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706B1 - 통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706B1
KR102511706B1 KR1020207007032A KR20207007032A KR102511706B1 KR 102511706 B1 KR102511706 B1 KR 102511706B1 KR 1020207007032 A KR1020207007032 A KR 1020207007032A KR 20207007032 A KR20207007032 A KR 20207007032A KR 102511706 B1 KR102511706 B1 KR 10251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ation
priority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976A (ko
Inventor
타카야 우메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Publication of KR2021003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5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computer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larm Systems (AREA)
  • Gyroscope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통지 시스템(1)은 복수의 통지장치(2)와 관리 컴퓨터(13)를 포함한다. 각 통지장치(2)는 경보발생부(24)와, 정보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21)와, 무선통신 유닛(15)과, CPU(23)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유닛(15)은 관리 컴퓨터(13)로부터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접수부(21)가 접수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하거나 한다. CPU(23)는 접수부(21)가 접수한 정보 및 무선통신 유닛(15)이 수신한 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24)를 제어한다. 관리 컴퓨터(13)는 제1송수신부(31)와, 기억부(35)와, CPU(30)를 포함한다. CPU(30)는 제1송수신부(31)가 통지장치(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억부(35)에 기억된 룰(100)에 적용시켜서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CPU(30)는 최상위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2)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2)가 최우선 통지장치(2X)인 것을 나타내는 최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지 시스템
본 발명은 복수의 통지장치를 포함하는 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복수의 시그널 칼럼이 하나의 중앙 시그널 칼럼에 접속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중앙 시그널 칼럼 이외의 복수의 시그널 칼럼은, 감시 대상인 복수의 기술적 장치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시그널 칼럼은 대응하는 기술적 장치가 중대한 상태에 있을 때에 적색으로 점등하는 적색 점등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중앙 시그널 칼럼은 다른 시그널 칼럼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다. 중앙 시그널 칼럼은 복수의 적색 교환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적색 교환 모듈은 복수의 기술적 장치의 시그널 칼럼에 1대 1로 대응하고 있다. 기술적 장치의 시그널 칼럼의 적색 점등 유닛이 적색으로 점등할 때, 중앙 시그널 칼럼에서는 상기 적색 점등 상태의 시그널 칼럼에 대응하는 적색 교환 모듈이 적색으로 점등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0-15721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의해, 생산현장 등에 있어서의 관리자는 중앙 시그널 칼럼에 있어서의 복수의 적색 교환 모듈의 점등 상태를 봄으로써, 대처가 필요한 사상이 발생한 기술적 장치를 특정하고, 그 사상에 대처하도록 작업자에게 지시를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상이 복수의 기술적 장치에 있어서 동시에 발생하면, 어느 기술적 장치의 사상부터 대처할 것인가의 판단이 어렵다. 또한, 관리자는 복수의 사상에 대한 대처의 순서를 결정하고나서, 그 순서에 의거하여 작업자에게 지시를 내리므로, 작업자가 각 사상으로의 대처를 개시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또한, 대처의 순서를 결정하지 않는다고 하면, 보다 중대한 사상으로의 대처가 뒤로 미뤄질 우려가 있으므로, 생산현장 전체의 가동률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고 또한 적절하게 제공 가능한 통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지장치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관리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각 통지장치는 경보발생부와, 정보입력을 접수하는 정보 접수수단과, 상기 관리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수단과, 경보발생 제어수단과,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경보발생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 및 상기 명령 수신수단이 수신한 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상기 경보발생부를 제어한다.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한다. 상기 관리 컴퓨터는 수신수단과, 기억수단과, 결정수단과, 명령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을 기억한다.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한 정보를 상기 룰에 적용시켜서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상기 명령수단은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최상위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가 최우선 통지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최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 각 통지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어떠한 사상의 발생에 따라서 정보 접수수단이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면, 경보발생 제어수단이 상기 정보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이 통지를 받은 자는 사상의 발생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수단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관리 컴퓨터에 송신한다. 관리 컴퓨터에서는, 수신수단이 복수의 통지장치의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면, 결정수단이 기억수단에 기억된 룰에 상기 정보를 적용해서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명령수단이 결정수단에 의해 최상위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에 대하여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다. 최우선 통지명령을 명령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통지장치에서는, 경보발생 제어수단이 최우선 통지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를 제어하므로, 경보발생부는 상기 통지장치가 최우선 통지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최우선 통지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대처가 필요한 복수의 사상이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에, 작업자는 관리자로부터의 지시가 없어도 최우선 통지장치에 관련되는 사상에 최우선으로 대처해야 하는 것을 최우선 통지에 의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상의 대처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고 또한 적절하게 제공 가능한 통지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룰은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관리 컴퓨터의 결정수단은 복수의 통지장치의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룰에 적용해서 통지장치를 순위 매김으로써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통지장치의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를 적절하게 순위 매김하여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는 긴급도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룰은 상기 긴급도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관리 컴퓨터의 결정수단은 복수의 통지장치의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긴급도에 관한 정보를 룰에 적용하여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매김한다. 이것에 의해, 결정수단은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긴급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우선순위에 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관리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각 통지장치가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분류하고 있다.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는, 상기 통지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룰은 각 통지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관리 컴퓨터의 결정수단은 복수의 통지장치의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로부터 각 통지장치의 소속 그룹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그룹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긴다. 이것에 의해, 결정수단은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각 통지장치의 소속 그룹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송신하는 정보 중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의 조합을 기억하고 있다.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에, 상기 룰은 상기 인과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관리 컴퓨터의 결정수단은 복수의 통지장치의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이상 사이의 인과관계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긴다. 이것에 의해, 결정수단은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이상 사이의 인과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명령수단은 어느 하나의 통지장치에 상기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 이외의 적어도 1개의 통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의 존재를 나타내는 최우선 존재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명령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통지장치에서는, 경보발생 제어수단이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를 제어하므로, 경보발생부는 최우선 통지장치의 존재를 나타내는 최우선 존재 통지를 실행한다. 최우선 존재 통지를 접한 작업자 등은, 다른 통지장치에 의해 최우선 통지가 되어 있는 것을 안다. 따라서, 최우선 통지장치에 의한 최우선 통지를 접할 수 없는 작업자 등에 대하여, 최우선 통지가 되어 있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최우선 통지장치가 통지하는 사상으로의 조기대응 등을 촉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통지장치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입력 접수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조작입력 접수수단이 상기 조작입력을 접수하면, 소정의 조작정보를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한다. 상기 관리 컴퓨터의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로부터 상기 조작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명령수단은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에 대한 최우선 통지명령을 취소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를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자 등의 조작자가, 예를 들면 최우선 통지장치에 관련되는 사상에 대처하기 위해서 최우선 통지장치에 도착해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면, 최우선 통지장치에서는 조작입력 접수수단이 조작 스위치에의 조작입력을 접수하고, 송신수단이 조작정보를 관리 컴퓨터에 송신한다. 관리 컴퓨터에서는 수신수단이 최우선 통지장치로부터 조작정보를 수신하면, 명령수단이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에 대한 최우선 통지명령을 취소하고, 결정수단이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를 제외해서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재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통지장치에 있어서 동시에 우선 통지해야 할 사상이 발생하여 있을 경우에는, 직전까지 최우선 통지장치이었던 통지장치 대신에, 별도의 통지장치가 최우선 통지를 행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이 최우선 통지에 의해, 다음에 대처 등을 행해야 할 최우선 통지장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 최우선 통지장치에 관한 사상에의 대처 등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명령수단은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최상위보다 낮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가 차우선 통지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차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차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 차우선 통지명령을 명령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통지장치에서는, 경보발생 제어수단이 차우선 통지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를 제어하므로, 경보발생부는 상기 통지장치가 차우선 통지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차우선 통지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차우선 통지를 행하고 있는 통지장치와는 별도로 최우선 통지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최우선 통지장치를 찾아내서, 최우선 통지장치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에 한층더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차우선 통지장치의 존재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최우선 통지장치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의 뒤에는 차우선 통지장치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작업자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사상 등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경보발생부는 정보를 가변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최우선 통지명령을 수신한 통지장치의 상기 경보발생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를 제1표시속성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최우선 통지를 상기 제1표시속성과는 다른 제2표시속성에 의해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해, 최우선 통지명령을 수신한 통지장치의 표시부에는,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와 최우선 통지가, 서로 다른 표시속성에 의해 표시된다. 그 때문에, 최우선 통지명령의 표시부를 본 자는,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와 최우선 통지의 양쪽을 구별해서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한 정보가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의 결정을 실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관리 컴퓨터에서는 수신수단이 이상의 발생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면 결정수단이 우선순위를 갱신한다. 그 때문에, 갱신 후의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최우선 통지장치로 된 통지장치가 최우선 통지를 실행함으로써, 작업자는 최신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진 최우선 통지장치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통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지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통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지장치에 기억된 제1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통지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통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컴퓨터에 기억된 제2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관리 컴퓨터에 기억된 제3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관리 컴퓨터에 기억된 제4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관리 컴퓨터에 기억된 제5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관리 컴퓨터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관리 컴퓨터가 실행하는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우선순위 결정 처리 후에 갱신된 제5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통지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관리 컴퓨터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통지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통지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제1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제1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관련해서 관리 컴퓨터에 기억된 제6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2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제2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관련해서 기억장치에 기억된 제7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2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관련해서 관리 컴퓨터에 기억된 제8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통지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통지 시스템(1)은, 예를 들면 공장의 생산현장에 설치되어 있다. 생산현장에는, 제1기계장치(MA), 제2기계장치(MB), 제3기계장치(MC), 제4기계장치(MD), 제5기계장치(ME), 제6기계장치(MF), 제7기계장치(MG), 제8기계장치(MH)(이하, 총칭할 때에는 「기계장치(M)」라고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장치(M)의 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기계장치(M)가 제1그룹(GA)∼제3그룹(GC)(이하, 총칭할 때에는 「그룹(G)」이라고 한다.) 중 어느 하나에 모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기계장치(MA), 제2기계장치(MB) 및 제3기계장치(MC)는 제1그룹(GA)을 구성하고 있다. 제4기계장치(MD), 제5기계장치(ME) 및 제6기계장치(MF)는 제2그룹(GB)을 구성하고 있다. 제7기계장치(MG) 및 제8기계장치(MH)는 제3그룹(GC)을 구성하고 있다. 같은 그룹(G)에 속하는 복수의 기계장치(M)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해서 배치되지만, 기계장치(M)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두도록 떨어져서 배치되어도 좋다.
통지 시스템(1)은 제1기계장치(MA)∼제8기계장치(MH)에 각각 부착된 제1통지장치(2A)∼제8통지장치(2H)(이하, 총칭할 때에는 「통지장치(2)」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통지장치(2)는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를 제어하는 제어장치(4)에, 유선 또는 무선의 입력 신호선(5)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4)는 대응하는 기계장치(M)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라도 좋다. 제어장치(4)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입력 신호선(5)을 통해서 통지장치(2)에 주기적으로 입력된다. 이 정보는 대응하는 기계장치(M)의 상태(예를 들면, 정상 동작중, 또는 고장이나 부품 결품이나 그 밖의 이상의 발생)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이 정보(이하 「상태정보」라고 한다.)에는, 기계장치(M)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상(고장이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에 따라 복수의 종류(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정보부터 제16정보까지의 16종류)가 존재한다. 각 통지장치(2)는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가 속하는 그룹(G)에 속해 있다. 그 때문에, 제1통지장치(2A), 제2통지장치(2B) 및 제3통지장치(2C)는 제1그룹(GA)에 속하고 있고, 제4통지장치(2D), 제5통지장치(2E) 및 제6통지장치(2F)는 제2그룹(GB)에 속하고 있고, 제7통지장치(2G) 및 제8통지장치(2H)는 제3그룹(GC)에 속해 있다. 각 통지장치(2)에는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통지장치(2)의 식별정보는,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등의 물리 어드레스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지장치(2)는, 전체로서 기둥 형상의 기본형태를 갖고 있다. 제1통지장치(2A)를 참조하여, 통지장치(2)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적소에 고정되는 베이스(6)와, 베이스(6)에 의해 지지된 표시부(7)를 포함한다. 베이스(6)는 기둥 형상(전형적으로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7)는 베이스(6)와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의 기둥 형상(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7)는 베이스(6) 상에 적층된 하표시부(71)과, 하표시부(71) 상에 적층된 중표시부(72)와, 중표시부(72) 상에 적층된 상표시부(73)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통지장치(2)는 소위 적층 신호등이다.
하표시부(71), 중표시부(72) 및 상표시부(73)의 각각은, 광원(8)과, 광원(8)의 주위를 덮는 통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글로브(9)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의 광원(8)은 발광 다이오드이다. 이 실시형태의 글로브(9)는 무색 투명 또는 백색 투광성이며, 광원(8)이 발한 광을 그대로의 색으로 외부로 방출시킨다. 광원(8)의 발광색은 표시부(7)의 표시색으로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표시부(71)의 표시색은 녹색이며, 중표시부(72)의 표시색은 황색이며, 상표시부(73)의 표시색은 적색이다. 또, 하표시부(71), 중표시부(72) 및 상표시부(73)에서는, 각각의 표시색 에 따라 광원(8)의 발광색이 달라도 좋고, 광원(8)의 발광색이 같은 색(예를 들면 백색)이고, 글로브(9)가 대응하는 표시색으로 착색 되어 있어도 좋다. 각 통지장치(2)에서는 하표시부(71), 중표시부(72) 및 상표시부(73)의 광원(8)이 동시에 발광할 일은 없고, 하표시부(71), 중표시부(72) 및 상표시부(73) 중 어느 1개에 있어서의 광원(8)이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통지장치(2)의 표시부(7)는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의 가동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색이나 점등 패턴에 의해 가변 표시한다.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은, 통상점등(연속점등)과, 점멸과, 플래시를 포함한다. 「점멸」이란 일정의 단시간 점등과 일정의 단시간 멸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점등 패턴을 말한다. 「플래시」란 일정의 극단시간 점등(점멸의 경우보다 단시간의 점등)과 그 후의 일정의 단시간 멸등(점등시간보다 긴 시간의 소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점등 패턴을 말한다.
제어장치(4)로부터 통지장치(2)에 입력되는 상태정보는, 표시부(7)의 표시색을 지정하기 위한 복수 종류(이 실시형태에서는 녹색, 황색 및 적색에 따른 3종류)의 색정보와, 예를 들면 1∼6 중 어느 하나의 숫자에 의해 구성된 상세 상태 코드를 포함한다. 상태정보는 색정보와 상세 상태 코드의 조합에 의해, 상술한 제1정보∼제16정보로 세분화되어 있다. 상세 상태 코드에 대해서 제어장치(4)로부터 통지장치(2)에 입력할 수 있는 정보량에 따라, 다수의 상세 상태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량이 8비트일 경우에는 0∼255의 범위에서 상세 상태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통지 시스템(1)은 제1통지장치(2A)∼제8통지장치(2H)의 주변에 각각 배치된 제1조작 스위치(10A)∼제8조작 스위치(10H)(이하, 총칭할 때에는 「조작 스위치(10)」라고 한다.)를 더 포함한다. 조작 스위치(10)는 생산현장에 있어서 보수를 담당하는 보수 작업자 등의 조작자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 스위치(10)는 신호선(11)을 통해서 대응하는 통지장치(2)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10)로서 정전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조작 스위치(10)는 이 실시형테에서는 통지장치(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통지장치(2)에 일체화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스위치(10)는, 조작자의 손에 의해 누름 조작(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조작)된다. 한편, 통지장치(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 스위치(10)는, 조작자의 밞음에 의해 조작되는 풋 스위치 라도 좋다. 조작자가 조작 스위치(10)를 누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조작 스위치(10)는 정보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통지장치(2)에 입력한다. 이 정보의 일례는, 펄스 신호이다.
통지 시스템(1)은 복수의 통지장치(2)를 관리하는 관리 컴퓨터(13)를 더 포함한다. 관리 컴퓨터(13)는 설정 스위치 등의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관리 컴퓨터(13)는 설정 스위치가 아니라 키보드 등으로 구성된 입력부(도시하지 않음)와, 모니터 등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퍼서널 컴퓨터라도 좋다. 각 통지장치(2)는 유선 또는 무선의 제1네트워크(14)를 통해서 관리 컴퓨터(13)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네트워크(14)로서, IO-Link 등의 접속기술에 의한 통신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네트워크(14)가 무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지장치(2)는 제1네트워크(14)에 연결되는 무선통신 유닛(15)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유닛(15)은, 예를 들면 표시부(7) 상에 설치된다. 각 통지장치(2)가 갖는 정보는 무선통신 유닛(15)으로부터 제1네트워크(14)를 거쳐서 관리 컴퓨터(13)에 송신된다. 관리 컴퓨터(13)로부터의 명령은, 제1네트워크(14)를 거쳐서 상기 명령의 대상이 되는 통지장치(2)에 송신된다.
통지 시스템(1)은 제1그룹(GA)∼제3그룹(GC)의 주변에 각각 배치된 제1통지기기(16A)∼제3통지기기(16C)(이하, 총칭할 때에는 「통지기기(16)」라고 한다.)를 더 포함한다. 통지기기(16)로서 임의의 경보기를 사용할 수 있다. 통지기기(16)는 통지장치(2)와 같은 적층 신호등이라도 좋다. 통지기기(16)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입력 신호선(17)을 통해서 관리 컴퓨터(13)에 접속되어 있다. 통지기기(16)는 관리 컴퓨터(13)로부터 송신된 경보발생 명령에 따라 발광 및 음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경보를 발한다.
통지 시스템(1)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제2네트워크(18)를 통해서 관리 컴퓨터(13)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기억장치(19) 및 네트워크 통지기기(20)를 더 포함한다. 제2네트워크(18)로서 LAN(Local Area Network)을 사용할 수 있다. 기억장치(19)는 모니터 등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와 키보드 등의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컴퓨터(전형적으로는 퍼서널 컴퓨터)이다. 기억장치(19)는 관리 컴퓨터(13)가 통지장치(2) 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력으로서 기억한다. 이 이력은 각 통지장치(2)의 동작 이력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지기기(20)로서 통지기기(16)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경보기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지기기(20)는 기계장치(M)로부터 떨어진 장소(생산현장의 밖이어도 상관없다)에 배치되어 있다. 네트워크 통지기기(20)는 관리 컴퓨터(13)로부터 송신된 경보발생 명령에 따라 발광 및 음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경보를 발한다.
도 2는 통지 시스템(1)의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통지장치(2A)를 참조하여, 각 통지장치(2)는 대응하는 제어장치(4)에 연결된 입력 신호선(5)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인 접수부(21)와, 대응하는 조작 스위치(10)에 연결된 신호선(11)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인 입력부(22)와, 상술한 무선통신 유닛(15)을 포함한다. 접수부(21)는 제어장치(4)로부터의 상태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정보 접수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입력부(22)는 조작 스위치(10)의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입력 접수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무선통신 유닛(15)은 제1네트워크(14)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이다. 무선통신 유닛(15)은 제1네트워크(14)를 통해서 관리 컴퓨터(13)로부터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무선통신 유닛(15)은 접수부(21)가 접수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각 통지장치(2)는 CPU(중앙처리 유닛)(23)와, 경보발생부(24)와,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25)와, 통지장치(2)의 동작조건 등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26)를 포함한다. 경보발생부(24)는 상술한 표시부(7)와, 예를 들면 베이스(6)에 내장된 부저(27)를 포함한다. CPU(23)는 경보발생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CPU(23)는 접수부(21)가 제어장치(4)로부터 접수한 상태정보와, 무선통신 유닛(15)이 수신한 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24)를 제어한다. CPU(23)에 의한 경보발생부(24)의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CPU(23)는 필요에 따라서 타이머(25)의 계시(計時) 시간을 참조하면서 처리를 실행한다.
접수부(21)가 제어장치(4)로부터 접수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색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색과,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상세 상태 코드의 관계는, 제1테이블(28)(도 3 참조)에 모아져서 기억부(26)에 기억되어 있다. 표시색과 상세 상태 코드를 조합시킨 정보(이하 「조합정보」라고 한다.)에 의해서, 대응하는 기계장치(M)의 상태정보가 제1정보∼제16정보 중 어느 것일지를 특정할 수 있다. 즉, 각 조합정보는 제1정보∼제16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녹색의 표시색에 대응하는 제1정보∼제4정보는, 기계장치(M)가 정상으로 운전하고 있는 것이나, 긴급도가 낮은 사상이 기계장치(M)에 발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황색의 표시색에 대응하는 제5정보∼제10정보는, 제1정보∼제4정보보다 긴급도가 높은 사상이 기계장치(M)에 발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적색의 표시색에 대응하는 제11정보∼제16정보는, 제5정보∼제10정보보다 긴급도가 높은 이상이 기계장치(M)에 발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5정보∼제16정보는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5정보∼제10정보가 나타내는 이상은, 예를 들면 부품이 결품될 것 같은 것이며, 제11정보∼제16정보가 나타내는 이상은, 예를 들면 기계장치(M)가 고장난 것이나 부품이 결품된 것이다.
도 4는 통지장치(2)의 동작예(구체적으로는 표시부(7)의 표시색의 변경에 따른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각 통지장치(2)에서는, 접수부(21)가 제어장치(4)로부터의 상태정보의 입력을 주기적으로 접수하고, CPU(23)가 접수부(21)가 접수한 최신의 상태정보를 제1표시속성에 의해 표시하도록 표시부(7)를 제어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표시속성은 표시부(7)의 표시색이다. 일례로서, 접수부(21)가 접수한 최신의 상태정보가 제1정보일 경우에는, CPU(23)는 하표시부(71)의 광원(8)을 연속 점등시킴으로써 표시부(7)를 녹색으로 통상점등시킨다.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사상의 발생에 따라, 제어장치(4)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에 변화가 있고,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색정보도 변화되면(스텝 S1: YES), CPU(23)는 표시부(7)의 표시색을 변경한다(스텝 S2). 그 때문에, 접수부(21)가 접수하는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제1정보로부터 제5정보로 변화되면, CPU(23)는 하표시부(71)의 광원(8)을 소등해서 중표시부(72)의 광원(8)을 연속점등시킴으로써 표시부(7)를 황색으로 통상점등시킨다. CPU(23)는 점등 패턴이 점멸이나 플래시인 표시부(7)의 표시색을 변경할 경우에는,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을 통상점등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CPU(23)는 변화 후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조합정보(표시색 및 상세 상태 코드)와 상기 통지장치(2)의 식별정보를,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한다(스텝 S3).
도 2를 참조하여, 관리 컴퓨터(13)는 CPU(30)와, 제1네트워크(14)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인 제1송수신부(31)와, 제2네트워크(18)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인 제2송수신부(32)와, 통지기기(16)에 연결된 입력 신호선(17)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인 출력부(33)를 포함한다. 제1송수신부(31)는 제1통지장치(2A)∼제8통지장치(2H)의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관리 컴퓨터(13)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34)와, 다양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35)를 포함한다. CPU(30)는 필요에 따라서 타이머(34)의 계시 시간을 참조하면서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35)에는 CPU(3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한 프로그램도 격납되어 있다.
도 5는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에 기억된 제2테이블(3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지장치(2)와, 상기 통지장치(2)의 식별정보와, 상기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제1그룹(G1)∼제3그룹(GC) 중 어느 하나)의 관계가, 각 통지장치(2)의 기본정보로서 제2테이블(36)에 모여져 있다. 그 때문에, 관리 컴퓨터(13)는 복수의 통지장치(2)를, 각 통지장치(2)가 복수의 그룹(G)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제2테이블(36)에 있어서 분류하고 있다.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이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하는 정보는, 상기 통지장치(2)의 식별정보를 송신원 정보로서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통지장치(2)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제2테이블(36)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통지장치(2)가 제1통지장치(2A)∼제8통지장치(2H) 중 어느 것일지를 특정하거나, 상기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을 특정하거나 할 수 있다.
도 6은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에 기억된 제3테이블(37)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으로부터 관리 컴퓨터(13)에 송신되는 조합정보에는, 예를 들면 0부터 10까지의 이상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10에 가까운(높은) 이상 레벨이 설정된 조합정보에 대응하는 사상의 긴급도는 높다. 0에 가까운(낮은) 이상 레벨이 설정된 조합정보에 대응하는 사상의 긴급도는 낮다. 조합정보와 상기 조합정보에 설정된 이상 레벨의 관계는, 제3테이블(37)에 모여져 있다.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통지장치(2)로부터 수신한 조합정보에 의거하여 제3테이블(37)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사상의 이상 레벨, 즉 긴급도를 특정할 수 있다.
도 7은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에 기억된 제4테이블(38)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과,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사상의 이상 레벨의 조합에는, 예를 들면 1부터 23까지의 우선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23에 가까운(높은) 우선 레벨이 설정된 조합에 대응하는 사상에서는 대처해야 할 우선도가 높다. 0에 가까운(낮은) 우선 레벨이 설정된 조합에 대응하는 사상에서는 대처해야 할 우선도가 낮다. 그룹(G)과 이상 레벨의 조합과, 상기 조합에 설정된 우선 레벨의 관계는, 제4테이블(38)에 모여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그룹(GA)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 레벨이 4∼10인 사상은, 제2그룹(GB)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사상보다 우선도가 높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그룹(GA)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 레벨이 1∼3인 사상의 우선 레벨은, 제2그룹(GB)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 레벨이 8∼10인 사상의 우선 레벨과 각각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그룹(GB)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 레벨이 5∼10인 사상은, 제3그룹(GC)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사상보다 우선도가 높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그룹(GB)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 레벨이 1∼4인 사상의 우선 레벨은, 제3그룹(G) C에 속하는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 레벨이 7∼10인 사상의 우선 레벨과 각각 같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이상 레벨을 특정한 사상에 대응하는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과 상기 이상 레벨의 조합에 의거하여 제4테이블(38)을 참조한다. 이것에 의해, CPU(30)는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사상의 우선 레벨을 특정할 수 있다.
도 8은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에 기억된 제5테이블(39)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5테이블(39)에는 각 통지장치(2)가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한 최신의 조합정보 및 점등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조합정보가 관리 컴퓨터(13)의 제1송수신부(31)에 의해 수신된 타이밍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타이머(34)에 의해 계측하여, 「상태 계속 시간」으로서 제5테이블(39)에 기록한다. 제5테이블(39)에는 각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에 있어서의 사상에의 작업자에 의한 대응 상태가 기록되어 있다. 사상에의 대응이 미착수일 경우의 대응 상태는, 「미착수」로 설정되고, 작업자가 사상에 대응 중일 경우의 대응 상태는 「착수중」으로 설정된다.
도 9는 관리 컴퓨터(13)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관리 컴퓨터(13)에서는 제1송수신부(31)가 통지장치(2)로부터의 조합정보를 수신하면(스텝 S11: YES), CPU(30)는 제5테이블(39)에 있어서 상기 통지장치(2)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12). 구체적으로는, 제1송수신부(31)는 조합정보와 함께 상기 통지장치(2)의 식별정보도 수신한다. 이들 정보를 이하에서는 「수신정보」라고 한다. CPU(30)는 상기 통지장치(2)를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한다. 그리고, CPU(30)는 제5테이블(39)에 있어서 상기 통지장치(2)에 관한 조합정보의 내역(표시색 및 상세 상태 코드) 중 수신정보와는 다른 정보를, 수신정보에 있어서의 최신의 정보로 변경한다. 또한, CPU(30)는 상기 통지장치(2)의 대응 상태를 「미착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CPU(30)는 상기 통지장치(2)의 상태 계속 시간을 리셋한다. 이것에 의해, 타이머(34)에 의한 시간계측이 0초부터 재개된다.
도 8은 갱신 후에 있어서의 제5테이블(39)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색이 황 또는 적인 통지장치(2)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통지장치(2)가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복수의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CPU(30)는 표시색이 황 또는 적인 복수의 통지장치(2)가 존재하는 것을 갱신 후의 제5테이블(39)에 있어서 확인하면(스텝 S13: YES), 즉 통지장치(2)로부터 수신한 수신정보에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면,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4). 우선순위 결정 처리란, 대처해야 할 이상의 순서, 바꾸어 말하면 황 또는 적의 표시색으로 이상발생을 통지하고 있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처리이다.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룰(100)이 있다.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는 룰(100)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 기능한다(도 2 참조). 룰(100)은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이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하는 조합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CPU(30)는 상기 조합정보를 룰(100)에 적용시켜서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10은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순위 결정 처리로서, 우선, CPU(30)는 제5테이블(39)을 참조하여, 표시색이 황 또는 적이고 대응 상태가 「미착수」로 되어 있는 통지장치(2)를 추출한다(스텝 S141). 도 8의 제5테이블(39)의 경우에는, 제1통지장치(2A), 제3통지장치(2C), 제6통지장치(2F) 및 제7통지장치(2G)가, 우선순위가 부여되는 대상으로서 추출된다. 한편, 표시색이 적이지만 대응 상태가 「착수중」으로 되어 있는 제8통지장치(2H)는, 이미 이상에의 대처가 개시되어 있으므로 추출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상태 계속 시간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 통지장치(2)는, 어떠한 이유에 의해 굳이 방치되고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 추출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도 좋다.
이어서, CPU(30)는 추출한 통지장치(2)에 대응하는 상태 계속 시간 및 우선 레벨을 취득한다(스텝 S142). 구체적으로, CPU(30)는 제5테이블(39)을 참조하여,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하는 상태 계속 시간을 취득한다. 우선 레벨의 취득에 관하여, CPU(30)는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하는 조합정보를 제5테이블(39)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을 제2테이블(36)(도 5 참조)로부터 특정한다. 그리고, CPU(30)는 상기 조합정보에 대응하는 이상 레벨을 제3테이블(37)(도 6 참조)로부터 특정하고, 상기 이상 레벨과 상기 그룹(G)의 조합에 대응하는 우선 레벨을 제4테이블(38)(도 7 참조)로부터 특정한다. 도 8의 경우, 제5테이블(39)의 우단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통지장치(2A)의 우선 레벨은 「16」이며, 제3통지장치(2C)의 우선 레벨은 「14」이며, 제6통지장치(2F)의 우선 레벨은 「16」이며, 제7통지장치(2G)의 우선 레벨은 「2」이다.
다음에, CPU(30)는 우선 레벨을 제1기준으로 하고, 상태 계속 시간을 제2기준으로 해서, 금회 추출한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스텝 S143). 제1기준은 제2기준보다 우선되는 기준이다. 도 8의 경우, CPU(30)는 우선 레벨에 의거하여 잠정순위를 결정한다. 우선 레벨이 높을수록 잠정순위는 높다. 그 결과, 제1통지장치(2A) 및 제6통지장치(2F)의 잠정순위는 함께 1위로 되고, 제3통지장치(2C)의 잠정순위는 3위로 되고, 제7통지장치(2G)의 잠정순위는 4위로 된다. 그리고, CPU(30)는 잠정순위가 같은 제1통지장치(2A) 및 제6통지장치(2F)를 상태 계속 시간에 의거하여 순위 매김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계속 시간이 길수록 우선도가 높다. 그 결과, 상태 계속 시간이 긴 제1통지장치(2A)가 제6통지장치(2F)보다 상위가 된다. 그 때문에, 최종적으로 CPU(30)는, 제1통지장치(2A)의 우선순위를 1위(최상위)로 하고, 제6통지장치(2F)의 우선순위를 2위로 하고, 제3통지장치(2C)의 우선순위를 3위로 하고, 제7통지장치(2G)의 우선순위를 4위(최하위)로 한다.
이와 같이, CPU(30)는 우선 레벨이 높고 상태 계속 시간이 긴 통지장치(2)일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한다고 하는 룰(100)에, 통지장치(2)로부터 수신한 조합정보를 적용시켜서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우선 레벨은, 이상의 긴급도에 관한 이상 레벨과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에 근거해서 정해진다(도 7 참조). 그 때문에, 룰(100)은 이상 레벨(이상의 긴급도에 관한 정보)과 각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룰(100)은 이상 레벨만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도 좋고, 그룹(G)만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도 좋다.
도 9를 참조하여, CPU(30)는 우선순위를 결정한 통지장치(2)마다의 점등 패턴을 결정한다(스텝 S15). 일례로서, CPU(30)는 최상위의 우선순위를 부여한 통지장치(2)(이하 「최우선 통지장치(2X)」라고 할 경우가 있다.)의 점등 패턴을 「플래시」로 결정하고, 2위 이후의 우선순위를 부여한 통지장치(2)(이하 「차우선 통지장치(2Y)」라고 할 경우가 있다.)의 점등 패턴을 「점멸」로 결정한다. 2위의 통지장치(2)뿐만 아니라 3위 이후의 통지장치(2)도, 차우선 통지장치(2Y)에 해당할 수 있다. CPU(30)는 최우선 통지장치(2X) 및 차우선 통지장치(2Y) 이외의 통지장치(2)의 점등 패턴을 종전과 같은 「통상점등」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CPU(30)는 금회의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의해 최상위의 우선순위를 부여한 통지장치(2)(도 8의 경우에는 제1통지장치(2A))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2)가 최우선 통지장치(2X)인 것을 나타내는 최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통지명령을 제1송수신부(31)에 의해 송신한다(스텝 S16: 명령수단). 최우선 통지란, 최우선 통지장치(2X)의 표시부(7)가 종전과 같은 표시색으로 플래시하는 것이다. 최우선 통지명령이란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의 변경 명령이다. 또한, CPU(30)는 최상위보다 낮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2)(도 8의 경우에는 제6통지장치(2F))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2)가 차우선 통지장치(2Y)인 것을 나타내는 차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차우선 통지명령을 제1송수신부(31)에 의해 송신한다(스텝 S16). 차우선 통지란, 차우선 통지장치(2Y)의 표시부(7)가 종전과 같은 표시색으로 점멸하는 것이다. 차우선 통지명령이란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의 변경 명령이다.
CPU(30)는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통지장치(2)에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했을 경우에는, 최우선 통지장치(2X) 이외의 적어도 1개의 통지장치(2)에 대하여 최우선 통지장치(2X)의 존재를 나타내는 최우선 존재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제1송수신부(31)에 의해 송신한다(스텝 S17). 최우선 존재 통지란, 최우선 통지장치(2X) 이외의 통지장치(2)의 경보발생부(24)가 통상점등이나 최우선 통지과는 다른 형태로 최우선 통지장치(2X)의 존재를 통지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최우선 존재 통지는 부저(27)의 경보발생이다. 표시부(7)의 점멸 즉 차우선 통지도, 최우선 존재 통지의 일례라도 좋다. 또한, CPU(30)는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과 같은 경보발생 명령을, 최우선 통지장치(2X)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통지기기(16)와 네트워크 통지기기(20)에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통지기기(16) 및 네트워크 통지기기(20)는 최우선 존재 통지와 같은 경보를 발한다. 이것에 의해, 생산현장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네트워크 통지기기(20)가 발한 경보를 받은 작업자 등은, 최우선 통지장치(2X)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통지기기(16)가 발한 경보를 받은 작업자 등은, 가까이에 최우선 통지장치(2X)가 존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통지기기(16) 및 네트워크 통지기기(20)의 경보를 받은 작업자 등은 최우선 통지장치(2X)로 유도된다. 관리 컴퓨터(13)가 인터넷 등의 공중회선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30)는 최우선 존재 통지에 상당하는 정보를, 공중회선을 통해서 작업자 등의 휴대단말에 송신해도 좋다. 최우선 존재 통지의 내용(점등 패턴이나 경보 등)이나 송신 방법 등에 대해서는, 생산현장의 형편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CPU(30)는 제5테이블(39)을 재갱신한다(스텝 S18). 구체적으로는, 제5테이블(39)에 있어서 스텝 S16 및 S17에서 점등 패턴의 변경을 명령한 통지장치(2)의 점등 패턴을, 스텝 S15에서 결정한 점등 패턴으로 변경한다. 도 11은 도 8의 상태로부터 재갱신된 제5테이블(39)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CPU(30)는 이력 갱신명령을 기억장치(19)에 송신한다(스텝 S19). 이것에 의해, 기억장치(19)에 있어서 해당하는 통지장치(2)의 동작 이력이 갱신된다.
도 12는 관리 컴퓨터(13)가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 후의 통지장치(2)의 동작예(구체적으로는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의 변경에 따른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의해 최상위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2)에서는, 무선통신 유닛(15)이 최우선 통지명령을 수신하면(스텝 S21: YES), CPU(23)가 표시부(7)의 표시색은 종전인 채로, 최우선 통지로서 점등 패턴을 플래시로 변경한다(스텝 S22). 이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에서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표시색은 황 또는 적이기 때문에, 표시부(7)는 점등 패턴의 변경에 따라 황색 또는 적색으로 플래시한다. 이와 같이, 최우선 통지명령을 수신한 통지장치(2)의 CPU(23)는, 입력부(22)가 제어장치(4)로부터 접수한 상태정보를 제1표시속성(이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색)에 의해 표시하고, 최우선 통지를 제1표시속성과는 다른 제2표시속성(이 실시형태에서는 점등 패턴)에 의해 표시하도록 표시부(7)를 제어한다. 최우선 통지를 실행하는 통지장치(2)의 CPU(23)는, 상기 통지장치(2)가 최우선 통지장치(2X)인 것을 최우선 통지에 의해 주위에 어필한다.
표시부(7)가 플래시하고 있는 통지장치(2)를 본 작업자는, 상기 통지장치(2)(도 11의 제5테이블(39)의 경우에는 제1통지장치(2A))가 최우선 통지장치(2X)인 것, 즉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의 이상에 최우선으로 대처해야 할 것을 파악한다. 이 기계장치(M)에 도착한 작업자 등의 조작자는, 우선, 최우선 통지장치(2X)에 연결된 조작 스위치(10)를 조작한다. 최우선 통지장치(2X)에서는 입력부(22)가 조작자에 의한 조작 스위치(10)의 조작입력을 접수하면(스텝 S23: YES), CPU(23)가 조작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작정보와 상기 통지장치(2)의 식별정보를,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한다(스텝 S24). 상기 조작정보는 작업자 등의 조작자에 의한 이상 대처에의 착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CPU(23)는 표시부(7)의 표시색은 종전인 채로 점등 패턴을 리셋한다(스텝 S25). 이것에 의해,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이 플래시로부터 통상점등으로 변경되므로, 표시부(7)는 플래시 때와 같은 색(황색 또는 적색)으로 통상점등한다. 작업자의 대처에 의해 이상이 해소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정보가 제어장치(4)로부터 최우선 통지장치(2X)에 송신되면, CPU(23)는 표시부(7)의 표시색을 녹색으로 변경한다(도 4의 스텝 S2). 이것에 의해, 표시부(7)는 녹색으로 통상점등한다.
도 13은 최우선 통지장치(2X)가 조작정보를 송신한 후의 관리 컴퓨터(13)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관리 컴퓨터(13)에서는, 제1송수신부(31)가 현재의 최우선 통지장치(2X)로부터 조작정보를 수신하면(스텝 S31: YES), CPU(30)가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2X)에 대한 최우선 통지명령을 취소한다(스텝 S32). 이 때, CPU(30)는 차우선 통지명령이나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송신한 다른 통지장치(2)에 대하여, 차우선 통지나 최우선 존재 통지를 중지시키기 위한 리셋 명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CPU(30)는 제5테이블(39)에 있어서 조작정보의 송신원인 통지장치(2)나 리셋 명령의 송신처인 통지장치(2)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33). 구체적으로는, CPU(30)는 상기 송신원인 통지장치(2)나 상기 송신처인 통지장치(2)에 대한 점등 패턴을 통상점등으로 변경하고, 상기 송신원인 통지장치(2)에 대한 대응 상태를 「미착수」부터 「착수중」으로 변경한다.
제5테이블(39)의 갱신 후, CPU(30)는 상술한 스텝 S13∼S19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4∼S40). 구체적으로는, 표시색이 황 또는 적인 복수의 통지장치(2)가 있으면(스텝 S34: YES), CPU(30)는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스텝 S35). 단, 직전까지 최우선 통지장치(2X)이었던 통지장치(2)에 대한 대응 상태는, 스텝 S33에서 「착수중」으로 변경되어 있다. 그 때문에, CPU(30)는 스텝 S35에서의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서는 직전까지 최우선 통지장치(2X)이었던 통지장치(2)를 우선순위 결정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상기 통지장치(2) 이외의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금회의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있어서 제외된 통지장치(2)는, 대응 상태가 계속해서 「착수중」일 경우에는, 다음번 이후의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서도 우선순위 결정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그러나,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하는 기계장치(M)에서의 새로운 사상의 발생에 따라, 상기 통지장치(2)의 대응 상태가 「미착수」로 변경되면(스텝 S12), 상기 통지장치(2)는 우선순위 결정의 대상으로서 부활한다. 그리고, CPU(30)는 스텝 S35에서의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의해 최우선 통지명령이나 차우선 통지명령이나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의 대상이 되는 통지장치(2)의 점등 패턴을 결정한다(스텝 S36). CPU(30)는 해당하는 통지장치(2)에 대하여 최우선 통지명령이나 차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다(스텝 S37). CPU(30)는 해당하는 통지장치(2)에 대하여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송신한다(스텝 S38). 그 후에 CPU(30)는, 제5테이블(39)을 재갱신하고(스텝 S39), 이력 갱신명령을 기억장치(19)에 송신한다(스텝 S40). 이와 같이, 최우선 통지장치(2X)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의 이상에의 착수를 나타내는 조작정보가 관리 컴퓨터(13)에 수신될 때마다, 별도의 통지장치(2)가 새로운 최우선 통지장치(2X)로서 지정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이상이 동시에 발생해도 이들 이상은 우선도가 높은 순서로 적절히 대처된다.
도 14는 관리 컴퓨터(13)가 차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 후의 통지장치(2)의 동작예(구체적으로는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의 변경에 따른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의해 최상위 이외의 우선순위를 부여한 통지장치(2)에서는, 무선통신 유닛(15)이 차우선 통지명령을 수신하면(스텝 S41: YES), CPU(23)가 표시부(7)의 표시색은 종전인 채로 점등 패턴을 점멸으로 변경한다(스텝 S42). 이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에서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표시색은 황 또는 적이이기 때문에, 표시부(7)는 점등 패턴의 변경에 따라 황색 또는 적색으로 점멸한다. 표시부(7)가 점멸하고 있는 통지장치(2)를 본 작업자는, 상기 통지장치(2)(도 11의 제5테이블(39)의 경우에는 제6통지장치(2F))가 차우선 통지장치(2Y)인 것, 즉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지어진 기계장치(M)와는 별도로 최우선으로 대처해야 할 이상이 존재하는 것을 파악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유닛(15)이 리셋 명령을 수신하면(스텝 S43: YES), 차우선 통지장치(2Y)의 CPU(23)는 표시부(7)의 표시색은 종전인 채로 점등 패턴을 리셋한다(스텝 S44). 이것에 의해,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이 점멸로부터 통상점등으로 변경되므로, 표시부(7)는 점멸시와 같은 색(황색 또는 적색)으로 통상점등한다. 단, 다음의 우선순위 결정 처리(스텝 S35)에 의해 상기 차우선 통지장치(2Y)에 최상위의 순위가 부여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차우선 통지장치(2Y)는 최우선 통지장치(2X)로 승격되어서 최우선 통지장치(2X)로서의 처리(도 12 참조)를 실행한다.
도 15는 관리 컴퓨터(13)가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송신한 후의 통지장치(2)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의해 최상위 이외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2)에서는, 무선통신 유닛(15)이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수신하면(스텝 S51: YES), CPU(23)가 최우선 존재 통지를 개시한다(스텝 S52). 최우선 존재 통지(이 실시형태에서는 부저(27)의 경보발생)를 받은 작업자는, 최우선 통지장치(2X)가 존재하는 것을 파악한다. 그리고, 최우선 존재 통지를 실행하고 있는 통지장치(2)에 있어서 무선통신 유닛(15)이 리셋 명령을 수신하면(스텝 S53: YES), CPU(23)는 최우선 존재 통지를 종료한다(스텝 S54). 차우선 통지가 최우선 존재 통지일 경우에는, 스텝 S51∼S54의 처리는 스텝 S41∼S44의 처리와 각각 같다.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고려된다. 또한 작업자는, 관리 컴퓨터(13)에 설치된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변형예에 따라 룰(100)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은 제1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도 10의 플로우차트와 같은 내용의 처리 스텝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처리 스텝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하는 제2변형예에서도 같다. 제1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서는,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우선, 제5테이블(39)을 참조하여 표시색이 황 또는 적이며 대응 상태가 「미착수」로 되어 있는 통지장치(2)를 추출하고(스텝 S141), 상기 통지장치(2)에 대응하는 상태 계속 시간 및 우선 레벨을 취득한다(스텝 S142).
복수의 기계장치(M)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들 이상에는 인과관계가 있을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생산현장 내의 재공품(work-in process)이 제1그룹(GA)에 있어서 제3통지장치(2C)가 대응하는 제3기계장치(MC)로부터 제1통지장치(2A)가 대응하는 제1기계장치(MA)를 거쳐서 제2통지장치(2B)가 대응하는 제2기계장치(MB)로 흐를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3기계장치(MC)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면, 재공품이 제2기계장치(MB) 및 제1기계장치(MA)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제2기계장치(MB) 및 제1기계장치(MA)에서는 부품 결품 등의 이상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제3기계장치(MC)의 이상과, 제1기계장치(MA) 및 제2기계장치(MB)의 이상 사이에는, 제3기계장치(MC)의 이상이 「주」로 되고 제1기계장치(MA) 및 제2기계장치(MB)의 이상이 「종」으로 되는 인과관계가 있다. 이러한 인과관계는 사전에 특정되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제6테이블(40)에 모여져서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에 기억되어 있다. 제6테이블(40)에는 인과관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상에 대응하는 통지장치(2)와, 각각의 이상을 나타내는 표시색 및 상세 상태 코드의 조합과, 복수의 이상의 사이에 있어서의 주종관계와, 상기 조합에 대한 우선 레벨 수정값이, 상정되는 인과관계의 패턴마다 등록되어 있다. 즉, 기억부(35)는 복수의 통지장치(2)가 송신하는 정보(표시색 및 상세 상태 코드) 중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의 조합을, 인과관계의 패턴마다 기억하고 있다.
일례로서, 도 17에 있어서의 제1패턴의 인과관계에서는, 제3통지장치(2C)가 대응하는 제3기계장치(MC)에 있어서 표시색이 「황」이며 상세 상태 코드가 「1」인 이상을 요인으로 해서, 제1통지장치(2A)가 대응하는 제1기계장치(MA)에 있어서 표시색이 「황」이며 상세 상태 코드가 「3」인 이상과, 제2통지장치(2B)가 대응하는 제2기계장치(MB)에 있어서 표시색이 「적」이며 상세 상태 코드가 「2」인 이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주」인 제3기계장치(MC)의 이상이 해소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종」인 제1기계장치(MA) 및 제2기계장치(MB)의 이상에 대처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제3기계장치(MC)의 이상이 해소되면, 제1기계장치(MA) 및 제2기계장치(MB)의 이상이 자동적으로 해소될 가능성도 있다. 이들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1통지장치(2A) 및 제2통지장치(2B)의 우선 레벨은 본래의 우선 레벨보다 낮게 설정되어도 좋다. 그래서, 제1패턴의 제1통지장치(2A)에는 본래의 우선 레벨(이 실시형태에서는 「16」)보다 낮은 우선 레벨 수정값(이 실시형태에서는 「3」)이 설정된다. 또한, 제1패턴의 제2통지장치(2B)에도 본래의 우선 레벨(이 실시형태에서는 「19」)보다 낮은 우선 레벨 수정값(이 실시형태에서는 「0」)이 설정된다.
별도의 예로서, 도 17에 있어서의 제2패턴의 인과관계에서는, 제6통지장치(2F)가 대응하는 제6기계장치(MF)에 있어서 표시색이 「황」이며 상세 상태 코드가 「2」인 이상을 요인으로 해서, 제5통지장치(2E)가 대응하는 제5기계장치(ME)에 있어서 표시색이 「적」이며 상세 상태 코드가 「3」인 이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제5통지장치(2E)의 우선 레벨은 본래의 우선 레벨보다 낮게 설정되어도 좋다. 그래서, 제2패턴의 제5통지장치(2E)에는 본래의 우선 레벨(이 실시형태에서는 「20」)보다 낮은 우선 레벨 수정값(이 실시형태에서는 「0」)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컴퓨터(13)가 복수의 통지장치(2)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100)은 이상간의 인과관계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CPU(30)는 스텝 S142에서 상태 계속 시간 및 우선 레벨을 취득한 통지장치(2)에 대해서, 제6테이블(40)을 참조하여 이상에 인과관계가 있는 통지장치(2)의 조합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01). 예를 들면, 제1패턴의 인과관계가 있는 통지장치(2)의 조합(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통지장치(2A)∼제3통지장치(2C)의 조합)이 있으면(스텝 S201: YES), CPU(30)는 상기 조합에 있어서 「종」이 되는 제1통지장치(2A)에 대응하는 우선 레벨을, 우선 레벨 수정값으로 수정한다(스텝 S202). 이것에 의해, 「종」이 되는 제1통지장치(2A)에 대응하는 우선 레벨이 낮추어진다.
이와 같이 「종」으로 되는 제1통지장치(2A)에 대응하는 우선 레벨이 낮추어진 상태에서, CPU(30)는 우선 레벨을 제1기준으로 하고, 상태 계속 시간을 제2기준으로 해서, 금회 추출한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스텝 S143). 도 8의 경우에는, 제1통지장치(2A)에 대한 우선 레벨이 당초의 「16」으로부터 「3」으로 인하되어서 제3통지장치(2C)에 대한 우선 레벨은 당초의 「14」인 채로이다. 그 때문에, 제6통지장치(2F)의 우선순위가 1위로 되고, 제3통지장치(2C)의 우선순위가 2위로 되고, 제1통지장치(2A)의 우선순위가 3위로 되고, 제7통지장치(2G)의 우선순위가 4위로 된다. 이상에 인과관계가 있는 통지장치(2)의 조합이 없으면(스텝 S201: NO), CPU(30)는 당초의 우선 레벨과 상태 계속 시간에 의거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스텝 S143).
도 18은 제2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2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서는,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우선 제5테이블(39)을 참조하여 표시색이 황 또는 적이며 대응 상태가 「미착수」로 되어 있는 통지장치(2)를 추출한다(스텝 S141). 다음에, CPU(30)는 추출한 통지장치(2)에 대응하는 상태 계속 시간 및 우선 레벨에 추가해서, 상기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도 취득한다(스텝 S301).
도 19는 제2변형예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처리에 관련해서 기억장치(19)에 기억된 제7테이블(4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7테이블(41)에는 통지장치(2)의 동작 이력이 기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컴퓨터(13)가 통지장치(2)로부터 조합정보나 조작정보를 수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력 갱신명령이 관리 컴퓨터(13)로부터 기억장치(19)에 송신된다(스텝 S19 및 S40). 이력 갱신명령에는, 상기 통지장치(2)에 관한 표시색, 상세 상태 코드 및 대응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7테이블(41)에는 통지장치(2)에 대한 이력 갱신명령에 포함되는 이들 정보와, 상기 통지장치(2)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도 19에서는 통지장치(2)의 명칭)와, 관리 컴퓨터(13)가 통지장치(2)로부터 조합정보나 조작정보를 수신한 일시가, 상기 일시의 순서로 기억되어 있다.
어떤 기계장치(M)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그 이상에 대처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상기 기계장치(M)에 급히 달려와서 조작 스위치(10)를 조작하고나서, 상기 이상의 해소를 나타내는 조합정보가 관리 컴퓨터(13)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대응 시간」이라고 말한다. 대응 시간은 제7테이블(41)로부터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의 경우, 제1통지장치(2A)에 대응지어진 제1기계장치(MA)에 있어서 표시색이 「적」이며 상세 상태 코드가 「3」인 이상에 대한 대응 시간은 36분이다. 각 통지장치(2)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의 대응 시간에 대한 평균값(이하 「평균 대응 시간」이라고 한다.)과, 상기 이상을 나타내는 표시색 및 상세 상태 코드의 관계는, 제8테이블(42)(도 20참조)에 모아져서 기억장치(19)에 기억되어 있다. 제8테이블(42)은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에 기억되어도 좋다. 제8테이블(42)의 내용은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CPU(30)는 스텝 S301에서 상태 계속 시간, 우선 레벨 및 소속 그룹(G)을 취득한 통지장치(2)에 대응하는 이상을 나타내는 표시색 및 상세 상태 코드에 대한 평균 대응 시간을 제8테이블(42)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302). 그리고, CPU(30)는 상기 이상에 대한 우선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우선도 포인트를, 스텝 S301 및 S302에서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한다(스텝 S303). 구체적으로는, 우선도 포인트를 산출하기 위한 이하의 식(1)이 관리 컴퓨터(13)의 기억부(35)에 기억되어 있고, CPU(30)는 스텝 S301 및 S302에서 취득한 정보를 식(1)에 대입하여 우선도 포인트를 산출한다.
우선도 포인트=그룹 포인트+계수 a×이상 레벨+계수 b×경과 시간 포인트+계수 c×대응 시간 포인트 ···식(1)
그룹 포인트는 제1그룹(GA)∼제3그룹(GC)의 각각에 할당된 포인트이며, 우선도가 높은 그룹(G)일수록 높은 그룹 포인트가 설정된다. 경과 시간 포인트는 상태 계속 시간이 길수록 높게 되도록 임의로 설정되는 포인트이다. 이하의 식(2)의 연산값에 있어서 소수점 이하의 값을 잘라 버리면, 경과 시간 포인트가 얻어진다. 대응 시간 포인트는 대응 시간이 길수록 높아지도록 설정되는 포인트이다. 이하의 식(3)의 연산값에 있어서 소수점 이하의 값을 잘라 버리면, 경과 시간 포인트가 얻어진다. 계수 a∼c는 임의로 설정되는 값이다. 식(1)에서는, 그룹(G)의 우선도가 높고, 이상 레벨이 높고, 상태 계속 시간 및 대응 시간이 길수록 우선도 포인트가 높아진다. 단, 운용에 따라서는, 대응 시간이 짧은 이상(금방 해소할 수 있는 이상)을 우선해도 좋으므로, 그 경우에는 대응 시간이 짧을수록 우선도 포인트가 높아지도록 계수 c가 정해져도 좋고, 일례로서 계수 c는 부의 값이라도 좋다.
경과 시간 포인트=기준값 d+상태 계속 시간/계수 e ···식(2)
대응 시간 포인트=기준값 f+ 평균 대응 시간/계수 g ···식(3)
기준값 d 및 f 그리고 계수 e 및 g는 임의로 설정되는 값이다. 또한, 식(1)∼(3)의 내용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CPU(30)는 발생하고 있는 각 이상에 대해서 산출한 우선도 포인트를 기준으로 해서, 통지장치(2) 사이에 있어서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스텝 S304). 이 경우, 우선도 포인트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통지장치(2)에서는, 예를 들면 어떠한 사상의 발생에 따라 접수부(21)가 정보(대응하는 기계장치(M)의 상태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면, CPU(23)가 상기 상태정보에 따른 통지를 하도록 경보발생부(24)를 제어한다(스텝 S2). 그 때문에, 이 통지를 받은 자는 사상의 발생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유닛(15)이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조합정보)를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한다(스텝 S4). 관리 컴퓨터(13)에서는, 제1송수신부(31)가 복수의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면, CPU(30)가 기억부(35)에 기억된 룰(100)에 상기 정보를 적용시켜서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스텝 S14). 그리고, CPU(30)가 최상위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2)에 대하여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다(스텝 S16). 최우선 통지명령을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수신한 통지장치(2)에서는, CPU(23)가 최우선 통지명령에 따른 통지를 하도록 경보발생부(24)를 제어하므로, 경보발생부(24)는 상기 통지장치(2)가 최우선 통지장치(2X)인 것을 나타내는 최우선 통지를 실행한다(스텝 S22).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대처가 필요한 복수의 사상이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에, 작업자는 관리자로부터의 지시가 없어도 최우선 통지장치(2X)에 관련되는 사상에 최우선으로 대처해야 하는 것을 최우선 통지에 의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상의 대처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시에 발생한 복수의 이상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고 또한 적절하게 제공 가능한 통지 시스템(1)을 실현할 수 있다.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100)은,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이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룰(100)에 적용시켜서 통지장치(2)를 순위 매김으로써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통지장치(2)의 접수부(21)가 제어장치(4)로부터 접수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적절하게 순위 매겨서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100)은, 긴급도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도 좋다. 이 경우,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송신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긴급도에 관한 정보를 룰(100)에 적용시켜서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긴다. 이것에 의해,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긴급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우선순위에 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100)은, 각 통지장치(2)가 속하는 그룹(G)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도 좋다. 이 경우,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송신된 정보로부터 각 통지장치(2)의 소속 그룹(G)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그룹(G)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을 순위 매긴다. 이것에 의해,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각 통지장치(2)의 소속 그룹(G)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100)은, 제1변형예와 같이, 복수의 이상간의 인과관계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도 좋다(도 16 참조). 이 경우,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송신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이상간의 인과관계 에 의거하여 복수의 통지장치(2)를 순위 매긴다. 이것에 의해,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이상간의 인과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어느 하나의 통지장치(2)에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했을 경우에는, CPU(30)에 의해 최상위 이외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적어도 1개의 통지장치(2)에 대하여 최우선 통지장치(2X)의 존재를 나타내는 최우선 존재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송신한다(스텝 S17). 이 구성에 의해,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수신한 통지장치(2)에서는, CPU(23)가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24)를 제어하므로, 경보발생부(24)는 최우선 통지장치(2X)의 존재를 나타내는 최우선 존재 통지를 실행한다(스텝 S52). 최우선 존재 통지를 접한 작업자 등은 다른 통지장치(2)에 의해 최우선 통지가 되어 있는 것을 안다. 따라서, 최우선 통지장치(2X)에 의한 최우선 통지를 접할 수 없는 작업자 등에 대하여, 최우선 통지가 되어 있는 사실을 알리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최우선 통지장치(2X)가 통지하는 사상에의 조기대응 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작업자 등의 조작자가, 최우선 통지장치(2X)에 관련되는 사상에 대처하기 위해서 최우선 통지장치(2X)에 도착해서 조작 스위치(10)를 조작하면, 최우선 통지장치(2X)에서는 입력부(22)가 조작 스위치(10)에의 조작입력을 접수하고, 무선통신 유닛(15)이 조작정보를 관리 컴퓨터(13)에 송신한다(스텝 S24). 관리 컴퓨터(13)에서는, 제1송수신부(31)가 최우선 통지장치(2X)로부터 조작정보를 수신하면, CPU(30)가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2X)에 대한 최우선 통지명령을 취소하고(스텝 S32),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2X)를 제외하고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를 재결정한다(스텝 S35).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통지장치(2)에 있어서 동시에 우선 통지해야 할 사상이 발생되어 있을 경우에는, 직전까지 최우선 통지장치(2X)이었던 통지장치(2) 대신에 별도의 통지장치(2)가 최우선 통지를 행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이 최우선 통지에 의해 다음에 대처 등을 행해야 할 최우선 통지장치(2X)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 최우선 통지장치(2X)에 관한 사상에의 대처 등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관리 컴퓨터(13)의 CPU(30)는, 최상위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한 통지장치(2)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2)가 차우선 통지장치(2Y)인 것을 나타내는 차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차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한다(스텝 S16). 이 구성에 의해, 차우선 통지명령을 무선통신 유닛(15)에 의해 수신한 통지장치(2)에서는, CPU(23)가 차우선 통지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경보발생부(24)를 제어하므로, 경보발생부(24)는 상기 통지장치(2)가 차우선 통지장치(2Y)인 것을 나타내는 차우선 통지를 실행한다(스텝 S42). 그 때문에, 작업자는 차우선 통지를 행하고 있는 통지장치(2)와는 별도로 최우선 통지장치(2X)가 존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최우선 통지장치(2X)를 찾아내고, 최우선 통지장치(2X)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에 한층더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차우선 통지장치(2Y)의 존재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최우선 통지장치(2X)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의 뒤에는, 차우선 통지장치(2Y)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작업자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사상 등에 대처할 수 있다.
최우선 통지명령을 수신한 통지장치(2)의 표시부(7)에는, 접수부(21)가 접수한 정보와 최우선 통지가, 서로 다른 표시속성에 의해 표시된다. 그 때문에, 최우선 통지장치(2X)의 표시부(7)를 본 자는, 접수부(21)가 접수한 정보와 최우선 통지의 양쪽을 구별해서 시인할 수 있다.
관리 컴퓨터(13)에서는, 제1송수신부(31)가 수신한 정보가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에(스텝 S13: YES), CPU(30)는 복수의 통지장치(2)의 우선순위의 결정을 실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관리 컴퓨터(13)에서는 제1송수신부(31)가 이상의 발생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면, CPU(30)가 우선순위를 갱신한다. 그 때문에, 갱신 후의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최우선 통지장치(2X)로 된 통지장치(2)가 최우선 통지를 실행함으로써, 작업자는 최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진 최우선 통지장치(2X)에 관련되는 사상의 대처 등에 신속하게 착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또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1) 예를 들면, 기계장치(M)의 상태정보가 제어장치(4)로부터 통지장치(2)에 송신되어서,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조합정보가 관리 컴퓨터(13)에 송신되는 구성 대신에, 이상을 파악한 작업자가 스위치 등의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장치(2)를 경유해서 관리 컴퓨터(13)에 송신되어도 좋다.
(2) 최우선 통지나 차우선 통지는 통지장치(2)의 표시부(7)의 점등 패턴에 의해 실행되고, 구체적으로, 플래시가 최우선 통지이며, 점멸이 차우선 통지이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에 따라 점등 패턴이 다른 구성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표시부(7)의 점멸 횟수에 의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도 좋다. 이 경우, 표시부(7)는 최우선 통지로서 1회의 단시간 점등과 1회의 단시간 멸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차우선 통지로서 2회의 단시간 점등과 1회의 단시간 멸등으로 주기적으로 반복해도 좋다. 또한, 최우선 통지나 차우선 통지는 부저(27)의 경보발생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고, 점등 패턴과 부저(27)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부저(27)의 경보발생음 등에 의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도 좋다. 부저(27)의 경보발생음은 음성을 포함해도 좋다.
(3) 최우선 통지장치(2X)에서의 점등 패턴의 리셋(도 12의 스텝 S25)은, 조작자에 의한 조작 스위치(10)의 조작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최우선 통지명령이 수반하는 점등 패턴의 변경(스텝 S22)으로부터 소정 시간의 경과 에 따라 실행되어도 좋다. 차우선 통지장치(2Y)에서의 점등 패턴의 리셋(도 14의 스텝 S44)은 관리 컴퓨터(13)로부터의 리셋 명령의 수신에 따라 실행되는 것이 아나라, 예를 들면 차우선 통지명령이 수반하는 점등 패턴의 변경(스텝 S42)으로부터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실행되어도 좋다.
(4)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통지장치(2)에 있어서 제어장치(4)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에 변화가 있었던 타이밍에, 조합정보가 통지장치(2)로부터 관리 컴퓨터(13)에 송신된다(스텝 S1∼S3). 상기 조합정보는 이 타이밍에 한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통지장치(2)로부터 관리 컴퓨터(13)에 송신되어도 좋다. 그 경우, 상기 조합정보는 대처해야 할 사상에 대응하는 통지장치(2)로부터 뿐만 아니라, 모든 통지장치(2)로부터 일제히 송신되어도 좋다. 관리 컴퓨터(13)에 있어서의 우선순위 결정 처리는, 관리 컴퓨터(13)가 통지장치(2)로부터 조합정보나 조작정보를 수신한 타이밍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5) 통지장치(2)로서, 상술한 적층 신호등이 아니라, 표시부(7)가 하표시부(71), 중표시부(72) 및 상표시부(73)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광원(8)은, 복수색의 발광이 가능한 풀컬러 광원 또는 멀티컬러 광원이다.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부(7)의 표시색은 녹, 황 및 적 중 어느 하나이며, 표시부(7)의 점등 패턴은 통상점등, 점멸 및 플래시 중 어느 하나이다. 조작 스위치(10)는 대응하는 통지장치(2)의 글로브(9)의 표면(예를 들면 상부면)에 설치됨으로써 통지장치(2)에 일체화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사용된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통지 시스템
2…통지장치
2X…최우선 통지장치
2Y…차우선 통지장치
7…표시부
10…조작 스위치
13…관리 컴퓨터
15…무선통신 유닛
21…접수부
22…입력부
23…CPU
24…경보발생부
30…CPU
31…제1송수신부
35…기억부
100…룰
G…그룹

Claims (10)

  1. 복수의 통지장치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관리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지 시스템으로서,
    각 통지장치는,
    경보발생부와,
    정보입력을 접수하는 정보 접수수단과,
    상기 관리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수단과,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 및 상기 명령 수신수단이 수신한 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상기 경보발생부를 제어하는 경보발생 제어수단과,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한 정보를 상기 룰에 적용시켜서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최상위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가 최우선 통지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최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하는 명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룰은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고,
    상기 관리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각 통지장치가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도록 분류하고 있고,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는, 상기 통지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룰은 각 통지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는 통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송신하는 정보 중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의 조합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에, 상기 룰은 상기 인과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는 통지 시스템.
  3. 복수의 통지장치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관리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지 시스템으로서,
    각 통지장치는,
    경보발생부와,
    정보입력을 접수하는 정보 접수수단과,
    상기 관리 컴퓨터로부터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수단과,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 및 상기 명령 수신수단이 수신한 명령에 따른 통지를 행하도록 상기 경보발생부를 제어하는 경보발생 제어수단과,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룰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한 정보를 상기 룰에 적용시켜서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최상위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가 최우선 통지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최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하는 명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룰은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송신하는 정보 중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의 조합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인과관계를 갖는 복수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에, 상기 룰은 상기 인과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는 통지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이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는, 긴급도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룰은 상기 긴급도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를 순위 매기도록 정해져 있는 통지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단은, 어느 하나의 통지장치에 상기 최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 이외의 적어도 1개의 통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의 존재를 나타내는 최우선 존재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최우선 존재 통지명령을 송신하는 통지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장치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에의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입력 접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통지장치의 상기 조작입력 접수수단이 상기 조작입력을 접수하면, 소정의 조작정보를 상기 관리 컴퓨터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 컴퓨터의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로부터 상기 조작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명령수단은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에 대한 최우선 통지명령을 취소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최우선 통지장치를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통지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단은,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최상위보다 낮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통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지장치가 차우선 통지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차우선 통지의 실행을 지령하는 차우선 통지명령을 송신하는 통지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발생부는 정보를 가변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우선 통지명령을 수신한 통지장치의 상기 경보발생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 접수수단이 접수한 정보를 제1표시속성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최우선 통지를 상기 제1표시속성과는 다른 제2표시속성에 의해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통지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한 정보가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에,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통지장치의 우선순위의 결정을 실행하는 통지 시스템.
  10. 삭제
KR1020207007032A 2018-09-28 2018-09-28 통지 시스템 KR102511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6482 WO2020065979A1 (ja) 2018-09-28 2018-09-28 報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976A KR20210039976A (ko) 2021-04-12
KR102511706B1 true KR102511706B1 (ko) 2023-03-20

Family

ID=6995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032A KR102511706B1 (ko) 2018-09-28 2018-09-28 통지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13951B2 (ko)
EP (1) EP3671683B1 (ko)
JP (1) JP6928883B2 (ko)
KR (1) KR102511706B1 (ko)
CN (1) CN111247571A (ko)
TW (1) TWI791897B (ko)
WO (1) WO2020065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6627A1 (de) * 2019-06-19 2020-12-24 Saurer Spinning Solutions Gmbh & Co. Kg Textilmaschine mit mehreren Arbeitsstellen sowie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Textilmaschine mit mehreren Arbeitsstellen
US11468762B2 (en) * 2020-01-09 2022-10-11 Joseph Skowron Facility alert system
WO2023073928A1 (ja) * 2021-10-29 2023-05-04 株式会社パトライト 状態報知ユニット
CN117037454B (zh) * 2023-10-08 2023-12-19 上海聚信海聚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气柜的预警保护系统、控制方法、装置、介质及电气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370B2 (ja) * 2012-03-16 2016-06-01 富士通株式会社 優先順位判定システムおよび優先順位判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1201A (ja) * 1990-08-21 1992-04-02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JP3043897B2 (ja) 1991-05-15 2000-05-22 株式会社東芝 プラント運転支援装置
US6907305B2 (en) * 2002-04-30 2005-06-14 Advanced Micro Devices, Inc. Agent reactive scheduling in an automated manufacturing environment
JP4248883B2 (ja) * 2003-01-06 2009-04-02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テリ管理サーバにおけるバッテリアラーム電圧設定装置、バッテリアラーム電圧設定方法
JP2004312867A (ja) * 2003-04-07 2004-11-04 Nec Tokin Corp 電池用電源回路および電池パック
KR20040091963A (ko) * 2003-04-23 200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저전압 경고 방법
US7081737B2 (en) * 2003-06-19 2006-07-2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ttery cell monitoring and balancing circuit
JP4965139B2 (ja) 2006-02-28 2012-07-0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生産管理方法及び生産管理システム
ATE531014T1 (de) 2008-11-04 2011-11-15 Werma Holding Gmbh & Co Kg Warnleuchtvorrichtung mit wenigstens zwei warnleuchten
CN101807178A (zh) * 2010-03-05 2010-08-1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因果关系识别进行多相关输入排序的方法
CN102693598B (zh) * 2011-03-22 2014-03-12 感知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入侵报警优先级获取方法及系统
US8552856B2 (en) * 2011-03-29 2013-10-08 VIZIO Inc. Low battery remote display system
CN102496246A (zh) * 2011-12-08 2012-06-13 西安航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优先级和危险等级的告警处理与显示方法
KR20140137848A (ko) * 2013-05-24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MX2016006056A (es) * 2013-11-08 2016-09-07 World Panel Inc Sistema de manejo y monitoreo de energia de cargador solar.
EP2887085B1 (en) * 2013-12-17 2016-09-14 Braun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low battery level
JP6398392B2 (ja) 2014-07-04 2018-10-03 オムロン株式会社 生産工程分析システム
US10172141B2 (en) * 2017-02-02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hierarchical management of mobile device notif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370B2 (ja) * 2012-03-16 2016-06-01 富士通株式会社 優先順位判定システムおよび優先順位判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1683A1 (en) 2020-06-24
US20210225158A1 (en) 2021-07-22
TWI791897B (zh) 2023-02-11
EP3671683A4 (en) 2021-04-28
EP3671683B1 (en) 2023-03-08
CN111247571A (zh) 2020-06-05
JP6928883B2 (ja) 2021-09-01
JPWO2020065979A1 (ja) 2021-01-07
TW202032446A (zh) 2020-09-01
KR20210039976A (ko) 2021-04-12
US11113951B2 (en) 2021-09-07
WO2020065979A1 (ja)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706B1 (ko) 통지 시스템
JP5850957B2 (ja) 遠隔地にあるロボット遠隔監視システム
CN105785884A (zh) 一种缝纫设备维护管理系统
JP6460317B2 (ja) 現場で照明制御装置の論理的idと物理的位置を対応付け可能な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照明制御方法
KR101665947B1 (ko) Led모듈을 이용한 공정 상태 경보 시스템 및 경보신호의 경보모드 결정방법
WO2020065986A1 (ja) 報知システム
JP6292440B2 (ja) 信号表示灯
JP6628109B2 (ja) 信号表示灯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信号表示灯
JP6358010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6399945B2 (ja) 施設監視システム、施設監視方法及び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WO2014167917A1 (ja) 状態監視装置、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状態監視方法
JP6850423B2 (ja) 報知装置および報知システム
JP7390457B1 (ja) 照明制御・状態監視システム
JP5766639B2 (ja) プラント監視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21084711A1 (ja) 監視システム
WO2021084712A1 (ja) 監視システム
JP6552587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scadaシステム
WO2021084616A1 (ja) 通信システム
JP2024031033A (ja) ポンプ装置及び管理装置
JP2017162189A (ja) 監視制御システム、監視制御方法及び監視制御装置
JP2018152913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9120369A (ja) エレベータ保守管理装置
JPWO2020065987A1 (ja) 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