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962B1 -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962B1
KR102508962B1 KR1020220060729A KR20220060729A KR102508962B1 KR 102508962 B1 KR102508962 B1 KR 102508962B1 KR 1020220060729 A KR1020220060729 A KR 1020220060729A KR 20220060729 A KR20220060729 A KR 20220060729A KR 102508962 B1 KR102508962 B1 KR 10250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annealing line
annealing
bund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평우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
Priority to KR102022006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6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winding-up or winding-off several parallel metal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08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terial
    • B21C47/3416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terial with lateral edge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구조물결합용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생성장치가, 소둔선이 텐션이 약한 상태인 측면방향에서 공급되고, 소둔선롤생성모듈에서 가압롤러만을 통해 소둔선이 환형상이 되도록 가압시켜줄 뿐, 환형 소둔선이 형성되도록 자체에 텐션이 있도록 타이트하게 형성시켜주는 구성과, 환형 소둔선을 롤링 라이너로 안내시켜주는 구성이 없어,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낙하되지 않고, 헝클어져서 낙하되어 기기부품와의 걸림현상의 문제점과, 환형 소둔선 이송시, 하단방향의 트라이앵글 꼭지점 세점이 외압에 의해 눌러지거나, 또는 다른 기기에 걸려서 끊어지거나, 풀어져버리는 문제점, 그리고, 계량의 자동화가 어렵고, 무엇보다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의 직경과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양질의 환형 소둔선을 생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100),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 "X"자형 집게지그부(300),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400),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500),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600),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700), PLC 컨트롤러모듈(800)로 구성됨으로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는 無엉킴형 양질의 환형 소둔선 다발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고,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여 계량한 자동제어를 통해, 환형 소둔선을 사용목적 및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맞춤제어할 수가 있어, 품질 및 생산성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고, 불량율을 10% 이내로 줄일 수 있으며,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방법으로 1일 철선작업에서 완제품까지 최대 3.5명 필요인원을 최소 1.5명으로 줄이며, 자동화생산으로 3.5톤 생산량을 8톤 생산으로 안정된 생산 공급 및 비숙련자도 생산가능 시스템을 구축시킬 수 있고, 인건비 절감으로 기업이윤 증대와 함께, 원가절감에 따른 판매 경쟁력확보와 수출증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bundles of annular annealed wire without tangling}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을 전달받아 환형 소둔선을 거쳐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엉킴없이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여,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맞춤생성되도록 제어시킬 수 있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둔선은 환형상으로 이루어져 각목 결속, 파이프 묶음 등의 구조물 결합에 주로 이용된다.
종래의 환형 소둔선 생성장치는 전체공정이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해야 하므로, 인건비의 상승요인으로 인해 제품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형 소둔선의 정확한 수량계측이 어려워 작업자의 눈짐작과 무게만으로 환형 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시간에 원자재 공급(환형 소둔선 롤(Roll))이 어려워 기기의 전원을 올스톱시킨 후, 다시 가동시켜야 하므로, 에러가 많이 발생되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1290638호에서는 "구조물결합용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단지, 소둔선이 텐션이 약한 상태인 측면방향에서 공급되고, 소둔선롤생성모듈에서 가압롤러만을 통해 소둔선이 환형상이 되도록 가압시켜줄 뿐, 환형 소둔선이 형성되도록 자체에 텐션이 있도록 타이트하게 형성시켜주는 구성과, 환형 소둔선을 롤링 라이너로 안내시켜주는 구성이 없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낙하되지 않고, 헝클어져서 낙하되어 기기부품와의 걸림현상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환형 소둔선 자동묶음모듈을 통해 자동묶음시, 환형 소둔선의 하단방향에서 트라이앵글 꼭지점 세점으로 자동묶어지기 때문에, 환형 소둔선 이송시, 하단방향의 트라이앵글 꼭지점 세점이 외압에 의해 눌러지거나, 또는 다른 기기에 걸려서 끊어지거나, 풀어져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기존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생성장치의 경우에, 단지, 환형 소둔선 다발만을 생성시키는데 목적을 뒀기 때문에, 계량의 자동화가 어렵고, 무엇보다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의 직경과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양질의 환형 소둔선을 생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290638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는 無엉킴형 양질의 환형 소둔선 다발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고,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여 계량한 자동제어를 통해, 환형 소둔선을 사용목적 및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맞춤제어할 수가 있으며, 인건비 절감으로 기업이윤 증대와 함께, 원가절감에 따른 판매 경쟁력확보와 수출증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는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을 전달받아 환형 소둔선을 거쳐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엉킴없이 자동으로 생성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을 공급받아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을 기준으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소둔선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의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쪽으로 공급시키는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100)과,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는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과,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과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을 통해, 형성된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킨 후,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동에 따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쪽으로 이동되는 "X"자형 집게지그부(300)와,
"X"자형 집게지그부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환형 소둔선이 얹혀진 "X"자형 집게지그부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이 위치한 X축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400)과,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500)과,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을 집게로 집어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진입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상에 집게로 집은 환형 소둔선을 위치시킨 후, 쓰리포인트의 상단방향 묶음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600)과,
원통형상으로 돌출되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중앙이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거치시키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700)과,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 "X"자형 집게지그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과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면서,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여,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맞춤생성되도록 제어시키는 PLC 컨트롤러모듈(800)이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는 無엉킴형 양질의 환형 소둔선 다발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다.
둘째,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여 계량한 자동제어를 통해, 환형 소둔선을 사용목적 및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맞춤제어할 수가 있어, 품질 및 생산성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고, 불량율을 10% 이내로 줄일 수 있다.
셋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방법으로 1일 철선작업에서 완제품까지 최대 3.5명 필요인원을 최소 1.5명으로 줄이며, 자동화생산으로 3.5톤 생산량을 8톤 생산으로 안정된 생산 공급 및 비숙련자도 생산가능 시스템을 구축시킬 수 있고, 인건비 절감으로 기업이윤 증대와 함께, 원가절감에 따른 판매 경쟁력확보와 수출증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집게지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집게지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집게 지그로 이루어진 삼각형 집게 지그부(300a)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을 통해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소둔선 집게로봇을 통해 환형소둔선을 집게로 들어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PLC 컨트롤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PLC 컨트롤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1은 기존 특허에 따른 환형소둔선 엉킴현상과, 본 특허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을 비교한 일실시예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방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를 통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과 기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1290638호("구조물결합용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와의 큰 차이점은 본 출원인((주)명진에스앤티)은 공동출원인((주)대원)과 함께, 수년간의 연구와 실험을 통해, 환형 소둔선의 엉킴현상을 방지하고자,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 롤링 리니어 접촉 으로, 엉킴없이 ,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형성 시킨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다.
또 다른 차이점은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로 공급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공급한다는 점이고, 걸림현상이 많이 발생되는 기존의 하단 묶음이 아닌 ,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킨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소둔선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강선재를 냉간가공 후 600~900℃로 10~11시간 정도 열처리한 것으로서, 각목 결속, 파이프 묶음 등과 같은 구조물 결합용으로 사용된다.
이는 선지름이 0.81~2.00mm, 2.01~3.20mm, 3.21~6.00mm, 6.01mm 초과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고, 인장강도는 260~400N/m2의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철선의 규격(#6, #8, #10, #12, #24)은 번호가 클수록 직경은 작다.
#6은 6번선으로서, 직경 4.8mm이고, 토목용 벽체거푸집 보강시나 철근 다발을 묶을 때 사용된다.
#8은 8번선으로서, 직경 4mm이고, 거푸집의 고정시, 보통 힘으로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10은 10번선으로서, 직경 3.2mm이고, 10번 반생이라고 부르는 제품으로 거푸집공사시에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12는 12번선으로서, 직경 2.6mm이고, 거푸집공사시에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24은 24번선으로서, 직경 0.5mm이고, 철근결속용으로 매우 얇은 철선으로 일반적으로 결속선이라고 부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100),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 "X"자형 집게지그부(300),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400),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500),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600),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700), PLC 컨트롤러모듈(8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100)은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을 공급받아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을 기준으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소둔선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의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쪽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형 몸체(110), 피어싱관통구(120), 제1 안내롤러부(130), 제2 안내롤러부(140), 원통드럼투입구(150), 상단루프형 텐션롤러부(1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ㄱ"자형 몸체(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ㄱ"자형 몸체(110)는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 방향쪽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단 일측에 피어싱관통구가 형성되고, 피어싱관통구 일측에 제1 안내롤러부가 형성되며, 제1 안내롤러부 일측에 제2 안내롤러부가 형성되고,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의 상단 표면상에 원통드럼투입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관통구(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피어싱관통구(120)는 "ㄱ"자형 몸체의 전단 일측에 위치되고,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과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소둔선 롤(Roll)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이 제1 텐션 안내롤러부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는 피어싱관통구조로 형성되어, 소둔선 표면에 뭍은 이물질을 마찰을 통해 제거할 수가 있다.
그리고, "ㄱ"자형 몸체의 전단 일측에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1
"자 형상의 봉프레임(120a)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안내롤러부(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안내롤러부(130)는 피어싱관통구를 통과하는 소둔선을 제2 텐션 안내롤러부로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직의 거치브라켓과 안내롤러로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안내롤러부(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안내롤러부는 제1 안내롤러부로부터 전달받은 소둔선을 하단의 원통드럼투입구쪽으로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직의 거치브라켓과 안내롤러로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원통드럼투입구(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원통드럼투입구(150)는 제2 안내롤러부로부터 전달받은 소둔선을 하단에 위치한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의 내부공간쪽으로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중공홀이 형성된 원통드럼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의 상단표면에 형성되고,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원통드럼투입구의 내벽일측에 소둔선감지센서(15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소둔선감지센서(151)는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의 내부공간쪽으로 안내시키는 소둔선을 감지하여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상단루프형 텐션롤러부(1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상단루프형 텐션롤러부(160)는 원통드럼투입구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제2 안내롤러부로부터 전달받은 소둔선을 텐션을 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기기가 정지상태가 되었을 때, 소둔선이 원통드럼투입구 하단쪽으로 빠져버리거나, 현재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현재 위치에서 소둔선이 정위치되도록 잡아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은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이라는 것은 PLC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직경 3.2mm 환형 소둔선을 엉킴없이, 사용 중량 50m로 맞춤형으로 커팅시키거나, 또는 PLC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직경 4mm 환형 소둔선을 엉킴없이, 사용길이 30m로 맞춤형으로 커팅시키거나, 또는 PLC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직경 4.7mm 환형 소둔선을 엉킴없이, 사용길이 25m로 맞춤형으로 커팅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無엉킴적층모듈본체(210), 환형상용 회전 드럼(220), 회전모터(230),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240),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250), 구름접촉 평탄화부(260), 회전수카운팅센서부(270), 커팅부(280),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290),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290a)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無엉킴적층모듈본체(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無엉킴적층모듈본체(210)는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ㄷ"형상의 내부공간 일측에 직립의 수직방향으로 환형상용 회전 드럼이 형성되고, 환형상용 회전 드럼 상단 일측에 회전모터가 형성되며,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일측에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가 형성되고,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의 반대편인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타측에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가 형성되며,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 일측에 구름접촉 평탄화부가 형성되고, 구름접촉 평탄화부 일측에 회전수카운팅센서부가 형성되며, 환형상용 회전 드럼 하단에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가 형성되고,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동일선상에 커팅부가 형성되며,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의 하단에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환형상용 회전 드럼(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환형상용 회전 드럼(220)은 無엉킴적층모듈본체의 내부에 수직의 직립구조로 형성되고,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통해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된 소둔선을, 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모터(230)는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2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240)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지지 거치부(241), "ㄱ"자형 지지암(242), 삼각형상 텐션 롤러(243)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지지 거치부(241)는 "ㄱ"자형 지지암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ㄱ"자형 지지암(242)은 바닥지지 거치부에 의해 거치 지지되면서, 텐션롤러가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5cm~15cm로 이격되어위치되도록, 삼각형상 텐션롤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삼각형상 텐션롤러(243)는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바닥지지 거치부(241), "ㄱ"자형 지지암(242), 삼각형상 텐션 롤러(243)로 이루어진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240)를 통해,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5cm~15cm로 이격되어위치되고,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2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250)는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과 반대되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 상단 타측에 위치되어,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a 상단 가이드롤러(251), 제2b 상단 가이드롤러(252), 지그재그형 텐션 롤러부(253)로 구성된다.
상기 제2a 상단 가이드롤러(251)는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전달받아 제2b 상단 가이드롤러쪽으로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5cm~15cm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5cm~15cm로 이격되어 형성시키는 이유는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된 소둔선을 반바퀴를 지나 동일선상에서 전달받아, 1차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을 손실되지 않고, 그대로 제2b 상단 가이드롤러쪽으로 안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b 상단 가이드롤러(252)는 제2a 상단 가이드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소둔선을 지그재그형 텐션 롤러부쪽으로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그재그형 텐션 롤러부(253)는 제2b 상단 가이드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ㄷ"자형 거치브라켓(253a), 지그재그형 롤러부(253b)로 구성된다.
상기 "ㄷ"자형 거치브라켓(253a)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그재그형 롤러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그재그형 롤러부(253b)는 5개의 롤러로 형성되어,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하단 일측에 위치된 채, 5cm~15cm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회전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킨 소둔선을,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하단 일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킨 소둔선을,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하단 일측에 위치시킴으로서, 구름접촉 평탄화부에 의해 구름접촉하면서, 소둔선 표면을 평탄화작업을 수행시킬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구름접촉 평탄화부(2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구름접촉 평탄화부(260)는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된 소둔선 표면을 구름접촉하면서 평탄화작업과 함께, 소둔선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림역할을 수행 한다.
여기서, 물림역할이라는 것은 기기 구동이 멈췄을 때, 구름접촉된 소둔선이 중력의 힘에 의해 하단방향으로 통째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름접촉되면서 잡아주는 것을 말한다.
상기 구름접촉 평탄화부(26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거치프레임(261), 구름접촉롤러(262)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거치프레임(261)은 수직구조로 형성되어, 구름접촉롤러가 환형상용 회전드럼의 표면에 위치한 소둔선과 구름접촉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름접촉롤러(262)는 소둔선과 구름접촉하면서, 소둔선 표면을 평탄화작업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카운팅센서부(2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수카운팅센서부(270)는 구름접촉 평탄화부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소둔선의 회전수를 카운팅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PLC컨트롤러부에서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기 위해 카운팅센싱된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2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커팅부(280)는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환형 소둔선 일측을 커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의 음각의 커팅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29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290)는 원통형의 표면 롤링구조로 형성되어, 환형상용 회전드럼,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통해,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낙하시켜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쪽으로 거치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 회전이음부(291), 일자형 브릿지부(292),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293)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 회전이음부(291)는 환형상용 회전드럼의 하단 중심축에 위치되어, 환형상용 회전드럼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자형 브릿지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일자형 브릿지부(292)는 중심축 회전이음부와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중심축 회전이음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293)는 표면상에 음각의 라운딩띠가 형성되어,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롤링 리니어(선)접촉되면서,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으로 낙하시켜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환형 소둔선용 거치지그부쪽으로 적층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통드럼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표면상에 롤링 리니어(선) 접촉을 위한 음각의 라운딩띠가 형성되고,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음각의 커팅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음각의 라운딩띠는 음각홈이 깊이 형성되지 않고, 0.5mm~1.5mm 깊이로 형성되어,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이 롤링(회전)되면서 리니어(선)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293)는 일자형 브릿지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롤링 리니어(선)접촉하면서, 소둔선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으로 낙하시킨다.
즉, 중력낙하 방식은 소둔선 자체의 무게에 의해 낙하되면서 발생된다.
그리고, "X"자형 집게지그부(300)가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과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을 통해, 형성된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킴으로서, 중력 낙하시 "X"자형 집게지그부와의 충돌과정 중에서도 엉킴이 생기지 않게된다.
이때, 롤링 리니어(선)접촉과 중력낙하 원리를 통해,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환형 소둔선용 거치지그부쪽으로 적층되도록 안내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음각의 커팅홈은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이 음각의 커팅홈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때, 음각의 커팅홈을 따라 커팅기 자동으로 인입되면서,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이 커팅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열째,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290a)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290a)는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에어실린더의 힘으로 승강구동되어,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10cm~20cm 하단에 근접 위치되면서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을 마중나가서 거치시킨 후, 에어실린더의 힘으로 하강구동되어, 하단의 "X"자형 집게지그부에 환형 소둔선을 얹어 놓고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형 모듈본체(290a-1), 승하강용 에어실린더부(290a-2), 트윈형 거치부(290a-3)로 구성된다.
상기 원반형 모듈본체(290a-1)는 원반형구조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하강용 에어실린더부(290a-2)는 양팔형 모듈본체의 모서리부위에 각각 승하강용 에어실린더가 형성되어, 트윈형 거치부를 동시에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피스톤과 실린더로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PLC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즉, 에어실린더의 힘으로 승강구동되어,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10cm~20cm 하단에 근접 위치되면서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을 마중나가서 거치시킨 후, 에어실린더의 힘으로 하강구동되어, 하단의 "X"자형 집게지그부에 환형 소둔선을 얹어 놓고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동된다.
상기 마중나간다는 표현은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10cm~20cm 하단에 근접 위치되면서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을 마중 나가듯이 받아주는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해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10cm~20cm 하단에 근접 위치되면서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을 마중 나가듯이 받아줌으로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하단방향의 "X"자형 집게지그부쪽으로 얹어 놓고 올 수가 있다.
상기 트윈형 거치부(290a-3)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이루어진 거치바 2개가 트윈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을 그대로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직립의 수직구조로 이루어진 거치바 2개가 트윈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는 것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내부방향에 2개의 거치바가 나란히 형성되어, 트윈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내부방향에 형성된 2개의 거치바 일측에 원반형의 거치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트윈형 거치부(290a-3)는 바닥면 내부공간에 제1 무게감지센서부(290a-3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무게감지센서부(290a-3a)는 트윈형 거치부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거치되는 환형 소둔선의 무게를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로드셀로 구성된다. PLC 컨트롤러부와 연결되어, 무게센싱신호를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집게지그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X"자형 집게지그부(300)는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과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을 통해, 형성된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킨 후,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동에 따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쪽으로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용 지그몸체(310),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320), 제1 채널 집게지그부(330), 제2 채널 집게지그부(340), 제3 채널 집게지그부(350), 제4 채널 집게지그부(3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지그몸체(3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거치용 지그몸체(310)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중심부에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가 형성되고,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를 기준으로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반시계방향 45도 인 곳에 제1 채널 집게지그부가 형성되며, 반시계방향 135도 인 곳에 제2 채널 집게지그부가 형성되고, 반시계방향 225도 인 곳에 제3 채널 집게지그부가 형성되며, 반시계방향 315도 인 곳에 제4 채널 집게지그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3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320)는 거치용 지그몸체의 중심축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의 힘으로 제1 채널 집게지그부, 제2 채널 집게지그부, 제3 채널 집게지그부, 제4 채널 집게지그부에 위치한 접이식 집게지그를 내부방향으로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링 액츄에이터부(321), 제1 집게지그 구동부(322), 제2 집게지그 구동부(323), 제3 집게지그 구동부(324), 제4 집게지그 구동부(325)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링 액츄에이터부(321)는 액츄에이터의 힘으로 제1 집게지그 구동부, 제2 집게지그 구동부, 제3 집게지그 구동부, 제4 집게지그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집게지그 구동부(322)는 제1 채널 집게지그부의 제1 접이식 집게지그와 축결합되고, 센터링 액츄에이터부로부터 액츄에이터의 힘을 전달받아, 제1 접이식 집게지그를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집게지그 구동부(323)는 제2 채널 집게지그부의 제2 접이식 집게지그와 축결합되고, 센터링 액츄에이터부로부터 액츄에이터의 힘을 전달받아, 제2 접이식 집게지그를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집게지그 구동부(324)는 제3 채널 집게지그부의 제3 접이식 집게지그와 축결합되고, 센터링 액츄에이터부로부터 액츄에이터의 힘을 전달받아, 제3 접이식 집게지그를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집게지그 구동부(325)는 제4 채널 집게지그부의 제4 접이식 집게지그와 축결합되고, 센터링 액츄에이터부로부터 액츄에이터의 힘을 전달받아, 제4 접이식 집게지그를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채널 집게지그부(3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채널 집게지그부(330)는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4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1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식 집게지그(331), 제1 접이식 집게지그(3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식 집게지그(331)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환형 소둔선이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접이식 집게지그(332)는 제1 고정식 집게지그를 동일선상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내부방향으로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되어, 환형 소둔선 일측이 정위치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고정식 집게지그(331), 제1 접이식 집게지그(332)는 환형 소둔선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집게지그 끝단에 "ㄱ"형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채널 집게지그부(3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채널 집게지그부(340)는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13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2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식 집게지그(341), 제2 접이식 집게지그(34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고정식 집게지그(341)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환형 소둔선이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접이식 집게지그(342)는 제2 고정식 집게지그를 동일선상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내부방향으로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되어, 환형 소둔선 타측이 정위치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고정식 집게지그(341), 제2 접이식 집게지그(342)는 환형 소둔선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집게지그 끝단에 "ㄱ"형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3 채널 집게지그부(3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3 채널 집게지그부(350)는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22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3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고정식 집게지그(351), 제3 접이식 집게지그(352)로 구성된다.
상기 제3 고정식 집게지그(351)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환형 소둔선이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3 접이식 집게지그(352)는 제3 고정식 집게지그를 동일선상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내부방향으로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되어, 환형 소둔선 일측이 정위치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고정식 집게지그(351), 제3 접이식 집게지그(352)는 환형 소둔선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집게지그 끝단에 "ㄱ"형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4 채널 집게지그부(3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 채널 집게지그부(360)는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31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2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고정식 집게지그(361), 제4 접이식 집게지그(362)로 구성된다.
상기 제4 고정식 집게지그(361)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환형 소둔선이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4 접이식 집게지그(362)는 제4 고정식 집게지그를 동일선상에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내부방향으로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되어, 환형 소둔선 타측이 정위치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고정식 집게지그(361), 제4 접이식 집게지그(362)는 환형 소둔선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집게지그 끝단에 "ㄱ"형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또한, 거치용 지그몸체(310),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320), 제1 채널 집게지그부(330), 제2 채널 집게지그부(340), 제3 채널 집게지그부(350), 제4 채널 집게지그부(360)로 이루어진 "X"자형 집게지그부(300)는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집게 지그로 이루어진 삼각형 집게 지그부(300a)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400)은 "X"자형 집게지그부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환형 소둔선이 얹혀진 "X"자형 집게지그부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이 위치한 X축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모듈본체(410), "X"자형 집게지그부용 연결브라켓(420), 연결브라켓이송레일(430), 이송레일구동모터(44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모듈본체(410)는 길이방향의 테이블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과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한 "X"자형 집게지그부를 스타트지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센싱시키는 제1 위치센서(4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PLC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송레일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이송레일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연결브라켓이송레일이 회전되며, 연결브라켓이송레일에 연결된 "X"자형 집게지그부용 연결브라켓이 X축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한다.
이때, "X"자형 집게지그부가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에 위치하게 되는 곳을 엔드지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센싱시키는 제2 위치센서(4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X"자형 집게지그부용 연결브라켓(420)은 "X"자형 집게지그부 하단에 위치되고, 연결브라켓이송레일 상에 위치되어, "X"자형 집게지그부를 하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이송레일(430)은 이송레일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X"자형 집게지그부용 연결브라켓을 X축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두개의 이송레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송레일 양쪽 끝단에 회전기어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된다.
상기 이송레일구동모터(440)는 연결브라켓이송레일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50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10), 제2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20), 제3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10)는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120도 인 곳에 위치되어,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중 하나의 원 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동묶음본체(511), 제1 X축이송 안내레일부(512), 제1 직립형 지지프레임(513),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14),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515),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1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자동묶음본체(511)는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2
" 입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X축이송 안내레일부(512)는 제1 직립형 지지프레임을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X축의 직선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직립형 지지프레임(513)은 직립의 수직구조로 형성되어,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시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14)는 제1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자형 묶음 철사를 인입시켜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정위치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515)는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자형 묶음 철사를 지그로 집은 채,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어, 환형 소둔선을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으로 감싸 안은 형태로 형성시키면서,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가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을 수 있도록 하단방향에서 일자형 묶음 철사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와 X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와 Y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 승하강 집게 지그(515a), 제1 승하강 액츄에이터부(515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승하강 집게 지그(515a)는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두개의 트윈집게를 통해 일자형 묶음 철사를 텐션있게 잡아주면서, 제1 승하강 액츄에이터부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승하강 액츄에이터부(515b)는 제1 승하강 집게 지그를 액츄에이터의 힘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16)는 제1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고,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와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승하강되면서,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은 채 회전시켜,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516a), 제1 회전 묶음 지그 회전모터(516b), 제1 회전 묶음 지그 액츄에이터부(516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516a)는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와 동일선상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승하강되면서,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은 채 회전시켜,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회전 묶음 지그 회전모터(516b)는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회전 묶음 지그 액츄에이터부(516c)는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를 승하강시키는 액츄에이터의 힘을 전달시킨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20)는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240도 인 곳에 위치되어,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중 하나의 원 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자동묶음본체(521), 제2 X축이송 안내레일부(522), 제2 직립형 지지프레임(523),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24),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525),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26)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자동묶음본체(521)는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3
" 입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X축이송 안내레일부(522)는 제2 직립형 지지프레임을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X축의 직선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직립형 지지프레임(523)은 직립의 수직구조로 형성되어,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시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24)는 제2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자형 묶음 철사를 인입시켜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정위치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525)는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자형 묶음 철사를 지그로 집은 채,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어, 환형 소둔선을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으로 감싸 안은 형태로 형성시키면서,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가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을 수 있도록 하단방향에서 일자형 묶음 철사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와 X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와 Y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 승하강 집게 지그(525a), 제2 승하강 액츄에이터부(525b)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승하강 집게 지그(525a)는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두개의 트윈집게를 통해 일자형 묶음 철사를 텐션있게 잡아주면서, 제2 승하강 액츄에이터부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승하강 액츄에이터부(525b)는 제2 승하강 집게 지그를 액츄에이터의 힘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26)는 제2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고,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와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승하강되면서,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은 채 회전시켜,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526a), 제2 회전 묶음 지그 회전모터(526b), 제2 회전 묶음 지그 액츄에이터부(526c)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526a)는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와 동일선상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승하강되면서,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은 채 회전시켜,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회전 묶음 지그 회전모터(526b)는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회전 묶음 지그 액츄에이터부(526c)는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를 승하강시키는 액츄에이터의 힘을 전달시킨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3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3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30)는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240도 인 곳에 위치되어,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중 하나의 원 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자동묶음본체(531), 제3 X축이송 안내레일부(532), 제3 직립형 지지프레임(533),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34),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535),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36)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자동묶음본체(531)는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4
"입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X축이송 안내레일부(532)는 제3 직립형 지지프레임을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X축의 직선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직립형 지지프레임(533)은 직립의 수직구조로 형성되어,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시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34)는 제3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자형 묶음 철사를 인입시켜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정위치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535)는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자형 묶음 철사를 지그로 집은 채,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어, 환형 소둔선을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으로 감싸 안은 형태로 형성시키면서,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가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을 수 있도록 하단방향에서 일자형 묶음 철사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와 X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와 Y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3 승하강 집게 지그(535a), 제3 승하강 액츄에이터부(535b)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승하강 집게 지그(535a)는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두개의 트윈집게를 통해 일자형 묶음 철사를 텐션있게 잡아주면서, 제3 승하강 액츄에이터부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3 승하강 액츄에이터부(535b)는 제3 승하강 집게 지그를 액츄에이터의 힘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36)는 제3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고,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와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승하강되면서,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은 채 회전시켜,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536a), 제3 회전 묶음 지그 회전모터(536b), 제3 회전 묶음 지그 액츄에이터부(536c)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536a)는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와 동일선상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쪽으로 승하강되면서, 환형 소둔선을 감싸 안은 일자형 묶음 철사 양단을 잡은 채 회전시켜,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회전 묶음 지그 회전모터(536b)는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직립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 회전 묶음 지그 액츄에이터부(536c)는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를 승하강시키는 액츄에이터의 힘을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600)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을 집게로 집어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진입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상에 집게로 집은 환형 소둔선을 위치시킨 후, 쓰리포인트의 상단방향 묶음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5
"형 이송모듈본체(610), 환형소둔선 집게로봇(620), 집게로봇용 X축 이송모듈(630), 집게로봇용 Y축 이송모듈(640)로 구성된다.
상기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6
"형 이송모듈본체(610)는 "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집게로봇용 X축 이송모듈이 형성되고, Y축방향인 직립의 길이방향쪽에 집게로봇용 Y축 이송모듈이 형성되며, 집게로봇용 Y축 이송모듈 상에 환형 소둔선 집게로봇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환형소둔선 집게로봇(62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소둔선을 집게로 들어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집게로봇을 오므렸다가 펼치는 서보모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집게로봇용 X축 이송모듈(63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소둔선을 집게로 집은 환형소둔선 집게로봇을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에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까지 X축방향의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그 X축방향의 안내레일 상에 X축 안내레일용 액츄에이터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7
"형 이송모듈본체의 하단에 위치되어, 환형소둔선 집게로봇과 집게로봇용 Y축 이송모듈을 통째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게로봇용 Y축 이송모듈(64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소둔선을 집게로 집은 환형소둔선 집게로봇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Y축방향은 직립의 수직구조의 방향을 말한다.
이는 "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8
"형 이송모듈본체의 직립의 수직방향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Y축방향의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그 Y축방향의 안내레일 상에 Y축 안내레일용 액츄에이터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환형소둔선 집게로봇을 통째로 Y축방향으로 승하강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700)은 원통형상으로 돌출되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중앙이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의 무게를 센싱시키는 제2 무게감지센서부(7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PLC 컨트롤러모듈(8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PLC 컨트롤러모듈(800)은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 "X"자형 집게지그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과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면서,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여,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맞춤생성되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810), 메모리부(820), 마이크로프로세서부(830), 출력부(84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8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입력부(810)는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 "X"자형 집게지그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에 위치한 소둔선 회전수 카운팅 센싱신호, 무게감지센싱신호, 위치센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연산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소둔선감지센서(151)가 연결되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의 내부공간쪽으로 안내시키는 소둔선을 감지하여 센싱한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회전수카운팅센서부(270)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소둔선의 회전수를 카운팅센싱한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무게감지센서부(370)가 연결되어, 제1 채널 집게지그부, 제2 채널 집게지그부, 제3 채널 집게지그부, 제4 채널 집게지그부에 적층되어 거치되는 환형 소둔선의 무게를 센싱한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위치센서(411)가 연결되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과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한 "X"자형 집게지그부를 스타트지점으로 센싱한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2 위치센서(412)가 연결되어, "X"자형 집게지그부가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에 위치하게 되는 곳을 엔드지점으로 센싱한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2 무게감지센서부(710)가 연결되어, 적층되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의 무게를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개폐스위치버튼, 비상정지스위치버튼이 포함된 키패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8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모리부(820)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펌웨어에 저장되어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부(8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830)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해독하여 연산시켜 출력부쪽으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드(831),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832), "X"자형 집게지그부 구동모드(833),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드(834),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드(835),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드(836),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드(837)로 구성된다.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드(831)]
상기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드(831)는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을 공급받아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을 기준으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소둔선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의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쪽으로 공급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832)]
상기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832)는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상용 회전 드럼구동모드(832a),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832b),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832c), 구름접촉 평탄화모드(832d), 커팅모드(832e),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모드(832f)로 구성된다.
상기 환형상용 회전 드럼구동모드(832a)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통해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된 소둔선을, 환형상으로 형성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832b)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 상단 일측에 위치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구동시켜,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832c)는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과 반대되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 상단 타측에 위치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구동시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름접촉 평탄화모드(832d)는 구름접촉 평탄화부를 구동시켜,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된 소둔선 표면을 구름접촉하면서 평탄화작업을 수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팅모드(832e)는 커팅부를 구동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커팅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모드(832f)는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를 구동시켜,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낙하시켜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쪽으로 거치되도록 안내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X"자형 집게지그부 구동모드(833)]
상기 "X"자형 집게지그부 구동모드(833)는 "X"자형 집게지그부를 구동시켜,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을 통해, 형성된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킨 후,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동에 따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쪽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드(834)]
상기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드(834)는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구동시켜, 환형 소둔선이 얹혀진 "X"자형 집게지그부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이 위치한 X축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드(835)]
상기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드(835)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모듈을 구동시켜,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드(836)]
상기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드(836)는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을 집게로 집어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진입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상에 집게로 집은 환형 소둔선을 위치시킨 후, 쓰리포인트의 상단방향 묶음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드(837)]
상기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드(837)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을 구동시켜,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중앙이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거치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부(830)는 환형소둔선 길이커팅 자동제어알고리즘엔진부(838)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환형소둔선 길이커팅 자동제어알고리즘엔진부(838)는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한 자동커팅제어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화시켜 환형 소둔선을 중량을 기준으로, 환형소둔선의 사용 길이를 1:1 맞춤형으로 맞춤커팅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은 먼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중량 계산식으로부터 시작한다.
Figure 112022052536324-pat00009
여기서, W는 중량을 나타내고, 면적은 πd2/4로 나타내며, 길이는 커팅된 환형소둔선을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를 나타내고, 비중은 소둔선 재질인 철의 비중으로서, 0.785를 나타낸다.
이를 다시, 길이를 중심으로 연산시키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22052536324-pat00010
여기서, 10은 mm단위를 cm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이를 바탕으로, 각 소둔선 직경별로 연산시킨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은 표 1과 같다.
여기서, 중량은 10kg으로 설정되고, 사용목적에 따라 15kg, 20kg, 30kg, 50kg으로 늘릴 수 있다. 또한, 직경은 각 소둔선 사이즈별 직경을 나타낸다.
그리고, 환형상용 회전드럼의 반지름(r)은 25cm로 설정된다.
사용 중량 사용 길이 회전수카운팅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1회전수=2πr)
#6(직경4.8mm) 10kg 7m 4.5 회전시 커팅시그널
#8(직경4mm) 20kg 20m 12 회전시 커팅시그널
#10(직경3.2mm) 30kg 48m 30 회전시 커팅시그널
상기 직경 4.8mm인 환형소둔선 10kg을 사용길이 7m간격으로 커팅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수카운팅을 4.5회전시로 셋팅한 후, 회전수카운팅센서부로부터 4.5회전수를 감지하면, PLC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커팅부가 구동되어, 환형소둔선을 커팅시킨다.
일예로, 직경 4.8mm인 환형 소둔선 10kg의 경우는 수학식 2를 통해 사용 길이가 7m로 연산된다.
그리고, 환형상용 회전드럼의 1회전수(2πr)를 연산시키면,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연산된다.
Figure 112022052536324-pat00011
즉, 4.5회전시 커팅시그널이 구동되어, 환형소둔선의 사용 길이(7m)를 1:1 맞춤형으로 맞춤커팅제어시킨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8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출력부(84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의 회전모터(230),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의 승하강용 에어실린더부(290a-2)와;, "X"자형 집게지그부의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320)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이송레일구동모터(440)와;, 제1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의 제1 X축이송 안내레일부(512),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14),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515),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16)와;, 제2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의 제2 X축이송 안내레일부(522),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24),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525),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26)와; 제3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의 제3 X축이송 안내레일부(532),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34),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535),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36)와;,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의 환형소둔선 집게로봇(620), 집게로봇용 X축 이송모듈(630), 집게로봇용 Y축 이송모듈(640)쪽으로 순차적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방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방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드를 통해,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을 공급받아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을 기준으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소둔선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의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쪽으로 공급시킨다(S10).
다음으로,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를 통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킨다(S20).
이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상용 회전 드럼구동모드를 통해,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통해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된 소둔선을, 환형상으로 형성시킨다(S21).
이어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를 통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킨다(S22).
이어서,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를 통해,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킨다(S23).
이어서, 구름접촉 평탄화모드를 통해,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된 소둔선 표면을 구름접촉하면서 평탄화작업을 수행시킨다(S24).
이어서, 커팅모드를 통해, 환형 소둔선 일측을 커팅시킨다(S25).
이어서,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모드를 통해,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낙하시켜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쪽으로 거치되도록 안내시킨다(S26).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X"자형 집게지그부 구동모드를 통해,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킨 후,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동에 따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쪽으로 이동된다(S30).
다음으로,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드를 통해, 환형 소둔선이 얹혀진 "X"자형 집게지그부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이 위치한 X축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S40).
다음으로,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드를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킨다(S50).
다음으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드를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을 집게로 집어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진입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상에 집게로 집은 환형 소둔선을 위치시킨 후, 쓰리포인트의 상단방향 묶음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킨다(S60).
끝으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드를 통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중앙이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거치시킨다(S70).
1 :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100 :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
200 :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
300 : "X"자형 집게지그부
400 :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
500 :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
600 :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
700 :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
800 : PLC 컨트롤러모듈

Claims (11)

  1.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을 전달받아 환형 소둔선을 거쳐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엉킴없이 자동으로 생성시키도록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는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을 공급받아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을 기준으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소둔선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의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쪽으로 공급시키는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100)과,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는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과,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과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을 통해, 형성된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킨 후,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동에 따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쪽으로 이동되는 "X"자형 집게지그부(300)와,
    "X"자형 집게지그부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환형 소둔선이 얹혀진 "X"자형 집게지그부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이 위치한 X축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400)과,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500)과,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을 집게로 집어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진입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상에 집게로 집은 환형 소둔선을 위치시킨 후, 쓰리포인트의 상단방향 묶음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600)과,
    원통형상으로 돌출되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중앙이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거치시키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700)과,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 "X"자형 집게지그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과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면서, 소둔선 회전수에 의한 길이 환산테이블을 이용하여,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맞춤생성되도록 제어시키는 PLC 컨트롤러모듈(800)이 구성되되;,
    상기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200)은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無엉킴적층모듈본체(210)와,
    無엉킴적층모듈본체의 내부에 수직의 직립구조로 형성되고,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통해 텐션을 갖도록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된 소둔선을, 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220)과,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회전모터(230)와,
    환형상용 회전 드럼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240)와,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과 반대되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 상단 타측에 위치되어,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250)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된 소둔선 표면을 구름접촉하면서 평탄화작업을 수행시키는 구름접촉 평탄화부(260)와,
    구름접촉 평탄화부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소둔선의 회전수를 카운팅센싱시키는 회전수카운팅센서부(270)와,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환형 소둔선 일측을 커팅시키는 커팅부(280)와,
    원통형의 표면 롤링구조로 형성되어, 환형상용 회전드럼,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통해,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낙하시켜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쪽으로 거치되도록 안내시키는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290)와,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에어실린더의 힘으로 승강구동되어,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와 10cm~20cm 하단에 근접 위치되면서 낙하되는 환형 소둔선을 마중나가서 거치시킨 후, 에어실린더의 힘으로 하강구동되어, 하단의 "X"자형 집게지그부에 환형 소둔선을 얹어 놓고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290a)로 구성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부(290)는
    환형상용 회전드럼의 하단 중심축에 위치되어, 환형상용 회전드럼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자형 브릿지부로 전달시키는 중심축 회전이음부(291)와,
    중심축 회전이음부와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 사이를 연결시키고, 중심축 회전이음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일자형 브릿지부(292)와,
    표면상에 음각의 라운딩띠가 형성되어,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롤링 리니어(선)접촉되면서,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으로 낙하시켜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환형 소둔선용 거치지그부쪽으로 적층되도록 안내시키는 롤링 리니어용 원통드럼부(29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240)는
    "ㄱ"자형 지지암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는 바닥지지 거치부(241)와,
    바닥지지 거치부에 의해 거치 지지되면서, 텐션롤러가 환형상용 회전 드럼의 상단 띠테두리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5cm~15cm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삼각형상 텐션롤러를 지지하는 "ㄱ"자형 지지암(242)과,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삼각형상 텐션롤러(2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250)는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전달받아 제2b 상단 가이드롤러쪽으로 안내시키는 제2a 상단 가이드롤러(251)와,
    제2a 상단 가이드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소둔선을 지그재그형 텐션 롤러부쪽으로 안내시키는 제2b 상단 가이드롤러(252)와,
    제2b 상단 가이드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지그재그형 텐션 롤러부(2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집게지그부(300)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거치용 지그몸체(310)와,
    거치용 지그몸체의 중심축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의 힘으로 제1 채널 집게지그부, 제2 채널 집게지그부, 제3 채널 집게지그부, 제4 채널 집게지그부에 위치한 접이식 집게지그를 내부방향으로 90도 접히도록 하거나, 또는 직립의 수직구조로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320)와,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4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1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제1 채널 집게지그부(330)와,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13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2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제2 채널 집게지그부(340)와,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22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3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제3 채널 집게지그부(350)와,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거치용 지그몸체의 헤드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315도 인 곳에 위치되어, 제2 거치집게포인트(Point)를 형성시켜, 환형 소둔선 일측을 거치시키는 제4 채널 집게지그부(360)와,
    거치용 지그몸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제1 채널 집게지그부, 제2 채널 집게지그부, 제3 채널 집게지그부, 제4 채널 집게지그부에 적층되어 거치되는 환형 소둔선의 무게를 센싱시키는 제1 무게감지센서부(3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500)은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120도 인 곳에 위치되어,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중 하나의 원 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형성시키는 제1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10)와,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240도 인 곳에 위치되어,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중 하나의 원 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형성시키는 제2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20)와,
    평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환형 소둔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240도 인 곳에 위치되어,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중 하나의 원 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형성시키는 제3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C 컨트롤러모듈(800)은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 "X"자형 집게지그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에 위치한 소둔선 회전수 카운팅 센싱신호, 무게감지센싱신호, 위치센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연산부로 전달시키는 입력부(810)와,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메모리부(820)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해독하여 연산시켜 출력부쪽으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830)와,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의 회전모터(230),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의 승하강용 에어실린더부(290a-2)와;, "X"자형 집게지그부의 센터링 집게지그 구동부(320)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이송레일구동모터(440)와;, 제1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의 제1 X축이송 안내레일부(512), 제1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14), 제1 승하강 하단 지그부(515), 제1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16)와;, 제2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의 제2 X축이송 안내레일부(522), 제2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24), 제2 승하강 하단 지그부(525), 제2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26)와; 제3 채널 상단 자동묶음부의 제3 X축이송 안내레일부(532), 제3 일자형 묶음 철사 자동 인입부(534), 제3 승하강 하단 지그부(535), 제3 상단방향 와이어 회전 묶음 지그부(536)와;,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의 환형소둔선 집게로봇(620), 집게로봇용 X축 이송모듈(630), 집게로봇용 Y축 이송모듈(640)쪽으로 순차적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부(8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830)는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을 공급받아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을 기준으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소둔선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의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쪽으로 공급시키도록 제어하는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드(831)와,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도록 제어하는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832)와,
    "X"자형 집게지그부를 구동시켜,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듈을 통해, 형성된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킨 후,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동에 따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쪽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X"자형 집게지그부 구동모드(833)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구동시켜, 환형 소둔선이 얹혀진 "X"자형 집게지그부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이 위치한 X축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드(834)와,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 모듈을 구동시켜,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도록 제어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드(835)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을 집게로 집어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진입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상에 집게로 집은 환형 소둔선을 위치시킨 후, 쓰리포인트의 상단방향 묶음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드(836)와,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듈을 구동시켜,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중앙이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거치시키도록 제어하는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드(8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10.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드를 통해, 롤 형태로 감겨진 소둔선 롤(Roll)로부터 소둔선을 공급받아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을 기준으로 상단루프를 형성하면서, 소둔선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의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적층모듈쪽으로 공급시키는 단계(S10)와,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를 통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는 단계(S20)와,
    "X"자형 집게지그부 구동모드를 통해, 환형 소둔선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로 안전하게 거치시킨 후,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듈의 구동에 따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쪽으로 이동되는 단계(S30)와,
    "X"자형 집게지그부 이송모드를 통해, 환형 소둔선이 얹혀진 "X"자형 집게지그부를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이 위치한 X축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S40)와,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드를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이 일자형 묶음 철사 상에 정위치 되면, 상단방향 묶음방식으로 구동시켜, 환형소둔선 상에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을 자동 형성시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형성시키는 단계(S50)와,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이송모드를 통해, 이송된 "X"자형 집게지그부에 얹어진 환형 소둔선을 집게로 집어서 상승시켜, 일측방향으로 진입하는 쓰리포인트형 상단 묶음모듈상에 집게로 집은 환형 소둔선을 위치시킨 후, 쓰리포인트의 상단방향 묶음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을 Y축방향으로 들어서, X축방향인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듈쪽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60)와,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거치모드를 통해, 완료된 쓰리포인트 상단 묶음 환형소둔선 다발 중앙이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거치시키는 단계(S70)로 이루어지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력낙하식 환형 소둔선 無엉킴 생성모드를 통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회전시키면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고,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켜 환형상의 소둔선을 형성시킨 후, 환형 소둔선의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엉킴없이, 환형 소둔선을 사용 중량에 맞게 하단방향으로 1:1 맞춤형으로 낙하시키는 단계(S20)는
    환형상용 회전 드럼구동모드를 통해,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를 통해 텐션을 갖도록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된 소둔선을, 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21)와,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를 통해, 상단루프형 소둔선이송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당겨줘서 1차로 텐션을 갖도록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단계(S22)와,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모드를 통해, 제1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둔선을 "S"자 형태의 지그재그로 당겨줘서 2차로 텐션을 갖도록 타이팅(Tighting) 하게 형성시키는 단계(S23)와,
    구름접촉 평탄화모드를 통해, 제2 상단 텐션 타이팅부로부터 전달된 소둔선 표면을 구름접촉하면서 평탄화작업을 수행시키는 단계(S24)와,
    커팅모드를 통해, 환형 소둔선 일측을 커팅시키는 단계(S25)와,
    롤링 리니어 낙하 안내모드를 통해, 환형상으로 형성된 소둔선을 자체무게에 따른 중력낙하 방식과 롤링 리니어 접촉으로 낙하시켜 엉킴없이, 하단방향의 승하강용 환형소둔선 마중 거치부쪽으로 거치되도록 안내시키는 단계(S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방법.
  11. 삭제
KR1020220060729A 2022-05-18 2022-05-18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KR10250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29A KR102508962B1 (ko) 2022-05-18 2022-05-18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29A KR102508962B1 (ko) 2022-05-18 2022-05-18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962B1 true KR102508962B1 (ko) 2023-03-10

Family

ID=8557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29A KR102508962B1 (ko) 2022-05-18 2022-05-18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9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56B1 (ko) * 2012-12-27 2013-02-22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철근용 일자형 결속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KR101290638B1 (ko) 2013-05-27 2013-07-29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구조물결합용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KR101763101B1 (ko) * 2017-04-28 2017-07-28 조재희 와이어 권선결속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56B1 (ko) * 2012-12-27 2013-02-22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철근용 일자형 결속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KR101290638B1 (ko) 2013-05-27 2013-07-29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구조물결합용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KR101763101B1 (ko) * 2017-04-28 2017-07-28 조재희 와이어 권선결속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656B1 (ko) 철근용 일자형 결속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KR102027486B1 (ko)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제어 방법
CN106311800A (zh) 一种缠绕方法和缠绕机
CN113828712B (zh) 一种带钢筋展卷功能的网焊机纵向钢筋布筋机构
AU2003260450B2 (en) Method for removing wires or tapes from pressed bales of raw material, and wire coiling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S62121161A (ja) ウエブ材料の巻取装置
KR102508962B1 (ko) 무(無)엉킴형 환형 소둔선 다발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CN108557158A (zh) 全自动漆包线包装集成系统及其方法
CN106276394B (zh) 一种铝型材上排设备中铝线自动缠绕机组及其控制方法
CN107838570A (zh) 一种地螺丝自动生产线及生产线控制方法
CN208868979U (zh) 一种新型卸垛机
JPH0211268A (ja) 補強ケージ製造機
CN104709489A (zh) 一种自动缠绕包装装置及工艺
CN212715974U (zh) 一种钢筋网智能绑扎机
US5895009A (en) Transfer method of coils and coil taking-up and stacking equipment
CN106862328A (zh) 全自动的卧式卷板设备
CN210285987U (zh) 一种自动码垛设备
KR101966521B1 (ko) 소둔선 릴 결속장치
CN219824724U (zh) 钢帘线工字轮双工位换轮定位穿孔缝头机构
CN110254803B (zh) 一种全自动钢板尾卷包装装置及方法
CN213535285U (zh) 自动打包机用进料装置
JP2813874B2 (ja) バンド掛け装置
CN216335814U (zh) 一种绕线机自动排线装置
CN210682772U (zh) 一种软管盘管机
CN207883851U (zh) 电池制作控制装置及电池制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