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948B1 -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948B1
KR102510948B1 KR1020210035733A KR20210035733A KR102510948B1 KR 102510948 B1 KR102510948 B1 KR 102510948B1 KR 1020210035733 A KR1020210035733 A KR 1020210035733A KR 20210035733 A KR20210035733 A KR 20210035733A KR 102510948 B1 KR102510948 B1 KR 10251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s
roasting
green
coffee
ethiop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903A (ko
Inventor
문창기
최정화
신동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디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디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디야
Priority to KR1020210035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9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23F5/046Methods of roasting coffee with agitation or transportation of the beans by gases; Fluidised-bed roasting or fluidised-bed cooling afte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산지나 종류의 원두를 혼합하여 맛과 향이 뛰어난 커피를 제공하는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두별로 선택된 최적의 로스터에 의해 정점 로스팅이 이루어지면서도 로스팅 전 블렌딩과 로스팅 후 블렌딩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COMPLEX BLENDING COFFE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산지나 종류의 원두를 혼합하여 맛과 향이 뛰어난 커피를 제공하는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두별로 선택된 최적의 로스터에 의해 정점 로스팅이 이루어지면서도 로스팅 전 블렌딩과 로스팅 후 블렌딩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이미 대중적인 음료로 자리 잡았으며, 어디에서나 커피 전문점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단순히 커피를 마시는 것뿐 아니라 향과 맛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커피는 선별된 생두(green been)를 로스팅하는 과정을 거쳐 고유의 풍미를 지니게 된다. 로스팅은 커피 생두를 볶아 맛과 향을 본격적으로 생성시키는 과정이며 여러 생두를 혼합하여 특유의 맛과 향을 추구하기도 한다.
한편, 위와 같은 커피는 생두를 볶기 전 혹은 볶은 후에 서로 다른 원두를 혼합하여 각 생두의 단점들을 서로 보완하거나 장점들을 더욱 부각시켜 좋은 맛과 향을 제공하도록 블렌딩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커피 블렌딩은 중성의 원두를 기본으로 해서 신맛이 나는 원두와 쓴맛이 강한 원두를 서로 혼합하며, 2종에서 5종의 서로 다른 원두를 섞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블렌딩 커피들은 맛과 향을 높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성별이나 연령 등에 따른 취향이나 기호를 충족시키도록 좀더 다양하면서도 뛰어난 블렌딩 커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블렌딩 커피의 맛과 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생두별로 정해진 적합한 조건에 의하여 정점 로스팅(Peak-Roasting)을 결정하여 커피의 향과 맛을 극대화시켜야 함에도, 한정된 물적 설비 및 인적 자원으로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1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52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59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산지나 종류의 원두를 혼합하여 맛과 향이 뛰어난 커피를 제공하는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두별로 선택된 최적의 로스터에 의해 정점 로스팅이 이루어지면서도 로스팅 전 블렌딩과 로스팅 후 블렌딩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블렌딩 커피는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로 이루어진 원두 블렌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티오피아 원두가 28 내지 29 중량부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는 1: 5: 8: 12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티오피아 원두는 에티오피아 시다모(Sidamo) 원두와 에티오피아 리무(Limu) 원두를 포함하되, 상기 에티오피아 시다모 원두와 에티오피아 리무 원두는 12: 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는 각각 콜롬비아 생두 및 과테말라 생두를 혼합 후 함께 로스팅한 것이고, 상기 케냐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는 각각 케냐 생두 및 에티오피아 생두를 혼합 후 함께 로스팅한 것이며, 상기 브라질 원두는 브라질 생두를 싱글로 로스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는 컬러 트랙(color track) 72 내지 73의 로스팅 색도가 되도록 로스팅한 것이고, 상기 케냐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는 컬러 트랙 68 내지 70의 로스팅 색도가 되도록 로스팅한 것이며, 상기 브라질 원두는 컬러 트랙 73 내지 74의 로스팅 색도가 되도록 로스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은 위와 같은 블렌딩 커피를 제조하는 것으로, 케냐 생두, 브라질 생두, 과테말라 생두, 콜롬비아 생두 및 에티오피아 생두의 투입량을 각각 결정하는 생두 투입량 결정단계와; 상기 투입량이 결정된 케냐 생두, 브라질 생두, 과테말라 생두, 콜롬비아 생두 및 에티오피아 생두를 각각 로스팅 장치에 투입하여 로스팅하는 로스팅 단계; 및 상기 로스팅 장치에서 로스팅을 마친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콜롬비아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를 혼합장치에서 혼합하여 블렌딩하는 블렌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로스팅 단계는 상기 과테말라 생두 및 콜롬비아 생두를 제1 로스터에서 로스팅하는 제1 로스팅 단계와; 상기 케냐 생두 및 에티오피아 생두를 상기 제1 로스터와 다른 가열 방식의 제2 로스터에서 로스팅하는 제2 로스팅 단계; 및 상기 브라질 생두를 상기 제2 로스터와 같은 가열 방식의 로스터에서 로스팅하는 제3 로스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로스팅 단계에서는 생두가 투입된 챔버 내에 열풍을 인가하여 열풍식으로 로스팅하고, 상기 제2 로스팅 단계 및 제3 로스팅 단계에서는 각각 생두가 투입된 드럼을 화염에 의해 가열하고, 상기 드럼 내에 열풍을 인가하는 반열풍식으로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로스팅 단계 내지 제3 로스팅 단계는 각각 생두에 열을 전달하여 볶는 과정 및 볶은 생두를 냉각용 공기로 식히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로스팅 단계에서는 가열을 마친 생두가 놓이는 스크린의 하부에서 상부로 냉각용 공기를 송풍하여 식히고, 상기 제2 로스팅 단계 및 제3 로스팅 단계에서는 각각 가열을 마친 생두가 놓이는 스크린의 상부에서 하부로 냉각용 공기를 송풍하여 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케냐, 브라질, 과테말라, 콜롬비아 및 에티오피아 원두를 최적의 혼합 비율로 블렌딩하여 맛과 향이 뛰어난 커피를 제공한다. 또한, 생두별로 로스터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로스터에서 각각 정점 로스팅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들을 복합 블렌딩시 커피의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블렌딩 커피의 원두 혼합 비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제1 로스팅 단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로스팅 단계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렌딩 커피는 에티오피아(Ethiopia) 원두, 케냐(Kenya) 원두, 브라질(Brazil) 원두, 콜롬비아(Colombia) 원두 및 과테말라(Guatemala) 원두가 각각 설정 비율로 혼합(블렌딩)된다.
이들 중 에티오피아 원두는 노란빛을 띠는 황색의 에티오피아 생두를 로스팅한 것으로 부드러운 바디와 함께 신맛과 단맛을 제공한다. 또한, 과일과 꽃 향기가 강하고 와인과 같은 풍미를 제공한다.
이러한 에티오피아 원두는 여러 지역의 것을 혼합 적용할 수 있으며, 실시예로 에티오피아 남부 시다모(Sidamo) 지역의 G2 등급 원두와 에티오피아 남서부 리무(Limu) 지역의 G2 등급 원두를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케냐 원두는 산미와 좋은 쓴맛 및 묵직한 바디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케냐 원두는 생두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구분되며, 실시예로 케냐 AB FAQ 원두를 적용할 수 있다.
브라질 원두는 에스프레소에 적합한 것으로 부드러운 바디감과 함께 쓴맛 보다는 단맛과 부드러운 신맛을 제공하며, 실시예로 생두 300g 당 결점두의 개수로 분류되는 등급 중 NY2(결점두 4개 이하) FC를 적용한다.
콜롬비아 원두는 부드러운 신맛과 함께 진한 초콜릿 향이나 캐러멜 향이 나는 단맛을 제공하는 것으로, 실시예로 후일라(huila) 지역에서 제공되는 엑셀소(excelso) 크기의 원두를 적용할 수 있다.
과테말라 원두는 기분 좋은 산미 및 바디감과 함께 은은한 과일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실시예로 과테말라 SHB(Strictly Hard Bean) EP 등급의 원두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냐, 브라질 과테말라, 콜롬비아 및 에티오피아 원두를 최적의 혼합 비율로 블렌딩하여 맛과 향이 뛰어난 블렌딩 커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블렌딩 커피는 원두 또는 분말 타입으로 포장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포장에는 필름, 지퍼백, 지대 포장은 물론, 커피 믹스나 캡슐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블렌딩 커피는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로 이루어진 원두 블렌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티오피아 원두가 28 내지 29 중량부로 혼합된다.
이때,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는 1: 5: 8: 12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다. 구체적인 혼합비율로는 케냐 3중량%, 브라질 15중량%, 과테말라 24중량% 및 콜롬비아 36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케냐, 브라질,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 원두가 각각 3중량%, 15중량%, 24중량% 및 36중량%인 경우(78 중량부인 경우) 에티오피아는 2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에티오피아, 케냐, 브라질,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 원두의 중량%는 맛과 향의 조화를 깨뜨리지 않는 한 혼합 비율(중량 비율)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원두들의 최적 조합으로 최상의 맛과 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다양한 커피 원두를 혼합한 본 발명의 블렌딩 커피는 특별히 로스팅 전 블렌딩(blending before roasting)과 로스팅 후 블렌딩(blending after roasting)을 모두 채택된 복합 블렌딩 과정을 통해 제공된다.
로스팅 전 블렌딩은 여러 커피 생두를 혼합한 후 로스팅을 진행하는 것이고, 로스팅 후 블렌딩은 생두를 로스팅 한 후 원두 상태에서 혼합하는 것으로, 에티오피아, 케냐, 브라질,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 원두는 복합 블렌딩된다.
구체적으로,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는 중미 블렌드로서 각각 과테말라 생두 및 콜롬비아 생두를 혼합 후 함께 로스팅(제1 로스팅 전 블렌딩)한다. 또한, 케냐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는 아프리카 블렌드로서 각각 케냐 생두 및 에티오피아 생두를 혼합 후 함께 로스팅(제2 로스팅 전 블렌딩)한다.
또한, 남미의 브라질 원두는 브라질 생두를 싱글로 로스팅하며, 로스팅을 마친 후에는 모든 원두(과테말라, 콜롬비아, 케냐, 에티오피아 및 브라질)를 추가로 혼합(로스팅 후 블렌딩)하는 복합 블렌딩을 한다.
콜롬비아 생두 및 과테말라 생두와 같은 중미의 생두는 사이즈, 밀도 및 함수율이 높은 편이므로 이들에 최적화된 정점 로스팅을 진행한다.
반면, 케냐 및 에티오피아 생두와 같은 아프리카의 생두나 그 외 브라질 생두는 상기한 중미 생두보다 사이즈, 밀도 및 함수율 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므로 별로도 정점 로스팅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생두별 최적의 로스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는 각각 컬러 트랙(color track) 72 내지 73의 로스팅 색도가 되도록 로스팅하고, 케냐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는 각각 컬러 트랙 68 내지 70의 로스팅 색도가 되도록 로스팅한다.
또한, 브라질 원두는 컬러 트랙 73 내지 74의 로스팅 색도가 되도록 로스팅하며, 그 후 이들을 혼합하여 각 원두가 조합된 상태에서 최적의 맛과 향을 제공하는 원두 블렌드를 제공하게 한다.
색도별 관능 평가 결과 상기 과테말라 원두 및 콜롬비아 원두의 로스팅 색도가 72 미만일 경우 산미가 발현되어 전체 블렌딩 원두의 밸런스가 목표값에 이르지 못하며, 73을 초과할 경우 쓴맛이 과도하게 발현되어 향의 강도가 기준치에 이르지 못하거나 쓴맛에 치중된 블렌드 커피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냐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의 로스팅 색도가 68 미만일 경우 산미가 튀게 되어 4종 커피와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며, 70을 초과할 경우 산미가 기준치 미만으로 발현되어 블렌드된 커피의 맛과 향이 단조롭고 특색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질 싱글의 로스팅 색도가 73 미만일 경우 브라질 커피의 특색인 커피의 묵직한 바디감(Body)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다소 가벼운 커피로 표현될 수 있으며, 74를 초과할 경우 표면의 일부가 검게 타는 현상이 발생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과도한 쓴맛이 발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은 케냐, 브라질, 과테말라, 콜롬비아 및 에티오피아 원두를 혼합한 블렌딩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생두 투입량 결정단계(S10), 로스팅 단계(S20) 및 블렌딩 단계(S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두 투입량 결정단계(S10)에서는 케냐 생두, 브라질 생두, 과테말라 생두, 콜롬비아 생두 및 에티오피아 생두의 투입량을 각각 결정하는데, 투입량은 각각의 로스터에 최적화된 생두 투입량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생두 투입량의 결정에는 각 로스터마다 한번에 투입되는 생두의 양을 결정하는 것 및 로스터에 투입되도록 보관기에서 이송되는 생두의 양(무게)을 계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로스팅 단계(S20)에서는 위와 같이 투입량이 결정된 케냐 생두, 브라질 생두, 과테말라 생두, 콜롬비아 생두 및 에티오피아 생두를 각각 로스팅 장치에 투입하여 로스팅(roasting)을 진행한다.
다음, 블렌딩 단계(S30)에서는 로스팅 장치에서 로스팅을 마친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콜롬비아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를 혼합장치(블렌더)에서 혼합하여 블렌딩한다.
블렌딩은 설정된 혼합 비율에 따르며, 이를 위해 생두의 로스팅 투입량 결정시 계측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블렌딩되는 각각의 원두에 대한 투입량(무게)를 계측 후 혼합기에 투입된다.
예컨대, 원두 사일로에 서로 분리 보관되어 있는 원두들에 대해 각각 무게를 계측 후 혼합장치인 블렌더로 공급한다. 혼합을 마친 블렌딩 커피는 별도의 보관기에 보관(S40a)되거나 포장장치를 통해 포장(S40)된다.
한편, 상술한 로스팅 단계(S20)는 생두별로 적합한 로스터에서 각각 별개로 로스팅이 진행되도록 제1 로스팅 단계(S21), 제2 로스팅 단계(S22) 및 제3 로스팅 단계(S23)로 구분된다.
이때, 제1 로스팅 단계(S21)에서는 제1 로스터(10-1)에서 로스팅을 진행하고, 제2 로스팅 단계(S22)에서는 상기 제1 로스터(10-1)와 다른 가열 방식의 제2 로스터(10-2)에서 로스팅을 진행한다.
또한, 제3 로스팅 단계(S23)에서는 상기 제2 로스터(10-2)와 같은 가열 방식의 로스터에서 로스팅을 진행하는데, 같은 가열 방식의 로스터에서 진행되므로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제2 로스터(10-2)를 이용하여 시간 차이를 두고 제2 로스팅 단계(S22)와 제3 로스팅 단계(S23)를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로스터(10-1) 및 제2 로스터(10-2)는 각각 독립된 장치로 서로 다른 가열(열전달) 방식에 의해 생두를 로스팅하므로,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 생두는 제1 로스터(10-1)에서 로스팅하고, 그 외 케냐, 에티오피아 및 브라질 생두는 제2 로스터(10-2)에서 로스팅할 수 있다.
로스터(10-1, 10-2)는 커피 생두에 열을 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커피를 볶는 가공 장치로, 통상적으로 로스팅 강도에 따라서 크게 약, 중, 강으로 구분되며, 로스팅 강도가 강할수록 커피의 신맛이 약해지고 쓴맛이 강해진다.
따라서, 로스팅 공정에서는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팽창시켜 생두가 가진 여러 성분(수분, 지방분, 섬유질, 당질, 카페인, 유기산, 탄닌 등)을 조화롭게 표현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생두의 수확시기, 수분함량, 조밀도, 산지나 종자, 가공방법 등 생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같은 품종의 생두일지라도 자연환경의 변화나 보관 상태에 따라 최상의 맛과 향을 생성하기 위한 로스팅 조건은 다양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로스터(10-1) 및 제2 로스터(10-2)를 이용하며, 각각의 로스터는 서로 다른 열 전달 방식으로 로스팅하는 서로 다른 타입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로스팅 방식의 로스터(10-1, 10-2)를 통해 생두의 종류(품종이나 등급 혹은 보관상태 등)에 따라 그 중 어느 하나에 생두를 투입한다. 구체적으로,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 생두는 제1 로스터(10-1)에 투입하여 로스팅하고, 케냐, 에티오피아 및 브라질 생두는 제2 로스터(10-2)에 투입하여 로스팅한다.
실시예로 제1 로스터(10-1)는 '열풍식 로스터'이고, 제2 로스터(10-2)는 '반열풍식 로스터'이다.
열풍식의 제1 로스터(10-1)는 생두가 투입된 챔버 내에 열풍을 인가하여 생두를 로스팅한다. 이때, 설정된 범위의 온도를 갖는 열풍이 유동 중인 챔버 내에서 설정된 양의 생두를 투입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교반시켜 로스팅할 수 있다.
반열풍식의 제2 로스터(10-2)는 생두가 투입된 회전 드럼을 화염에 의해 가열하고, 상기 회전 드럼 내에 열풍을 인가하여 생두를 로스팅한다. 이때, 가열된 회전 드럼 내에 설정된 양의 생두를 투입시켜 교반 중인 상태에서 회전 드럼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정된 온도의 열풍을 가하여 로스팅할 수 있다.
열풍식의 제1 로스터(10-1)는 열풍만으로 반열풍식의 제2 로스터(10-2) 보다 단위 시간당 상대적으로 큰 열량을 공급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제1 로스터(10-1)와 제2 로스터(10-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생두를 투입한다.
로스팅시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는 구분 인자로는 생두의 밀도가 커서 조직이 치밀하거나, 함수율이 높아서 맛과 향이 날아가기 이전에 최적의 시간 이내에 수분을 증발시켜야 하거나 혹은 크기나 부피가 커서 단위 체적당 표면적이 작은 경우와 같이 생두의 코어까지 열을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제1 로스터(10-1)에서는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와 같은 중미의 생두를 투입, 혼합하여 함께 로스팅한다. 반면, 케냐 및 에티오피아와 같은 아프리카의 생두는 물론, 브라질과 같은 남미의 생두는 사이즈, 밀도 및 함수율 등이 상기한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 생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서 제2 로스터(10-2)에서 반열풍 방식에 의해 로스팅한다.
나아가, 상기 제1 로스팅 단계(S21) 내지 제3 로스팅 단계(S23)는 각각 생두에 열을 전달하여 볶는 과정 및 볶은 생두를 냉각용 공기로 식히는 과정을 포함하며, 볶는 과정과 식히는 과정은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순차 진행된다.
이때, 제1 로스팅 단계(S21)에서는 가열을 마친 생두가 놓이는 스크린의 하부에서 상부로 냉각용 공기를 송풍하여 식힌다. 반면, 제2 로스팅 단계(S22) 및 제3 로스팅 단계(S23)에서는 가열을 마친 생두가 놓이는 스크린의 상부에서 하부로 냉각용 공기를 송풍하여 식힌다.
제1 로스팅 단계(S21)에서 과테말라 생두 및 콜롬비아 생두는 높은 열량으로 볶는 과정을 거치므로 맛과 향이 날아가기 전에 급속히 식힌다. 반면, 케냐 및 에티오피아 생두는 제2 로스팅 단계(S22)에서 상대적으로 늦게 식혀도 맛과 향을 잡아둘 수 있으며, 이는 제3 로스팅 단계(S23)에서 브라질 생두를 로스팅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와 같이, 제1 로스터(10-1)인 열풍식 로스터는 크게 제1 투입기(11-1)와, 로스팅 챔버(12-1) 및 제1 쿨러(cooler, 13-1)를 포함한다.
도 3b와 같이 상기 제1 투입기(11-1)는 실시예로 호퍼가 적용되어 하측의 배출단(11a-1)이 로스팅 챔버(12-1)의 내부와 연결되어 로스팅 챔버(12-1)로 과테말라 및 콜롬비아 생두를 투입한다.
도 3c와 같이, 로스팅 챔버(12-1)는 그 내부에 다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12a-1)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기(12a-1)는 회전축의 외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로스팅 챔버(12-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12b-1)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구(12c-1)가 설치되며, 유입구(12b-1)와 배출구(12c-1)는 교반기(12a-1)의 교반 진행 방향(교반기 회전 방향)에 일치시킨다.
따라서, 도 3d와 같이 유입구(12b-1)를 통해 로스팅 챔버(12-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교반기(12a-1)에 의해 교반 중인 생두를 볶아 로스팅하며, 로스팅에 이용된 열풍은 배출구(12c-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생두를 투입 전 열풍을 미리 공급하여 예열을 시키고, 생두 투입에 따라 다시 온도가 낮아지면 단위 시간당 열풍량을 늘리거나 온도를 높여 설계값에 따라 로스팅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e와 같이 제1 쿨러(13-1)는 로스팅을 마친 생두(과테말라, 콜롬비아)를 냉각시켜 커피의 맛과 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냉각 드럼(13a-1)과, 쿨링용 교반기(13b-1) 및 냉풍 배출구(13c-1)를 포함한다.
여기서, 냉각 드럼(13a-1)의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쿨링 팬이 상면을 향해 냉각용 공기(이하, 냉풍이라 함)를 불도록 설치되고, 냉각 드럼(13a-1)의 상면은 일 예로 생두가 놓이는 스크린 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공기가 통하는 미세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볶아진 생두를 향해 냉풍을 분출한다.
또한, 냉각 드럼(13a-1)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로스팅 챔버(12-1)에서 볶아진 생두가 배출되는 배출구(13d-1)가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배출된 생두가 냉각 드럼(13a-1) 위로 투입된 후 쿨링용 교반기(13b-1)에 의해 교반된다.
따라서, 도 3f와 같이 냉각 드럼(13a-1) 내에서 상측을 향해 불어져 나온 냉풍은 교반 중인 볶음 생두(과테말라, 콜롬비아)를 냉각시킨 후 상측의 냉풍 배출구(13c-1)를 통해 배출된다. 즉, 다량(다수) 적층된 볶음 생두의 하측에서부터 냉풍을 불어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점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 로스터(10-2)의 제2 쿨러(16-2)와 차이(하향 냉각 분사식)가 있는데, 도 3g와 같이 제1 쿨러(13-1)는 더 큰 스크린 사이즈와 함께 상향 분사 방식을 채택하여 냉각 드럼(13a-1)에 위에 놓인 생두의 하부에서 직접 냉풍을 분출한다. 따라서, 제1 쿨러(13-1)는 제2 쿨러(16-2) 보다 상대적으로 급속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제2 로스터(10-2)인 반열풍식 로스터는 크게 제2 투입기(11-2), 로스팅 버너(12-2), 로스팅 드럼(13-2), 열풍 인입구(14-2), 열풍 배출구(15-2) 및 제2 쿨러(16-2)를 포함한다.
실시예로 제2 투입기(11-2)는 호퍼가 적용되며, 로스팅 드럼(13-2)의 내부에 연결되어 현재 진행되는 로스팅 대상에 따라 케냐 및 에티오피아 생두나 혹은 브라질 생두를 투입한다.
로스팅 버너(12-2)는 연료를 연소시켜 화염을 분사하는 것으로 로스팅 드럼(13-2)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스팅 드럼(13-2)에 열을 전달한다. 예컨대, 로스팅 버너(12-2)에서 발생된 열원 중 화염은 직접/간접적으로 로스팅 드럼(13-2)을 가열하고 그 열풍은 로스팅 드럼(13-2) 내부를 통과한다.
이때, 로스팅 드럼(13-2)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교반 날개(13a-2)가 설치된다. 교반 날개(13a-2)는 로스팅 드럼(13-2)의 내주면에 나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열풍 인입구(14-2)는 상기 로스팅 버너(12-2)의 단부와 로스팅 드럼(13-2)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로스팅 버너(12-2)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로스팅 드럼(13-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열풍 배출구(15-2)는 로스팅 드럼(13-2)의 타측에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로스팅 드럼(13-2)의 일측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열풍이 로스팅 드럼(13-2) 내부를 관통한 후 열풍 배출구(15-2)를 통해 드럼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2 투입기(11-2)를 통해 투입된 생두는 화염에 의해 가열된 로스팅 드럼(13-2)에 의한 볶음과 로스팅 드럼(13-2)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에 의한 볶음이 혼합된 반열풍 방식으로 로스팅이 이루어진다.
로스팅 후에는 로스팅 드럼(13-2)에서 배출된 볶음 생두(즉, 가열된 케냐 및 에티오피아 생두 혹은 가열된 브라질 생두)를 제2 쿨러(16-2) 내에서 냉각시킨다.
도 4c와 같이, 제2 쿨러(16-2)는 로스팅을 마친 생두를 냉각시켜 커피의 맛과 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냉각 드럼(16a-2)과, 쿨링용 교반기(16b-2) 및 냉풍 흡입구(16c-2)를 포함한다.
여기서, 냉각 드럼(16a-2)의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 팬이 하측을 향해 냉풍을 흡입하도록 설치되고, 냉각 드럼(16a-2)의 상면(스크린)에는 공기가 통하는 미세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볶아진 생두를 향해 냉풍을 인가한다.
실시예로 냉풍은 냉각 드럼(16a-2)의 상측에 이격 설치된 배출 덕트(도시 생략)를 통해 하측으로 방출된다.
또한, 냉각 드럼(16a-2)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로스팅 드럼(13-2)에서 볶아진 생두가 배출되는 배출구(도시 생략)가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배출된 생두가 냉각 드럼(16a-2) 위로 투입된 후 쿨링용 교반기(16b-2)에 의해 교반된다.
따라서, 냉각 드럼(16a-2) 상부의 배출 덕트에서 하측을 향해 불어져 나온 냉풍은 교반 중인 생두를 냉각시킨 후 하측의 냉풍 흡입구(16c-2)를 통해 흡입된 후 덕트(DUCT2)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로스터(10-1)와 제2 로스터(10-2)에 투입되는 생두를 구분하며, 생두 사이즈, 밀도 및 수분율 등의 차이로 인한 생두 특성에 따라 각각 최적의 냉각 온도나 냉각 시간을 갖도록 한다.
즉, 제2 쿨러(16-2)는 급속 냉각이 가능한 제1 쿨러(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냉각 성능으로 일반의 냉각을 하여도 충분한 생두의 특성상 맛과 향이 날아가기 이전에 충분히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로스터(10-1) 및 제2 로스터(10-2)를 통해 로스팅을 마친 생두 즉, 원두는 각각 일측의 개폐구를 열어 배출하며, 배출된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콜롬비아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는 설정된 혼합 비율로 혼합된다.
즉, 로스팅 장치에서 로스팅을 마친 케냐 원두, 브라질 원두, 과테말라 원두, 콜롬비아 원두 및 에티오피아 원두를 혼합장치에서 혼합하여 또 다시 블렌딩하는 블렌딩 단계(S30)를 진행하게 된다. 블렌딩 후에는 후속으로 원두나 분말 상태로 포장(S40)하게 되며, 포장(S40) 전 보관기에 일시 보관(S40a)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1: 제1 로스터(열풍식)
11-1: 제1 투입기
12-1: 로스팅 챔버
13-1: 제1 쿨러
10-2: 제2 로스터(반열풍식)
11-2: 제2 투입기
12-2: 로스팅 버너
13-2: 로스팅 드럼
14-2: 열풍 인입구
15-2: 열풍 배출구
16-2: 제2 쿨러

Claims (9)

  1. 케냐 AB 원두, 브라질 NY2 원두, 과테말라 SHB 원두 및 콜롬비아 엑셀소 원두가 1: 5: 8: 12의 중량 비율로 이루어진 원두 블렌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티오피아 시다모 원두와 에티오피아 리무 원두를 포함한 에티오피아 원두가 28 내지 29 중량부로 혼합된 복합 블렌딩 커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티오피아 시다모 원두와 에티오피아 리무 원두는 12: 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블렌딩 커피.
  4. 삭제
  5. 삭제
  6. 케냐 AB 생두, 브라질 NY2 생두, 과테말라 SHB 생두, 콜롬비아 엑셀소 생두 및 에티오피아 시다모 생두와 에티오피아 리무 생두를 포함한 에티오피아 생두의 투입량을 각각 결정하는 생두 투입량 결정단계(S10)와;
    상기 투입량이 결정된 생두를 각각 로스팅 장치에 투입하여 로스팅하되,
    상기 과테말라 SHB 생두 및 콜롬비아 엑셀소 생두를 제1 로스터(10-1)에서 로스팅하는 제1 로스팅 단계(S21)와;
    상기 케냐 AB 생두 및 상기 에티오피아 생두를 제2 로스터(10-2)에서 로스팅하는 제2 로스팅 단계(S22); 및
    상기 브라질 NY2 생두를 상기 제2 로스터(10-2)와 같은 가열 방식의 로스터에서 로스팅하는 제3 로스팅 단계(S23);를 포함하는 로스팅 단계(S20); 및
    상기 로스팅 장치에서 로스팅을 마친, 케냐 AB 원두, 브라질 NY2 원두, 과테말라 SHB 원두 및 콜롬비아 엑셀소 원두가 1: 5: 8: 1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원두 블렌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티오피아 시다모 원두와 에티오피아 리무 원두가 12: 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에티오피아 원두 28 내지 29 중량부를 혼합장치에서 혼합하여 블렌딩하는 블렌딩 단계(S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로스팅 단계(S21)의 생두보다 상기 제2 로스팅 단계(S22) 및 상기 제3 로스팅 단계(S23)의 생두가 상대적으로 사이즈, 밀도 및 함수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스팅 단계(S21)에서는 생두가 투입된 챔버 내에 열풍을 인가하여 열풍식으로 로스팅하고,
    상기 제2 로스팅 단계(S22) 및 제3 로스팅 단계(S23)에서는 각각 생두가 투입된 드럼을 화염에 의해 가열하고, 상기 드럼 내에 열풍을 인가하는 반열풍식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스팅 단계(S21) 내지 제3 로스팅 단계(S23)는 각각 생두에 열을 전달하여 볶는 과정 및 볶은 생두를 냉각용 공기로 식히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로스팅 단계(S21)의 생두보다 상기 제2 로스팅 단계(S22) 및 상기 제3 로스팅 단계(S23)의 생두 사이즈가 작아서 상기 제1 로스팅 단계(S21)에서는 가열을 마친 생두가 놓이는 스크린의 하부에서 상부로 냉각용 공기를 송풍하여 급속히 식히고,
    상기 제2 로스팅 단계(S22) 및 제3 로스팅 단계(S23)에서는 각각 가열을 마친 생두가 놓이는 스크린의 상부에서 하부로 냉각용 공기를 송풍하여 상대적으로 늦게 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KR1020210035733A 2021-03-19 2021-03-19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KR102510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33A KR102510948B1 (ko) 2021-03-19 2021-03-19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33A KR102510948B1 (ko) 2021-03-19 2021-03-19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903A KR20220130903A (ko) 2022-09-27
KR102510948B1 true KR102510948B1 (ko) 2023-03-20

Family

ID=8345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733A KR102510948B1 (ko) 2021-03-19 2021-03-19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738B1 (ko) * 2023-10-31 2024-02-27 주식회사 마린컴퍼니 커피 로스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163B1 (ko) 2014-01-17 2016-03-04 이어령 루왁 블랜딩 커피 제조방법
KR101641575B1 (ko) * 2014-11-03 2016-07-29 정정모 로스팅 커피 원두 냉각장치
KR101865225B1 (ko) 2017-08-10 2018-06-07 김병훈 블랜딩 커피 제조방법
KR20190083380A (ko) * 2018-01-03 2019-07-12 이차호 숙성 커피의 제조방법
KR102145252B1 (ko) * 2018-09-28 2020-08-18 주식회사 서흥 다이어트 기능성 커피 음료용 조성물 및 커피 음료 제조방법
KR102269158B1 (ko) 2019-02-01 2021-06-23 엄형섭 커피 상품화를 위한 원두 로스팅 및 블렌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903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enker et al. The roast—Creating the Beans' signature
KR102510948B1 (ko) 복합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복합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JPH11510703A (ja) 望ましい浸出酸味を伴う、浸出力の増強されたよりダークなカップカラーを提供する急速ローストコーヒー
KR101850603B1 (ko) 커피 생두의 로스팅 방법
TW201012397A (en) Beverages with enhanced flavors and aroma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600163B1 (ko) 루왁 블랜딩 커피 제조방법
EP1367924A2 (en) Beverage brewing devices for preparing creamy beverages
KR101722361B1 (ko) 커피 원두의 로스팅 방법
US20200107672A1 (en) Coffee roaster and degasser
PL202075B1 (pl) Rozpuszczalny proszek kawowego napoju
CN102858184A (zh) 煎焙咖啡豆
KR20130078144A (ko) 캡슐커피
KR102552679B1 (ko) 블렌딩 커피 및 그를 위한 블렌딩 커피 제조방법
KR101454668B1 (ko) 스티밍 처리 커피 추출액과 저온 추출 커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커피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ingston How to make coffee: The science behind the bean
EP1862078A1 (en) Choco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12100646A (ja) レッドフルーツおよびコーヒーの香気を有するコーヒーエキス
JP2000175623A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US20230363406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leaf tea product
DK152166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decaffeineret ristet kaffeblanding
US20030180419A1 (en)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JPH029343A (ja) 改善された感覚刺激性を有する焙煎コーヒーの製造方法
TW201542104A (zh) 咖啡豆烘焙系統與方法
US20090041893A1 (en) Coffee substitute and method of manufacture
TW201821003A (zh) 可調配咖啡口味之咖啡裝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