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920B1 - 용적식 펌프용 카트리지 스타일 볼 체크 - Google Patents

용적식 펌프용 카트리지 스타일 볼 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920B1
KR102508920B1 KR1020177030728A KR20177030728A KR102508920B1 KR 102508920 B1 KR102508920 B1 KR 102508920B1 KR 1020177030728 A KR1020177030728 A KR 1020177030728A KR 20177030728 A KR20177030728 A KR 20177030728A KR 102508920 B1 KR102508920 B1 KR 10250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ubular housing
disposed
check valv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122A (ko
Inventor
제이슨 제이. 윌러비
데이빗 엠. 베렌스
Original Assignee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filed Critical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0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02Bal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체크 밸브 조립체는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체크 밸브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 1 단부에 배치된 개구부 및 제 2 단부에 배치된 출구를 포함한다. 시트는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관형 하우징에 연결된다. 시트는 시트를 통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구를 포함한다. 볼은 관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시트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은 입구보다 직경이 크다. 볼 가이드는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은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은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서 압축된다.

Description

용적식 펌프용 카트리지 스타일 볼 체크
본 출원은 2015 년 4월 29일자로 출원된“용적식 펌프용 카트리지 스타일 볼 체크”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 62/154,217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부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은 유체 분배 시스템용 용적식 펌프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용 유체 분배 시스템과 같은 유체 분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용기로부터 유체를 끌어와 하류로 유체를 유도하기 위해 용적식 펌프를 사용한다. 전형적으로, 용적식 펌프는 펌프 입구 내에 체크 밸브(check valve)를 내장한다. 동작시에 펌프 입구 내의 체크 밸브가 유체를 펌프 안으로 허용하기 위하여 열리고, 펌프가 펌프실 안의 유체를 가압하여 펌프 출구로 유체를 이동시킴에 따라 닫힌다. 몇몇 경우에는, 유체가 펌프 간격(interval) 사이에서 용적식 펌프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 밸브가 펌프 출구 내에도 포함될 수 있다.
용적식 펌프의 각각의 사용 후 체크 밸브는, 이전 유체를 제거하여 이전 유체가 용적식 펌프의 나중 사용시에 새로운 유체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배수되어야한다(즉, 물 또는 다른 용제를 체크 밸브 속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세정 및 세척되어야한다.). 이전 유체를 체크 밸브 밖으로 배수하는 것은 용적식 펌프가 페인트를 도포하는데 사용될 때 이전 페인트가 새로운 페인트의 색상과 질감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중요하다. 체크 밸브 내부의 내부 부품과 시일은 체크 밸브를 배수할 때, 세척하기 힘든 체크 밸브 내의 좁은 공간 및 코너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체크 밸브 조립체는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체크 밸브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 1 단부에 배치된 개구부 및 제 2 단부에 배치된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seat)가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관형 하우징에 연결된다. 시트는 시트를 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구를 포함한다. 볼(ball)이 관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시트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은 입구보다 직경이 크다. 볼 가이드(ball guide)가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은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이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서 압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체크 밸브 조립체는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체크 밸브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관형 하우징은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한 외경을 포함한다. 개구부가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출구가 제 2 단부에 배치된다. 출구는 개구부보다 직경이 작다. 시트가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관형 하우징에 연결된다. 시트는 시트를 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구를 포함한다. 볼이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시트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은 입구보다 직경이 크다. 스프링이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체크 밸브 조립체는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체크 밸브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 관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관형 하우징은 제 1 단부에 배치된 개구부 및 제 2 단부에 배치된 출구를 포함한다. 시트가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관형 하우징에 연결된다. 시트는 제 2 측면에 축 방향으로 대향으로 배치된 제 1 측면을 포함한다. 입구가 시트를 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볼이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시트의 제 2 측면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은 입구보다 직경이 크다. 볼 가이드가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이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은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서 압축된다. 제 1 시일이 시트의 제 1 측면 상에 배치된다. 제 2 시일이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 상에 배치된다. 관형 하우징은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시일까지 균일한 외경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여 본 개시 내용 전체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 조립체를 갖는 용적식 펌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크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체크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설명된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도 고려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본 개시 내용은 제한이 아닌 묘사의 방식으로 본 발명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많은 다른 변형 및 실시예가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은 축척대로 도시되지 않았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적용 및 실시예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특징 및 부품을 포함 할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조적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체크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 조립체의 관형 하우징은 체크 밸브 조립체의 부품을, 종래 기술의 체크 밸브 조립체보다 빠르게 펌프 또는 다른 유체 분배 시스템 내부로 조립될 수 있는, 단일 캡슐 안에 내장한다. 본 발명의 체크 밸브 조립체의 캡슐 구조는 체크 밸브 조립체의 보수 또는 교체시에 펌프 또는 유체 시스템으로부터 체크 밸브 조립체를 빠르게 단일부품으로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체크 밸브 조립체의 캡슐 구조는, 종래의 체크 밸브 조립체의 여러 부품이 별도의 단계에서 한번에 하나씩 펌프로 조립되는 종래의 체크 밸브 조립체와 비교하여, 체크 밸브 조립체가 펌프 상으로 부적절하게 설치될 가능성을 낮춰준다. 체크 밸브 조립체의 캡슐 구조는 또한 체크 밸브 조립체가 펌프 입구에서 사용되거나, 역전되어 펌프 출구에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펌프(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0)는 유체 커버 하우징(12), 펌프 입구(14), 펌프 출구(16) 및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포함한다. 펌프(10)는 페인트, 코팅 및 윤활제 같은 다양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다 큰 유체 분배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일 수 있다. 펌프 입구(14)는 펌프 입구 보어(bore)(20) 및 펌프 입구 매니폴드(manifold)(22)를 포함한다. 펌프 출구(16)는 펌프 출구 보어(24) 및 펌프 출구 매니폴드(26)를 포함한다. 펌프(10)는 또한 체결구(28)를 포함한다. 체크 밸브 조립체(18)는 하우징(30), 밸브 시트(32), 볼(34), 볼 가이드(36), 스프링(38), 제 1 시일(seal)(40) 및 제 2 시일(42)을 포함한다.
펌프(10)는 다이어프램 펌프(diaphragm pump) 또는 왕복 피스톤 펌프와 같은 용적식 펌프일 수 있다. 펌프 입구 보어(20)는 유체 커버 하우징(12)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수용하기 위하여 펌프 입구(14)의 직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펌프 입구 매니폴드(22)는 체결구(28)에 의해 유체 커버 하우징(12)에 연결되고,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펌프 입구 보어(20) 안에 유지시키기 위해 펌프 입구 보어(20) 및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 위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하우징(30) 및 밸브 시트(32)는 볼(34), 볼 가이드(36) 및 스프링(38)을 수납 및 내장한다. 제 1 시일(40)은 밸브 시트(32) 상에 배치되고, 밸브 시트(32)와 펌프 입구 매니폴드(22)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시일(40)은 펌프 입구(14)를 통과하는 유체가 펌프 입구 매니폴드(22)와 밸브 시트(32)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과 하우징(30)과 펌프 입구 보어(20) 사이의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 주위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제 2 시일(42)은 하우징(3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가 펌프 입구 보어(20) 내에 배치될 때, 하우징(30)과 펌프 입구 보어(2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제 1 시일(40)과 마찬가지로, 제 2 시일(42)은 펌프 입구(14)를 통과하는 유체가 하우징(30)과 펌프 입구 보어(20) 사이의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 주위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유체가 펌프 입구(14)의 주 유체 유동으로부터 나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펌프가 스트로크 당 적절한 양의 유체를 변위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펌프 입구(14) 및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통과하는, 스트로크 당 변위되는 유체의 양을 최대로 높이는 것은 펌프(10)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펌프 출구 보어(24)가 유체 커버 하우징(12)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수납 및 수용하기 위하여 펌프 출구(16)의 일부의 직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펌프 출구 매니폴드(26)가 체결구(28)에 의해 유체 커버 하우징(12)에 연결되고,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펌프 출구 보어(24) 안에 유지시키기 위해 펌프 출구 보어(24) 및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 위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는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와 동일하나, 유체가 펌프 출구(16)를 통해 펌프(10)를 나갈 수 있도록,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배향은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배향으로부터 역전되어 있다.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배향이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로부터 역전되어있으므로,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제 1 시일(40)은 펌프 출구 보어(24)의 벽과 접촉하는 한편,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제 2 시일(42)은 펌프 출구 매니폴드(26)와 접촉한다.
펌프(10)의 동작 시에 펌프(10)는 유체가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볼(34)과 볼 가이드(36)를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밸브 시트(32)로부터 멀어지게 밀 수 있는 압력 차를 만들고, 그럼으로써 유체가 펌프 입구(14)에 들어가는 것과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가로지르는 것을 모두 허용한다. 유체가 펌프(10)를 통과한 후, 펌프(10)는 유체를 펌프 출구(16) 안으로,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볼(34)에 대하여 밀어낸다. 펌프 출구(16) 내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은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볼(34)과 볼 가이드(36)를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밸브 시트(32)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고, 그럼으로써 유체가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통과하여 펌프 출구(16) 밖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 또는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가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하여 펌프(10)로부터 분해되어야 하는 경우, 체결구(28)는 펌프 입구 매니폴드(22) 및/또는 펌프 출구 매니폴드(26)를 펌프(10)의 유체 커버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펌프 입구 매니폴드(22) 및/또는 펌프 출구 매니폴드(26)가 유체 커버 하우징(12)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제 1 체크 밸브 조립체(18) 및/또는 제 2 체크 밸브 조립체(18)는 각각의 하우징(30)을 펌프 입구 보어(20) 및/또는 펌프 출구 보어(24)로부터 간단히 잡아당김으로써, 펌프(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펌프(10)내로 재조립하기 위하여, 미리 조립된 체크 밸브 조립체(10)가, 하우징(30)을 펌프 입구 보어(20) 또는 펌프 출구 보어(24)로 활주시킴으로써 펌프 입구 보어(20) 또는 펌프 출구 보어(24) 내로 간단히 삽입된다. 펌프 입구 매니폴드(22) 또는 펌프 출구 매니폴드(26)는 그 후 펌프 입구 보어(20) 또는 펌프 출구 보어(24) 위에 각각 위치되고, 체결구(28)가 펌프 입구 매니폴드(22) 또는 펌프 출구 매니폴드(26)를 유체 커버 하우징(12)에 연결하고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펌프 입구 보어(20) 또는 펌프 출구 보어(24) 안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내부 조립체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2 및 도 3은 동시에 설명된다. 도 2는 도 1의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 조립체(18)는 중심 축(C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제 1 단부(44), 제 2 단부(46), 외측 표면(48), 내측 표면(50), 환형 잠금 홈(52), 개구부(54), 밸브 출구(56), 외측 직경(OD), 제 2 시일 시트 홈(58), 스프링 시트(60) 및 유동 방향 마커(62)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32)는 제 1 측면(64), 제 2 측면(66), 외측 표면(68), 환형 잠금 리지(ridge)(70), 밸브 입구(72), 환형 홈(74), 볼 시트 시일(76) 및 제 1 시일 시트 홈(78)을 포함한다.
하우징(30)은 제 1 단부(44)로부터 제 2 단부(46)로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중심 축(C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실질적으로 관형 및 원통형으로, 하우징(30)의 제 1 단부(44)로부터 제 2 단부(46)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OD)을 갖는 외측 표면(48)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목적 상, 시일을 위한 홈에 의해서만 방해받는 균일한 직경을 갖는 표면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유동 방향 마커(62)는 외측 표면(48)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유체가 체크 밸브 조립체(18)에 진입해야 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마커(62)는 외측 표면(48) 상에 식각되거나 그려진 화살표일 수 있고, 하우징(30)의 제 1 단부(44)로부터 제 2 단부(46)를 향하게 가리키는 화살표일 수 있다.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은 외측 표면(48)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치되고, 하우징(30)의 제 1 단부(44)로부터 제 2 단부(46)로 연장된다. 개구부(54)는 하우징(30)의 제 1 단부(44)에 배치되고, 밸브 출구(56)는 하우징(30)의 제 2 단부(46)에 개구부(54)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개구부(54)는 밸브 시트(32)를 수용하기 위하여 밸브 출구(56)보다 크다.
밸브 시트(32)는 개구부(54)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30)의 제 1 단부(44) 부근에서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에 연결된다. 밸브 시트(32)는 스텐레스강 또는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통해 흐르는 유체에 대하여 내식성인 임의의 다른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시트(32)의 제 1 측면(64)은 밸브 시트(32)의 제 2 측면(66)에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밸브 시트(32)의 제 2 측면(64)은 체크 밸브 조립체(18) 내부에 배치되고, 볼(34) 및 밸브 출구(56)를 대면한다. 밸브 시트(32)의 외측 표면(68)은 밸브 시트(32)의 제 1 측면(64)과 제 2 측면(66) 사이에서 연장되는 밸브 시트(32)의 반경방향 외측 표면이다. 밸브 시트(32)의 외측 표면(68)은,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조립 중에 밸브 시트(32)를 하우징(30)의 개구부(54) 내로 삽입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밸브 시트(32)의 제 1 측면(64)으로부터 제 2 측면(66)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taper)진다.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의 일부는 하우징(30)의 제 1 단부(44)로부터 밸브 시트(32)의 제 2 측면(66)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고, 그럼으로써 내측 표면(50)의 테이퍼된 부분이 밸브 시트(32)의 외측 표면(68)과 대응한다. 환형 잠금 홈(52)은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의 테이퍼된 부분 상에 형성된다. 환형 잠금 리지(70)는 밸브 시트(32)의 외측 표면(68) 상에 형성되고, 밸브 시트(32)를 하우징(30)에 스냅핏(snap fit) 연결 방식으로 연결 하기 위해 하우징(30)의 환형 잠금 홈(5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밸브 입구(72)는 밸브 시트(32)의 제 1 측면(64) 및 제 2 측면(66)을 통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 축(CA) 상에 중심이 있다. 환형 홈(74)은 밸브 시트(32) 내에 밸브 입구(72) 주위로 형성된다. 볼 시트 시일(76)은 환형 홈(74) 내에 배치된 탄성 중합체의 O-링(O-ring) 시일일 수 있고, 밸브 입구(72)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홈(74) 및 볼 시트 시일(76)은 밸브 시트(32)의 제 1 측면(64)과 제 2 측면(66)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볼 시트 시일(76)은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볼 시트이고, 체크 밸브 조립체(18)가 닫힌 상태인 동작 시에 유체가 볼(34)과 밸브 시트(32) 사이에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34)과 접촉한다. 볼 시트 시일(76)은 탄성 중합체이므로, 강성인 종래의 볼 시트와 볼 사이에서 볼 수 있는 시일보다 더 타이트(tight)한 시일을 볼(34)과 밸브 시트(32) 사이에서 제공하기 위해 볼 시트 시일(76)은 볼(34)에 대하여 변형될 수 있다. 볼 시트 시일(76)은 체크 밸브 조립체(18)와 상호 작용하는 유체의 화학적 공격으로부터 볼 시트 시일(76)을 지키기 위하여 퍼플루오로-탄성 중합체(perfluoro-elastom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볼 시트 시일(76)은 또한 유체의 화학적 공격에 강하고 볼(34)과 함께 시일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32)는 밸브 시트(32)와 일체이고 밸브 시트(32)로부터 형성된 볼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볼(34), 볼 가이드(36) 및 스프링(38)은 모두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8)은 밸브 출구(56)와 볼 가이드(36)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밸브 출구(56)와 볼 가이드(36)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38)은 밸브 출구(56)보다 직경이 커서 스프링(38)은 밸브 출구(56)를 통하여 하우징(30) 밖으로 밀려 나갈 수 없다. 스프링 시트(60)는 스프링(38)을 지지하고 받쳐주기 위하여 하우징(30)의 제 2 단부(46)에서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시트(60)는 또한 밸브 출구(56)을 형성할 수 있다. 볼 가이드(36)는 하우징(30) 내부에 배치되고, 스프링(38)과 밸브 시트(32)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볼(34)은 볼 가이드(36)와 밸브 시트(32)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34)은 밸브 입구(72) 및 볼 시트 시일(76)보다 직경이 커서, 스프링(38)은 볼(34)이 밸브 입구(72)를 완전히 통과하도록 밀어내지 못한다. 볼(34) 및 스프링(38)은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에 의한 부식과 화학적 공격에 강하도록 둘 다 스텐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 가이드(36)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플라스틱(polyphenylene sulfide plastic) 재질과 같은 역시 화학적 공격에 강한 내구성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 가이드(36)는 또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볼 가이드(36)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에 화학적으로 저항력 있는 임의의 다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체가 도 1에 도시된 펌프(10)와 같은 펌프에 의해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밸브 입구(72) 내로 가압되었을 때, 유체의 압력은 볼(34)을 볼 시트 시일(76)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낼 수 있고, 더 나아가 볼 가이드(36)와 스프링 시트(60) 사이의 스프링(38)을 압축할 수 있다. 볼(34)을 볼 시트 시일(76)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낸 후, 유체는 하우징(30)으로 유입할 수 있고, 볼(34) 주위를 흘러, 밸브 출구(56)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유체는 그 후 밸브 출구(56)를 통하여 하우징(30)을 나간다. 유체의 압력이 소정의 값보다 낮아지면, 스프링(38)은 볼(34)을 볼 시트 시일(76)에 대해 가압하고, 유체가 체크 밸브 조립체(18)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은 유체가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가로지름에 따라, 적어도 유체 유로의 대부분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은 내측 표면(50)이 밸브 출구(56)로 연장됨에 따라 매끄럽게 천이하고 좁아진다. 내측 표면(50)이 밸브 출구(56)로 연장됨에 따라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을 매끄럽게 천이하는 것은, 체크 밸브 조립체가 배수될 때 찌꺼기와 미립자가 잔류하고 축적될 수 있는 하우징(30) 내의 코너와 장소가 거의 없게하므로, 체크 밸브 조립체(18) 내의 파편과 찌꺼기 축적을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체크 밸브 조립체는 종래의 체크 밸브 조립체를 가로지르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펌프 하우징 및/또는 펌프 매니폴드에 의존했다. 펌프 하우징 및 펌프 매니폴드는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하우징(30)보다 훨씬 큰 부품들이고, 체크 밸브 조립체를 가로지르는 매끄러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조정 및 조작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재질로 형성된다. 반면에 하우징(30)은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의 매끄러운 천이를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화학적 공격에도 강한 내구성 있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또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3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에 화학적으로 저항력 있는 임의의 다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 1 시일(40)은 밸브 시트(32)의 제 1 측면(64) 상에 배치된다. 제 1 시일(40)은 밸브 입구(72)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밸브 입구(72)와 하우징(30)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O-링 시일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일 시트 홈(78)은 제 1 시일(40)을 수납 및 수용하기 위하여 밸브 시트(32)의 제 1 측면(6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시일 시트 홈(78)은 밸브 입구(72)로부터 중심 축(CA)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밸브 입구(72)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시일 시트 홈(78)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밸브 시트(32)의 외측 표면(68)과 교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 조립체(18)가 펌프(10) 내로 조립될 때, 제 1 시일(40)이 압축 및 변형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제 2 시일(42)은 하우징(30)의 제 2 단부(46) 상에 배치되고, 밸브 출구(56)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 시일(42)은 하우징(30)의 외경(OD) 이하이고 밸브 출구(56)보다는 큰 외부 직경을 갖는 O-링 시일일 수 있다. 제 2 시일 시트 홈(58)은 제 1 시일(40)을 수납 및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30) 내에, 하우징(30)의 제 2 단부(46)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시일 시트 홈(58)은 밸브 출구(56)로부터 중심 축(CA)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밸브 출구(56)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30)은 하우징(30)의 제 1 단부(44)로부터 제 2 시일(42)까지 균일한 외경(OD)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이 제 1 단부(44)로부터 제 2 시일(42)까지 균일한 직경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시일(42)이 하우징(30)의 외경(OD) 이하인 외경을 가질 수 있으므로, 체크 밸브 조립체(18)는 체크 밸브 조립체(18)가 펌프 입구(14) 또는 펌프 출구(16) 내에 사용되는 지에 따라 축 방향으로 역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시일(40) 및 제 2 시일(42)은 함께 유체가 체크 밸브 조립체(18) 주위로 흐르거나 그것을 우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시일(40) 및 제 2 시일(42)은 하우징(30)의 내측 표면(50) 및 밸브 시트(32)의 밸브 입구(72)에 의해 생성되는 유로 바깥에 배치되므로, 제 1 시일(40) 및 제 2 시일(42)은 체크 밸브 조립체(18)가 물 또는 다른 용제에 의해 배수될 때,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유로 내의 찌꺼기 및 파편의 제거를 방해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의 견지에서, 본 개시 내용은 많은 장점 및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은 하우징(30) 및 밸브 시트(32)를 갖는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제공한다. 더불어, 하우징(30) 및 밸브 시트(32)는 유지 또는 교체 시에 상대적으로 펌프(10) 내로 조립하거나 펌프(10)로부터 제거하기 쉬운 단일한 미리 조립된 캡슐 안에 모든 체크 밸브 조립체(18)의 부품을 내장한다. 하우징(30)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외경(OD)을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단순히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회전시킴으로써 펌프 입구(14) 또는 펌프 출구(16)에 체크 밸브 조립체(18)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30) 및 밸브 시트(32)는 또한 체크 밸브 조립체(18)를 가로지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유로는 밸브 입구(72)로부터 밸브 출구(56)로 매끄럽게 천이하여 체크 밸브 조립체(18) 밖으로 찌꺼기 및 파편이 쉽게 배수되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필수적으로”, “일반적으로”, “약” 등과 같이, 본원에 사용된 상대적인 용어나 정도의 용어는, 임의의 적용가능한 정의 또는 본원에 명확히 기재된 제한에 부합하게,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모든 예에서, 본원에 사용된 임의의 상대적인 용어 또는 정도의 용어는, 본 개시 내용 전체의 관점에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되는 범위 또는 변형 뿐만 아니라 임의의 관련된 개시 실시예를 폭넓게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일반적인 제조 공차 변화, 부수적인 정렬 변화, 일시적 진동 또는 흔들리는 움직임, 가동상 조건 등에 의해 유도된 임시 정렬 또는 형상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균등물이 발명의 구성 요소를 대체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많은 변형이, 특정 상황 또는 재료가 본 발명의 교시에 적합하도록,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 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다.

Claims (19)

  1. 체크 밸브 조립체로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체크 밸브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 하우징이며,
    제 1 단부에 배치된 개구부;
    제 2 단부에 배치된 출구;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에서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로 연장되며, 테이퍼된 부분을 포함하는 내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 상에 형성된 환형 잠금 홈을 포함하는 관형 하우징;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관형 하우징에 연결되는 시트이며,
    캡을 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구;
    관형 하우징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고, 시트의 제 1 측면에서 시트의 제 2 측면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외측 표면; 및
    시트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시트를 관형 하우징에 스냅핏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관형 하우징의 환형 잠금 홈 내로 연장되는 환형 잠금 리지를 포함하는 시트;
    관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시트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입구보다 직경이 큰 볼;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볼 가이드; 및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서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은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에서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짐으로써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이 시트의 외측 표면과 대응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관형이고,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로부터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한 외경을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시트는
    시트 내에 입구 주위에 형성된 환형 홈; 및
    환형 홈 내에 배치되고, 입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볼 시트 시일을 더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볼 시트 시일은 퍼플루오로-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O-링 시일인
    체크 밸브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시트는 제 2 측면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측면을 더 포함하고,
    입구가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제 2 측면이 볼과 대면하고,
    제 1 시일 시트 홈이 시트의 제 1 측면 내에 형성되고,
    제 1 시일 시트 홈은 입구로부터 중심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입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체크 밸브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제 1 시일 시트 홈 내에 배치된 제 1 시일을 더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관형 하우징은,
    관형 하우징 내에,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에 형성된 제 2 시일 시트 홈을 더 포함하고,
    제 2 시일 시트 홈은 출구로부터 중심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출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체크 밸브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제 2 시일 시트 홈 내에 배치된 제 2 시일을 더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출구는 개구부보다 직경이 작은,
    체크 밸브 조립체.
  12. 체크 밸브 조립체로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체크 밸브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 하우징이며,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로부터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한 외경;
    제 1 단부에 배치된 개구부;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개구부보다 직경이 작은 출구;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에서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로 연장되며, 테이퍼된 부분을 포함하는 내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 상에 형성된 환형 잠금 홈을 포함하는 관형 하우징;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관형 하우징에 연결되는 시트이며,
    시트를 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구;
    관형 하우징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고, 시트의 제 1 측면에서 시트의 제 2 측면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외측 표면; 및
    시트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시트를 관형 하우징에 스냅핏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관형 하우징의 환형 잠금 홈 내로 연장되는 환형 잠금 리지를 포함하는 시트;
    관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시트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입구보다 직경이 큰 볼; 및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은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에서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짐으로써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이 시트의 외측 표면과 대응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스프링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볼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시트는 제 2 측면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측면 및 시트의 제 1 측면 상에 배치된 제 1 시일을 더 포함하고,
    입구가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제 2 측면이 볼과 대면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제 1 시일은 입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입구와 관형 하우징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O-링 시일인
    체크 밸브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 상에 배치되고 출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시일을 더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시트는 시트의 제 1 측면과 시트의 제 2 측면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한 탄성 중합체의 O-링 시일을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18. 체크 밸브 조립체로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체크 밸브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 하우징이며,
    제 1 단부에 배치된 개구부;
    제 2 단부에 배치된 출구;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에서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로 연장되며, 테이퍼된 부분을 포함하는 내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 상에 형성된 환형 잠금 홈을 포함하는 관형 하우징;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관형 하우징에 연결되는 시트이며,
    제 2 측면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측면;
    시트를 통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구;
    관형 하우징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고, 시트의 제 1 측면에서 시트의 제 2 측면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외측 표면; 및
    시트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시트를 관형 하우징에 스냅핏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관형 하우징의 환형 잠금 홈 내로 연장되는 환형 잠금 리지를 포함하는 시트;
    관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시트의 제 2 측면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입구보다 직경이 큰 볼;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과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볼 가이드;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볼 가이드와 출구 사이에서 압축되는 스프링;
    시트의 제 1 측면 상에 배치된 제 1 시일; 및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 상에 배치된 제 2 시일을 포함하고,
    관형 하우징은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시일까지 균일한 외경을 포함하고,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은 관형 하우징의 제 1 단부에서 관형 하우징의 제 2 단부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짐으로써 내측 표면의 테이퍼된 부분이 시트의 외측 표면과 대응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제 2 시일은 관형 하우징의 외경 이하이고, 출구보다 큰 외경을 갖는 O-링인,
    체크 밸브 조립체.
KR1020177030728A 2015-04-29 2016-03-21 용적식 펌프용 카트리지 스타일 볼 체크 KR102508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4217P 2015-04-29 2015-04-29
US62/154,217 2015-04-29
PCT/US2016/023406 WO2016175936A1 (en) 2015-04-29 2016-03-21 Cartridge style ball check for positive displacement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122A KR20180004122A (ko) 2018-01-10
KR102508920B1 true KR102508920B1 (ko) 2023-03-13

Family

ID=5719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728A KR102508920B1 (ko) 2015-04-29 2016-03-21 용적식 펌프용 카트리지 스타일 볼 체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84577B2 (ko)
EP (1) EP3289254B1 (ko)
JP (1) JP6714013B2 (ko)
KR (1) KR102508920B1 (ko)
CN (1) CN107532736B (ko)
TW (1) TW201704667A (ko)
WO (1) WO2016175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5993B2 (en) 2018-12-10 2021-09-21 Facebook Technologies, Llc Optical hyperfocal reflective systems and methods, and augmented reality and/or virtual reality displays incorporating same
JP7128864B2 (ja) * 2020-07-20 2022-08-31 株式会社ヤマダコーポレーション ボール逆止弁及びダイヤフラムポン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9908A (ja) * 2008-03-06 2009-09-17 Denso Corp 逆止弁及び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78364A (fr) * 1923-05-18 1924-09-24 Procédé de montage des billes ou clapets de retenue et produits nouveaux en résultant
US2306012A (en) * 1941-06-11 1942-12-22 John Eley Jr Check valve
US2481713A (en) * 1945-04-30 1949-09-13 Bertea Alex Flexible seal check valve
US3596940A (en) * 1970-03-09 1971-08-03 Laurence G Horwitt Snap-fit connection
US3787149A (en) * 1971-03-24 1974-01-22 G Levey Pump for zinc-rich materials or the like
JPS5413618Y2 (ko) * 1976-08-16 1979-06-09
US4474208A (en) * 1983-04-13 1984-10-02 Baird Manufacturing Company Safety valve
JPS6152772U (ko) * 1984-09-11 1986-04-09
US5107890A (en) * 1990-05-03 1992-04-28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Ball check valve
JPH0743801U (ja) * 1993-05-28 1995-09-19 株式会社タクマ 減圧蒸気室の抽気装置
US5593292A (en) * 1994-05-04 1997-01-14 Ivey; Ray K. Valve cage for a rod drawn positive displacement pump
US5813841A (en) * 1996-05-16 1998-09-29 Sturman Industries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 pump
JP2001050174A (ja) 1999-08-03 2001-02-23 Hitachi Ltd 燃料供給ポンプ
JP2002021750A (ja) * 2000-07-11 2002-01-23 Showa Corp 可変容量型ポンプ
US6619316B2 (en) * 2001-12-20 2003-09-16 Ingersoll-Rand Company Check valve having adjustable lift, packing assembly, and retrofit kit for same
CA2435601C (en) * 2002-07-22 2006-10-10 Corbin Coyes Valve cage insert
CN2596139Y (zh) * 2002-12-30 2003-12-31 北京振冲工程股份有限公司 逆向阀门
CN2636013Y (zh) * 2003-08-14 2004-08-25 于永刚 球式止回阀
US7147002B2 (en) * 2003-10-28 2006-12-12 Victaulic Company Modular multi-function fluid flow control device
EP1830119A4 (en) * 2004-12-24 2010-12-01 Toyo Seikan Kaisha Ltd COUPLER
US20100038384A1 (en) * 2005-03-16 2010-02-18 Mark Wallace Fluid Dispensing
CN200989478Y (zh) * 2006-10-27 2007-12-12 鲁学志 防渗漏止回阀
US20090050043A1 (en) * 2007-08-20 2009-02-26 Alfredo Alvarez Drain plug and port assembly
JP5549005B2 (ja) * 2009-03-31 2014-07-16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ボールチェックバルブ
FR2951153A1 (fr) * 2009-10-09 2011-04-15 Corning Inc Dispositif microfluidique
US20110147016A1 (en) * 2009-12-17 2011-06-23 Victaulic Company Fluid Selective Check Valve
CN201615103U (zh) * 2010-02-09 2010-10-27 重庆华渝电气仪表总厂 一种常开式液压电磁阀
CN202402724U (zh) * 2011-12-02 2012-08-29 自贡高压阀门股份有限公司 易装卸止回阀及装配工具
CN103644335A (zh) * 2013-11-28 2014-03-19 山东建华阀门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止回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9908A (ja) * 2008-03-06 2009-09-17 Denso Corp 逆止弁及び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14712A (ja) 2018-06-07
CN107532736B (zh) 2020-03-06
EP3289254A4 (en) 2018-12-19
US20170219107A1 (en) 2017-08-03
TW201704667A (zh) 2017-02-01
CN107532736A (zh) 2018-01-02
WO2016175936A1 (en) 2016-11-03
EP3289254A1 (en) 2018-03-07
JP6714013B2 (ja) 2020-06-24
EP3289254B1 (en) 2020-12-23
KR20180004122A (ko) 2018-01-10
US10184577B2 (en)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1112B2 (en) Seat support and threaded seat for valve with quadruple seat
US8920648B2 (en) No filter no run fluid filtration systems
US20180214803A1 (en) No filter no run feature for filter
KR102508920B1 (ko) 용적식 펌프용 카트리지 스타일 볼 체크
US9541209B2 (en) Structure of check valve
WO2018132343A1 (en) Spin-on filter using snap-fit
US9446334B2 (en) Filter base system and filter assembly
US20200298147A1 (en) Spin-on filter for suction-side and pressure-side applications in filtration systems
US11927162B2 (en) Filter assembly
CN108368840B (zh) 波纹管安装及保持方法
US9956509B2 (en) Filter assembly
US9638151B2 (en) Flow-through fitting and filter assembly
JP2018143986A (ja) フィルタ装置
US11002388B2 (en) Fire hydrant nozzle
EP3994362A1 (en) Pneumatic fluid pump with dual rotational swirling cleaning action
CN114466688A (zh) 过滤器元件
US20160107110A1 (en) Filter assembly for fluid supply system
ITTO20110090U1 (it) Valvola di non ritor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