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998A - 급기 가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기 가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998A
KR20220107998A KR1020220029887A KR20220029887A KR20220107998A KR 20220107998 A KR20220107998 A KR 20220107998A KR 1020220029887 A KR1020220029887 A KR 1020220029887A KR 20220029887 A KR20220029887 A KR 20220029887A KR 20220107998 A KR20220107998 A KR 2022010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loor
blower
floor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경
Original Assignee
엄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경 filed Critical 엄태경
Priority to KR102022002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998A/ko
Publication of KR2022010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0HVAC for high buildings, e.g. thermal or pressure differe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급기 가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급기 가압 시스템은, 고층 건물에 외부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 가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1 개의 송풍기와 1 개의 수직 덕트로 제어구역(부속실)과 인접구역(옥내)간에 차압을 제어할 수 있는 급기 가압 시스템이다.

Description

급기 가압 시스템{SUPPLY AIR PRESSURE SYSTEM}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 외부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 가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1 개의 송풍기와 1 개의 수직 덕트로 제어구역(부속실)과 인접구역(옥내)간의 차압을 제어할 수 있는 급기 가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은 수직 방향으로 하층부, 중층부, 상층부로 나눌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2277호(특허문헌 1)에 게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는 화재 시 연기가 피난경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기 가압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급기 가압 시스템은, 두 구획(제어구역인 부속실과 인접구역인 옥내) 사이의 차압을 최소 및 최대 허용 범위 내에서 유지하고, 제어구역의 출입문이 개방될 경우 필요 방연 풍속 이상의 풍량을 공급을 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034호(특허문헌 2)가 있다.
한편, 급기 가압 제연 설비용 수직 덕트 설계 방식은, 금속성 덕트를 연결 덕트와 접합하는‘덕트 급기 가압 방식'과, 통상 콘크리트 재질로 건설되는 승강로를 연결 덕트와 접합하는‘승강로 급기 가압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연결 지점(14)이 건물(50)의 하층부(50a)에 위치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는 '계단용 부속실 급기 가압방식'이 적용되면 약 20~30층 이하인 건축물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승강로 급기 가압 방식'이 적용되면 유속이 낮아 1 개의 송풍기(15)가 담당할 수 있는 층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약 50층 건축물에까지 적용할 수 있는 덕트 설계 방식이다. 도 3의 건물(50)에 ‘승강로 급기 가압 방식’을 적용하면, 연결 지점(14)은 주로 지하층에 연결 지점(14)을 위치되도록 설계되는 편이다. 고층 건물의 경우, 최하층에 가깝게 배치된 1 개의 송풍기(15)만으로는 고층에서의 차압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개의 송풍기(15)와 연결 덕트(13)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급기 가압 시스템이 담당하는 층수가 일정 층수 이상이 되면, 어느 순간, 연결 지점(14)에서 가장 먼 층에 배치된 댐퍼 유닛(20)은 날개(미도시)의 각도가 최대로 회전되어 열리고, 연결 지점(14)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 배치된 댐퍼 유닛(20은) 날개가 열리지 않아 완전히 닫히더라도, 인접구역(IR)과 제어구역(SR) 사이의 차압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층수가 생길 수 있다. 댐퍼의 날개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도 완전 개방 상태의 유로 면적의 약 2% 정도의 누설 틈새가 존재하므로 날개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도 압력이 가해지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댐퍼 전단부 압력이 크면 댐퍼가 완전히 닫혀 있어도 상당한 양의 공기가 공급되어 제어구역 출입문에서 과압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연결 지점(14a, 14b)이 건물(50)의 하층부(50a) 및 중층부(50b)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의 계단용 부속실 급기 가압 방식에 적용하는 덕트 설계 방식이다. 예를 들면, 총 52층 건물(지하 4층 및 지상 48층)의 경우, ‘덕트 급기 가압 방식'을 적용하면, 연결 지점(14a, 14b)이 건물 하층부의 어느 특정 층(통상 건물의 지하층 중 어느 특정 층)과 건물 중층부의 어느 특정 층(예를 들어, 총 52층의 중간 층에서 아래 위로 5개층 내의 어느 특정 층)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는 편이다. 이 경우, 계단 부속실 급기와 관련하여 총 2 개의 송풍기(15a, 15b)가 52 개의 댐퍼 유닛(20)을 담당하므로, 각 송풍기(15a, 15b)마다 26개의 댐퍼 유닛(20)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송풍기(15a, 15b) 설치 및 관리 유지비가 약 2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급기 가압 시스템은, 건물의 하층부에 1 개의 송풍기를 설치하고, 1 개의 송풍기로 급기 가압 시스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중층부에 1 개의 송풍기를 추가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 송풍기에는 1 개의 수직 덕트가 각각 연결되고, 수직 덕트에는 각 층마다 댐퍼 유닛(20)이 연결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 연결된 댐퍼 유닛(20)은, 수직 덕트(12, 12a, 12b)와 연결 덕트(13, 13a, 13b)의 연결 지점(14, 14a, 14b)보다 상측에 더 많이(도 4의 하층부 및 중층부 참조) 혹은 대부분(도 4의 중층부 및 상층부 참조)을 설치하는 형태로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급기 가압 시스템이 운전되면, 송풍기(15, 15a, 15b)의 외기 유입구로부터 연결 지점(14, 14a, 14b)의 직근 층(層)에 위치한 댐퍼 유닛(20)의 출구까지의 경로에서 발생하는 총 압력 손실(제 1 압력 손실)과, 상기 외기 유입구로부터 연결 지점(14, 14a, 14b)에서 가장 먼 층에 위치한 댐퍼 유닛(20) 출구까지의 경로에서 발생하는 총 압력 손실(제 2 압력 손실)은 항상 같다. '연결 지점(14)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 배치된 댐퍼 유닛(20)'과 수평으로 연결되는 위치의 수직 덕트(12) 내부의 압력은 '가장 먼 층에 배치된 댐퍼 유닛(20)'과 수평으로 연결되는 위치의 수직 덕트(12) 내부의 압력보다 높다. 그 양은 두 수직 덕트(12) 위치 사이의 수직 덕트(12)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 손실만큼이다. 그리고 한 개의 송풍기(15)에 연결되는 댐퍼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두 위치간 압력차가 점점 커지고 가장 먼 층의 댐퍼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만큼 충분한 공기량과 압력을 송풍기(15)가 제공하고 있다면, 가장 가까운 층 댐퍼에 연결된 제어구역 출입문에서는 과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점점 증가한다. 통상적으로 한 개의 송풍기(15)가 담당하는 수직 덕트(12)에 연결된 댐퍼의 수량이 약 20~25 개를 넘어서면 과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그 개수가 늘어날수록 과압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송풍기(15)가 공급하는 공기가 각 층으로 분기되는 지점인 연결 지점(14)과 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의 댐퍼 사이의 '거리'가 어떤 한계치를 넘어서면 과압이 발생한다. 여기서 '거리'는 '설치된 댐퍼 수량' 혹은 '건물 층수'로 바꿔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각 층의 댐퍼 유닛들이 연결 지점보다 상측에 많이 설치되는 오래된 관습의 영향권 내에 있는 것이고, 연결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층과 가장 먼 층에 위치한 댐퍼 유닛간의 거리가 특정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 댐퍼를 제어하더라도 상기 제어구역에서 필요로 하는 차압을 허용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는 송풍기 및 수직 덕트와 연결 덕트의 연결 지점이 지상 1 층에 위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연결 지점의 위치나 송풍기의 위치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고, 연결 지점은 고층 건축물의 하층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표현한 것에 가깝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2277호(2011.07.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034호(2018.12.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 개의 송풍기가 담당할 수 있는 건물의 층수를 기존보다 약 2배로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가 설치되는 공간이 감소되어, 송풍기의 설치 관련 비용, 운용에 필요한 공간, 시공 작업량 및 유지 관리 포인트(Point) 등이 감소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최하층(最下層)을 포함하며 복수의 층(層)으로 이루어진 하층부, 상기 건물의 최상층(最上層)을 포함하며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상층부, 상기 하층부와 상기 상층부 사이의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중층부로 이루어진 상기 건물에 마련되는 급기 가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부 공기를 가이드하는 급기 유닛; 상기 복수의 층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층마다 마련된 제어구역과 인접구역 사이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부; 그리고 상기 급기 유닛과 연결되되, 상기 제어구역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공기의 급기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댐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급기 유닛은, 상기 건물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각 층별 댐퍼 유닛에 연결되는 경로가 되는 수직 덕트; 그리고 상기 수직 덕트와 상기 송풍기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덕트는, 상기 하층부부터 상기 중층부를 거쳐 상기 상층부까지 일체형(一體)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수직덕트가 만나는 연결지점은 상기 건물의 중층부에 위치되는, 급기 가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기 가압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기가 공급하는 공기가 각층으로 분기되는 지점인 연결지점과 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의 댐퍼간 거리가 어떤 한계치를 넘어서면 과압이 발생하므로 1 개의 송풍기가 담당할 수 있는 건물의 층수가 제한되는 문제와 관련하여 층수 제한이 기존의 약 2 배로 늘어나는 급기 가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설계 방식으로는 2개의 송풍기를 설치해야 하는 건물에서 1 개의 송풍기만 적용하게 됨으로써 송풍기 설치 공간이 2 곳에서 1 곳으로 감소되어 송풍기의 설치, 운용에 필요한 공간, 시공 작업량 및 유지 관리 포인트(Point) 등이 약 절반으로 감소될 수 있는 급기 가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급기 가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급기 가압 시스템과 관련된 구성도이다.
도 3은, 급기 가압 시스템의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급기 가압 시스템의 또 다른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의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 가압 시스템을 적용한 건물(50)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 가압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계통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층 건물(50)용 제연 설비(除煙設備)의 급기 가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50)은 복수의 층(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물(50)은 지하층(53)(地下層)과 지상층(地上層)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50)은 최하층(51)(最下層)을 포함하는 하층부(5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층부(50a)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층부(50a)는 지하층(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층부(50a)는 지상층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층부(50a)는 건물(50)의 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50)은 최상층(59)(最上層)을 포함하는 상층부(5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층부(50c)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층부(50c)는 지상층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50)은, 하층부(50a)와 상층부(50c) 사이의 중층부(5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층부(50b)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중층부(50b)는 지상층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50)에는, 인접구역(IR), 인접구역(IR)과 제 1 출입문(미도시)으로 분리된 제어구역(SR), 제어구역(SR)과 제2 출입문(미도시)으로 분리된 계단실(ER)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구역(SR)은 인접구역(IR)과 계단실(ER)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계단실(ER)과 제어구역(SR)과 인접구역(IR)은 복수의 층마다 마련될 수 있다.
인접구역(IR)은 활동 공간으로, 옥내라고 할 수 도 있다.
유체의 출입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구역은, 소방 업계에서는 통상 제연구역이라고 하나, 포괄적으로는 제어구역(SR)이라고 할 수 있다. 제어구역(SR)은 부속실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가 가압 시스템은, 상기 건물(50)의 외부 공기를 건물(50)의 내부로 가이드(Guide)하는 급기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급가 가압 시스템은, 복수의 층에 각각 마련되는 차압 측정부(P)를 포함할 수 있다. 차압 측정부(P)는 서로 분리된 제어구역(SR)과 인접구역(IR) 사이의 압력 차이, 즉 차압을 측정할 수 있다. 차압 측정부(P)는 센서(Sensor)를 통해 차압을 측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급가 가압 시스템은, 급기 유닛(100)과 연결되는 복수의 댐퍼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댐퍼 유닛(200)은 복수의 층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제어구역(SR)마다 설치될 수 있다. 댐퍼 유닛(200)은 제어구역(SR)에 연결될 수 있다. 댐퍼 유닛(200)은 제어부(C)의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유닛(200)은 제어구역(SR)에 공급되는 외부 공기의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 유닛(200)은, 차압 측정부(P)에서 측정된 차압을 토대로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 차압 조절형 댐퍼일 수 있다.
댐퍼 유닛(200)과 차압 측정부(P)에 관한 기술로 출원인이 기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22-0007423호(2022.01.18)를 참고할 수 있다.
한편, 급기 유닛(100)은, 건물(50)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10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05)는 건물(50)의 중층부(50b)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급기 유닛(100)은 덕트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부(110)는 유체 흐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체 흐름 경로란, 유체(외부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덕트부(110)는 수직 덕트(120)와 연결 덕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유닛(100)은, 송풍기(105)에 연결되는 수직 덕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덕트(120)는 건물(50)의 상하 방향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직 덕트(120)는, 하층부(50a)부터 중층부(50b)를 거쳐 상층부(50c)까지 일체형(一體)으로 건물(5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50)에는 1 개의 수직 덕트(120)가 최하층(51)부(50a)터 최상층(59)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 덕트(120)의 하측(121)은 최하층(51)에 위치될 수 있다. 수직 덕트(120)의 상측(123)은 최상층(59)에 위치될 수 있다.
수직 덕트(120)에는 건물(50)의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개구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에는 댐퍼 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덕트(120)는 댐퍼 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급기 유닛(100)은, 수직 덕트(120)와 송풍기(105)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덕트(130)는 건물(50)의 중층부(50b)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덕트(130)는 건물(50)에 형성된 복수의 층 중에서 중간층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수직 덕트(120)와 연결 덕트(130)가 연결되는 연결 지점(140)은, 건물(50)의 중층부(50b)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덕트(130)는 수직 덕트(120)의 중간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덕트(130)는 유체의 흐름 방향이 변경되는 복수의 코너(Corner)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덕트(130)는 일측이 송풍기(105)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직 덕트(1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송풍기(105), 연결 덕트(130), 수직 덕트(120), 댐퍼 유닛(200)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제어구역(SR)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연결 지점(140)은 수직 덕트(120)와 연결 덕트(130)가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송풍기(105)의 외기 유입구에서 연결 지점(140)과 가장 가까운 층에 위치된 댐퍼 유닛(209, 219)까지의 총 압력 손실(제 1 압력 손실)과, 송풍기(105)의 외기 유입구에서 연결 지점(140)과 가장 먼 층에 위치된 댐퍼 유닛(201, 211)까지의 총 압력 손실(제 2 압력 손실)은, 항상 동일하다. 이때 상기 두 압력 손실(제 1 압력 손실과 제 2 압력 손실)들이 서로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가장 주도적인 수단은, 댐퍼 유닛(200)의 날개(덮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층에 위치된 댐퍼 유닛(209, 219)의 날개는 외부 공기가 제어구역(SR)에 적게 급기되도록 제어되고, 가장 먼 층에 위치된 댐퍼 유닛(201, 211)의 날개는 외부 공기가 상기 가장 가까운 층에 비해 제어구역(SR)에 많이 급기도록 제어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압력 손실과 제 2 압력 손실이 서로 동일해져야 한다.
그리고, 1 개의 송풍기(105)가 담당할 수 있는 건물(50)의 수직방향 범위(거리)는, 연결 지점(140)과 임의의 댐퍼 유닛(200)이 상하 방향(양방향)으로 이격된 범위가 한계 범위를 넘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수직방향 범위가 편(便)방향이 아니라 양방향(兩方向)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점을 이용하여 1 개의 송풍기(105)로 복수의 댐퍼 유닛(200) 중에서 연결 덕트(130)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댐퍼 유닛(211)과, 복수의 댐퍼 유닛(200) 중에서 연결 덕트(130)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댐퍼 유닛(201)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댐퍼 유닛(200)들이 상기 한계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연결 지점(140)을 중층부(50b)의 중간층에 위치시킴으로써, 중간층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댐퍼 유닛(200)들과 하측에 배치되는 댐퍼 유닛(200)들의 총 개수가 서로 동일하거나 2 개 이상 차이가 나지 않도록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4층 및 지상 48층으로 이루어진 총 52층 건물(50)의 경우, 연결 지점(140)을 최하층(51)으로부터 26번째 층(지상 22층)에 위치시킬 수 있다. 수직 덕트(120)는 연결 지점(140)으로부터 상하측 양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1 개의 송풍기(105)만으로 총 52 개의 댐퍼를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에 따른 급기 가압 시스템은, 1 개의 송풍기(105)로 제어할 수 있는 댐퍼 유닛(200)의 수량이 종래에 비해 약 2 배로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즉 1 개의 송풍기(105)가 담당할 수 있는 건물(50)의 층수가 기존보다 약 2 배로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종래 기술처럼 수직 덕트(120)를 2 개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고층 건물(50)용 제연 설비의 정상적인 급기 가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고층 건물(50)이란 약 60층 이하의 건물(50)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와 달리 건물(50)이 60층일 경우, 연결 지점(140)은 건물(50)의 30층 또는 31층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30층 또는 31층을 중간층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기(105)의 설치 공간이 두 곳에서 한 곳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송풍기(105)의 설치 관련 비용, 운용에 필요한 공간, 시공 작업량 및 유지 관리 포인트(Point) 등이 약 절반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계, 시공, 유지보수 비용 등의 측면에서도 종래 기술들보다 유리한데, 아직 현장에서 본 발명과 같은 방안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자명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급기 가압 시스템
50 : 건물
50a : 하층부
50b : 상층부
50c : 중층부
100 : 급기 유닛
105 : 송풍기
110 : 덕트부
120 : 수직 덕트
130 : 연결 덕트
140 : 연결 지점
200 : 댐퍼 유닛
P : 차압 측정부

Claims (1)

  1. 건물의 최하층(最下層)을 포함하며 복수의 층(層)으로 이루어진 하층부, 상기 건물의 최상층(最上層)을 포함하며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상층부, 상기 하층부와 상기 상층부 사이의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중층부로 이루어진 상기 건물에 마련되는 급기 가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부 공기를 가이드하는 급기 유닛;
    상기 복수의 층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층마다 마련된 제어구역과 인접구역 사이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 측정부; 그리고
    상기 급기 유닛과 연결되되, 상기 제어구역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공기의 급기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댐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급기 유닛은,
    상기 건물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는 수직 덕트; 그리고
    상기 수직 덕트와 상기 송풍기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덕트는, 상기 하층부부터 상기 중층부를 거쳐 상기 상층부까지 일체(一體)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 덕트와 상기 수직 덕트가 만나는 연결 지점은 상기 건물의 중층부에 위치되는,
    급기 가압 시스템.
KR1020220029887A 2022-03-10 2022-03-10 급기 가압 시스템 KR20220107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87A KR20220107998A (ko) 2022-03-10 2022-03-10 급기 가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87A KR20220107998A (ko) 2022-03-10 2022-03-10 급기 가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998A true KR20220107998A (ko) 2022-08-02

Family

ID=8284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887A KR20220107998A (ko) 2022-03-10 2022-03-10 급기 가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99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77A (ko) 2010-01-11 2011-07-19 김용광 급기가압 제연장치
KR101934034B1 (ko) 2016-09-08 2018-12-31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77A (ko) 2010-01-11 2011-07-19 김용광 급기가압 제연장치
KR101934034B1 (ko) 2016-09-08 2018-12-31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7529B2 (ja) 階段吹き抜け及び給気シャフトを有する高層ビル
US9388995B2 (en) Interior zone pressurizatio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the stack effect problems
JP2012504994A5 (ko)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JP2008508163A (ja) 室内の空気圧管理
KR20210019251A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1185801B1 (ko) 고층건물의 제연 댐퍼 시스템
KR101529463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220107998A (ko) 급기 가압 시스템
KR200393245Y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CN217423530U (zh) 一种汽车库通风及排烟系统
KR102645959B1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JP4526174B2 (ja) 高層集合住宅及び加圧防排煙方法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CN209960700U (zh) 高层建筑的排烟装置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2205257B1 (ko)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102510349B1 (ko) 건축물용 제연 장치
CN111609508A (zh) 高层建筑的排烟装置
KR102493971B1 (ko) 자동 차압 조절 댐퍼 및 그 제어 방법
KR1026469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KR102413971B1 (ko) 급기가압 시스템의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 및 이의 운영방법
KR20220170319A (ko)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JP2022165223A (ja) 加圧防排煙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