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348B1 -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348B1
KR102506348B1 KR1020207026862A KR20207026862A KR102506348B1 KR 102506348 B1 KR102506348 B1 KR 102506348B1 KR 1020207026862 A KR1020207026862 A KR 1020207026862A KR 20207026862 A KR20207026862 A KR 20207026862A KR 102506348 B1 KR102506348 B1 KR 10250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oltage
charging
coi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953A (ko
Inventor
서뱌오 천
자량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무선 충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코일은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중간 탭을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의 코일은 제 1 전압을 제공하고, 제 1 단부와 중간 탭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며, 제 1 정류 모듈은 코일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에 연결되고, 제 2 정류 모듈은 코일의 제 1 단부와 중간 탭에 연결되며, 충전 모듈은 제 1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제 1 전압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고,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은 제 2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제 2 전압에 따라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무선 수신 칩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발열을 감소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충전 기술 분야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주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충전하고 있다.
휴대폰을 예로 들면, 현재, 휴대폰의 충전 방식은 여전히 주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폰을 충전하려는 경우, 충전 케이블(예를 들면,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로 휴대폰과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휴대폰 내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유선 충전 방식은 충전 케이블을 필요하기 때문에, 충전 준비 단계의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방식은 점점 사람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무선 충전 방식은 무선 수신 칩의 비교적 큰 손실을 쉽게 초래하므로, 무선 수신 칩의 발열이 심각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삭제
삭제
제 1 양태에서, 본 출원은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코일, 제 1 정류 모듈, 제 2 정류 모듈, 충전 모듈 및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 코일은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중간 탭을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의 코일은 제 1 전압을 제공하고, 제 1 단부와 중간 탭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한다. 제 1 정류 모듈은 코일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에 연결된다. 제 2 정류 모듈은 코일의 제 1 단부와 중간 탭에 연결된다. 충전 모듈은 제 1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제 1 전압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은 제 2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제 2 전압에 따라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2 양태에서,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무선 수신 칩, 코일, 제 1 정류 모듈, 제 2 정류 모듈, 충전 모듈 및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 코일은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중간 탭을 포함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의 코일은 제 1 전압을 제공하고, 제 1 단부와 중간 탭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한다. 제 1 정류 모듈은 코일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에 연결된다. 제 2 정류 모듈은 코일의 제 1 단부와 중간 탭에 연결된다. 충전 모듈은 제 1 정류 모듈 및 배터리에 연결되어 제 1 전압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은 제 2 정류 모듈 및 무선 수신 칩에 연결되어 제 2 전압에 따라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추가된 양태 및 장점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밝혀지고 이해하기 쉽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기술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한다. 무선 충전 기술은 충전 케이블이 없어도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충전 준비 단계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기존의 무선 충전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어댑터 등)와 무선 충전 송신 장치(무선 충전 받침대 등)를 연결하여 상기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무선 방식(전자기 신호 또는 전자기파 등)으로 충전 대기 설비로 전송함으로써,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한다. 서로 다른 무선 충전 원리에 따라, 무선 충전 방식은 주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유형, 즉 자기 결합(또는 전자 유도), 자기 공진 및 무선 전파로 구분된다. 현재, 주류 무선 충전 표준은 QI 표준, PMA(power matters alliance) 표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을 포함한다. QI 표준 및 PMA 표준은 모두 자기 결합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 A4WP 표준은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소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110), 무선 충전 송신 장치(120) 및 충전 대기 설비(130)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송신 장치(12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받침대일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130)는 예를 들어, 단말기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10)와 무선 충전 송신 장치(120)가 연결되면,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류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120)에 전송된다. 무선 충전 송신 장치(120)는 그 내부의 무선 송신 회로(121)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류를 전자기 신호(전자기파)로 변환시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 회로(121)는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류를 교류 전류(AC)로 변환하고, 또한 송신 코일 또는 송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교류 전류를 전자기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130)는 무선 수신 회로(131)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121)에서 보내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기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회로(131)는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1311) 및 무선 수신 칩(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칩(1312)은 정류 회로(13121), 강압 모듈(13122) 및 수신 칩 시스템 모듈(1312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1311)는 무선 송신 회로(121)에서 보내는 전자기 신호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또한 정류 회로(13121)에 의해 교류 전류에 대하여 정류 및/또는 필터링 등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정류 회로(13121)의 출력 전압을 획득하며, 강압 모듈(13122)은 정류 회로(1312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수신 칩 시스템 모듈(13123)(무선 수신 칩(1312) 내부의 컨트롤러, 타이머 등)에 전력을 공급하며, 즉 무선 수신 칩(1312)에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 대기 설비(130) 내의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은 배터리(133)의 양단에 직접 인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먼저 충전 대기 설비(130) 내의 변환 회로(132)에 의해 변환될 필요가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변환 회로(132)는 충전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와 같은 충전 관리 회로일 수 있다. 배터리(133)의 충전 과정에서, 변환 회로(132)는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관리하는 데에 사용된다. 변환 회로(132)는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대한 관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전압 피드백 기능 및/또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 과정은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류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클 충전 단계에서, 변환 회로(132)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트리클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에 들어가는 전류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류 크기(예컨대, 제 1 충전 전류)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정전류 충전 단계에서, 변환 회로(132)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정전류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에 들어가는 전류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류 크기(예컨대, 제 2 충전 전류, 해당 제 2 충전 전류는 제 1 충전 전류보다 클 수 있음)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변환 회로(132)는 전압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크기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크기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보다 클 경우, 변환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실시하여, 강압 변환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무선 수신 회로(131)에서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면, 배터리(133)가 단일 셀(리튬 배터리 셀일 경우,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 4.2V임)을 포함하는 경우, 변환 회로(132)(예컨대, Buck 강압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강압 처리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또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보다 작을 경우, 변환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실시하여, 승압 변환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무선 수신 회로(131)에서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면, 배터리(133)가 직렬로 연결된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셀(리튬 배터리 셀일 경우,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 4.2V임)을 포함하는 경우, 변환 회로(132)(예컨대, Boost 승압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승압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압 모듈(13122)에 의해 수신 칩 시스템 모듈(13123)에 전력을 공급하고, 강압 모듈(13122)은 직접 정류 회로(13121)에서 전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수신 칩 시스템 모듈(13123)의 작동 전압은 비교적 낮다(예를 들면, 1.8V 또는 3.3V이다). 정류 회로(13121)의 출력 전압이 비교적 높은 경우(예를 들면, 15V인 경우), 강압 모듈(13122)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가 크므로, 강압 모듈(13122)의 손실이 매우 크고, 그 결과 무선 수신 칩(1312)의 발열도 심각해진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수신 코일에 중간 탭을 추가하고(또는 수신 안테나에 중간 위치를 추가한다), 또한 대응하는 정류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중간 탭 및 대응하는 정류 모듈에 의해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며, 코일의 중간 탭은 정류 모듈의 출력 전압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압 모듈(26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강압 모듈(260)의 손실을 줄이고, 무선 수신 칩의 발열을 감소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코일(210), 제 1 정류 모듈(220), 제 2 정류 모듈(230), 충전 모듈(240),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코일(210)은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무선 송신 회로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교류 전류(AC)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코일(210)은 제 1 단부(A1), 제 2 단부(A2) 및 중간 탭(A3)을 포함하고, 제 1 단부(A1)와 제 2 단부(A2) 사이의 코일은 제 1 전압을 제공하고, 제 1 단부(A1)와 중간 탭(A3)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며, 제 1 전압은 제 2 전압보다 높다. 즉,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단부(A1)와 제 2 단부(A2) 사이의 코일에 의해 전자기 신호를 제 1 AC(전압은 제 1 전압이다)로 변환할 수 있으며, 제 1 단부(A1)와 중간 탭(A3) 사이의 코일에 의해 전자기 신호를 제 2 AC(전압은 제 2 전압이다)로 변환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만 하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안으로 코일(210)은 안테나로 바꿀 수 있다. 코일(210)의 제 1 단부(A1), 제 2 단부(A2) 및 중간 탭(A3)은 각각 안테나의 부동한 세개의 위치에 대응되고, 세개의 부동한 위치에 의해 서로 다른 전압 범위의 AC를 얻을 수 있다.
제 1 정류 모듈(22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단부(A2)에 연결된다. 제 2 정류 모듈(230)는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중간 탭(A3)에 연결된다. 충전 모듈(240)은 제 1 정류 모듈(220)에 연결되어 제 1 전압에 따라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은 제 2 정류 모듈(230)에 연결되어 제 2 전압에 따라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300)를 충전할 때, 제 1 정류 모듈(22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단부(A2)에서 출력되는 제 1 AC를 제 1 DC로 변환하고, 제 1 DC를 충전 모듈(240)에 출력한다. 충전 모듈(240)은 배터리(300)를 충전하도록 제 1 DC를 배터리(300)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로 변환한다. 동시에 제 2 정류 모듈(23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중간 탭(A3)에서 출력되는 제 2 AC를 제 2 DC로 변환하고, 제 2 DC를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에 출력하며,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은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한다.
설명하여야만 하는 것은, 무선 수신 칩의 작동 전압에 따라 중간 탭(A3)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무선 수신 칩의 손실을 가장 작게 하고, 따라서 무선 수신 칩의 발열을 크게 감소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칩이 필요하는 전압은 1.8V, 3.3V 등이며, 서로 다른 전압 수요에 따라 중간 탭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무선 수신 칩의 서로 다른 모듈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도록 여러개의 중간 탭(A3)이 제공된다. 다른 예시로서, 무선 수신 칩의 가장 작은 전압 수요에 따라 중간 탭(A3)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칩의 전력 공급 요구 사항이 높은 모듈은 승압 후에 그것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수신 칩의 가장 큰 전압 수요에 따라 중간 탭(A3)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칩의 전력 공급 요구 사항이 낮은 모듈은 강압 후에 그것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강압 모듈(260)을 더 포함한다. 강압 모듈(260)은 제 2 정류 모듈(230)과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전압을 제 3 전압으로 강압하여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코일(210)의 중간 탭(A3)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 2 정류 모듈(230)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여 무선 수신 칩의 손실을 최대한 감소하고, 따라서 무선 수신 칩의 발열을 크게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 수신 칩의 작동 전압이 비교적 낮은 경우(예를 들면, 1.8V이다), 코일(210)의 중간 탭(A3)의 위치와 제 1 단부(A1) 사이의 거리가 짧아,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기 에너지도 약하고, 또한 제 2 정류 모듈(230)의 파워 스위치 트랜지스터 등의 영향으로 인해, 무선 수신 칩의 작동 전압과 일치한 전압을 직접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정류 모듈(230)과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 사이에 강압 모듈(260)을 설치하고, 강압 모듈(260)에 의해 제 2 정류 모듈(230)의 출력 전압을 무선 수신 칩의 작동 전압으로 강압할 수 있다. 제 2 정류 모듈(230)의 현재 출력 전압에 따라 코일(210)의 중간 탭(A3)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압 모듈(26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비교적 작은 전압 차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강압 모듈(260)의 손실이 적고, 무선 수신 칩의 발열을 감소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매칭 모듈(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칭 모듈(270)은 코일(210)과 협력하여 전자기 신호를 전압이 다른 AC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 모듈(270)은 제 1 정류 모듈(220) 및 제 2 정류 모듈(230)의 입력측의 공통 결합점의 앞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 1 정류 모듈(220) 및 제 2 정류 모듈(230)은 하나의 매칭 모듈(270)을 공유할 수 있다. 매칭 모듈(27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단부(A2) 사이의 코일과 협력하여 전자기 신호를 제 1 전압의 제 1 AC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매칭 모듈(27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중간 탭(A3) 사이의 코일과 협력하여 전자기 신호를 제 2 전압의 제 2 AC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매칭 모듈(270)을 사용하여 전자기 신호를 전압이 다른 AC로 변환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하드웨어 구조가 간단하고, 코스트가 낮은 특징이 있다.
또한, 제 1 정류 모듈(220)과 제 2 정류 모듈(230)이 하나의 매칭 모듈(270)을 공유하는 경우, 매칭 모듈(270)은 서로 다른 전압 요구 사항을 충족하여야만 하므로, 매칭 모듈(270)을 설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여러개의 매칭 모듈(270)을 제공하여 설계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매칭 모듈(270)이 설치되고, 각 매칭 모듈(270)은 모두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대응하는 정류 모듈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매칭 모듈(2701)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1 정류 모듈(220) 사이에 설치되고,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단부(A2) 사이의 코일과 협력하여 전자기 신호를 제 1 전압의 제 1 AC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매칭 모듈(2702)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정류 모듈(230) 사이에 설치되고,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중간 탭(A3) 사이의 코일과 협력하여 전자기 신호를 제 2 전압의 제 2 AC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2개의 매칭 모듈(270)에 의해 전자기 신호를 전압이 다른 AC로 변환할 수 있으며, 설계가 간단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매칭 모듈(270)의 구체적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 모듈(270)은 커패시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코일에 중간 탭을 추가하고, 또한 대응하는 정류 모듈을 추가하여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며, 따라서 무선 수신 칩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발열을 감소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충전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선 수신 회로(131)에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1311) 및 정류 회로(13121)를 설치하여 무선 송신 회로(121)로부터 송신 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기 신호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며, 교류 전류에 대하여 정류 및/또는 필터링 등 작업을 수행하여 직류 전류를 출력하고, 배터리(133)를 충전한다. 하지만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1311) 및 정류 회로(13121)는 구조가 비교적 단일하기 때문에, 충전 대기 설비(130)는 단지 하나의 무선 충전 방안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충전 대기 설비(130)는 단지 기존의 QI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안에 적용 가능하며, 그 결과 충전 대기 설비(130)의 충전 호환성 불량 문제를 일으킨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수신 코일에 중간 탭을 추가하고(또는 수신 안테나에 중간 위치를 추가한다), 또한 대응하는 정류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중간 탭 및 대응하는 정류 모듈에 의해 충전 대기 설비에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를 제공하며, 충전 대기 설비가 두가지 이상의 무선 충전 방안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어, QI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안 이외에 고전압 무선 충전 방안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130)의 충전 호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전 대기 설비의 충전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10)의 중간 탭(A3)은 제 1 중간 탭(A31) 및 제 2 중간 탭(A32)을 포함하고,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1 중간 탭(A31)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고,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 사이의 코일은 제 4 전압을 제공하며, 제 2 정류 모듈(23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1 중간 탭(A31)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제 3 정류 모듈(280)을 더 포함한다. 제 3 정류 모듈(28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중간 탭(A32)에 연결된다. 충전 모듈(240)는 제 1 정류 모듈(220) 및 제 3 정류 모듈(280)에 연결되고, 제 1 전압(제 1 정류 모듈(200)을 통해 수신한다) 또는 제 4 전압(제 3 정류 모듈(280)을 통해 수신한다)에 따라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 예를 들어, 제 1 무선 충전 모드 및 제 2 무선 충전 모드를 지원한다. 제 1 무선 충전 모드는 고전압 무선 충전 모드이고, 제 2 무선 충전 모드는 기존의 QI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충전 모드이다.
예를 들어, 제 1 충전 모드로 배터리(300)를 충전할 경우, 충전 모듈(240)은 제 1 정류 모듈(220)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1 정류 모듈(220)에 의해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단부(A2)에서 출력되는 제 1 AC를 제 1 DC로 변환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동시에 충전 모듈(240)은 제 3 정류 모듈(280)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3 정류 모듈(280)에서 출력되는 DC가 후속 회로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충전 모드로 배터리(300)를 충전할 경우, 충전 모듈(240)은 제 3 정류 모듈(280)이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또한 제 1 정류 모듈(220)이 비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이렇게 하여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 호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충전은 더욱 편리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류 모듈(220) 및 제 3 정류 모듈(280)에 대한 제어는 제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충전 모듈(240)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맹목적으로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즉 충전 모듈(240)은 맹목적으로 제 1 정류 모듈(220) 또는 제 3 정류 모듈(280)을 사용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즉 충전 모듈(240)은 맹목적으로 제 1 전압 또는 제 4 전압을 사용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무선 충전 모드를 확정하기 위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와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모드 판단 모듈(290)을 더 포함한다. 모드 판단 모듈(290)은 무선 충전 송신 장치와 통신하여 현재 무선 충전 모드를 획득하고, 또한 획득한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현재 충전 전압을 확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모드 판단 모듈(290)은 제 1 무선 통신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무선 통신 유닛과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제 2 무선 통신 유닛(도시되지 않음)은 무선 통신하여 현재 무선 충전 모드를 획득하고, 또한 획득한 무선 충전 모드를 충전 모듈(240)로 전송한다. 충전 모듈(240)은 수신된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제 1 정류 모듈(220) 또는 제 3 정류 모듈(280)을 선택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하며, 즉 제 1 전압 또는 제 4 전압을 선택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판단 모듈(290)과 무선 충전 송신 장치(또는 제 1 무선 통신 유닛과 제 2 무선 통신 유닛) 사이의 무선 통신은 양방향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양방향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수신자가 발신자에 의해 시작된 통신 요청을 수신한 다음에 발신자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구한다. 양방향 통신 메커니즘을 통해 통신 과정은 더욱 안전하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자와 발신자를 한정하지 않고, 어느 쪽이든 발신자 또는 수신자로 될 수 있으며, 또한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을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또는 후방 산란(backscatter) 변조(또는 전력 부하 변조)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모듈(240)은 강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강압 회로는 정류 모듈(충전 모듈(240)에 연결된 제 1 정류 모듈(220) 또는 제 3 정류 모듈(280))에서 출력하는 DC를 강압시켜 제 1 충전 전압과 제 1 충전 전류를 획득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1 충전 전압 및 제 1 충전 전류는 배터리(300)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일 수 있으며, 배터리(300)에 직접 인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모듈(240)은 변환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환 회로는 정류 모듈에서 출력하는 DC에 대하여 전압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제 2 충전 전압 및 제 2 충전 전류를 얻어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변환 회로는 전압을 안정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회로(‘전압 안정화 회로’라고 약칭함)와 정전류 및 정전압을 실현하는 데에 사용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안정화 회로는 정류 모듈에 연결되고, 정전류 및 정전압을 실현하는 데에 사용되는 회로는 배터리(30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 회로에 의해 배터리(300)를 충전할 때,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기존의 QI 표준의 무선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에 대하여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모드 판단 모듈(290)은 수신된 무선 충전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기존의 QI 표준의 무선 충전 모드를 충전 모듈(240)로 전송한다. 충전 모듈(240)은 제 3 정류 모듈(28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제 3 정류 모듈(28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중간 탭(A32)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4 AC를 제 4 DC로 변환한다. 제 4 DC는 변환 회로에 의해 변환된 후에 배터리(300)에 인가되고,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하지만 변환 회로에 의해 배터리(300)를 충전할 때,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송신 장치가 20W의 전력을 출력하여 단일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300)를 충전할 때,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무선 송신 유닛의 입력 전압은 5V이고, 입력 전류는 4A여야 하며, 입력 전류가 4A인 경우, 코일의 발열을 초래하고, 충전 효율이 낮다. 강압 회로에 의해 단일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300)를 충전할 때, 무선 송신 유닛의 송신 전력이 변하지 않는 경우(20W), 무선 송신 유닛의 입력 전압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무선 송신 유닛의 입력 전류를 낮출 수 있으며, 따라서 코일의 발열을 감소하고, 충전 효율이 향상된다. 이런 경우,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고전압 저전류의 무선 충전 모드를 사용하고, 즉 고전압 무선 충전 모드이며, 따라서 모드 판단 모듈(290)은 수신된 무선 충전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고전압 무선 충전 모드를 충전 모듈(240)로 전송한다. 충전 모듈(240)은 제 1 정류 모듈(22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정류 모듈(22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단부(A2)에서 출력되는 제 1 AC를 제 1 DC로 변환한다. 제 1 DC는 강압 회로에 의해 강압된 후에 배터리(300)에 인가되고,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강압 회로는 다양한 실현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강압 회로는 Buck회로일 수 있고, 또는 강압 회로는 차지 펌프(charge pump)일 수 있다. 차지 펌프는 여러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고, 스위칭 소자에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열은 매우 작으며, 전류가 직접 배선에 흐르는 것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차지 펌프를 강압 회로로 사용하는 경우, 강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도 적다. 하나의 예시로서, 강압 회로는 반 전압 회로일 수 있다. 강압 회로의 발열을 더욱 감소하기 위하여, 강압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은 2:1로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전압 변환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변환 유닛은 무선 송신 유닛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무선 송신 유닛에 공급되는 전류에 대하여 전압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전압 변환 유닛의 승압 배수와 강압 회로의 강압 배수는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출력 전압, 배터리(300)가 필요하는 충전 전압 등 매개 변수에 관련되고, 양자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되며, 이것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로서, 전압 변환 유닛의 승압 배수와 강압 회로의 강압 배수를 같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변환 유닛은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을 2배로 승압시키는 승압 회로일 수 있고, 강압 회로는 정류 모듈의 출력 전압을 반으로 감소시키는 반 전압 회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변환 유닛의 승압 배수와 강압 회로의 강압 배수의 비율을 1:1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 방식에 따라,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는 각각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와 동일하고, 제어 회로를 간소화하는 데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300)가 필요하는 충전 전류는 5A인 경우,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검출 회로에 의해 강압 회로의 출력 전류가 4.5A인 것을 알게 되면, 강압 회로의 출력 전류가 5A에 도달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전압 변환 유닛의 승압 배수와 강압 회로의 강압 배수의 비율이 1:1이 아닌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정할 때, 강압 회로의 현재 출력 전류와 예상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의 조정 값을 다시 계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압 변환 유닛의 승압 배수와 강압 회로의 강압 배수의 비율을 1:1로 설치함으로써,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의 제어 유닛에 출력 전류를 5A로 증가시키도록 통지하기만 하면 되며, 무선 충전 경로의 피드백 조정 방식이 간단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회로에 의해 충전 모듈(24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충전 모듈(24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모드 판단 모듈(290)로 송신함으로써, 모드 판단 모듈(290)에 의해 충전 모듈(24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피드백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피드백된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즉 무선 충전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와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무선 송신 유닛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다른 정보를 교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300)의 온도 정보, 강압 회로에 대응하는 충전 회로의 전압 및/또는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을 나타내는 정보, 전력 전송 효율 정보 등이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전력 전송 효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또한 전력 전송 효율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유닛의 송신 전력의 조정 폭을 확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전력 전송 효율 정보가 무선 송신 유닛과 코일(210)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이 낮다고 지시하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무선 송신 유닛의 송신 전력의 조정 폭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무선 송신 유닛의 송신 전력이 신속하게 목표 송신 전력에 도달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정류 모듈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맥동 파형 전압 또는 맥동 파형 전류인 경우,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강압 회로에 대응하는 충전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강압 회로에 대응하는 충전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이 배터리(300)의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무선 송신 유닛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배터리(300)의 온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300)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무선 송신 유닛의 송신 전력을 낮춰, 무선 수신 유닛의 출력 전류를 감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300)의 온도를 낮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와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다른 많은 통신 정보를 교류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와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안전 보호, 이상 검출 또는 고장 처리에 사용되는 정보를 교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300)의 온도 정보,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 전력 전송 효율 정보 등이다. 전력 전송 효율 정보는 무선 송신 유닛과 코일(210)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 코일(210)과 정류 모듈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300)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 및/또는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충전 회로가 보호 상태에 들어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충전 회로를 제어하여 무선 충전을 중지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에서 송신된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송신 전력을 감소하거나 또는 무선 송신 유닛이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전력 전송 효율 정보를 수신하고, 만약 전력 전송 효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무선 송신 유닛이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이 사건을 통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전력 전송 효율이 너무 낮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지시 램프에 의해 전력 전송 효율이 너무 낮다는 것을 지시하여 사용자가 무선 충전 환경을 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제 3 스위치(K23), 제 4 스위치(K24) 및 제어 모듈(201)을 더 포함한다. 제 3 스위치(K23)는 제 1 정류 모듈(220) 및 제 2 단부(A2)에 연결되고, 제 4 스위치(K24)는 제 3 정류 모듈(280) 및 제 2 중간 탭(A32)에 연결된다. 제어 모듈(201)은 현재 충전 전압에 따라 제 3 스위치(K23) 또는 제 4 스위치(K24)가 닫힌 상태(작업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충전 모듈(240)은 제 3 스위치(K23)가 닫히고, 제 1 정류 모듈(220)이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 1 전압을 배터리(300)에 인가하는 데 사용된다. 또는 충전 모듈(240)은 제 4 스위치(K24)가 닫히고, 제 3 정류 모듈(280)이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 4 전압을 배터리(300)에 인가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모드 판단 모듈(290)은 현재 필요하는 무선 충전 모드를 획득하고,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을 획득한 후에, 충전 전압을 충전 모듈(240) 및 제어 모듈(201)에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이 제 1 전압이다고 가정하면, 코일(210)의 제 2 단부(A2)가 제 1 정류 모듈(220)에 연결되도록, 제어 모듈(201)은 제 3 스위치(K23)가 닫힌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충전 모듈(240)은 제 1 정류 모듈(220)이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동시에 코일(210)의 제 2 중간 탭(A32)과 제 3 정류 모듈(280)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제어 모듈(201)은 제 4 스위치(K24)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 3 정류 모듈(280)이 잘못 작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후단의 회로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이 제 4 전압이다고 가정하면, 제어 모듈(201)은 제 4 스위치(K24)가 닫힌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충전 모듈(240)은 제 3 정류 모듈(280)이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동시에 제어 모듈(201)은 제 3 스위치(K23)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여 제 1 정류 모듈(220)이 잘못 작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후단의 회로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스위치(K23) 및 제 4 스위치(K24)를 제어함으로써 제 1 정류 모듈(220) 또는 제 3 정류 모듈(280)이 잘못 작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후단의 회로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무선 충전 수신 장치(220)의 작업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판단 모듈(290) 및 제어 모듈(201)은 별도로 설치 되어도 좋고, 충전 모듈(24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충전 모듈(240)은 충전 관리 모듈이며,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 전체에 대한 제어, 관리 등 기능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210)의 제 2 중간 탭(A32) 및 제 3 정류 모듈(280)의 수량은 하나일 수 있고, 여러개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수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10)은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A32)을 갖고, 이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제 3 정류 모듈(280)이 제공된다.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제 2 중간 탭(A321, ..., A32N 등) 사이의 코일은 서로 다른 전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1) 사이의 코일은 제 4 전압을 제공하고, ...,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N) 사이의 코일은 제 N+3 전압을 제공한다. 제 3 정류 모듈(2801)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중간 탭(A321)에 연결되고, 제 3 정류 모듈(2801)의 작동 전압과 제 4 전압은 배합하여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 적합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3 정류 모듈(280N)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중간 탭(A32N)에 연결되고, 제 3 정류 모듈(280N)의 작동 전압은 제 N+3 전압과 배합하여 제 N+1 무선 충전 모드에 적합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210)은 N개의 제 2 중간 탭을 갖고, N개의 제 3 정류 모듈(280)을 포함한다(N≥2). 이런 경우, 각 제 3 정류 모듈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대응하는 제 2 중간 탭에 연결된다. 코일(210)의 제 1 단부(A1), 제 2 단부(A2) 및 제 1 정류 모듈(220)은 제 1 무선 충전 모드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부(A1), 제 2 중간 탭(A321) 및 제 3 정류 모듈(2801)은 제 2 무선 충전 모드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 제 1 단부(A1), 제 2 중간 탭(A32N) 및 제 3 정류 모듈(280N)은 제 N+1 무선 충전 모드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두가지 이상의 무선 충전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충전 대기 설비는 더 많은 무선 충전 방안과 호환성을 갖고, 충전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중간 탭 및 제 3 정류 모듈이 여러개인 경우, 대응하는 충전 제어 과정은 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제 2 중간 탭(A32) 및 하나의 제 3 정류 모듈(280)을 설치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 및 여러개의 제 3 정류 모듈을 설치할 때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즉 도 7에 도시된 구조로 도 8이 가지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2 중간 탭(A32)은 비고정 탭이며,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즉 코일(210)의 권수는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를 채용하는 경우, 제어 모듈(201)은 현재 필요하는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제 2 중간 탭(A3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 사이의 코일(210)의 권수가 마침 현재 무선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권수와 같도록 하고, 현재 필요하는 무선 충전 모드에 적합하도록 제 3 정류 모듈(280)의 작동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제 2 중간 탭(A32) 및 하나의 제 3 정류 모듈(280)에 의해 다양한 무선 충전 모드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 및 여러개의 제 3 정류 모듈 방안과 비교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체적이 작고, 비용이 낮은 특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중간 탭(A32)은 비고정 탭일 수 있고, 즉 코일의 권수는 조정 가능하다. 또는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을 설치할 수 있고, 즉 코일의 권수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채용하느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의 모든 정류 모듈이 공유하는 하나의 매칭 모듈(27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여러개의 매칭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코일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간 탭을 추가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3 정류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충전 대기 설비(단말기 등)에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 대기 설비는 두가지 이상의 무선 충전 방안과 호환성을 갖고,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의 충전이 더 편리해진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수신 코일에 중간 탭을 추가하고(또는 수신 안테나에 중간 위치를 추가한다), 또한 대응하는 제어 스위치를 추가하여, 중간 탭 및 대응하는 제어 스위치에 의해 충전 대기 설비에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를 제공하고, 충전 대기 설비는 두가지 이상의 무선 충전 방안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QI 표준 무선 충전 방안과 호환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고전압 무선 충전 방안과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충전 대기 설비의 충전 호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충전 대기 설비의 충전이 더 편리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10)의 중간 탭(A3)은 제 1 중간 탭(A31) 및 제 2 중간 탭(A32)을 포함하고,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1 중간 탭(A31)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고,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 사이의 코일은 제 4 전압을 제공한다. 제 2 정류 모듈(23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1 중간 탭(A31)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제 1 스위치(K21) 및 제 2 스위치(K22)를 더 포함하고, 제 1 스위치(K21)은 코일(210)의 제 2 단부(A2)에 연결되고, 제 2 스위치(K22)는 제 2 중간 탭(A32)에 연결되며, 제 1 정류 모듈(220)은 제 1 스위치(K21) 및 제 2 스위치(K22)에 연결되고, 충전 모듈(240)은 제 1 전압 또는 제 4 전압에 따라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며, 제어 모듈(201)은 제 1 스위치(K21) 및 제 2 스위치(K22)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경우, 코일(210)의 제 2 단부(A2)가 제 1 정류 모듈(220)에 연결되도록 제어 모듈(201)은 제 1 스위치(K21)가 닫힌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제 2 스위치(K22)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단부(A2)에서 출력되는 제 1 AC는 제 1 정류 모듈(220)로 전송된다. 충전 모듈(240)은 제 1 정류 모듈(220)이 제 1 작동 상태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1 정류 모듈(220)은 제 1 AC를 제 1 DC로 변환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경우, 코일(210)의 제 2 중간 탭(A32)이 제 1 정류 모듈(220)에 연결되도록, 제어 모듈(201)은 제 1 스위치(K21)가 열린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제 2 스위치(K22)가 닫힌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코일(210)의 제 1 단부(A1) 및 제 2 중간 탭(A32)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AC는 제 1 정류 모듈(220)로 전송된다. 충전 모듈(240)은 제 1 정류 모듈(220)이 제 2 작동 상태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1 정류 모듈(220)은 제 2 AC를 제 2 DC로 변환하여 배터리(300)를 충전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스위치(K21) 및 제 2 스위치(K22)와 배합하여 하나의 제 1 정류 모듈(220)만으로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를 제공하며,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안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으며, 충전 호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충전 대기 설비의 충전이 더 편리해진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정류 모듈의 사용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절약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맹목적으로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즉, 제어 모듈(201)은 맹목적으로 제 1 스위치(K21) 또는 제 2 스위치(K22)가 닫힌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무선 충전 모드를 확정하기 위해 무선 충전 송신 장치와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현재 무선 충전 모드를 획득할 수 있도록 무선 충전 송신 장치와 통신하고, 또한 현재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현재 충전 전압을 확정하는 모드 판단 모듈(29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210)의 제 2 중간 탭(A32) 및 제 2 스위치(K22)의 수량은 하나일 수 있고, 여러개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수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10)은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을 갖고, 이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제 2 스위치가 제공된다.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제 2 중간 탭(A321, ..., A32N 등) 사이의 코일은 서로 다른 전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1) 사이의 코일은 제 4 전압을 제공하고, ...,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N) 사이의 코일은 제 N+3 전압을 제공한다. 제 2 스위치(K221)은 코일(210)의 제 2 중간 탭(A321) 및 제 1 정류 모듈(220)에 연결되고, 제 2 스위치(K221)가 닫혀있을 때, 제 1 정류 모듈(220)의 작동 전압은 제 4 전압과 배합하여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 적합하도록 하고, ..., 제 2 스위치(K22N)는 코일(210)의 제 2 중간 탭(A32N) 및 제 1 정류 모듈(220)에 연결되고, 제 2 스위치(K22N)가 닫혀있을 때, 제 1 정류 모듈(220)의 작동 전압은 제 N+3 전압과 배합하여 제 N+1 무선 충전 모드에 적합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210)은 N개의 제 2 중간 탭을 갖고, N개의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N≥2). 코일(210)의 제 1 단부(A1), 제 2 단부(A2) 및 제 1 정류 모듈(220)은 제 1 무선 충전 모드(예를 들어, 고전압 무선 충전 모드이다)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 2 중간 탭(A321) 및 제 2 스위치(K221)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 제 2 중간 탭(A32N)과 제 2 스위치(K22N)는 제 N+1 무선 충전 모드(예를 들어, 기존의 QI 표준의 무선 충전 모드이다)와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두가지 이상의 무선 충전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충전 대기 설비는 더 많은 무선 충전 방안과 호환성을 갖고, 충전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중간 탭과 제 2 스위치가 모두 여러개인 경우, 대응하는 충전 제어 과정은 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제 2 중간 탭(A32)을 설치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을 설치할 때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즉 도 9에 도시된 구조로 도 10이 가지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2 중간 탭(A32)은 비고정 탭이며, 즉 코일(210)의 권수는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를 채용하는 경우, 제어 모듈(201)은 현재 필요하는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제 2 중간 탭(A3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 1 단부(A1)와 제 2 중간 탭(A32) 사이의 코일(210)의 권수가 마침 현재 무선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권수와 같도록 하고, 현재 필요하는 무선 충전 모드에 적합하도록 제 1 정류 모듈(220)의 작동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제 2 중간 탭(A32)에 의해 다양한 무선 충전 모드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 방안과 비교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체적이 작고, 비용이 낮은 특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중간 탭(A32)은 비고정 탭일 수 있고, 즉 코일의 권수는 조정 가능하다. 또는 여러개의 제 2 중간 탭을 설치할 수 있고, 즉 코일의 권수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채용하느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의 모든 정류 모듈이 공유하는 하나의 매칭 모듈(27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수신 장치(200)는 여러개의 매칭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코일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간 탭을 추가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치를 추가함으로써, 충전 대기 설비(단말기 등)에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 대기 설비는 두가지 이상의 무선 충전 방안과 호환성을 갖고,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의 충전이 더 편리해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무선 수신 칩 및 도 2 내지 도 10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무선 충전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300)와 무선 충전 칩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제 1 단부(A1), 제 2 단부(A2) 및 중간 탭(A3)을 갖는 코일(210)을 더 포함한다. 제 1 단부(A1)와 제 2 단부(A2) 사이의 코일은 제 1 전압을 제공하고, 제 1 단부(A1)와 중간 탭(A3)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한다. 제 1 전압은 제 2 전압보다 높다. 이동 단말기는 제 1 정류 모듈(220), 제 2 정류 모듈(230), 충전 모듈(240),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을 더 포함한다. 제 1 정류 모듈(22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제 2 단부(A2)에 연결된다. 제 2 정류 모듈(230)은 코일(210)의 제 1 단부(A1)와 중간 탭(A3)에 연결된다. 충전 모듈(240)은 제 1 정류 모듈(220) 및 배터리(300)에 연결되어 제 1 전압에 따라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250)은 제 2 정류 모듈(230) 및 무선 수신 칩에 연결되어 제 2 전압에 따라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동 단말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무선 충전 수신 장치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충전 대기 설비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이 "단말기"는 유선 선로를 통해 접속되는 장치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발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선로는, 예를 들어,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연결 케이블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 라인 또는 네트워크 연결 라인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디지털 비디오 방송 핸드 헬드(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amplitude modulation-frequency modulation, AM-FM) 방송 송신기 및/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또는 "이동 단말기"로 지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시로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radio telephone), 무선 호출기(pager),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Internet/Intranet access),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노트북(notebook), 캘린더(calendar)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디지털 보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일반 노트북 및/또는 휴대용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기능을 갖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전 대기 설비 또는 단말기는 파워 뱅크(power bank)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워 뱅크는 어댑터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다른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로딩하여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또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실행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으로 한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 통합을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면, 소프트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절차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전문 기술자라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들 들어, 여러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기능은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분리된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여러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교체를 쉽게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0)

  1. 무선 충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중간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코일은 제 1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중간 탭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정류 모듈과,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중간 탭에 연결되는 제 2 정류 모듈과,
    상기 제 1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압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모듈과,
    상기 제 2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압에 따라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탭은 제 1 중간 탭과 제 2 중간 탭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중간 탭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중간 탭과 사이의 코일은 제 4 전압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정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제 1 중간 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상기 제 2 정류 모듈과 상기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 사이에 연결된 강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압 모듈은 상기 제 2 전압을 제 3 전압으로 강압하여 상기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제 2 전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상기 제 1 정류 모듈 및 상기 제 2 정류 모듈의 입력측의 공통 결합점 앞에 설치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류 모듈 및 상기 제 2 정류 모듈은 상기 커패시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정류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정류 모듈 사이에 설치된 제 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간 탭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중간 탭에 연결된 제 3 정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제 3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제 1 전압 또는 제 4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간 탭의 수량은 여러개이며, 상기 제 3 정류 모듈의 수량도 여러개이며, 각 상기 제 3 정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 및 대응하는 상기 제 2 중간 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제 1 스위치, 제 2 스위치 및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코일의 제 2 단부 및 상기 제 1 정류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2 중간 탭 및 상기 제 3 정류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제 1 스위치가 닫히고, 상기 제 1 정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전압을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닫히고, 상기 제 3 정류 모듈이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4 전압을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제 1 스위치, 제 2 스위치 및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코일의 제 2 단부 및 상기 제 1 정류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코일의 제 2 중간 탭 및 상기 제 3 정류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제 1 전압 또는 상기 제 4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간 탭의 수량은 여러개이고, 상기 제 2 스위치의 수량도 여러개이며, 상기 제 3 정류 모듈도 여러개이며, 각 상기 제 3 정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 및 대응하는 상기 제 2 중간 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강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강압 회로는 상기 제 1 정류 모듈에서 수신한 제 1 전압을 강압함으로써, 강압된 전압을 획득하여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변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제 1 정류 모듈에서 수신한 제 1 전압에 대하여 전압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제 1 정류 모듈에 연결된 전압 안정화 회로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또한 정전류 및 정전압을 실현하는 데에 사용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칩의 작동 전압에 따라 상기 중간 탭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현재 무선 충전 모드를 획득할 수 있도록 무선 충전 송신 장치와 통신하는 모드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수신 장치는 검출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충전 모듈 및 상기 모드 판단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 모듈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또한 상기 충전 모듈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드 판단 모듈에 송신하며,
    상기 모드 판단 모듈은 상기 충전 모듈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피드백하고,
    상기 무선 충전 송신 장치는 피드백된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
  18. 배터리, 무선 수신 칩, 코일, 제 1 정류 모듈, 제 2 정류 모듈, 충전 모듈 및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중간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코일은 제 1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중간 탭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정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정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중간 탭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제 1 정류 모듈 및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무선 수신 칩 전력 공급 모듈은 상기 제 2 정류 모듈 및 무선 수신 칩에 연결되어 제 2 전압에 따라 상기 무선 수신 칩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중간 탭은 제 1 중간 탭과 제 2 중간 탭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중간 탭 사이의 코일은 제 2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중간 탭과 사이의 코일은 제 4 전압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정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제 1 중간 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코일의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중간 탭에 연결된 제 3 정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제 3 정류 모듈에 연결되어 제 1 전압 또는 제 4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07026862A 2018-05-25 2018-05-25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2506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8491 WO2019223003A1 (zh) 2018-05-25 2018-05-25 无线充电接收装置及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953A KR20200120953A (ko) 2020-10-22
KR102506348B1 true KR102506348B1 (ko) 2023-03-06

Family

ID=6861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862A KR102506348B1 (ko) 2018-05-25 2018-05-25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11237B2 (ko)
EP (1) EP3742576B1 (ko)
JP (1) JP7092885B2 (ko)
KR (1) KR102506348B1 (ko)
CN (1) CN111566894B (ko)
AU (1) AU2018424953B2 (ko)
WO (1) WO2019223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9290B2 (ja) 2017-04-07 2022-04-25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充電装置、無線充電方法及び被充電機器
CN109314396B (zh) * 2017-04-07 2022-07-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装置、方法及待充电设备
JP7197608B2 (ja) * 2018-05-25 2022-12-27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充電受信装置及び移動端末
CN109546711A (zh) * 2018-12-28 2019-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控制方法、电路及终端设备
KR102261860B1 (ko) * 2019-09-09 202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레벨 전력 호환용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N112993540B (zh) * 2019-12-13 2023-07-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113941A (zh) * 2019-12-24 2021-07-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5912676A (zh) * 2023-02-03 2023-04-04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无线充电接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6274A (ja) * 2014-01-20 2015-07-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2017511114A (ja) * 2014-03-05 2017-04-13 ワイテ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WiTech GmbH 誘導式エネルギ伝送用装置
JP2018064308A (ja) * 2016-10-11 2018-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受電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9103A (ja) * 1988-01-22 1989-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コイル
US5701121A (en) * 1988-04-11 1997-12-23 Uniscan Ltd. Transducer and interrogator device
CN2177283Y (zh) * 1993-10-31 1994-09-14 钟岳行 多功能变压器
JPH1023354A (ja) * 1996-06-29 199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電源装置
JPH1189103A (ja) * 1997-09-11 1999-03-30 Sanyo Electric Co Ltd 非接触型充電装置
TW540197B (en) * 2000-11-30 2003-07-01 Delta Electronics Inc Multi-function integrated DC converter
DE10215236C1 (de) 2002-04-06 2003-10-16 Wampfler Ag Vorrichtung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US7400061B2 (en) * 2004-12-07 2008-07-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oft switched secondary side post regulator for DC to DC converter
KR20160091429A (ko) * 2008-07-09 2016-08-02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무선 충전 시스템
JP6000131B2 (ja) 2010-03-12 2016-09-2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端末の無線充電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端末
CN202121330U (zh) * 2011-06-29 2012-01-18 张文武 一种风电蓄能系统
JP6035711B2 (ja) 2011-07-21 2016-11-30 ソニー株式会社 検知装置、受電装置、送電装置、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WO2014017312A1 (ja) * 2012-07-23 2014-0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ダイオード負荷駆動電源装置
KR102008808B1 (ko) * 2012-12-13 2019-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320234B2 (en) * 2013-08-02 2019-06-11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ers and related methods
FR3010252B1 (fr) * 2013-08-30 2015-08-2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et procede de charge par couplage magnetique bi-mode pour vehicule automobile
US11025094B2 (en) * 2015-04-16 2021-06-01 Wits Co., Lt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6300573A (zh) * 2015-06-02 2017-01-04 介面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卷收的无线充电装置
US10720788B2 (en) 2015-10-09 2020-07-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Wireless charging devices having wireless charging coi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9985443B2 (en) * 2015-11-18 2018-05-2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ulti-mode power receiving unit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N205304323U (zh) * 2015-12-31 2016-06-08 麦格磁电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多工作模式无线充电线圈装置
CN205622245U (zh) * 2016-05-10 2016-10-05 国网新疆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高可靠性输电线路感应取能电源
US10186907B2 (en) 2016-05-31 2019-01-22 Stmicro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tting/receiving devices and methods
US10523035B2 (en) * 2016-07-11 2019-12-31 Motorola Mobility Llc Multi-tapped coil for wireless charging range and efficiency
CN206117963U (zh) * 2016-10-17 2017-04-19 广州斐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耳机
CN106451705B (zh) * 2016-12-20 2019-02-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无线充电系统、设备、方法和装置
JP7197608B2 (ja) * 2018-05-25 2022-12-27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充電受信装置及び移動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6274A (ja) * 2014-01-20 2015-07-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2017511114A (ja) * 2014-03-05 2017-04-13 ワイテ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WiTech GmbH 誘導式エネルギ伝送用装置
JP2018064308A (ja) * 2016-10-11 2018-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受電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2576A1 (en) 2020-11-25
WO2019223003A1 (zh) 2019-11-28
EP3742576A4 (en) 2021-03-03
JP7092885B2 (ja) 2022-06-28
CN111566894B (zh) 2023-06-02
KR20200120953A (ko) 2020-10-22
CN111566894A (zh) 2020-08-21
US11611237B2 (en) 2023-03-21
JP2021516944A (ja) 2021-07-08
US20200412169A1 (en) 2020-12-31
EP3742576B1 (en) 2022-08-24
AU2018424953B2 (en) 2021-07-15
AU2018424953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348B1 (ko)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11201509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to-be-charged
CN110168844B (zh) 无线充电装置、待充电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22153B1 (ko)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US11949275B2 (en)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111886775B (zh) 充电方法和充电装置
KR102484519B1 (ko)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
CN111279574B (zh) 终端设备和充电控制方法
EP3872950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power supply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1202788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power supply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