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349B1 - 건축물용 제연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제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349B1
KR102510349B1 KR1020220044403A KR20220044403A KR102510349B1 KR 102510349 B1 KR102510349 B1 KR 102510349B1 KR 1020220044403 A KR1020220044403 A KR 1020220044403A KR 20220044403 A KR20220044403 A KR 20220044403A KR 102510349 B1 KR102510349 B1 KR 10251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lower
air
pressure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999A (ko
Inventor
엄태경
Original Assignee
엄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경 filed Critical 엄태경
Priority to KR102022004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3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물용 제연 장치는,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제어구역(부속실 등의 공간) 및 그 인접구역(옥내 등의 공간)에서 급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제연 장치{SMOKE CONTROL APPARATUS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제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제어구역(부속실 등의 공간) 및 제어구역에 인접한 인접구역(옥내 등의 공간)에서 급기 및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속실(제어구역)의 제연을 위해 방화문(출입문)이 개방된 조건에서 방연 풍속을 유지해야할 경우, 강제 배출로 열린 방화문에 풍속을 유지하기 위해 제어구역과 인접한 인접구역(거실, 사무 공간 또는 부속실과 인접한 옥내)에서 강제 배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이 강제 배기가 이루어지는 인접구역(옥내, 예를 들어 거실 또는 복도)는 출입문이 닫혀 있는 경우 건물 외피 등이 기밀하면 음압이 심하게 형성된다. 건물의 화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한 개 층 전체가 하나의 구획실인 업무시설 등의 인접구역은 화재층 전체에 음압을 형성하여 인접한 층(비(非)화재층)에 연기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독립된 음압제어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음압제어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법적으로 강제된 부속실 제연 장치의 배기 장치와 상호 연동 및 과다한 풍량 배출로 인해 통제 불능의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구역(부속실) 제연시스템에 있어서 화재층에서는 제어구역과 접한 인접구역(거실, 사무 공간 또는 부속실과 인접한 옥내)에서 배기댐퍼 개방을 통해 강제 배기가 이루어진다. 비 화재층에서는 배기용 댐퍼가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건물 외피 등이 기밀하고, 각층의 제어구역과 인접구역(옥내, 예를 들어 거실 또는 복도) 간 출입문이 닫혀 있는 경우 화재층 및/혹은 비화재층의 부속실(제어구역)에 직접적으로 접하면서 배기도 이루어지는 인접구역에서 심한 부압(음압)이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경우 상기 인접구역에서 외부로 열리는 출입문에서는 과압으로 인해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이 증가하여 거주자의 피난이 곤란해질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9894호(특허문헌 1)에 게재된 제연 장치는, 부속실 배기 덕트 풍량 측정기를 통하여 측정된 풍량 값과 출입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산정된 필요 배출 풍량 값을 비교하여 풍량 조절 장치를 조절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출입문 개폐 여부에 따라 산정된 필요 배출 풍량'에서 '산정된 필요 배출 풍량'의 주된 인자는 출입문 개방 층수인데, 실제 현장에서 구현되는 비(非)화재층에서 개방된 출입문의 '배출 풍량'은 일반적으로 단순히 개방된 출입문의 개수에 비례하지 않고, 해당 층 누설경로 상의 직렬 연결 누설요소들 중 최소 누설요소의 누설면적에 주된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이 점을 무시하고 단순히 출입문 개수를 주된 변수로 배기 송풍기 풍량을 제어하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제어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건물의 화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인접구역은 화재층 전체에 음압을 형성하여 인접한 층(비(非)화재층)에 연기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 층이 1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업무시설 등에서는 별도의 상기 음압제어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부압(음압) 제어 설비와 부속실 제연 시스템용 배기 장치가 각각 독립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므로 인해 각 층의 출입문 개폐 상태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시스템 저항 조건이 발생하여 논리적으로 계획된 제어가 이루어 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편이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존의 제연 장치는, 화재는 발생했으나 출입문은 미개방된 상태(즉, 시스템 저항곡선이 매우 가파른 상태, 즉 송풍기 이송 풍량이 매우 적은 상태)일 경우, 배기 풍량이 소량이므로 일반적으로 배기 송풍기가 서징(Surging) 영역에서 운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톨(Stall)이 성장하여 기체(배기 풍량) 흐름에 교축(Throttling)과 진동이 발생되어, 제어구역의 압력이나 풍량이 심하게 헌팅(Hunting)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9894호(2019.08.0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구역에 연결된 급기부와 인접구역에 연결된 배기부의 가동으로 인해 인접구역이 과잉 부압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했으나 제어구역과 인접구역을 연결하는 문이 폐쇄 상태일 때, 배기 송풍기가 서징(Suring) 영역에서 운전되어 제어구역의 차압에 헌팅(Hunting)이 일어나서 연기가 제어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층(層)마다 문(門)으로 분리된 제어구역과 인접구역이 마련된 건축물용 제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부의 기체를 흡입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에 연결되고 각 층마다 분기되어 상기 제어구역과 연결되는 급기 덕트를 포함하는 급기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 상기 배기 송풍기에 연결되며 상기 각 층마다 분기되어 상기 인접구역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배기부; 그리고 상기 급기 송풍기의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되는 급기 압력 측정기(Port),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되는 배기 압력 측정기, 상기 급기 압력 측정기의 압력을 센싱(Sensing)하는 급기 차압 트랜스미터(Transmitter), 상기 배기 압력 측정기의 압력을 센싱(Sensing)하는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 혹은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접구역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기, 상기 급기 및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 각각에서 전송된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풍량 조절기를 제어하는 풍량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기 풍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제어기는, 상기 급기 송풍기의 전측과 후측의 압력차에 비례하여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과 후측의 압력차가 증감(增減)되도록 상기 풍량 조절기의 부하를 제어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제연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상용되는 급배기 시스템으로 인한 배기 댐퍼 설치실의 과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특허문헌 1의 급기부 제어와 배기부 제어의 충돌 문제를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의 배기 풍량 제어부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했으나 제어구역과 인접구역을 연결하는 문이 폐쇄 상태일 때, 배기 송풍기가 서징 영역에서 운전되어 제어구역의 차압에 헌팅이 일어나 연기가 제어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제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연 장치의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의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제연 장치(10a)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축물(20)에 구비된 제연 장치(10a)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20)의 각 층(層)마다 제어구역(23)과 인접구역(25)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구역(23)과 인접구역(25)은 문(31)(門)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인접구역(25)이란 제어구역(23)에 가장 인접한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건축물(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풍도(21)(風道)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직풍도(21)는 계단실(29) 혹은 승강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수직풍도(21)의 일측에 제어구역(23)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구역(23)은 수직풍도(21)와 문(31)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어구역(23)은 부속실이라 할 수 있다. 제어구역(23)은 압력, 풍량 및/혹은 풍속 등을 제어하는 구역, 예를 들어, 계단실(29)용 부속실, 승강로용 승강장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어구역(23)의 일측에 인접구역(25)이 마련될 수 있다. 인접구역(25)은 옥내, 즉 복도, 통로 및/혹은 거실이 해당될 수 있다. 건축물(20)에는 인접구역(25)의 일측에 또 다른 제어구역(27)이 문(33)으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건축물(20)에는 또 다른 제어구역(27)의 일측에 문(35)으로 분리된 계단실(29)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 장치(10a)는, 급기부(100a)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부(100a)는 제어구역(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연 장치(10a)는, 배기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부(200a)는 인접구역(25)에 연결될 수 있다. 제연 장치(10a)는, 배기 풍량 제어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급기부(100a)와 배기부(200a)에 연결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급기부(100a)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토대로 배기부(200a)를 제어해 인접구역(25)의 압력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개방된 문(31)이 없는 등의 상황일 때, 급기부(100a)가 가동됨으로서 인접구역(25)이 과잉 부압 상태가 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연 장치(10a)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급기부(100a)는, 건축물(20) 외부의 기체(공기)를 흡입하는 급기 송풍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부(100a)는, 건축물(20)의 외부에 연결되어 건축물(20)의 내부로 연장되는 급기 덕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덕트(120)는 각 층마다 분기되어 각 층의 제어구역(23)과 연결될 수 있다. 급기 덕트(120)는 급기 송풍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 송풍기(110)는 급기 덕트(120)를 통해 건축물(20)의 외부의 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급기 덕트(120)는, 급기 송풍기(110)가 설치된 초기 급기 덕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덕트(120)는, 초기 급기 덕트(121)에서 건물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급기 수직 덕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덕트(120)는, 급기 수직 덕트(123)에서 각 층마다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층의 제어구역(23)과 연결되는 각 층의 급기 분기 덕트(125)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건축물(20) 외부의 기체가 초기 급기 덕트(121), 급기 송풍기(110), 급기 수직 덕트(123), 급기 분기 덕트(125)를 거쳐 제어구역(23)으로 유입될 수 있다.
급기부(100a)는 급기 덕트(120)에 연결되는 급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구(130)는 급기 분기 덕트(125)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급기구(130)를 통해 건축물(20) 외부의 기체가 제어구역(23)으로 유입될 수 있다. 급기구(130)는 댐퍼(Damper)에 형성될 수 있다. 급기구(130)는, 개도(開道) 고정식 댐퍼(Damper), 날개 각도 수동 조절형 댐퍼(Damper), 날개 각도 제어형 댐퍼(Damper) 중 하나일 수 있다.
배기부(200a)는, 건축물(20)의 외부로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부(200a)는, 건축물(20)의 외부에 연결되어 건축물(20)의 내부로 연장되는 배기 덕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220)는 각 층마다 분기되어 각 층의 인접구역(25)과 연결될 수 있다. 배기 덕트(220)에 배기 송풍기(210)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 덕트(220)를 통해 배기 송풍기(210)가 인접구역(25)의 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배기 덕트(220)는, 배기 송풍기(210)가 설치된 최종 배기 덕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220)는, 최종 배기 덕트(221)에 연결된 배기 수직 덕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수직 덕트(223)는 건물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기 덕트(220)는, 배기 수직 덕트(223)에서 각 층마다 분기되어 각 층의 인접구역(25)과 연결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배기 분기 덕트(22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구역(25)의 기체가 배기 분기 덕트(225), 배기 수직 덕트(223), 최종 배기 덕트(221), 배기 송풍기(210)를 거쳐 건축물(20)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배기부(200a)는 배기 덕트(220)에 연결되는 배기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구(230)는 배기 분기 덕트(225)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배기구(230)는 댐퍼(Damper)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30)는, 날개 각도 온오프(On/Off)형 댐퍼(Damper), 날개 각도 제어형 댐퍼(Damper), 개구부 및 날개 각도 온오프(On/Off)형 댐퍼(Damper), 개구부 & 날개 각도 제어형 댐퍼(Damper) 중 하나일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급기 압력 측정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압력 측정기(310)는 급기 송풍기(110)의 전후단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다. 급기 압력 측정기(310)는, 압력 측정 포트(Port)일 수 있다. 급기 압력 측정기(310)는, 급기 송풍기(110)의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급기 압력 측정기(310)는, 급기 송풍기(110)의 전측인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 급기압 측정기(31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급기압 측정기(311)는 급기 송풍기(110)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급기 압력 측정기(310)는, 급기 송풍기(110)의 후측인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 급기압 측정기(313)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급기압 측정기(313)는 급기 송풍기(11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 급기압 측정기(311)와 토출 급기압 측정기(313)를 통해 급기 송풍기(110)의 전후단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다. 급기 압력 측정기(310)로는, 급기 송풍기(110)의 정압 혹은 전압을 측정하는 탭(Tap)이 적용될 수 있다. 급기 송풍기(110)의 전후단 압력차란, 흡입 급기압 측정기(311)와 토출 급기압 측정기(313)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의 차를 의미하거나 혹은 급기 송풍기(110)의 전후단에서 측정된 정압차, 전압차 혹은 팬(Fan) 정압을 의미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급기 압력 측정기(310)의 압력을 센싱(Sensing)하는 급기 차압 트랜스미터(315)(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차압 트랜스미터(315)는 흡입 급기압 측정기(311)와 토출 급기압 측정기(31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배기 압력 측정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압력 측정기(320)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후단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다. 배기 압력 측정기(320)는, 압력 측정 포트(Port)일 수 있다. 배기 압력 측정기(320)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 압력 측정기(320)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측인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 압력 측정기(320)는, 배기 송풍기(210)의 후측인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 배기압 측정기(323)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배기압 측정기(323)는 배기 송풍기(21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와 토출 배기압 측정기(323)를 통해 배기 송풍기(210)의 전후단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다. 배기 압력 측정기(320)로는, 배기 송풍기(210)의 정압 혹은 전압을 측정하는 탭(Tap)이 적용될 수 있다. 배기 송풍기(210)의 전후단 압력차란,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와 토출 배기압 측정기(323)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의 차를 의미하거나 혹은 배기 송풍기(210)의 전후단에서 측정된 정압차, 전압차 혹은 팬(Fan) 정압을 의미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배기 압력 측정기(320)의 압력을 센싱(Sensing)하는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325)는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와 토출 배기압 측정기(32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풍량 조절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풍량 조절기(330)는, 인접구역(25)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풍량 조절기(330)는 배기 송풍기(210)의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풍량 조절기(330)는 배기 덕트(220), 예를 들어 최종 배기 덕트(221)에 설치될 수 있다. 풍량 조절기(330)는 인렛 베인(Inlet vane), 댐퍼(Damper) 또는 배기 송풍기(210)와 연동되는 인버터(Inverter)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a)는, 풍량 제어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풍량 제어기(340)는 급기 차압 트랜스미터(315)와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325)에 연결될 수 있다. 풍량 제어기(340)는, 급기 차압 트랜스미터(315)에서 급기 송풍기(110)의 전후단 압력차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풍량 제어기(340)는,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325)에서 배기 송풍기(210)의 전후단 압력차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풍량 제어기(340)는, 급기 차압 트랜스미터(315) 및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325) 각각에서 전송된 압력 값을 토대로 풍량 조절기(3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급기 송풍기(110)의 운전 풍량은, 화재시에 문(31)이 개방된 층수, 문(31)의 크기, 개방된 댐퍼의 수량 및 각 층의 누설경로 상에 직렬로 연결된 누설 요소 중 최소 누설 요소의 누설면적 등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실제 현장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면서 급기 송풍기(110) 및 배기 송풍기(210)의 제어에 있어서 상호 충돌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배기 송풍기(210)의 운전 풍량이 급기 송풍기(110)의 운전 풍량에 비례하여 제어, 즉 증감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량 제어기(340)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후단 압력차가 급기 송풍기(110)의 전후단 압력차에 비례하여 증감(增減)되도록 풍량 조절기(330)의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풍량 조절기(330)가 상기 인렛 베인 또는 상기 댐퍼일 경우, 풍량 조절기(33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기구(230)가 위치된 인접구역(25)이 과잉 부압 상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인 배기 풍량 제어부(300a)로 급기부(100a)의 제어와 배기부(200a)의 제어간에 발생될 수 있는 충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어구역(23)에 공급하는 기체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급기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제어부(260)는, 건축물(20) 외부의 기체를 제어구역(23)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급기 제어부(260)는, 제어구역(23)과 인접구역(25)의 차압이 적정 범위가 되도록 급기구(130)의 개폐 정도를 제어시킬 수 있다. 급기 제어부(260)는, 급기구(13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급기 제어기(261)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제어기(261)는 제어구역(23)에 위치될 수 있다. 급기 제어기(261)는 급기구(130)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 제어기(261)는 급기구(130)가 형성된 댐퍼를 제어하여 급기구(130)를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급기 제어부(260)는, 제어구역(23)에 설치되는 제어구역용 차압 측정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제어부(260)는, 인접구역(25)에 설치되는 인접구역용 차압 측정부(267)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제어부(260)는, 제어구역용 차압 트랜스미터(2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구역용 차압 트랜스미터(263)는, 제어구역용 차압 측정부(265) 및 인접구역용 차압 측정부(267)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급기 제어부(260)는, 제어구역용 차압 측정부(265) 및 인접구역용 차압 측정부(267)에서 각각 측정된 차압을 토대로 급기 제어기(261)를 제어하여 급기구(13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제연 장치(1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고, 동일한 구성 및 효과는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도 1,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제연 장치(10b)는, 제1 실시예의 제연 장치(10a)와 동일하게 급기부(100b), 배기부(200b), 배기 풍량 제어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제연 장치(10b)는, 화재시 인접구역(25)에 설치된 문(31)이 폐쇄된 상태일 때, 배기 송풍기(210)가 서징 영역에서 운전되어 연기가 제어구역(23)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의 제연 장치(10b)는, 화재시 인접구역(25)의 문(31)이 폐쇄된 상태일 때, 배기부(200b)에 의해 배기가 이루어지면, 시스템(System) 저항 곡선이 가파르게 형성되므로 배기 송풍기(210)가 서징 영역에서 운전되고, 나아가 제어구역(23)의 차압에 헌팅이 일어나서 연기가 제어구역(23)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제2 실시예의 배기부(200b)는, 바이패스 댐퍼(240)(By-Pass Damp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240)는, 배기 덕트(220)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240)는 최종 배기 덕트(221)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240)는, 배기 송풍기(210)보다 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240)와 배기 송풍기(210) 사이에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제연 장치(10b)는, 서징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징 제어부(250)는,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251)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251)는,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흡입 배기압 측정기(321)는 배기 압력 측정기(320) 중에서 배기 송풍기(210)의 전측에 설치될 수 있다.
서징 제어부(250)는, 서징 방지기(253)를 포함할 수 있다. 서징 방지기(253)는,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251)로부터 압력 값을 전송받을 수 있다. 서징 방지기(253)는, 전송받은 압력 값에 연동하여 바이패스 댐퍼(24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서징 방지기(253)는, 배기 송풍기(210)가 서징 영역에서 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징 방지기(253)는 배기 송풍기(210)의 흡입측 정압의 절대값이 서징 영역에서 운전되기 시작하는 풍량, 즉 특정 값 이상일 경우, 바이패스 댐퍼(240)를 개방하여 상기 특정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댐퍼(240)가 개방되면, 건축물(20)의 외부의 기체가 배이패스 댐퍼를 통해 배기 덕트(220)로 유입되어 배기 송풍기(2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구역(23)과 인접구역(25)을 연결하는 문(31)이 폐쇄된 상태일 때, 바이패스 댐퍼(240)가 개방되면 외부 기체가 배기 덕트(220)(최종 배기 덕트(221))로 유입되어 배기 송풍기(210)로 공급되므로, 배기 송풍기(210)가 서징 영역에서 운전되지 않고, 인접구역(25)은 과잉 부압 상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제연 장치(10c)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혹은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 효과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고, 제1,2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 효과는 제1,2 실시예의 설명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제연 장치(10c)는, 제1,2 실시예의 제연 장치(10a,10b)와 동일하게 급기부(100c), 배기부(200c), 배기 풍량 제어부(300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3 실시예는 제1,2실시 예와 달리, 급기 압력 측정기(310), 토출 배기압 측정기(323),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325)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c)는, 배기 압력 측정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압력 측정기(320)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c)는, 배기 풍량 조절기(330a)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풍량 조절기(330a)는 배기 덕트(220), 예를 들어 최종 배기 덕트(221)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 풍량 조절기(330a)는, 인접구역(25)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 풍량 조절기(330a)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측 혹은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배기 풍량 조절기(330a)는 배기 송풍기(210)의 후측에 도시되어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c)는, 급기 풍량 조절기(351)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풍량 조절기(351)는 제어구역(23)의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급기 풍량 조절기(351)는 급기 송풍기(110)의 전측 혹은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급기 풍량 조절기(351)는 급기 송풍기(110)의 후측에 도시되어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c)는, 각도 센서(Sensor) 혹은 알피엠 센서(RPM Sensor)(353)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센서 혹은 알피엠 센서(353)는 급기 풍량 조절기(351)에 연결될 수 있다.
배기 풍량 제어부(300c)는, 풍량 제어기(340a)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센서 혹은 알피엠 센서(353)는 급기 풍량 조절기(351)에서 값을 센싱(Sensing)하고, 센싱한 값은 풍량 제어기(340a)로 전송될 수 있다. 풍량 제어기(340a)는, 각도 센서 혹은 알피엠 센서(353)에서 전송된 값을 토대로 배기 풍량 조절기(330a)를 제어할 수 있다. 풍량 제어기(340a)는, 배기 풍량 조절기(330a)에 걸리는 부하(負荷)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량 제어기(340a)는, 각도 센서 혹은 알피엠 센서(353)에서 전송된 값에 비례하여 배기 풍량 조절기(330a)의 각도 혹은 알피엠(RPM)이 증감(增減)되도록 배기 풍량 조절기(330a)에 걸리는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각도 센서 혹은 알피엠 센서(353)는 센서(353)라고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 혹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달리, 풍량 조절기(330)는 배기 송풍기(210)의 전측에 설치되어 인접구역(25)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자명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a,10b,10c : 제연 장치 20 : 건축물
23 : 제어구역 25 : 인접구역
100a,100b : 급기부 110 : 급기 송풍기
120 : 급기 덕트 130 : 급기구
200a,200b,200c : 배기부 210 : 배기 송풍기
220 : 배기 덕트 230 : 배기구
240 : 바이패스 댐퍼 250 : 서징 제어부
251 :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 253 : 서징 방지기
260 : 급기 제어부 300a,300b,300c : 배기 풍량 제어부
310 : 급기 압력 측정기 320 : 배기 압력 측정기
330 : 풍량 조절기 330a : 배기 풍량 조절기
340,340a : 풍량 제어기 351 : 급기 풍량 조절기
353 : 센서(각도 센서/알피엠 센서)

Claims (6)

  1. 각 층(層)마다 문(門)으로 분리된 제어구역과 인접구역이 마련된 건축물용 제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부의 기체를 흡입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에 연결되고 각 층마다 분기되어 상기 제어구역과 연결되는 급기 덕트를 포함하는 급기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 상기 배기 송풍기에 연결되며 상기 각 층마다 분기되어 상기 인접구역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배기부; 그리고
    상기 급기 송풍기의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되는 급기 압력 측정기(Port),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되는 배기 압력 측정기, 상기 급기 압력 측정기의 압력을 센싱(Sensing)하는 급기 차압 트랜스미터(Transmitter), 상기 배기 압력 측정기의 압력을 센싱(Sensing)하는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 상기 배기 덕트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 혹은 후측에 위치되어 상기 인접구역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기, 상기 급기 및 배기 차압 트랜스미터 각각에서 전송된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풍량 조절기를 제어하는 풍량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기 풍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제어기는, 상기 급기 송풍기의 전측과 후측의 압력차에 비례하여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과 후측의 압력차가 증감(增減)되도록 상기 풍량 조절기의 부하를 제어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
  2. 각 층(層)마다 문(門)으로 분리된 제어구역과 인접구역이 마련된 건축물용 제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부의 기체를 흡입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에 연결되고 각 층마다 분기되어 상기 제어구역과 연결되는 급기 덕트를 포함하는 급기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 상기 배기 송풍기에 연결되며 상기 각 층마다 분기되어 상기 인접구역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배기부;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 혹은 후측에 위치되어 상기 인접구역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 풍량 조절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후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구역의 급기량을 조절하는 급기 풍량 조절기, 상기 급기 풍량 조절기에 연결되는 각도 센서 혹은 알피엠 센서(RPM Sensor), 상기 각도 센서 혹은 상기 알피엠 센서에서 전송된 값을 토대로 상기 배기 풍량 조절기를 제어하는 풍량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기 풍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풍량 제어부의 상기 풍량 제어기는,
    상기 급기 풍량 조절기에 연결된 상기 각도 센서 혹은 알피엠 센서에서 전송된 값에 비례하여, 배기량을 조절하는 상기 배기 풍량 조절기를 제어하되,
    상기 배기 풍량 조절기의 각도 혹은 알피엠(RPM)이 증감(增減)되도록 상기 배기 풍량 조절기의 부하를 제어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기는 인렛 베인(Inlet vane), 댐퍼(Damper) 또는 상기 배기 송풍기와 연동되는 인버터(Inverter)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 송풍기보다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기 덕트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댐퍼(By-Pass Damp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압력 측정기 중에서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에 설치된 흡입 배기압 측정기의 압력을 센싱하는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 상기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로부터 전송받은 압력 값에 연동하여 상기 바이패스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서징 방지기로 구성되는 서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 송풍기보다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기 덕트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댐퍼(By-Pass Damp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풍량 제어부는 상기 배기 송풍기의 전측에 설치되는 배기 압력 측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압력 측정기의 압력을 센싱하는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 상기 바이패스용 트랜스미터로부터 전송받은 압력 값에 연동하여 상기 바이패스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서징 방지기로 구성되는 서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댐퍼가 개방되면, 상기 건축물의 외부의 기체가 상기 바이패스 댐퍼를 통해 상기 배기 덕트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 송풍기로 공급되는,
    건축물용 제연 장치.
KR1020220044403A 2022-04-11 2022-04-11 건축물용 제연 장치 KR10251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03A KR102510349B1 (ko) 2022-04-11 2022-04-11 건축물용 제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03A KR102510349B1 (ko) 2022-04-11 2022-04-11 건축물용 제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999A KR20220107999A (ko) 2022-08-02
KR102510349B1 true KR102510349B1 (ko) 2023-03-15

Family

ID=8284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403A KR102510349B1 (ko) 2022-04-11 2022-04-11 건축물용 제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3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894B1 (ko) * 2019-03-14 2019-08-12 진병래 제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21B1 (ko) * 2007-10-25 2010-02-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894B1 (ko) * 2019-03-14 2019-08-12 진병래 제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999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232B1 (ko) 제연시스템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289665B1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102054889B1 (ko) 급기가압 차압제연장치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1529463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510349B1 (ko) 건축물용 제연 장치
EP2314944A2 (en) An overpressure-based system to protect vertical evacuation routes against smoke infiltration
US11644205B2 (en) Smoke control system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JPS62200122A (ja) 空調装置
KR102205257B1 (ko)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9274A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20220151336A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CN209960700U (zh) 高层建筑的排烟装置
KR200469784Y1 (ko)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KR101912050B1 (ko)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룸을 이용한 소형 배풍시스템
KR200173248Y1 (ko)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CN111609508A (zh) 高层建筑的排烟装置
KR200490733Y1 (ko) 고층건물 제연구역의 과압제어 복합리턴 장치
AU2017205123B2 (en) Relay connection device for forced ventilation equipment, relay connection system including same, and forced ventilation equipment provided with such systems
KR102452102B1 (ko) 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JPS6222938A (ja) クリ−ンル−ムの送排気系
KR20220107998A (ko) 급기 가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