; 및 타라곤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식물 유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열에 반응하여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은 담배 기반 물질의 충전물, 가장 바람직하게 균질화된 담배 기반 물질의 충전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1 그램 내지 약 5 그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그램 내지 약 3 그램의 질량을 갖는다.
소화기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 구획의 주변 둘레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사용시, 찬 공기는 공기 유입부를 통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로 흡인된다. 공기 유입부를 통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로 흡인된 공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하류 방향으로 통과하여 에어로졸 유출부를 통하여 니코틴 소모성 물품을 빠져나간다. 흡연 장치에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소화기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열원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 둘 다의 주변과 그와 직접 접촉하여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도 요소는 열원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에 열적 연결을 제공하고, 유리하게는 열원으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적절한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허용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본원에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열 전도 요소는: 금속 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 강, 철 포일 및 구리 포일과 같은 금속 포일; 및 금속 합금 포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 용어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당업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서 제공된 정의는 본원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 용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바디를 통해 원위 부분에서 마우스피스 부분으로 흡인됨에 따라 흡입 기류의 방향에 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그 내용을 명확하게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물을 갖는 구현예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또는"은 그 내용을 명확하게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및/또는"은 열거된 요소들 중 하나 또는 전부, 또는 열거된 요소들 중 임의의 2개 이상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가진다", "갖는", "포함하다", "포함하는", "이루어지다", "이루어지는" 등은 개방형의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로 이루어지는" 등은 "이루어지는" 등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단어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상황 하에서 특정한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지칭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 또한 동일하거나 다른 상황 하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인용은 다른 구현예가 유용하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을 포함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다른 구현예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개략도는 일정한 비율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도면은 본 개시에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측면들이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의 범위 안에 속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1은 덮인 및 폐쇄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휴대용 소화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방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휴대용 소화기(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발화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휴대용 소화기(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개방 위치에서의 예시적인 휴대용 소화기(1)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휴대용 소화기(1)는 제1 부분(21)과 대향하는 제2 부분(22)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길이방향 축(L A )을 갖는 내부 요소(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21)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고체 열원(10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공동(3)을 포함하고 있다 (도 5 참조). 외부 쉘(5)은 내부 요소(2)의 적어도 일부분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외부 쉘(5)은 개방 위치(도 2 참조)와 덮인 위치 또는 폐쇄 위치(도 1 참조) 사이에서 내부 요소(2)의 길이방향 축(L A )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공동(3)은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덮인 위치에서는 외부 쉘(5)로 둘러싸여 있다.
휴대형 소화기(1)는 내부 요소(2)에 고정되고 외부 쉘(5)의 안내 요소(51)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동 부재(4)를 포함하여 내부 요소(2)를 개방 위치와 덮인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공동(3)은 연소 열원(102)을 소모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요소(2)는 2개 이상의 공동(3, 32)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3) 또는 외부 쉘(5)은 절연되어 공동과 외부 쉘(5) 내에 들어있는 수용된 고체 열원(102)에 남아있는 열을 담고 있거나 소멸시킨다.
휴대형 소화기(1)는 내부 요소(2)의 제2 부분(22) 상에 가열 요소(6)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쉘(5)은 폐쇄 위치에서 내부 요소(2)와 동일 선 상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외부 쉘(5)은 내부 요소(2)의 길이방향 축(L A )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여 발화 위치에서 가열 요소(6)를 노출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소비자는 가열 요소(6)를 작동시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고체 열원(102)을 발화시킬 수 있다. 배터리 또는 충전식 전력 공급부(7)가 내부 요소(2) 내에 들어있을 수 있으며 가열 요소(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USB 요소 또는 마이크로-USB 장치가 배터리 또는 충전식 전력 공급부(7)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배터리 또는 전력 공급부(7)를 충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 요소(6)는 화염 라이터이다.
사용시, 소비자는 소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고체 열원(102) 말단을 공동(3) 내로 삽입할 수 있으며 공동(3) 내에 들어있거나 수용되어 있는 고체 열원(102)을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공동(3)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으로부터 공동(3) 내에 들어있는 또는 수용되어 있는 고체 열원(102)의 탈거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리한 에지 또는 절단 요소(31)를 가질 수 있다. 가연성 열원(102)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으로부터 분리되어 공동(3) 내에 유지되면, 외부 쉘(5)은 공동(3) 상으로 슬라이딩되어 공동(3)의 개방 말단을 덮을 수 있다. 그 후, 들어있는 연소 열원(102)은 공동(3) 내에서 소화될 수 있다. 소화되고 냉각되면, 소화된 고체 열원은 그후 폐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근위 말단(111)과 원위 말단(112) 사이에서 연장된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원위 말단(112)에 위치된 고체 열원(102), 고체 열원(102)의 하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의 하류의 그리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근위 말단(111)에 위치된 마우스피스(106)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와 마우스피스(106) 사이에서 순차적인 접하는 동축 정렬 상태에 있는 에어로졸 냉각 요소(107)와 세장형 팽창실 또는 전달 요소(108)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이 요소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궐련지의 외부 랩퍼로서 겉포장될 수 있다. 고체 열원(102)은 원통형일 수 있다. 소비 동안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고체 열원(102)만이 연소된다. 따라서, 하우징(110)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소비 중에 연소되지 않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104)는 고체 열원(102)의 바로 하류에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제로서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필터 플러그 랩에 의해 둘러싸인 균질화된 담배 물질의 원통형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다. 알루미늄 포일 튜브로 이루어지는 열 전도 요소(114)는, 예를 들어 고체 열원(102)의 후방 부분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104)의 접경하는 전방 부분을 둘러싸고 이들과 접촉하고 있다. 세장형 팽창실(108)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104)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고, 판지의 원통형 개방 말단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마우스피스(106)는 팽창실(108)의 하류에 위치되고, 필터 플러그 랩에 의해 둘러싸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109)의 원통형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고체 열원을 발화시킨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6)를 흡입할 때, 공기는 하우징(110) 내의 그리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에 인접한 공기 유입구 구멍(113)을 통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를 통해, 팽창실(108)을 통해, 마우스피스(106)를 통해 그리고 사용자의 입 속으로 흡인된다. 고체 열원(102)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의 소비 후 몇 분 동안 뜨겁게 남아있을 수 있다. 여전히 뜨거운 고체 열원(102)은 휴대용 소화기(1) 내로 삽입되어 공동(3) 내로 분리되어 연소 고체 열원(102)을 소화시키고 냉각시킬 수 있다.
전술한 특정 구현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다른 구현예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술한 특정 구현예들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4)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을 소화시키기 위한 휴대용 소화기로서, 상기 소화기는
    제1 부분과 대향하는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길이방향 축을 가지고 있는 내부 요소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공동을 포함하는, 상기 내부 요소; 및
    상기 내부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외부 쉘로서, 상기 외부 쉘은 개방 위치와 덮인 위치 사이에서 상기 내부 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상기 덮인 위치에서 상기 외부 쉘로 둘러싸여 있는, 상기 외부 쉘;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요소는 상기 외부 쉘의 안내 요소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소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외부 쉘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소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는 상기 내부 요소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것인 소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내부 요소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인 소화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공동의 개방 말단에 고정되어 있는 절단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소화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2개 이상의 공동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체 열원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인 소화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은 덮인 위치에서 상기 공동에 인접한 단열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소화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은 세장형의 장박형(obround) 형상을 한정하고 있는 것인 소화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공동과 열적 접촉하고 있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것인 소화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요소는 상기 공동과 열적 연결되어 있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소화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인 위치에서 상기 공동으로의 공기 흐름이 제한되는 것인 소화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소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USB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소화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은 덮인 위치에서 상기 내부 요소와 동일 선 상에 있는 것인(coextensive) 소화기.
KR1020197005341A 2016-09-28 2017-09-13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 KR102512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1137 2016-09-28
EP16191137.5 2016-09-28
PCT/IB2017/055530 WO2018060801A1 (en) 2016-09-28 2017-09-13 Portable extinguisher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95A KR20190055795A (ko) 2019-05-23
KR102512701B1 true KR102512701B1 (ko) 2023-03-22

Family

ID=5701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341A KR102512701B1 (ko) 2016-09-28 2017-09-13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439179B2 (ko)
EP (1) EP3518695B1 (ko)
JP (1) JP7021231B2 (ko)
KR (1) KR102512701B1 (ko)
CN (1) CN109714988A (ko)
CA (1) CA3030369A1 (ko)
IL (1) IL265546A (ko)
MX (1) MX2019003423A (ko)
RU (1) RU2739014C2 (ko)
WO (1) WO2018060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7023A1 (en) * 2018-04-27 2019-10-31 Jt International Sa Vapour generating system
CN111150115B (zh) * 2020-01-17 2021-11-16 同济大学 余热利用型加热不燃烧卷烟装置
KR102325373B1 (ko) * 2020-02-07 2021-1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52952A1 (ja) * 2022-02-14 2023-08-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基材切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258B2 (ja) 1996-01-31 2000-04-10 アグフア−ゲヴエルト・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画像担体における画像生成方法
JP3048989B2 (ja) 1997-12-05 2000-06-05 株式会社岡崎製作所 通気miケーブルと通気mi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6061015A (ja) 2004-08-24 2006-03-09 Sanko:Kk 消火機能を有するタバコの吸い殻入れ
JP2016508370A (ja) 2013-02-06 2016-03-2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喫煙物品用の消火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12A (en) * 1891-04-14 Cigar-case
US1342512A (en) * 1918-10-18 1920-06-08 Olaus Eklo Cigar holder and saver
GB219216A (en) * 1923-10-19 1924-07-24 George Rutherford Thomson Device for preserving partly smoked cigarettes
GB294823A (en) * 1927-11-28 1928-08-02 Carl Schoenfeld Cigarette holder
US2768631A (en) * 1953-11-23 1956-10-30 Susan Elizabeth Russell Smoker's article
US4066088A (en) * 1976-08-26 1978-01-03 Ensor John E Smoke reducer for cigarette smokers
JPS61242571A (ja) * 1985-04-22 1986-10-28 田中 宏 消煙パイプ
JPH0279964A (ja) * 1988-09-19 1990-03-20 Koji Nishimori 煙草の処理装置
FR2695009B1 (fr) * 1992-09-03 1994-11-18 Tabacs & Allumettes Ind Cendrier de poche muni d'un dispositif éteignoir de cigarettes.
ES1023214Y (es) * 1992-12-11 1994-01-01 Nuin Vives Apagador de cigarrillos.
JPH09224634A (ja) * 1996-02-21 1997-09-02 Hideo Yamamoto 携帯用吸い殻入れ
JP3030258U (ja) * 1996-02-26 1996-10-22 有限会社ゼットハウス 携帯用ポケット灰皿
JP2931958B2 (ja) * 1996-05-21 1999-08-09 栄一郎 後藤 灰 皿
JPH1033156A (ja) * 1996-07-23 1998-02-10 T Joy:Kk 煙草消火具
JP3048989U (ja) * 1997-11-18 1998-05-29 株式會社廣田 携帯用灰皿
AU1512100A (en) * 1999-12-01 2001-06-12 Clio Planning Co., Ltd. Cigarette light extinguishing cylinder unit
RU28588U1 (ru) * 2002-02-15 2003-04-10 Обухов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ушитель окурка табачного изделия
AU2003223798A1 (en) 2002-08-27 2004-03-19 Bmh Holdings Inc. Compartmentalized cigarette snuffer and receptacle
DE102004007502B4 (de) * 2004-02-13 2006-04-13 Otto Glänzer, Kunststoffverarbeitung und -spritzerei (GmbH & Co.) Taschenaschenbecher
JP2007032852A (ja) * 2005-07-22 2007-02-08 Tokyo Pipe Kk 充電機能付ライタ
KR100776322B1 (ko) 2006-02-14 2007-11-15 엔에이치엔(주) 통신망에서 일대일 질문 및 답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US20080251089A1 (en) * 2007-04-10 2008-10-16 Valera International Corporation Paperboard container for extinguishing and disposal of lighted cigarettes
NZ582761A (en) 2007-08-10 2013-01-25 Philip Morris Prod Smoking article with a metallic heat honducting element which contacts, surrounds and links a combustible heat sour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KR20120011708A (ko) * 2010-07-30 2012-02-08 조성미 담뱃갑 부착형 휴대용 재떨이
IT1403853B1 (it) * 2011-02-14 2013-11-08 Cortesi Articolo ecologico portatile per lo spegnimento di una sigaretta ed il contenimento dei residui post-accensione
UA112440C2 (uk) 2011-06-02 2016-09-12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Спалиме джерело тепла для курильного виробу
US9339061B2 (en) * 2012-03-13 2016-05-17 Meyer Enterprises Method and apparatus for smoking and drinking
RU2519902C2 (ru) * 2012-06-01 2014-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Челяби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агроинженерная академия" Тушитель сигарет с коробкой для их хранения
US20150300641A1 (en) 2014-04-16 2015-10-22 Bruce R. Nymeyer Dispenser for lightable wick
BR112016028071B1 (pt) * 2014-06-12 2022-05-10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intor portátil para um único artigo para fumar e conjunto de isqueiro portát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258B2 (ja) 1996-01-31 2000-04-10 アグフア−ゲヴエルト・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画像担体における画像生成方法
JP3048989B2 (ja) 1997-12-05 2000-06-05 株式会社岡崎製作所 通気miケーブルと通気mi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6061015A (ja) 2004-08-24 2006-03-09 Sanko:Kk 消火機能を有するタバコの吸い殻入れ
JP2016508370A (ja) 2013-02-06 2016-03-2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喫煙物品用の消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0369A1 (en) 2018-04-05
RU2019108805A (ru) 2020-10-29
EP3518695B1 (en) 2020-07-01
CN109714988A (zh) 2019-05-03
US11439179B2 (en) 2022-09-13
RU2739014C2 (ru) 2020-12-21
RU2019108805A3 (ko) 2020-11-25
EP3518695A1 (en) 2019-08-07
MX2019003423A (es) 2019-07-18
JP2019528792A (ja) 2019-10-17
WO2018060801A1 (en) 2018-04-05
JP7021231B2 (ja) 2022-02-16
IL265546A (en) 2019-05-30
US20190223495A1 (en) 2019-07-25
KR20190055795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701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휴대용 소화기
RU2604480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колпачком двойной функции
KR102072325B1 (ko) 물질 증발 방법 및 시스템
JP5459813B2 (ja) 無煙型香味吸引具
BR112018011365B1 (pt) Artigogerador de aerossol
EA002583B1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вдыхаемого аэрозоля
BR112015004678B1 (pt) Artigo para fumar
ES2770032T3 (es) Artículo generador de aerosol con una envoltura más externa mejorada
WO2013009883A1 (en) Vaporization device
EP3397088A1 (en) A gas combustion heating smoking article
WO2017115188A1 (en) Extinguisher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CN207653598U (zh) 低温烟具及烟支
US20220218042A1 (en) Smoking cartridge of gas heating smoking article and its smoking article
CN112335936B (zh) 一种用于低温卷烟的加热装置
TWI615100B (zh) 具有雙功能蓋帽的煙品、可移除蓋帽的用途、使用煙品的方法及促進煙品在使用後之拋棄的方法
TW202038759A (zh) 吸煙替代系統
WO2018060805A1 (en) Extinguisher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WO2024004137A1 (ja) 香味吸引システム
EP4082364A1 (en) A heat transfer assembly
CN109892695A (zh) 低温烟具及烟支
JP2022552787A (ja) 保持部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