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766B1 - 폼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폼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766B1
KR102508766B1 KR1020210076965A KR20210076965A KR102508766B1 KR 102508766 B1 KR102508766 B1 KR 102508766B1 KR 1020210076965 A KR1020210076965 A KR 1020210076965A KR 20210076965 A KR20210076965 A KR 20210076965A KR 102508766 B1 KR102508766 B1 KR 10250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d
nonwoven fabric
pad assembly
presen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681A (ko
Inventor
고재용
박환
서상호
송윤
우승건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주)무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주)무진케미칼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7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폼패드 어셈블리는 발포 성형체로 구성되는 폼패드, 폼패드 상단에 위치하는 부직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유닛은, 상기 폼패드 상면에 위치하는 슬라브 스폰지, 상기 슬라브 스폰지와 부착된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폼패드 어셈블리{Form Pad Assembly}
본 발명은 폼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폼패드 상면에 위치하는 부직포 유닛을 제공하여, 폼패드 금형에 부직포 유닛이 부착이 용이하고 밀착성이 증가될 수 있는 부직포 유닛을 포함하는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쿠션과, 탑승자가 앉은 자세에서 등을 기대는 시트백 및, 머리를 기대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쿠션은 플로어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시트백은 시트쿠션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헤드레스트는 시트백의 상단에서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의 내부에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프레임에 하중지지수단 및 시트의 전후 이동과 시트백의 각도 조절 및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시트의 외형은 상기 프레임과 여러 장치들을 둘러싸는 폼패드(Foam pad)와, 폼패드에 씌워지는 표피재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폼패드는 폴리올(Polyol)과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를 혼합하여 금형 내에서 발포 성형한 것으로 경량이면서 탄성, 압축회복성, 단열성, 충격흡수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시트의 내부 충전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폼패드의 뒷면에는 폼패드의 형상을 유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며, 쿠션감을 향상시키고, 시트내 여러 장치들로부터 폼패드를 차단 및 보호하여 장착 작업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직포가 구비된다.
부직포를 포함하는 폼패드 어셈블리는 상형의 하면에는 폼패드의 배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메인성형부와 사이드성형부가 형성되고, 하형의 상면에는 폼패드의 정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메인성형부와 사이드성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형과 하형이 합형되면 그 사이에 폼패드 형상의 동공이 형성되고, 그 동공에 원료를 주입한 뒤, 소정의 가온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 발포가 완료되어 폼패드가 성형된다.
이때, 부직포는 합형 전 상형의 폼패드 성형면(즉, 메인성형부와 사이드성형부)에 선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포 성형을 종료했을 때 폼패드의 배면에 부직포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게 된다.
다만 종래기술로서 폼패드 성형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의해 완성된 물품의 유연성을 감소시키고, 폼패드 발포시 함침 및 치수 불량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부직포 표면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왁스 도포를 요구하는 추가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특허 10-1993-000764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폼패드 상단에 위치하는 유연한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의 밀착성이 강화되는 부직포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폼패드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폼패드 어셈블리는 발포 성형체로 구성되는 폼패드; 폼패드 상단에 위치하는 부직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유닛은, 상기 폼패드 상면에 위치하는 슬라브 스폰지; 상기 슬라브 스폰지와 함침되어 구성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브 스폰지는 두께가 2.5mm~5mm인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브 스폰지는 18Kg/m3으로 구성되는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면적당 중량비가 20~70g/m2 로 구성되는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폼패드는, 평면부와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안티노이즈 층을 더 포함하는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 유닛 가장가지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안티노이즈 층을 더 포함하는 폼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연한 부직포 유닛을 제공할 수 있어 제조시 공정의 효율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 유닛의 밀착성 및 성형성 개선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 유닛을 통해 완성 시트의 소음 개선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폼패드 어셈블리의 제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폼패드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폼패드 어셈블리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폼패드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를 구성하는 폼패드(100)와 폼패드(100) 상단에 적층되어 위치하는 부직포 유닛(200)에 관한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폼패드 어셈블리(10)의 제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100) 적층구조는, 폼패드(100) 배면 성형용 상형(410)과, 폼패드(100) 정면 성형용 하형(420)과, 상형(410)에 구비된 위치 결정부재, 상형(410)에 부착되는 부직포 유닛(200)을 포함하고, 부직포 유닛(200)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체결부재(440)를 포함한다.
상형(410)은 하형(420)의 상부에서 하형(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형(410)의 최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걸림턱은 하형(420)의 최외각 돌출부와 간섭되도록 구성되는바, 상형(410)이 하형(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형(410)과 하형(420)의 사이에 폼패드(100) 형성을 위한 동공을 정확한 치수로 형성하게 된다.
상형(410)의 하면은 사출되는 폼패드 어셈블리(10)의 배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바, 하형(420)과 마주하는 상형(410)의 내면에는 부직포 유닛(200)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형(410)과 하형(420) 사이에 형성되는 폼패드(100)는 평면부(421)와 굴곡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형(420)의 상면에는 중간 부분에 상방으로 완만하게 돌출되는 평면부(421)와, 평면부의 양측에 상형(410)의 굴곡에 상응하여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굴곡부(422)가 형성된다.
하형(420)의 평면부와 굴곡부 사이에는 폼패드(100)의 외부에 씌워지는 표피재의 봉재선 부분이 삽입되는 선형의 오목한 홈 즉, 봉재부 수용홈을 성형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형(410)의 폼패드(100) 성형면에는 다수의 부착부재(430)를 포함하고, 부착부재(430)와 체결되는 체결부재(440)를 포함하는 부직포 유닛(200)이 상형(410) 내면에 체결되어 위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부착부재(430)는 상형(410)의 폼패드(100) 성형면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재(430)와 대응되는 체결부재(440)는 부직포 유닛(200)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평면부와 굴곡부에 위치에 따라 부착부재(430) 및 체결부재(440)의 간격을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착부재(430)는 부직포 유닛(200)이 들뜨기 쉬운 부분으로서, 평면부와 굴곡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최외각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공법을 통해 사출된 폼패드 어셈블리(10)의 평면부, 굴곡부 또는 최외각면을 따라 부직포 유닛(200)이 감싸지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안티노이즈 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부직포 유닛(200) 상면에 위치하는 안티노이즈 층(3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안티노이즈 층(300)은 폼패드 어셈블리(10)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폼패드(100)의 굴곡부 또는 부직포 유닛(200)이 감싸지지 않은 영역(가장자리 영역)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도록 사출된 폼패드 어셈블리(10)의 후속 공정으로서, 왁스 또는 도포를 통해 별도의 안티노이즈 층(300)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티노이즈 층(300)은 부직포 유닛(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직포 유닛(200)의 적어도 일부 및 노출된 폼패드(100)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폼패드 어셈블리(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폼패드 어셈블리(1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된 폼패드 어셈블리(10)는 발포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폼패드(100), 폼패드(100) 상면에 위치하는 부직포 유닛(200)을 포함한다.
부직포 유닛(200)은 폼패드(100) 상면에 위치하는 슬라브 스폰지(210), 슬라브 스폰지(210) 상면에 위치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220)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폼패드 어셈블리(10)의 부직포 유닛(200)으로서, 슬라브 스폰지(210)는 폼패드(100)와 마주하는 영역은 일부 함침되도록 구성된다.
부직포 유닛(200)으로서, 슬라브 스폰지(210)와 스펀레이스 부직포(220)는 핫멜트 공법, 화염라미네이팅 접착, 반응형 폴리우레탄을 통한 부착 등 부착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공법이 사용될 수 있다.
부직포 유닛(200)으로서, 슬라브 스폰지(210)는 두께가 2.5mm~5mm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브 스폰지의 중량은 18Kg/m3을 갖도록 구성된다. 슬라브 스폰지(210)의 두께가 2.5mm 이하에서는 발포액이 함침되어 스펀레이스 부직포(220) 상부면까지 돌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슬라브 스폰지(210)의 두께가 5.1mm 이상에서는 폼패드(100) 상에 성형성이 불량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브 스폰지의 중량은 18Kg/m3을 갖도록 구성되고, 두께는 2.5mm~5mm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면적당 중량비가 20~70g/m2 인 스펀레이스 부직포(220)를 구성한다. 스펀레이스 부직포(220)의 경우, 슬라브 스폰지(210)와 마주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함침되도록 상기 슬라브 스폰지(210)에 함침되도록 구성된다.
스펀레이스 부직포(220)는 최소 50% 이상~최대 100%까지 면/펄프/레이온과 같이 흡수력이 좋은 소재로 구성된다. 더욱이, 스펀레이스 부직포(220) 원단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일정량의 합성섬유를 부가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스펀레이스 부직포(220)는 천연원료(솜 형태의 레이온이나 펄프)를 투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천연원료의 섬유들을 풀어서 일정 방향으로 배열시키면서 웹(Web)을 먼저 형성시키고, 이 상태에서 고압의 수류를 가해 부직포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스펀레이스 부직포(220)는 합성섬유 부직포에 비해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존재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직포 유닛(200)으로서, 스펀레이스 부직포(220)가 적층되도록 폼패드(100)와 스펀레이스 부직포(220)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브 스폰지(210)를 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패드(100) 및 부직포 유닛(200)이 성형된 폼패드 어셈블리(10)를 도시하고 있다.
부직포 유닛(200)은 폼패드(10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바, 부직포 유닛(200)의 전체가 안티노이즈 층(300)을 형성하여 시트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폼패드 어셈블리
100: 폼패드
200: 부직포 유닛
210: 슬라브 스폰지
220: 스펀레이스 부직포
300: 안티노이즈 층
410: 상형
420: 하형
430: 부착부재
440: 체결부재

Claims (6)

  1. 발포 성형체로 구성되는 폼패드;
    폼패드 상단에 위치하는 부직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유닛은,
    상기 폼패드 상면에 위치하는 슬라브 스폰지;
    상기 슬라브 스폰지가 일부 함침되어 구성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 스폰지는 상기 폼패드 상면에 일부 함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슬라브 스폰지는 두께가 2.5mm~5mm이고, 상기 슬라브 스폰지는 18Kg/m3이며,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면적당 중량비가 20~70g/m2 로 구성되는 폼패드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는, 평면부와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폼패드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안티노이즈 층을 더 포함하는 폼패드 어셈블리.
KR1020210076965A 2021-06-14 2021-06-14 폼패드 어셈블리 KR102508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65A KR102508766B1 (ko) 2021-06-14 2021-06-14 폼패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65A KR102508766B1 (ko) 2021-06-14 2021-06-14 폼패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81A KR20220167681A (ko) 2022-12-21
KR102508766B1 true KR102508766B1 (ko) 2023-03-14

Family

ID=8453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65A KR102508766B1 (ko) 2021-06-14 2021-06-14 폼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7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874A (ja) * 2003-06-19 2005-01-13 Tachi S Co Ltd トリムカバー
JP2005186499A (ja) * 2003-12-26 2005-07-14 Inoac Corp 車両用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KR101867836B1 (ko) * 2017-12-12 2018-07-17 신선이 자동차 시트용 패드 제조 공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557B1 (ko) 1991-10-10 1995-07-12 영보화학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
EP2447402B1 (en) * 2010-07-13 2013-06-19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 laminate for expansion molding
KR20160050822A (ko) *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폼패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874A (ja) * 2003-06-19 2005-01-13 Tachi S Co Ltd トリムカバー
JP2005186499A (ja) * 2003-12-26 2005-07-14 Inoac Corp 車両用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KR101867836B1 (ko) * 2017-12-12 2018-07-17 신선이 자동차 시트용 패드 제조 공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81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6848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107796B (zh) 头枕的制造方法以及头枕
JP6046249B2 (ja) クッション体
US9956706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seat pad
EP3209524B1 (en) Main floor part for a small utility vehicle
KR100283437B1 (ko) 착좌감이 양호한 쿠션체구조
US9962002B2 (en) Cushion pad
JP2014128359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2009291537A (ja) クッションパッド
WO2016098550A1 (ja) シートパッドおよび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CN115989124A (zh) 泡沫部件,特别是用于车辆座椅的泡沫部件,用于生产泡沫部件的方法,以及车辆座椅
JP5964198B2 (ja) 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KR102508766B1 (ko) 폼패드 어셈블리
US3389935A (en) Composite load supporting structure
JP2023155319A (ja) シートパッド、及び、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H02258332A (ja) 発泡成形品およびその補強材基布
JP5317526B2 (ja) 複合クッション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650360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JPH01238910A (ja) 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JP5377891B2 (ja) シート用クッションパッド
KR102131594B1 (ko)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JP6102560B2 (ja) 乗物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体
JP6084531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JP7404980B2 (ja) 乗物用シートの構成部材及びその成形型
JP6650361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