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183B1 - 갭 컨트롤 유니트 캠 - Google Patents

갭 컨트롤 유니트 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183B1
KR102507183B1 KR1020220123539A KR20220123539A KR102507183B1 KR 102507183 B1 KR102507183 B1 KR 102507183B1 KR 1020220123539 A KR1020220123539 A KR 1020220123539A KR 20220123539 A KR20220123539 A KR 20220123539A KR 102507183 B1 KR102507183 B1 KR 102507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m
sliding
control uni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문
Original Assignee
신라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55116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0718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라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신라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2012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05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0Devices controlling or operating blank holders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dies
    • B21D24/12Devices controlling or operating blank holders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dies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 B30B15/003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using a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 drive means and the press sl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서 슬라이딩 홈(451, 452)이 연장되는 베이스 블럭(400); 일측이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단(211a)을 구비하여 베이스 블럭(40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캠 슬라이더(200); 탄성력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캠 슬라이더(200)를 인출입하는 푸쉬 블럭(300); 및 캠 슬라이더(200)의 경사단(211a)을 따라 경사지도록 하강하면서 캠 슬라이더(200)를 수평 이동시키는 캠 드라이브(100);를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갭 컨트롤 유니트 캠{GAP CONTROL UNIT CAM}
본 발명은 갭 컨트롤 유니트 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금형 판넬의 손상 및 변형이 없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프레스 설비는 재료에 힘을 가해서 소성 변형시켜 굽힘, 전단, 단면수축 등의 가공을 하는 설비로서, 프레스 설비의 종류는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에 따라 크게 기계식 프레스와 유압식 프레스로 구별된다.
전자인 기계식 프레스는 전동기의 동력을 기어와 크랭크 등의 기구로 압축력을 발생시켜 가공작업을 수행하며, 유압식 프레스는 유압(수압과 기압 포함)을 이용하여 압축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종래의 프레스 공법에는 성형 깊이를 축소하여 블랭크 사이즈를 줄임으로서 원가절감을 줄이기 위해 드로다이에 락킹공법이 개발되었다.
락킹 공법은 일반 성형 공법에 비하여 제품율에 대한 효율이 높은 공법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락킹 공법은 에어 실린더가 적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실린더를 이용한 락킹 공법은 양산 프레시에 에어 실린더의 에어 타이밍 조절이 필요함에 따라 업체의 사정상 가능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되었고, 양산시 오작동으로 인한 금형 파손 및 판넬 변형의 문제점이 있다.
KR 101767333 B1(2017.08.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금형 판넬의 손상 및/또는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면에서 슬라이딩 홈이 연장되는 베이스 블럭과, 일측이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단을 구비하여 베이스 블럭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캠 슬라이더와, 탄성력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캠 슬라이더를 인출입하는 푸쉬 블럭 및 캠 슬라이더의 경사단을 가압하여 캠 슬라이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캠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을 제공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캠 슬라이더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에 설치되는 푸쉬 블럭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판 및 슬라이딩 지지판의 상면에서 경사단이 형성되는 한쌍의 직립된 벽면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푸쉬 블럭이 인출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지지판은 푸쉬 블럭의 이동 가능한 거리 만큼 연장 및 개구된 슬라이딩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푸쉬 블럭은 슬라이딩 수용부 내에서 이동되는 블럭 함체와, 블럭 함체 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수용부 측으로 연장되어 블럭 함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1 가스 스프링 및 블럭 함체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슬라이딩 개구를 따라 이동 및 블럭 함체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블럭 연결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에 블랭크 사이즈의 조절이 용이한 락킹 공법을 슬라이딩 가능한 갭 컨트롤 유니트 캠을 적용할 수 있어 양산 프레스에서 사용이 용이하기에 누구라도 사용 가능하고, 금형의 판넬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갭 컨트롤 유니트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캠 드라이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푸쉬 블럭과 캠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캠 슬라이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푸쉬 블럭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갭 컨트롤 유니트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갭 컨트롤 유니트 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캠 드라이브(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하로 이동되는 캠 드라이브(100), 수평 이동하는 캠 슬라이더(200), 캠 슬라이더(200)와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푸쉬 블럭(300)과, 푸쉬 블럭(300) 및 캠 슬라이더(200)를 지지하는 베이스 블럭(400)을 포함할 수 있다.
캠 드라이브(100)는 상하 이동되면서 캠 슬라이더(200)를 수평 이동하도록 가압하고, 푸쉬 블럭(300)은 베이스 블럭(400)의 상측에서 캠 슬라이더(200)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또한 베이스 블럭(400)은 캠 드라이브(100) 및 푸쉬 블럭(300)을 지지하되, 캠 드라이브(100)가 푸쉬 블럭(300)측으로 수평이동시에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예를 들면, 가스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푸쉬 블럭(300)은 캠 슬라이더(200)의 반대측에서 가해진 힘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예를 들면, 가스 스프링)를 구비할 수 있다.
이중, 캠 드라이브(100)는 도 2의 캠 드라이브(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된 상태로서 상형 다이(510)에 고정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캠 드라이브(100)는 경사면을 갖는 드라이브 함체(110)와, 드라이브 함체(110)에서 돌출되는 결합단(120)과, 드라이브 함체(110)의 경사면에 고정되는 마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브 함체(110)는, 도 2를 기준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 쌍의 양각홈(111)과, 양각홈(111) 사이의 내향된 음각홈(112)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양각홈(111)은 일면 또는 양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상측에서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각홈(112)은 한 쌍의 양각홈(111)들을 이격시킨다. 여기서 음각홈(112)은 양각홈(1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향된 홈으로 형성되기에 가공되지 않은 경사면 이거나, 임의로 가공 될 수 있다.
마모판(130)은 상부 금형의 하강 시에 캠 슬라이더(200)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방지한다.
도 3은 푸쉬 블럭(300)과 캠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캠 슬라이더의 단면도, 도 5는 푸쉬 블럭(300)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캠 슬라이더(200)는 베이스 블럭(40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슬라이딩 지지판(220)과, 슬라이딩 지지판(220)의 양 변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딩 바(240)와, 슬라이딩 지지판(220)에서 개방된 슬라이딩 개구(230) 및 슬라이딩 지지판(220)의 상면에서 푸쉬 블럭(300)이 수용되는 공간을 이루는 슬라이딩 수용부(21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지지판(22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갖는다.
슬라이딩 바(240)는 슬라이딩 지지판(220)의 양변을 따라 연장되어 베이스 블럭(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슬라이딩 개구(230)는 슬라이딩 지지판(220)에서 설정된 거리 만큼 연장되어 개구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개구(230)는 후술되는 푸쉬 블럭(300)의 블럭 연결단(350)이 인입되고, 푸쉬 블럭(300)의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연장된다. 아울러, 슬라이딩 개구(230)는 블럭 연결단(35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판(도시되지 않음)이 외주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용부(210)는 슬라이딩 지지판(220)의 슬라이딩 개구(23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각각 직립되는 측벽(211)과, 측벽(211)들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판(212)을 포함한다.
측벽(211)들은 슬라이딩 지지판(220)의 양 변에서 직립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단차 형성되어 상판(212)이 고정되는 측상단(211b)과, 측상단(211b)에서 상향 단차된 이후에 경사지도록 하향 연장되는 경사단(211a)을 포함할 수 있다.
측상단(211b)은 양측벽(211)의 한쪽 상단에서 상향 단차면과의 사이에 수평면을 이룬다.
여기서 상판(212)은 평면판으로 하면이 측상단(211b)에 올려져 고정치구(예를 들면, 리벳, 나사 또는 볼트)로 고정된다.
경사단(211a)은 양 측벽(211)의 단부에서 경사면을 이룬다.
전면판(213)은 측벽(211)들 사이에서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면판(213)의 하부(213a)는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베이스 블럭(400)으로 인입된다.
푸쉬 블럭(300)은 슬라이딩 수용부(2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블럭 함체(310)와, 블럭 함체(310)의 내측에서 가스에 의한 압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제1 가스 스프링(320)과, 블럭 함체(310)의 끝단에서 상형 다이(510)와 하형 다이 사이에 위치된 서브 패드(520)의 하부블럭(a)(도 8a 내지 도 8f 참조)과 접촉 및 압력을 받는 푸쉬부(330)와, 푸쉬 블럭(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블럭 연결단(350)를 포함한다.
블럭 함체(310)는 푸쉬부(330)의 일면에서 연장되되, 내측에 제1 가스 스프링(320)이 수용 및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블럭 함체(310)는 좌우 및 상하측이 모두 밀폐되되, 슬라이딩 수용부(210)의 전면판(213)을 향해 제1 가스 스프링(320)을 인출시킨다.
또한, 블럭 함체(310)의 양측 벽면에는 슬라이더 수용부(210)의 측벽(211)들 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모판(31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스 스프링(320)은 블럭 함체(310)로부터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 수용부(210)의 전면판(213) 내면에 접촉된다. 예를 들면, 제1 가스 스프링(320)은 푸쉬부(330)로 압력이 가해지면, 전면판(213)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수축되고, 푸쉬부(330)의 압력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탄성력을 가한다.
푸쉬부(330)는 블럭 함체(310) 및 슬라이딩 수용부(210)의 내부 공간 보다 큰 폭을 갖고 형성되며, 제1 가스 스프링(320)에 의한 탄성력으로 하부 블럭(a)에 밀착된다.
푸쉬부는 프레스 성형 기기에서 블랭크를 지지하는 서브패드의 하부 블럭(a)을 지지하여 상형 다이(510) 및 하형 다이의 동작으로 인한 블랭크와 서브 패드(520)간의 이격으로 발생되는 블랭크의 파손을 방지한다.
여기서 푸쉬부(3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터치 브라켓(341, 3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터치 브라켓(341, 342)은 푸쉬 블럭(30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베이스 블럭(400)의 상면에 고정된 센서(441, 442)(도 6 참조)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터치 브라켓(341, 342)은 평면형으로 연장되는 제1 터치 브라켓(341)과, 직립된 단면으로 연장된 제2 터치 브라켓(3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터치 브라켓(341)은 '┎'의 형상을 갖고, 직립판에서 수평 연장되는 연장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직립판은 푸쉬부(330)의 측면에 밀착고정된다.
또한, 제2 터치 브라켓(342)은 직립된 단면에서 절곡되는 절곡부가 푸쉬부(330)의 반대측에 고정된다.
블럭 연결단(350)은 블럭 함체(31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술한 슬라이딩 지지판(220)에 형성된 슬라이딩 개구(23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향 돌출된다. 따라서 블럭 연결단(350)은 푸쉬 블럭(300)이 이동될 때, 슬라이딩 개구(230)의 외주면과 걸림되어 푸쉬 블럭(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블럭 연결단(350)은 푸쉬부(33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과, 캠 슬라이더(200)의 이동에 따라 블럭 함체(310)가 이동시에 슬라이더 개구의 내주면과의 접촉시에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마모판(351)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블럭(400)은 캠 슬라이더(200)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 블럭(400)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베이스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베이스 블럭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블럭(400)은 수평 연장된 지지부(410)와, 제2 가스 스프링(420)과, 캠 슬라이더(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30)와, 푸쉬 블럭(30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캠 슬라이더(200)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홈(451, 452)을 포함한다.
지지부(410)는 판형상으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411)와 베이스 플레이트(411)에서 개방되는 슬라이더 연결홈(412)와,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수단(41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11)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금속 판재로 형성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푸쉬 블럭(300)과 캠 슬라이더(200)를 지지한다.
슬라이더 연결홈(412)은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상면이 개방되어 내향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 연결홈(412)은 캠 슬라이더(200)에서 하향 돌출되는 전면판(213)의 하단(213a)이 인입되어 이동 가능한 폭과 길이로서 내향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수단(413)은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상면의 설정 영역에서 설치되어 슬라이딩 홈(451, 452)을 통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바(240)의 이동을 제한한다. 예를 들면, 걸림수단(413)은 슬라이딩 홈(451, 452)과 끝단과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설정 거리만큼 이동된 슬라이딩 바(240)를 걸림시킨다.
스토퍼(430)는 지지부(410)의 한쪽 끝단에서 직립된 판으로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토퍼(430)는 슬라이더 연결홈(412)에 인입된 캠 슬라이더(200)의 전면판(213)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전면에 직립된다. 또한, 스토퍼(430)의 내면에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마모판이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451, 452)은 한 쌍으로 지지부(410)의 상측 양변에서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홈(451, 452)은 직립되는 직립벽(452a)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단(452b)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상면과 절곡단(452b)의 하면 사이에 슬라이딩 바(240)가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센서부는 상술한 제1 터치 브라켓(341)과 제2 터치 브라켓(342)과의 접촉을 통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441)와 제2 센서(442), 제1 센서(441)를 고정하는 제1 센서 브라켓(443)과, 제2 센서(442)를 고정하는 제2 센서 브라켓(444)을 포함한다.
제1 센서(441)는 접촉면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직립 고정되어 수평면을 이루는 제1 터치 브라켓(341)을 감지한다.
제2 센서(442)는 접촉면이 측방을 지향하도록 수평 고정되어 직립면을 이루는 제2 터치 브라켓(342)을 감지한다.
제1 센서 브라켓(443)은 일측의 제1 슬라이딩 홈(451)의 상면에서 고정되는 제1 고정단(443a)과, 수평단에서 직립되도록 절곡된 직립단(443b)과, 직립단(443b)에서 수평 절곡된 수평단(443c)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고정단(443)은 고정 치구가 연통도어 제1 슬라이딩 홈(451)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직립단(443b)은 고정단(443a)과 수평단(443c) 사이를 연결 및 지지한다.
수평단(443c)은 제1 센서(441)를 직립된 형상으로 고정 및 지지한다. 여기서 제1 센서(441)는 수평단(443c)을 연통하여 고정된다.
제2 센서 브라켓(444)은 반대측이 제2 슬라이딩 홈(452)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단(444a)과, 제2 고정단(444a)에서 절곡되어 직립되는 제2 직립단(444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고정단은 제2 슬라이딩 홈(451, 45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통되는 고정 치구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직립단(444b)은 제2 고정단(444a)에서 직립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제2 센서(442)를 지지 및 고정한다.
제2 가스 스프링(420)은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내측에서 고정되어 슬라이더 연결홈(412)을 통해 형성된 수용 공간으로 인출된다. 여기서 제2 가스 스프링(420)은 캠 슬라이더(200)가 캠 드라이브(100)의 가압에 의해 이동되면서 수축되고, 캠 드라이브(100)의 접촉이 해제되면 팽창되면서 캠 슬라이더(200)를 탄성력으로 밀어 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의 과정에서 가스 스프링의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8a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형 다이(510)가 하강하여 캠 드라이브(100)가 캠 슬라이더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단계이다. 이때, 캠 슬라이더(200)는 베이스 블럭(40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푸쉬 블럭(300)은 캠 슬라이더(200)의 슬라이더 수용부(210) 내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푸쉬 블럭(300)의 블럭 연결단(350)은 슬라이딩 개구(230)에 인입되고, 제1 가스 스프링(320)은 캠 슬라이더(200)의 전면판(213)를 향해 팽창된 상태이다.
아울러, 캠 드라이브(100)는 상형 다이(510)에 고정 또는 연결된 상태에서 양각홈(111)에 부착된 마모판(130)이 캠 슬라이더(200)의 경사단(211a)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캠 슬라이더(200)는 베이스 블럭(40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바(240)가 슬라이딩 홈(451, 452)에 끼움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또한 캠 슬라이더(200)의 전면판(213)은 하단이 하향 연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슬라이더 연결홈(412)로 인입된다.
즉, 캠 드라이브(100)는 캠 슬라이더(200)의 경사단(211a)에 접촉된 상태이나 힘을 가하기 전이고, 푸쉬 블럭(300)은 상형 다이(510)와 하형 다이 사이의 서브 패드(520)의 하부 블럭(a)과 비 접촉 상태이다. 이때, 제1 가스 스프링(320)은 팽창된 상태로서 캠 슬라이더(200)의 전면판(213)의 내면에 접촉 또는 비 접촉 되었고, 제2 가스 스프링(420)은 팽창된 상태에서 지지 판넬의 내측으로 인입된 전면판(213)와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형 다이(510)가 하강하여 캠 드라이브(100)가 캠 슬라이더(200)의 경사단(211a)에 힘을 가하면, 캠 슬라이더(200)가 전진하여 푸쉬 블럭(300)의 푸쉬부(330)가 서브 패드(520)의 하부블럭(a)에 접촉하면서 푸쉬 블럭(300)의 이동이 멈춘다.
도 8c를 참조하면, 이후 상형 다이(510)가 하강을 계속하면, 캠 드라이브(100)는 하강되면서 캠 슬라이더(200)의 경사단(211a)에 힘을 가하여 캠 슬라이더(200)를 전진시킨다. 다만, 푸쉬 블럭(300)은 서브 패드(520)의 하부 블럭(a)에 멈춤 상태이다.
이때, 캠 슬라이더(200)는 캠 드라이브(100)가 하강되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평 이동한다. 따라서 제2 가스 스프링(420)은 캠 슬라이더(200)가 이동됨에 따라 수축된다.
여기서 제1 가스 스프링(320)과 제2 가스 스프링(420)은 상하 정렬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캠 슬라이더(200)가 이동되더라도 제2 가스 스프링(420)이 먼저 압축되며, 제1 가스 스프링(320)은 팽창 상태를 유지하거나, 제2 가스 스프링(420)에 비하여 긴 거리만큼 팽창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형 다이(510)가 계속 하강하면, 서브 패드(520)와 상형 다이(510)가 블랭크 홀더(530)와 플로팅 패드(550)를 누르게 된다. 이때 서브 패드(520)의 하측에 위치한 플로팅 패드(550)는 하형 다이(프레스)의 바닥에 닿아서 멈춤 상태가 된다.
도 8e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플로팅 패드(550)는 바닥에 닿아서 멈춰있고, 블랭크 홀더(530)만 하강된다. 이때, 서브 패드(520)와 블랭크 홀더(530) 사이의 간격이 발생 및/또는 유지되면 제품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서브 패드(520)와 블랭크 홀더(530) 간의 간격 발생시점에서 푸쉬 블럭(300)을 전진시켜 서브 패드(520)의 하부 블럭(a)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푸쉬 블럭(300)은 블랭크 홀더(530)의 하강으로 공간이 발생되면, 제1가스 스프링(320)에 의한 탄성력으로 전방으로 전진하여 하부 블럭(a)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간격 발생을 방지한다.
도 8f 및 도 8g, 도 11을 참조하면, 플로팅 패드(550)와 블랭크 홀더(530)는 상형 다이(510)와 함께 상승한다. 여기서 서브 패드(520)가 블랭크 접촉면에서 떨어진 후 푸쉬 블럭(300)이 후진하지 않으면 금형이 파손될 수 있다.
이때, 캠 드라이브(100)는 상형 다이(510)가 승강되면서 캠 슬라이더(200)의 경사단(211a)과 접촉을 해제한다. 그러므로 캠 슬라이더(200)와 푸쉬 블럭(300)은 제1 가스 스프링(320)과 제2 가스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하부 블럭(a)은 상형 다이(510)의 승강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블럭(300)의 상측에 위치되며, 푸쉬 블럭(300)은 후진하여 도 8a의 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제1센서(441)와 제2센서(442)는 푸쉬 블럭(300)의 후진을 감지하여 제어장치에 출력한다.
만약, 제어장치는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형 다이(510) 등의 동작을 정지시켜 금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프레스 공정에서 블랭크(BLANK) 사이즈를 줄이기 위에 사용되는 락킹(LOCKING) 공법을 탄성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캠 방식으로 구현함에 따라 기존의 에어 실린더로 인한 에어 타이밍 조절의 어려움과, 금형 판넬의 변형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캠 드라이브 110 : 드라이브 함체
111 : 양각홈 112 : 음각홈
120 : 결합단 130 : 마모판
200 : 캠 슬라이더 210 : 슬라이딩 수용부
211 : 측벽 211a : 경사단
211b : 측상단 212 : 상판
213 : 전면판 220 : 슬라이딩 지지판
230 : 슬라이딩 개구 240 : 슬라이딩 바
300 : 푸쉬 블럭 310 : 블럭 함체
320 : 제1 가스 스프링 330 : 푸쉬부
341, 342 : 터치 브라켓 350 : 블럭 연결단
400 : 베이스 블럭 410 : 지지부
411 : 베이스 플레이트 412 : 슬라이더 연결홈
413 : 걸림수단 420 : 제2 가스 스프링
430 : 스토퍼 441, 442 : 센서
443, 444 : 센서 브라켓 451, 452 : 슬라이딩 홈

Claims (8)

  1. 상면에서 슬라이딩 홈(451, 452)이 연장되는 베이스 블럭(400);
    일측이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단(211a)을 구비하여 베이스 블럭(40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캠 슬라이더(200);
    탄성력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캠 슬라이더(200)를 인출입하는 푸쉬 블럭(300); 및
    캠 슬라이더(200)의 경사단(211a)을 가압하여 캠 슬라이더(200)를 수평 이동시키는 캠 드라이브(100);를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캠 슬라이더(2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에 설치되는 푸쉬 블럭(300)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판(220); 및
    슬라이딩 지지판(220)의 상면에서 경사단(211a)이 형성되는 한쌍의 직립된 벽면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푸쉬 블럭(300)이 인출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수용부(210);를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라이딩 지지판(220)은
    푸쉬 블럭(300)의 이동 가능한 거리 만큼 연장 및 개구된 슬라이딩 개구(230);를 더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4. 청구항 3에 있어서, 푸쉬 블럭(300)은
    슬라이딩 수용부(210) 내에서 이동되는 블럭 함체(310);
    블럭 함체(310) 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수용부(210) 측으로 연장되어 블럭 함체(310)를 탄성 지지하는 제1 가스 스프링(320); 및
    블럭 함체(3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슬라이딩 개구(230)를 따라 이동 및 블럭 함체(3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블럭 연결단(350);를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5. 청구항 2에 있어서, 캠 슬라이더(200)는
    슬라이딩 지지판(220)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어 슬라이딩 홈(451, 452)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바(240);를 더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블럭(400)은
    상면에 슬라이딩 홈(451, 452)이 구비되어 수평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411); 및
    베이스 플레이트(411) 내에서 고정되는 제2 가스 스프링(420);을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411)는
    캠 슬라이더(200)에서 하향 연장되는 전면판(213)가 인입되어 제2 가스 스프링(4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내향된 공간으로 형성된 슬라이더 연결홈(412); 를 더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7. 청구항 6에 있어서, 베이스 블럭(400)은
    푸쉬 블럭(30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고,
    센서부는
    푸쉬 블럭(300)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브라켓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441, 442); 및
    베이스 플레이트(411) 상면에서 센서(441, 442)를 고정시키는 센서 브라켓(443, 444);을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8. 청구항 6에 있어서, 베이스 블럭(400)은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끝단에서 직립된 판넬로 형성되어 캠 슬라이더(2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430); 를 더 포함하는 갭 컨트롤 유니트 캠.
KR1020220123539A 2022-09-28 2022-09-28 갭 컨트롤 유니트 캠 KR102507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539A KR102507183B1 (ko) 2022-09-28 2022-09-28 갭 컨트롤 유니트 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539A KR102507183B1 (ko) 2022-09-28 2022-09-28 갭 컨트롤 유니트 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183B1 true KR102507183B1 (ko) 2023-03-09

Family

ID=8551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539A KR102507183B1 (ko) 2022-09-28 2022-09-28 갭 컨트롤 유니트 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1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2423A (ja) * 1987-03-31 1988-10-07 Daiwa Kogyo Kk プレス金型
JPH04190931A (ja) * 1990-11-26 1992-07-09 Toyota Motor Corp ロッキング機構付き絞り型
KR20010019122A (ko) * 1999-08-25 2001-03-15 정주호 프레스 금형의 블랭크재 벤딩장치
KR101767333B1 (ko) 2013-07-03 2017-08-1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JP2021020248A (ja) * 2019-07-30 2021-02-18 豊田鉄工株式会社 プレス成形装置の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2423A (ja) * 1987-03-31 1988-10-07 Daiwa Kogyo Kk プレス金型
JPH04190931A (ja) * 1990-11-26 1992-07-09 Toyota Motor Corp ロッキング機構付き絞り型
KR20010019122A (ko) * 1999-08-25 2001-03-15 정주호 프레스 금형의 블랭크재 벤딩장치
KR101767333B1 (ko) 2013-07-03 2017-08-1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JP2021020248A (ja) * 2019-07-30 2021-02-18 豊田鉄工株式会社 プレス成形装置のロック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8334B1 (en) Hemming apparatus
TW305782B (ko)
KR960011668B1 (ko) 판재 굽힘 가공기 및 굽힘 방법
WO2006054596A1 (ja) 曲げ加工方法、曲げ加工方法に使用する金型及び折曲げ加工機
NL2004385C2 (en) A PRESS BRAKE FOR BENDING SHEETS.
KR102507183B1 (ko) 갭 컨트롤 유니트 캠
JP6845573B2 (ja) ヘミング加工装置
US11198168B2 (en) Be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H11267768A (ja) プレス型
JP6208312B2 (ja) カウンタカム装置
JP4852480B2 (ja) 突き上げカム装置
KR200235125Y1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KR20190043672A (ko) 성형 장치
KR20210089838A (ko) 원가 절감 및 제품정밀도가 향상되는 포밍금형 설계 및 제작방법
CN219004452U (zh) 一种自适应补偿铆压高度差的旋铆模具机构
CN108284163B (zh) 一种自支撑的冷柜内胆圆角铆接机构
CN215614499U (zh) 一种钣金零件生产模具的拉伸结构
KR101719900B1 (ko) 금속박판의 엠보싱돌기 성형금형
CN114643471B (zh) 一种调节螺丝装配机构及其工件定位方法
JP2575972Y2 (ja) プレス型における案内カムの撓み防止装置
RU2082521C1 (ru) Штамп для гибки на ребро профилей т-образного сечения
CN216460965U (zh) 一种基于t型电梯导轨的自动调直机
CN114260340B (zh) 折弯装置
JP7369636B2 (ja) プレスブレーキ及び曲げ加工方法
JP5933299B2 (ja) プレス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