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373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373B1
KR102325373B1 KR1020200015173A KR20200015173A KR102325373B1 KR 102325373 B1 KR102325373 B1 KR 102325373B1 KR 1020200015173 A KR1020200015173 A KR 1020200015173A KR 20200015173 A KR20200015173 A KR 20200015173A KR 102325373 B1 KR102325373 B1 KR 10232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heater
generating substrate
generat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047A (ko
Inventor
정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0001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7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CN202080007014.XA priority patent/CN113507851B/zh
Priority to CA3117188A priority patent/CA3117188A1/en
Priority to PL20883280.8T priority patent/PL3886616T3/pl
Priority to US17/291,666 priority patent/US20220361582A1/en
Priority to PCT/KR2020/017967 priority patent/WO2021157836A1/en
Priority to ES20883280T priority patent/ES2963589T3/es
Priority to EP20883280.8A priority patent/EP3886616B1/en
Priority to EP23190138.0A priority patent/EP4268641A3/en
Priority to JP2021540802A priority patent/JP7316361B2/ja
Publication of KR2021010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47A/ko
Priority to KR1020210116508A priority patent/KR102576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73B1/ko
Priority to JP2023115877A priority patent/JP202313467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를 가열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인식하여 히터를 자동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또는 액체 저장부 내의 에어로졸 생성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 삽입 후 히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고, 첫 퍼프(puff)까지의 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궐련 삽입을 인식하여 히터를 자동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궐련의 추출을 인식하여 히터의 가열을 자동적으로 중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된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된 경우, 기 설정된 추출 시간 동안의 상기 인덕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기질 감지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기질 감지부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질 감지부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히터를 예열 하는 단계 및 상기 예열 시간 이후의 기 설정된 흡연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를 예열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에 의해 생성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예열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의 온도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까지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를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흡연 시간 동안, 상기 히터의 온도를 상기 기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기질 감지부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하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턴스의 출력 값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히터의 온도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질 감지부의 상기 인덕턴스 출력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시간 동안 상기 기질 감지부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인덕턴스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수용하는 공동, 상기 공동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에 대응하여 인덕턴스가 가변되는 기질 감지부, 상기 히터 및 상기 기질 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를 가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기질 감지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기질 감지부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예열이 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예열함으로써, 상기 히터의 온도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열 시간 이후의 기 설정된 흡연 시간 동안, 상기 히터의 온도를 상기 기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기질 감지부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하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턴스 출력 값을 보정하는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질 감지부의 상기 인덕턴스 출력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된 경우, 기 설정된 추출 시간 동안 상기 기질 감지부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인덕턴스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상태 및 추출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궐련 인식 후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 동작 없이도 히터를 자동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궐련 인식 후, 히터를 자동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사용자의 첫 퍼프까지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궐련의 추출을 인식하여 히터의 가열을 자동적으로 중지하므로, 기기 과열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2의 궐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여부에 따른 히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삽입된 경우 히터 및 출력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예열 구간 및 흡연 구간에 따른 히터의 가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히터의 온도 증가에 따른 인덕턴스 출력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경우 히터 및 출력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경우, 히터의 가열 중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퍼프"라 함은 사용자의 흡입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예열 구간은 제1 히터 및 제2 히터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간을 의미하여, 흡연 구간은 제1 히터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구간으로서 사용자의 흡입이 수행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예열 구간 및 흡연 구간은 각각 예열 시간 및 흡연 시간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를 증기화기(14)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이 공동(15)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히터(13) 또는 증기화기(1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배터리(11), 히터(13) 및 증기화기(14)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히터(13)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히터(13)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들은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들 중 일부는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배터리(11)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궐련(2)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내지 도2의 궐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궐련(3)은 도 1 내지 도 2의 궐련(2)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궐련(3)은 담배 로드(31) 및 필터 로드(3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31)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3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궐련(3)은 전단 플러그(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플러그(33)는 담배 로드(31)에 있어서, 필터 로드(32)에 대향하는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단 플러그(33)는 담배 로드(3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31)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담배 로드(3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3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31)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31)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3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31)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31)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32)은 제1 세그먼트(321) 및 제2 세그먼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3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3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32)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32)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3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32)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3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34)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34)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34)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단 플러그(33)의 길이는 약 7mm, 담배 로드(31)의 길이는 약 15mm, 제1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약 12mm, 제2 세그먼트(322)의 길이는 약 14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궐련(3)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35)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35)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351)에 의하여 전단 플러그(33)가 포장되고, 제2 래퍼(352)에 의하여 담배 로드(31)가 포장되고, 제3 래퍼(353)에 의하여 제1 세그먼트(321)가 포장되고, 제4 래퍼(354)에 의하여 제2 세그먼트(322)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래퍼(355)에 의하여 궐련(3)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또한, 제5 래퍼(355)에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3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36)은 담배 로드(31)를 둘러싸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천공(3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히터(13)에 의하여 형성된 열을 담배 로드(31)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궐련(3)은 전자기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체는 후술하는 기질 감지부(도 4의 451)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자기 유도체는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될 수 있는 전도체 및 자속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성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 유도체는 금속 물질, 마그네틱 잉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 유도체는 알루미늄 박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자기 유도체는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키는 물질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래퍼(351) 내지 제5 래퍼(3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래퍼는 전자기 유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기 유도체는 일 면이 제1 래퍼(351) 내지 제5 래퍼(355) 중 적어도 하나의 래퍼의 내면과 마주보면서 궐련(3)의 둘레를 따라 궐련(3)의 내용물을 감쌀 수 있다.
궐련(3) 내에서 전자기 유도체가 구비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기 유도체는 전단 플러그(33)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궐련(3)은 전단 플러그(33)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자기 유도체는 궐련(3)이 삽입되기 시작하면 곧바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기질 감지부(451)는 전자기 유도체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이른 시점에 궐련(3)의 삽입이 시작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궐련(3)의 분리 시 전단 플러그(33)는 가장 늦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기질 감지부(451)는 전자기 유도체의 분리를 감지함으로써, 궐련(3)이 완전히 이탈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기 유도체는 담배 로드(31)의 내부, 또는 제5 래퍼(355)와 포개어진 채 담배 로드(31)를 둘러쌀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기 유도체는 필터 로드(32)의 내부, 또는 제5 래퍼(355)와 포개어진 채 필터 로드(32)를 둘러쌀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기 유도체는 각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자기 유도체는 궐련(3)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어부(410), 배터리(420), 제1 히터(430), 제2 히터(440), 감지부(450), 출력부(460), 입력부(470) 및 메모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5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감지하는 기질 감지부(451), 사용자의 퍼프(puff)를 감지하는 퍼프 감지부(453) 및 히터(430, 44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420), 제1 히터(430), 제2 히터(440), 감지부(450), 출력부(460), 입력부(470) 및 메모리(480)를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42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전력을 공급하며,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는 제어부(4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1 히터(43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히터(430)에 전류가 인가되면 고유 저항에 의해 발열을 하고, 가열된 제1 히터(430)에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접촉(결합)되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히터(430)는 도 1 내지 도 2의 히터(13)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은 도 1 내지 도 2의 궐련(2)일 수 있다.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은 니코틴을 포함하는 고체 기재일 수 있다.
제2 히터(440)는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히터(440)는 도 1 내지 도 2의 증기화기(14)에 구비된, 가열 요소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은 도 1 내지 도 2의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일 수 있다.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기재일 수 있다.
제2 히터(440)는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제2 에어로졸은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통과하여, 제1 에어로졸과 함께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배터리(420)를 제어하여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을 통해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10)는 펄스 폭 변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질 감지부(451)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에 의해 인덕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질 감지부(451)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턴스 디지털 컨버터(inductance to digital converter: LDC)를 포함할 수 있다. LDC 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LDC들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도 1 내지 도 2의 궐련(2)인 경우, 기질 감지부(451)는 공동(15)에 배치되어 궐련(2)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질 감지부(451)는 궐련 감지부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제어부(410)는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하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트리거 신호는 펄스 폭 변조 방식의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410)는 트리거 신호를 통해 제1 히터(430)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히터(430)의 예열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을 개시한 상태에서, 제1 히터(430)의 예열이 완료되기 이전의 제1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예열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터(430)의 예열 시간이 30초인 경우,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 완료 3초 전인 27초부터 제2 히터(440)의 예열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 시간을 기초로 제2 히터(440)의 예열 개시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이 완료되기 이전의 소정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예열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410)가 제2 히터(440)를 예열 구간의 진입과 동시에 가열하지 않는 이유는 궐련과 같은 고체 기재를 가열하는 제1 히터(430)에 비해, 심지(wick)에 흡수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2 히터(440)가 목표하는 예열 온도에 도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제어부(410)는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제1 히터(4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예열 완료 시점에 제1 히터(430)의 온도가 제1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까지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1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예열을 개시한 상태에서 제1 시간 동안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이 도과한 제2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온도가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를 초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2 시점으로부터 예열 구간이 종료되는 제2 시간 동안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예열 완료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온도가,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 보다는 낮지만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 온도에는 근접한 온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히터(440)의 온도를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지는 않지만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온도에 근접한 온도까지 예열하는 이유는, 무화량 증대를 위해 설치된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사용자의 퍼프(puff)와 상관없이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사용자의 퍼프(puff)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410)는 제2 시점부터 제2 시간 동안에는 사용자의 퍼프(puff)가 감지된 경우라도 제2 히터(440)에 추가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는 제2 히터(440)의 과열로 인한 코일 탄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410)는 예열 시간 이후의 기 설정된 흡연 시간 동안 메모리(48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를 가열한 경우, 제1 히터(430) 및/또는 제2 히터(440)의 온도 증가에 따른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 중 어느 하나의 온도 증가에 대응하여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410)는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를 가열한 상태에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가열을 곧바로 중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되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410)는 기 설정된 추출 시간 동안의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재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추출 시간 이내에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재삽입 된 경우, 계속하여,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를 가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추출 시간 이내에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재삽입되지 않은 경우,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가열을 중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불필요한 소모 전력을 저감하고, 기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퍼프 감지부(453)는 사용자의 퍼프(puff)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퍼프 감지부(4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부(45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퍼프 감지 신호를 제어부(4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퍼프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제2 히터(440)를 가열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455)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배치되어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 감지부(455)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감지부(455)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열저항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455)는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4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온도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온도를 기초로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가열 시점, 가열 시간, 공급 전력 등을 연산할 수 있다.
출력부(4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와 관련된 시각 정보 및/또는 촉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47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70)는 가압식 푸쉬(push)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4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on/off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4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 명령을 수신한 경우,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10)에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48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80)는 제어부(410)가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풍미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온도 프로파일(temperature profile)을 저장할 수 있다. 온도 프로파일에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예열 시점, 예열 시간, 예열 온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여부에 따른 히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51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10) 기질 감지부(451)가 출력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인던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경우, 자동적으로 제1 히터(430)를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경우, 사용자 입력 없이도 제1 히터(430)를 가열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된 상태에서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은 제1 히터(430) 및/또는 제2 히터(440)의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 중 어느 하나의 온도 증가에 대응하여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410)는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보정된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하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경우, 기 설정된 추출 시간 동안의 인덕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기 설정된 추출 시간 동안의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재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시간은 5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410)는 추출 시간 동안의 인덕턴스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재삽입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가열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추출 시간 동안의 인덕턴스 변화량이 기 설정된 상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재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계속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삽입된 경우 히터 및 출력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61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기질 감지부(45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410)는 대기 모드(standby mode)에서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기질 감지부(45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삽입되기 전에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들(예를 들어, 기질 감지부 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전력을 차단하는 모든 모드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개시의 대기모드는 그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는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슬립 모드(sleep mode) 등과 동일한 모드일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기질 감지부(451)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인덕턴스 출력 값의 수집 주기는 소비 전력, 인덕턴스 가변량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0.5m초 간격으로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0)가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S63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은 전자기 유도체를 포함하므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경우, 기질 감지부(451)에 포함된 코일의 인덕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도 7은 시간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x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의미하고, 제1 그래프(7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에서와 같이,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경우, 인덕턴스의 출력 값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질 감지부(451)는 인덕턴스 값을 감지 신호로써 제어부(41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증가량(△L1)을 계산할 수 있다.
다시 도 6의 S64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과 상한 임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한 임계 값은 기질 감지부(451)의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과의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한 임계 값은 +0.32m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65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상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증가량(△L1)이 상한 임계 값(th1) 이상이므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증가량(△L1)이 상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해,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기질 감지부(45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기질 감지부(451)에 전력을 공급한 상태에서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도 6의 S66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신호는 PWM 방식을 통해 변조된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410)는 트리거 신호를 배터리(420)에 출력할 수 있고, 배터리(420)는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히터(4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히터(430)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예열이 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없이도,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제1 히터(430)가 예열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2 히터(44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삽입되자마자 또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감지와 동시에 예열이 개시되지 않는다. 이는 고체 기재를 가열하는 제1 히터(430)에 비해, 심지(wick)에 흡수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2 히터(440)가, 목표하는 예열 온도에 도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을 개시한 상태에서, 제1 히터(430)의 예열 시간에 기초하여 제2 히터(440)의 예열 개시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터(430)의 예열 시간이 30초인 경우,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 완료 3초 전인 27초부터 제2 히터(440)의 예열 개시할 수 있다.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예열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S670 단계에서, 출력부(46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460)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60)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탐지 화면을 표시하고, 예열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예열 구간 및 흡연 구간에 따른 히터의 가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81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제1 히터(430)를 예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트리거 신호를 배터리(420)에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420)는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히터(4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히터(430)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예열이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410)는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제1 히터(430)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열 시간은 30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410)는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제1 히터(430)를 예열함으로써, 제1 히터(430)의 온도를 제1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흡연 구간의 개시와 동시에 사용자에게 풍부한 끽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 시간을 기초로 제2 히터(440)의 예열 개시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을 개시한 상태에서, 제1 히터(430)의 예열이 완료되기 이전의 제1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예열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터(430)의 예열 시간이 30초인 경우,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예열 완료 3초 전인 27초부터 제2 히터(440)의 예열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410)가 제2 히터(440)를 예열 구간의 진입과 동시에 가열하지 않는 이유는 궐련과 같은 고체 기재를 가열하는 제1 히터(430)에 비해, 심지(wick)에 흡수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2 히터(440)가 목표하는 예열 온도에 도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제어부(410)는 제1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예열을 개시한 상태에서 제1 시간 동안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이 도과한 제2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온도가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를 초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2 시점으로부터 예열 구간이 종료되는 제2 시간 동안 제2 히터(4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예열 완료 시점에 제2 히터(440)의 온도가,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기화 온도 보다는 낮지만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기화 온도에는 근접한 온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히터(440)의 온도를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지는 않지만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온도에 근접한 온도까지 예열하는 이유는, 무화량 증대를 위해 설치된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사용자의 퍼프(puff)와 상관없이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사용자의 퍼프(puff)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제2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410)는 제2 시점부터 제2 시간 동안에는 사용자의 퍼프(puff)가 감지된 경우라도 제2 히터(440)에 추가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는 제2 히터(440)의 과열로 인한 코일 탄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S82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예열 시간 이후의 기 설정된 흡연 시간 동안 제1 히터(430)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시간은 4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410)는 흡연 구간에서 제1 히터(430)의 온도를 제1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제2 히터(440)는 사용자의 퍼프(puff)에 대응하여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흡연 구간에서, 제1 히터(430)의 온도가 제1 예열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비례 적분 미분(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ce: PID) 제어 방식을 통해 제1 히터(43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410)는 제2 히터(440)를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는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퍼프 감지부(453)가 사용자의 퍼프(puff)를 감지한 경우, 제2 히터(540)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제2 히터(440)의 온도를 증가시킨 경우, 기설정된 휴지 시간 동안, 퍼프 감지부(453)가 사용자의 연속적인 퍼프(puff)를 감지한 경우라도, 제2 히터(440)를 재가열 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지 기간은 1초일 수 있다. 이는 제2 히터(540)의 과열로 인한 코일 탄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흡연 구간 전에 예열 구간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본 흡연 구간 직전의 액상 점도를 기화가 발생하기 용이한 점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 조성물의 심지로의 이속력을 증가시켜, 흡연 초반 무화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초반 무화량 증대로 인하여 사용자 만족감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턴스 출력 값의 보정 없이 동일한 기준으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도 9는 히터의 온도 증가에 따른 인덕턴스 출력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9에서와 같이,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은 제1 히터(430) 및/또는 제2 히터(440)의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제1 히터(43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 출력 값의 변화를 예시한다. 도 9에서 x축은 제1 히터(430)의 온도를 의미하고, y축은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그래프(910)는 제1 히터(430)의 온도 증가에 따른 실측된 인덕턴스 출력 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제3 그래프(920)는 히터(430)의 온도 증가에 따른 이상적인 인덕턴스 출력 값을 나타낸다.
도 9에서, 인덕턴스 출력 값은 제3 그래프(920)와 같이 제1 히터(430)의 온도 증가와 무관하게 일정하여야 함에도, 실제 인덕턴스 출력 값은 제2 그래프(910)와 같이 제1 히터(430)의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제2 그래프(910)를 제3 그래프(920)와 같이 보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제2 그래프(910)가 제1 히터(430)의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가변되는 것만을 도시하나, 실시예에 따라, 제2 그래프(910)는 제1 히터(430)의 온도 변화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경우 히터 및 출력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101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인덕턴스 출력 값의 수집 주기는 소비 전력, 인덕턴스 가변량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0.5m초 간격으로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02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히터(430)의 온도 증가에 대응하여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S1010 단계에서 수집된 인덕턴스 출력 값들에 기초하여 제1 히터(430)의 온도와 인덕턴스 출력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최소 제곱근(method of least squares) 방식을 이용하여 제1 히터(430)의 온도와 인덕턴스 출력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을 추정할 수 있다. 제1 히터(430)의 온도와 인덕턴스 출력 값 사이의 제1 관계식은 도 9의 제2 그래프(91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어부(410)는 수집된 3개의 샘플들(p1, p2, p3)에 기초하여 제2 그래프(910)를 도출할 수 있다.
메모리(480)는 제1 히터(430)의 온도 증가에 따른 이상적인 인덕턴스 출력 값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80)는 제1 히터(430)의 온도와 이상적인 인덕턴스 출력 값 사이의 제2 관계식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히터(430)의 온도와 이상적인 인덕턴스 출력 값 사이의 제2 관계식은 도 9의 제3 그래프(9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제1 관계식 및 제2 관계식에 기초하여 해당 온도의 보정 값을 계산하고, 실측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서 보정 값을 감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의 제2 그래프(910)는 제3 그래프(920)와 동일하게 보정될 수 있다.
S103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은 전자기 유도체를 포함하므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경우, 기질 감지부(451)에 포함된 코일의 인덕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1은 시간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x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의미하고, 제4 그래프(112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에서와 같이,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경우, 인덕턴스의 출력 값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질 감지부(451)는 인덕턴스 값을 감지 신호로써 제어부(41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감소량(△L2)을 계산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의 S104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과 하한 임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하한 임계 값은 기질 감지부(451)의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과의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한 임계 값은 -0.32m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05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하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감소량(△L2)이 하한 임계 값(th2) 이하이므로,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감소량(△L2)이 하한 임계 값 보다 큰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여전히 공동(15)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해,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를 가열하고,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1의 하한 임계 값(th2)의 절대 값은 도 7의 상한 임계 값(th1)의 절대 값과 동일할 수 있다. 하한 임계 값(th2)의 절대 값을 상한 임계 값(th1)의 절대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의 S106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15)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덕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 중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히터(430) 및 제2 히터(440)의 가열 중지 여부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S1070 단계에서, 출력부(46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460)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60)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화면을 표시하고, 대기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경우, 히터의 가열 중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121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기 설정된 추출 시간 동안 기질 감지부(451)의 인덕턴스 출력 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추출 시간은 5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22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제어부(410)는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10)는 보정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S123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과 상한 임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한 임계 값은 기질 감지부(451)의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과의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한 임계 값은 +0.32m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24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상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을 중지할 수 있다. 도 12의 상한 임계 값은 도 6 내지 도 7의 상한 임계 값과 동일할 수 있다.
S125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상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재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26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재삽입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가열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되었다고 1차적으로 판단한 경우에도 바로 히터의 가열을 중지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 후에 히터의 가열을 중지한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1차 추출이 사용자의 실수,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낙하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술에 제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붙어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등,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될 때, 히터의 가열을 중지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재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히터의 가열을 중지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히터의 가열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흡연 시간 동안 히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풍부한 끽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궐련
11: 배터리
12: 제어부
14: 증기화기
430: 제1 히터
440: 제2 히터
451: 기질 감지부
410: 제어부

Claims (21)

  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공동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면, 제1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후 기 설정된 추출 시간 이내에 재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중지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후 상기 추출 시간 이내에 재삽입되면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을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상태에서,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제2 임계 값 이하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제1 히터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턴스의 출력 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의 출력 값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히터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인덕턴스의 출력 값을 감소시키는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면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의 온도를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기화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및
    기 설정된 흡연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의 온도를 상기 기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중지 또는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 시간 동안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제3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중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단계 이후에
    증기화기에 포함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기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상기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액체 저장부의 상기 액상 조성물을 상기 제2 히터로 전달하는 액체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12. 공동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제1 히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및 추출을 감지하는 기질 감지부;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후 기설정된 추출 시간 이내에 재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중지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가열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후 상기 추출 시간 이내에 재삽입되면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질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삽입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추출을 판단하도록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상태에서,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제2 임계 값 이하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추출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 시간 동안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제3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히터의 가열을 중지하도록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히터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질 감지부의 출력 값을 보정하도록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히터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기질 감지부의 출력 값을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면 기 설정된 예열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의 온도를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기화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기 설정된 흡연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의 온도를 상기 기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설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상기 공동으로부터 추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증기화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기화기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상기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액체 저장부의 상기 액상 조성물을 상기 제2 히터로 전달하는 액체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00015173A 2020-02-07 2020-02-07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2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73A KR102325373B1 (ko) 2020-02-07 2020-02-07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3190138.0A EP4268641A3 (en) 2020-02-07 2020-12-09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L20883280.8T PL3886616T3 (pl) 2020-02-07 2020-12-09 Urządzenie generujące aerozol i metoda jego działania
US17/291,666 US20220361582A1 (en) 2020-02-07 2020-12-09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20/017967 WO2021157836A1 (en) 2020-02-07 2020-12-09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S20883280T ES2963589T3 (es) 2020-02-07 2020-12-09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l mismo
CN202080007014.XA CN113507851B (zh) 2020-02-07 2020-12-09 气溶胶生成装置及其操作方法
CA3117188A CA3117188A1 (en) 2020-02-07 2020-12-09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21540802A JP7316361B2 (ja) 2020-02-07 2020-12-09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EP20883280.8A EP3886616B1 (en) 2020-02-07 2020-12-09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210116508A KR102576761B1 (ko) 2020-02-07 2021-09-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3115877A JP2023134673A (ja) 2020-02-07 2023-07-14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73A KR102325373B1 (ko) 2020-02-07 2020-02-07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08A Division KR102576761B1 (ko) 2020-02-07 2021-09-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47A KR20210101047A (ko) 2021-08-18
KR102325373B1 true KR102325373B1 (ko) 2021-11-11

Family

ID=760761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73A KR102325373B1 (ko) 2020-02-07 2020-02-07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210116508A KR102576761B1 (ko) 2020-02-07 2021-09-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08A KR102576761B1 (ko) 2020-02-07 2021-09-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61582A1 (ko)
EP (2) EP3886616B1 (ko)
JP (1) JP7316361B2 (ko)
KR (2) KR102325373B1 (ko)
CN (1) CN113507851B (ko)
WO (1) WO2021157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943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장치
WO2023075558A1 (en) * 2021-11-01 2023-05-0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831A (ko) * 2011-12-14 2013-06-25 고홍섭 국부 치료 및 개선장치
TWI608805B (zh) * 2012-12-28 2017-12-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型氣溶膠產生裝置及用於產生具有一致性質的氣溶膠之方法
US10081531B2 (en) * 2014-02-28 2018-09-25 Beyond Twenty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TWI670017B (zh) * 2014-05-21 2019-09-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形成基材及氣溶膠傳遞系統
TWI697289B (zh) * 2014-05-21 2020-07-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形成製品、電熱氣溶膠產生裝置及系統、及操作該系統之方法
US10674764B2 (en) * 2015-11-17 2020-06-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identification inductor
EP3518695B1 (en) * 2016-09-28 2020-07-01 Philip Morris Products S.a.s. Portable extinguisher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EP3935977A1 (en) * 2016-10-19 2022-01-1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Inductive heating arrangement
CN208192124U (zh) * 2016-12-16 2018-12-07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产生系统及在气溶胶产生系统中使用的保持器
JP6880861B2 (ja) * 2017-03-15 2021-06-02 オムロン株式会社 近接センサおよび検知方法
KR102246245B1 (ko) * 2017-03-30 2021-04-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KR102231228B1 (ko) * 2017-05-2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90049391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7692317B (zh) * 2017-09-11 2019-07-16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能自动点燃或加热卷烟的装置
CN107713019A (zh) * 2017-10-26 2018-02-23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具有自动滑盖机构的加热不燃型电子烟具及其控制方法
US20210106046A1 (en) * 2018-04-10 2021-04-15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heatable element
JP2019205405A (ja) * 2018-05-30 2019-12-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タバコ加熱装置
KR102376515B1 (ko) * 2018-07-05 2022-03-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67000B1 (ko) * 2018-11-23 2021-06-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GB201903245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KR102451071B1 (ko) * 2020-06-03 2022-10-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덕턴스채널을 포함하는 외부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761B1 (ko) 2023-09-08
EP4268641A2 (en) 2023-11-01
WO2021157836A1 (en) 2021-08-12
EP3886616A4 (en) 2021-12-01
CN113507851A (zh) 2021-10-15
US20220361582A1 (en) 2022-11-17
JP2022522610A (ja) 2022-04-20
EP4268641A3 (en) 2024-01-03
KR20210101047A (ko) 2021-08-18
JP7316361B2 (ja) 2023-07-27
EP3886616B1 (en) 2023-09-13
CN113507851B (zh) 2023-11-17
EP3886616A1 (en) 2021-10-06
KR20210111224A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228B1 (ko)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JP7128894B2 (ja) 1つのバッテリから2つのヒータに電力を供給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194730B1 (ko) 제1히터 및 제2히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제1히터 및 제2히터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1024121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726996B (zh) 气溶胶生成装置、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257676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0937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구간별로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CN112188839B (zh) 气溶胶生成装置、其电力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233080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예열 방법
US20240114974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system
KR20200006139A (ko)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10262176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5305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42594A (ko)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10243133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12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RU279388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2023134673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62175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576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9214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20683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