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464B1 -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464B1
KR102510464B1 KR1020200102450A KR20200102450A KR102510464B1 KR 102510464 B1 KR102510464 B1 KR 102510464B1 KR 1020200102450 A KR1020200102450 A KR 1020200102450A KR 20200102450 A KR20200102450 A KR 20200102450A KR 102510464 B1 KR102510464 B1 KR 10251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s
pair
width
gripper
head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637A (ko
Inventor
김택종
한장희
김동환
윤은석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9Calibration, teaching or correction of mechanical systems, e.g. of the mounting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 탄성력을 통해 실장기 그리퍼가 갖는 한 쌍의 조(jaw)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탄성체, 한 쌍의 조에 음압을 가해 상기 한 쌍의 조를 최대폭으로 확장해 주는 음압 공급부 및 한 쌍의 상기 조에 양압을 가해 이동시 간섭을 최소화하거나 부품을 파지하되, 구동원 추가 및 변경 없이 조의 최대폭 또는 초기 폭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Auto adjustable width device for gripper of component}
본 발명은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조의 교체 없이 자동으로 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실장장치는 고밀도 집적회로, 다이오드 등의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부품실장장치는 각종 전자부품을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 상의 실장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시킨다.
부품실장장치는 이처럼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기판 상에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헤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헤드의 일단에 설치된 노즐 또는 그리퍼(이하 '그리퍼'로 통칭함.)가 전자부품과 직접 접촉하여 전자부품을 픽업(Pick Up)할 수 있다.
그리퍼는 공압을 이용하여 흡착하기 어려운 부품을 실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퍼는 구동부, 고정부, 조(jaw) 및 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는 그리퍼가 부품을 그립 할 수 있도록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이다. 고정부는 헤드에 부착되어 실장에 필요한 상하 좌우 회전 움직임 및 그리퍼 동작에 필요한 양압과 음압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는 실장하는 부품을 잡아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팁은 부품을 실장할때 부품 상면을 눌러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들로 구성된 그리퍼는 전자 부품을 픽업(Pick Up)하게 되고, 기판 상에 실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리퍼의 경우, 그리퍼에 부품을 실장 할 때 부품의 폭보다 구동부의 폭이 지나치게 크면, 부품의 픽업(Pick Up)시 부품 공급부와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리퍼에 부품을 실장 할 때 부품의 폭보다 구동부의 폭이 지나치게 크면, 부품 실장 시 인쇄회로기판 상의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부품 폭과 유사한 폭의 조를 사용하여 부품을 실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다양한 폭의 부품을 실장 할 경우 필요에 따라 조를 교체해가며 사용하거나, 다수의 그리퍼를 교환해가며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장 자동화 및 스마트 공장으로의 전환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부품실장장치는 초소형 부품대응을 넘어서서 대형 실장 및 수삽 부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그리퍼 노즐의 사용 범위가 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품실장장치의 헤드에 사용되는 그리퍼의 경우 다종의 부품 규격을 동시에 취급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다종의 대형/수삽 부품을 실장하는 현장에서는 헤드에 별도의 전원과 제어장치가 추가된 전용전용장비를 운용해야 할 수밖에 없다.
또한 부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관련 부품을 수동으로 교체 진행함에 따라 생산 정지로 인한 생산량감소 및 기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을 픽업하는 그리퍼에서, 조의 교체 없이 자동으로 조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부품에 맞춰서 교체 없이 다양한 부품 규격에 대해서도 흡탈착 할 수 있는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108959호(공개일:2004.04.2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품실장장치의 헤드에 구비된 기능을 활용하여 조의 교체 없이 자동으로 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그리퍼 구조를 제안하며, 또한, 별도의 전용 장비 사용 또는 전용 헤드 교체 없이 효율적으로 다양한 부품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는,
압축 탄성력을 통해 실장기 그리퍼가 갖는 한 쌍의 조(jaw)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탄성체;
상기 한 쌍의 조에 음압을 가해 상기 한 쌍의 조를 최대폭으로 확장해 주는 음압 공급부; 및
상기 한 쌍의 상기 조에 양압을 가해 이동시 간섭을 최소화하거나 부품을 파지하되,
구동원 추가 및 변경 없이 조의 최대폭 또는 초기 폭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의 팽창을 활용하여 부품을 그립할 수 있다.
실장기 헤드의 구동원인 Z축 회전 및 R축 하강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는, 별도의 추가 장치나 별도의 조 등의 교체 없이도 다양한 크기의 부품의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의 한 쌍의 조 간격의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의 한 쌍의 조 간격의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의 한 쌍의 조 간격의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122)하면, 본 발명의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는, 탄성체(③), 음압 공급부(①②) 및 베이스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품 그리퍼는 헤드 스핀들(121)에 상하 구동 및 공압 포트가 구비된 부품 실장 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조(122)(jaw)는 후술하는 탄성체(③)에 의해 최대 폭으로 자동 밀착되게 한 쌍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③)는 압축 탄성력을 통해 실장기 그리퍼가 갖는 한 쌍의 조(122)(jaw)의 간격을 유지시켜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는 상기 한 쌍의 조(122)에 음압을 가해 상기 한 쌍의 조(122)를 최대폭으로 확장해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는 공압(양압)포트로서, 상기 조(122)를 최소 폭으로 구동하하는 실린더와 같은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 실장기 그리퍼의 하방에 위치되고, 헤드 스핀들(121)의 Z축 구동 높이에 따라 상기 조(122)의 최대 폭 위치를 변환시켜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선형, 예를 들어 ‘v’자 형상의 선형의 홈의 구조(122)를 가져 상기 조(122)의 하강에 따라 상기 조(122)의 최대 폭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에는 스토퍼부와 락킹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탄성체(③)로 실린더 로드에 밀착하여 움직이고 고정될 경우 로드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로 상기 스토퍼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조(122)에 양압을 가하여 이동 시 간섭을 최소화하거나 부품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데, 구동원의 추가나 변경 없이 상기 조(122)의 최대폭 또는 초기 폭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조(122)에 가해지는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의 음압(②)은 상기 한 쌍의 조(122)의 간격을 최대폭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조(122)에 가해지는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의 양압(①)은 상기 한 쌍의 조(122)의 간격을 최소폭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조(122)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체(③)의 탄성력은 상기 한 쌍의 조(122)의 간격을 최대폭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의 그리퍼의 폭 조절을 살펴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의 조(122) 간격의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122)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100)는 상기 탄성체(③)의 탄성 및 음압 공급부(①②)의 음압(②)을 이용하여 그리퍼 노즐의 조(122)의 최대폭을 변경한 후, 고정 및 양압(①)을 이용해 조(122)를 이동시켜 부품을 픽업하는 구조(122)를 가질 수 있다.
먼저, 그리퍼 노즐은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의 양압(①)을 이용하여 상기 조(122)의 폭을 최소로 좁힌 후, 부품의 픽업 및 최소 폭으로 이동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조(122)의 폭을 최소로 한 뒤 상기 그리퍼 노즐을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정위치 시킨다.
필요로 하는 조(122)의 폭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그리퍼 노즐을 상기 베이스부(110)의 소정 위치, 구체적으로 원하는 폭을 가진 선형 홈의 소정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상기 그리퍼 노즐이 상기 베이스부(110) 측으로 하강 시에도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의 양압(①)을 활용하여 상기 조(122)의 폭은 최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조(122)가 원하는 폭을 가지기 위한 상기 선형 홈의 위치까지 도달되면,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는 양압(①) 공급을 중지하게 된다. 상기 조(122)는 상기 탄성체(③)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의 선형의 홈에 접촉되면서 원하는 간격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조(122)가 상기 베이스부(110)의 선형의 홈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는 음압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조(122)가 벌어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조(122)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음압(②)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조(122)가 부품의 픽업 시 상기 한 쌍의 조(122)는 지정된 폭 이상으로 벌어지지 못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는 R축의 회전을 이용하여 스크류 상의 홀더를 상하로 이동시 조의 최대 폭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는 헤드 스핀들(221)에 상하(Z축) 구동, 회전(R축) 구동 및 음압 공급부(①②)가 부품실장장치에,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실장기 헤드 스핀들(221)의 구동원인 Z축 회전 및 R축 하강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조(222)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는 탄성체(③), 음압 공급부(①②) 및 베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조(222)는 탄성체(③)로 최대 폭으로 자동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조(222)는 상기 한 쌍의 헤드 스핀들(221)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조(222)는 상기 헤드 스핀들(221)의 회전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홀더(221a)에 제1 축을 중심으로 축 결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한쌍의 회전 조(222a)와, 상기 회전 조(222a) 단부에 제2 축을 중심으로 축 결합되면서 수직한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성되는 밀착 조(222b)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10)는 헤드 스핀들(221)의 Z축 및 R축 구동에 따라 하강하는 헤드 스핀들(221)에 형성된 스토퍼부(223)와 결합되어 스토퍼부(223)의 높이를 변경시키도록 돌기부(21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223)는 상기 헤드 스핀들(221)에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조(222)의 상,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면서, 상기 헤드 스핀들(221)의 회전을 통해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는 별도의 그리퍼 교환이나 또는 조의 교체 없이 자동으로 필요한 상기 한 쌍의 조의 폭을 스토퍼부(223)를 통해 고정하여 부품의 픽업 및 실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조(222)에 가해지는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의 음압(②)은 상기 한 쌍의 조(222)의 간격을 최대폭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조(222)에 가해지는 상기 음압 공급부(①②)의 양압(①)은 상기 한 쌍의 조(222)의 간격을 최소폭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조(222)는 상기 헤드 스핀들(221) 회전을 통해 상기 스토퍼부(223)는 돌기부(211)로 이동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조(222)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체(③)의 탄성력은 상기 한 쌍의 조(222)의 간격을 최대폭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의 그리퍼의 폭 조절을 살펴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의 한 쌍의 조(222) 간격의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200)는 상기 헤드 스핀들(221)의 R축의 회전을 이용하여 스크류 상에 형성된 홀더(221a)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조(222)의 최대 폭을 결정한다.
먼저 상기 한 쌍의 밀착 조(222b)는 상기 탄성체(③)의 탄성력에 의해 최대 폭으로 벌어지고 상기 한 쌍의 밀착 조(222b)의 벌어진 폭의 범위는 상기 스토퍼부(223)와 돌기부(21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밀착 조(222b)를 최대 폭으로 변경한 후 상기 헤드 스핀들(2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홀더(221a)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조(222)를 상기 베이스부(210)의 지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한 쌍의 조(222)의 Z축 방향 하강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210)의 돌기부(211)와 상기 스토퍼부(223)가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210)와 상기 스토퍼부(223)의 결합은 자성 결합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 및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헤드 스핀들(221)의 R 축 회전 및 상기 홀더(221a)의 Z축 상하강 운동을 통해 상기 스토퍼부(2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223)의 이동과 상기 회전 조(222a)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밀착 조(222b)의 최대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223)는 상기 필요 시 베큠을 활용하여 이동 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체(③)의 탄성력을 이용해 상기 한 쌍의 조(222)를 최대 폭으로 벌린 상태에서 Z축 상승하여 상기 베이스부(210)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3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300)는 헤드 스핀들(321)에 상하(Z축) 구동 및 음압 공압부(①②)가 부품실장장치에, 탈부착가능한 그리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300)는 상기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구성을 가지면서, 상기 한 쌍의 조(322)의 서로 대향한 내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재(322b)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300)에서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구조 설명은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추가 및 차이점이 있는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 후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300)는, 상기 한 쌍의 조(32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재(322b)가 공압에 의해 변형되어 부품의 픽업(10) 및 실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조를 가지는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30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조(322)의 폭을 변경 및 고정한 후, 추가적으로 상기 한 쌍의 조(322)의 내측면에 설치된 탄성부재(322b)가 공압에 의해 대상 부품(10) 측으로 팽창하여 부품을 픽업하거나, 탄성부재(322b)의 팽창이 복원되어 부품(10)을 실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한 쌍의 조(322)는 강성을 가지는 제1 부재(322a)와,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부재(322a)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 부재(322b,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강성체의 제1 부재(322a)와 탄성체의 제2 부재(322b)를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조(322)가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 중 하나의 구성 및 구조를 가져 상기 한 쌍의 조(322)의 폭을 변경 및 고정한 후, 부품(10)의 픽업 시 탄성부재(322b)의 변형에 의해 부품(10)의 픽업 및 이탈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300)의 한 쌍의 조 간격의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앞선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를 통해 한 쌍의 조(322)의 폭을 변경 및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조(322)는 강성체인 상기 제1 부재(322a)와, 탄성체인 상기 제2 부재(322b)로 구성이 되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그리퍼의 폭을 조절하게 된다.
즉, 대상 부품(10)의 폭을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조(322)를 상기 부품(10)의 위치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22b)는 공압에 의해 제공된 양압(①)으로 팽창되어 상기 부품(10)을 픽업한다.
상기 한 쌍의 조(322)에 픽업된 상기 부품(10)은 상기 부품(10)이 실장되기 위한 대상, 예를 들어 기판(20)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압에서 상기 탄성부재(322b)로 제공된 양압(①)을 제거하여 상기 탄성부재(322b)를 원복시켜 부품(10)과 상기 한 쌍의 조(322)의 밀착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부품(10)을 기판(20)에 실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110, 210, 310: 베이스부
121, 221, 321: 헤드 스핀들
122, 222, 322: 한 쌍의 조

Claims (3)

  1.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에 있어서,
    헤드 스핀들 및 상기 헤드 스핀들에 구비되는 한 쌍의 조(jaw)를 포함하는 실장기 그리퍼;
    압축 탄성력을 통해 상기 실장기 그리퍼가 갖는 상기 한 쌍의 조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탄성체;
    상기 한 쌍의 조에 음압을 가해 상기 한 쌍의 조를 최대폭으로 확장해 주는 음압 공급부; 및
    상기 실장기 그리퍼의 하방에 위치되고, 'V' 형상의 선형홈을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해 소정 간격을 가진 상기 한 쌍의 조를 가진 상기 헤드 스핀들이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하강하되 상기 부품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조의 폭을 가지는 상기 선형홈의 위치로 하강되고, 상기 위치에서 상기 음압 공급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조가 상기 선형홈에 접촉되게 상기 한 쌍의 조의 폭을 조절하여,
    구동원 추가 및 변경 없이 상기 한 쌍의 조의 폭 설정이 가능한,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에 서로 대면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팽창을 활용하여 부품을 그립하는,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3.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에 있어서,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 스핀들, 상기 헤드 스핀들의 회전으로 상기 스크류에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홀더, 상기 헤드 스핀들에 구비되되 상기 홀더에 제1 축을 중심으로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조(jaw) 및 상기 헤드 스핀들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조의 상,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헤드 스핀들의 회전을 통해 위치를 가변하게 구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실장기 그리퍼;
    압축 탄성력을 통해 상기 실장기 그리퍼가 갖는 상기 한 쌍의 조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탄성체;
    상기 한 쌍의 조에 음압을 가해 상기 한 쌍의 조를 최대폭으로 확장해 주는 음압 공급부; 및
    상기 실장기 그리퍼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부의 높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스토퍼부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해 소정 간격을 가진 상기 한 쌍의 조를 가진 상기 헤드 스핀들이 회전하여 상기 홀더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하강하되 상기 부품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조의 폭을 가지는 상기 베이스부의 지정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헤드 스핀들의 축 회전 및 하강 구동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조의 폭을 조절하되,
    상기 헤드 스핀들의 회전으로 상기 홀더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면서, 설정된 조의 폭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돌출된 돌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부의 높이가 변경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변경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조의 폭이 상기 부품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조절되는,
    구동원 추가 및 변경 없이 상기 한 쌍의 조의 폭 설정이 가능한,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KR1020200102450A 2020-08-14 2020-08-14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KR10251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50A KR102510464B1 (ko) 2020-08-14 2020-08-14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50A KR102510464B1 (ko) 2020-08-14 2020-08-14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37A KR20220021637A (ko) 2022-02-22
KR102510464B1 true KR102510464B1 (ko) 2023-03-14

Family

ID=8049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450A KR102510464B1 (ko) 2020-08-14 2020-08-14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55671A1 (en) 2017-03-06 2018-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component
JP2019503278A (ja) * 2016-01-20 2019-02-07 ソフト ロボ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散乱した握持環境、高加速移動、食品操作、および自動貯蔵および回収システムのためのソフトロボットグリッ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799A (en) * 1987-07-14 1989-01-23 Tdk Corp Method and device for inserting electronic component
JPH02159046A (ja) * 1988-12-13 1990-06-19 Toshiba Corp フレキシブルダイコレット
JP2005108959A (ja) 2003-09-29 2005-04-21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901028B1 (ko) * 2016-11-28 2018-11-08 세메스 주식회사 본딩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3278A (ja) * 2016-01-20 2019-02-07 ソフト ロボ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散乱した握持環境、高加速移動、食品操作、および自動貯蔵および回収システムのためのソフトロボットグリッパ
US20180255671A1 (en) 2017-03-06 2018-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37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033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930870B2 (ja) 電子部品表面実装装置
KR101901028B1 (ko) 본딩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US10889101B2 (en) Screen printer including clamp device to grip board
US8672210B2 (en) Capillary exchange system of semiconductor wire bonding
JPH11220294A (ja) 電気部品搬送装置ならびにそれにおける保持具交換方法および装置
KR101541643B1 (ko) 박리 장치
CN111811459B (zh) 一种夹持机构及检测装置
JP2017127940A (ja) ロボット装置
WO2005081611A1 (ja) 支持ピン把持装置および基板支持装置
JP2002050898A (ja) 配線板支持装置の自動段取替え装置、配線板保持装置の自動段取替え装置および配線板支持装置のセット方法
US20020154491A1 (en) Printed-board supporting device, electric-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printed-circuit board
KR102510464B1 (ko) 부품 그리퍼 자동 폭 조절 장치
CN115274513A (zh) 一种自动植球设备及自动植球方法
TW202145464A (zh) 樹脂模塑裝置
US20180071771A1 (en) Detaching apparatus and detaching method
JP3115958B2 (ja) 実装機におけるノズル交換装置
KR101601597B1 (ko) 평면 자동정렬 기능을 가진 그리핑 장치
CN114229151A (zh) 撕膜设备
WO2020070809A1 (ja) 作業機
JP3019886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WO2018216147A1 (ja) 部品把持具
JP5109924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7426800B2 (ja) 部品実装機
CN211518833U (zh) 一种移印机定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