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19B1 -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19B1
KR102484519B1 KR1020207026472A KR20207026472A KR102484519B1 KR 102484519 B1 KR102484519 B1 KR 102484519B1 KR 1020207026472 A KR1020207026472 A KR 1020207026472A KR 20207026472 A KR20207026472 A KR 20207026472A KR 102484519 B1 KR102484519 B1 KR 102484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charging
charge management
manageme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947A (ko
Inventor
스밍 완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충전 대기 설비(230)는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 회로(232)와, 배터리(238)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관리 회로(234)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데에 사용되는 강압 회로(236)를 포함한다. 본 기술 방안은 강압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충전 관리 회로의 강압 기능과 충전 관리 회로의 정전압 제어 기능 및/또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어느 정도 분리하여 충전 관리 회로의 발열량을 감소한다.

Description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충전 기술 분야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주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충전하고 있다.
휴대폰을 예로 들면, 현재, 휴대폰의 충전 방식은 여전히 주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폰을 충전하려는 경우, 충전 케이블(예를 들면,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로 휴대폰과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휴대폰 내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유선 충전 방식은 충전 케이블을 필요하기 때문에, 충전 준비 단계의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방식은 점점 사람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무선 충전 방식은 효과가 나쁘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무선 충전 방식의 충전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충전 대기 설비를 제공한다. 충전 대기 설비는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 회로와,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관리 회로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데에 사용되는 강압 회로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충전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강압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기존의 무선 충전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어댑터 등)와 무선 충전 장치(무선 충전 받침대 등)를 연결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무선 방식(전자파 등)으로 충전 대기 설비로 전송함으로써,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한다.
서로 다른 무선 충전 원리에 따라, 무선 충전 방식은 주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유형, 즉 자기 결합(또는 전자 유도), 자기 공진 및 무선 전파로 구분된다. 현재, 주류 무선 충전 표준은 QI 표준, PMA(power matters alliance) 표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을 포함한다. QI 표준 및 PMA 표준은 모두 자기 결합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 A4WP 표준은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소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110), 무선 충전 장치(120) 및 충전 대기 설비(130)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12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받침대일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130)는 예를 들어, 단말기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10)와 무선 충전 장치(120)가 연결되면,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압은 무선 충전 장치(120)에 전송된다.
무선 충전 장치(120)는 그 내부의 무선 송신 회로(121)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를 무선 충전 신호(전자기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 회로(121)는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류를 교류 전류(AC)로 변환하고, 또한 송신 코일 또는 송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교류 전류를 무선 충전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는 유선 선로를 통해 접속되는 장치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발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선로는, 예를 들어,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연결 케이블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 라인 또는 네트워크 연결 라인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디지털 비디오 방송 핸드 헬드(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amplitude modulation-frequency modulation, AM-FM) 방송 송신기 및/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또는 "이동 단말기"로 지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시로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radio telephone), 무선 호출기(pager),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Internet/Intranet access),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노트북(notebook), 캘린더(calendar)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디지털 보조(Persona Digital Assistant, PDA); 및 일반 노트북 및/또는 휴대용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기능을 갖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이동 단말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ipad 등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으며, 충전 대기 설비의 배터리는 시스템 온 칩에 속하거나 또는 속하지 않을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130)는 무선 수신 회로(131)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121)에서 보내는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무선 충전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회로(131)는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121)에서 보내는 무선 충전 신호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또한 교류 전류에 대하여 정류 및/또는 필터링 등 조작을 진행하여, 교류 전류를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종래의 무선 충전 기술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무선 충전 장치(120)와 충전 대기 설비(130)는 먼저 무선 송신 회로(121)의 송신 전력을 협상한다. 무선 충전 장치(120)와 충전 대기 설비(130)가 협상한 송신 전력이 5W이다고 가정하면,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는 일반적으로 5V와 1A이다. 무선 충전 장치(120)와 충전 대기 설비(130)가 협상한 전력이 10.8W이다고 가정하면,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는 일반적으로 9V와 1.2A이다.
충전 대기 설비(130) 내의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은 배터리(133)의 양단에 직접 인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먼저 충전 대기 설비(130) 내의 충전 관리 회로(132)에 의해 정전압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충전 관리 회로(132)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의 요구를 만족하도록, 충전 관리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을 변환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하나의 예시로서, 충전 관리 회로(132)는 충전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일 수 있고, 또는 차지(charger)라고 부르기도 한다. 배터리(133)의 충전 과정에서, 충전 관리 회로(132)는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관리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관리 회로(132)는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대한 관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전압 피드백 기능 및/또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 과정은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류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클 충전 단계에서, 충전 관리 회로(132)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트리클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에 들어가는 전류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류 크기(예컨대, 제 1 충전 전류)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정전류 충전 단계에서, 충전 관리 회로(132)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정전류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에 들어가는 전류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류 크기(예컨대, 제 2 충전 전류, 해당 제 2 충전 전류는 제 1 충전 전류보다 클 수 있음)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충전 관리 회로(132)는 전압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크기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크기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보다 클 경우, 충전 관리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실시하여, 강압 변환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또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보다 작을 경우, 충전 관리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실시하여, 승압 변환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또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에서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면, 배터리(133)가 단일 셀(리튬 배터리 셀일 경우,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 4. 2V임)을 포함하는 경우, 충전 관리 회로(132)(예컨대, Buck 강압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강압 처리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또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에서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면, 배터리(133)가 직렬로 연결된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셀(리튬 배터리 셀일 경우,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 4.2V임)을 포함하는 경우, 충전 관리 회로(132)(예컨대, Boost 승압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승압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충전 관리 회로(132)는 전력 전환 효율(에너지 변환 효율 또는 회로 변환 효율이라고도 한다) 저하로 인해 변환되지 않은 부분의 전기 에너지를 열량으로 손실하게 된다. 이 부분의 열량은 충전 대기 설비(130) 내부에 축적된다. 충전 대기 설비(130)의 설계 공간과 산열 공간은 모두 협소(예컨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물리적 크기는 점점 가볍고 얇아지고 있고, 또한 이동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전자 부품이 이동 단말기 내부에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음)하기 때문에 충전 관리 회로(132)의 설계상의 어려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충전 대기 설비(130) 내부에 축적된 열량도 신속하게 소산하기 어렵게 되고,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130)의 이상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충전 관리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은 충전 관리 회로(132) 부근의 전자 부품에 열적 간섭을 일으켜 전자 부품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충전 관리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은 충전 관리 회로(132) 및 그 부근의 전자 부품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충전 관리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으로 인해 배터리(133)에 열 간섭이 일어나 배터리(133)의 비정상적인 충전과 방전을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충전 관리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으로 인해 충전 대기 설비(130)의 온도가 상승되어 충전 과정에서 사용자의 사용 체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충전 관리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으로 인해 충전 관리 회로(132) 자체의 단락을 초래하여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 양단에 직접 인가되어 비정상적인 충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배터리(133)가 장기간 과전압 충전 상태에 있는 경우, 심지어 배터리(133)의 폭발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태롭게 한다.
또한, 충전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점점 더 많은 충전 대기 설비는 저전압 대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충전 전류가 비교적 크면 무선 수신 회로(131)에 대량의 열이 축적되는 것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충전 전력은 20W이고, 단일 셀의 충전 전압/충전 전류는 5V/4A인 경우, 무선 송신 회로(121)는 5V의 충전 전압 및 4A의 충전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무선 수신 회로(131)는 무선 충전 신호를 5V의 출력 전압 및 4A의 출력 전류로 변환한다. 4A의 충전 전류는 무선 송신 회로(121)와 무선 수신 회로(13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전송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는 것을 초래한다.
충전 대기 설비의 발열량을 줄이기 위하여, 무선 충전 신호는 고전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전력은 20W이고, 단일 셀의 충전 전압/충전 전류는 5V/4A인 경우, 무선 송신 회로(121)는 10V의 충전 전압과 2A의 충전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무선 수신 회로(131)는 무선 충전 신호를 10V의 출력 전압 및 2A의 출력 전류로 변환한다. 상술한 예와 비교하면, 충전 전력이 동일한 경우, 전압을 높여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류는 4A로부터 2A로 감소된다. 따라서, 무선 수신 회로(131)의 발열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가 여전히 5V/4A의 충전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충전 관리 회로(132)를 이용하여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는 여전히 5V/4A이다. 따라서, 충전 관리 회로(132)의 강압 변환 효율(강압 동안의 에너지 손실)은 충전 대기 설비(130)의 발열량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된다.
일반적으로, 충전 관리 회로(132)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가 클수록 강압 변환 효율이 더 낮고, 발열도 더욱 심각하다. 고전압으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필연적으로 충전 관리 회로(132)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큰 전압 차이를 초래한다. 이런 경우에 여전히 고전압으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려면, 충전 대기 설비의 내부 구조를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를 설명하고, 고전압으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는 상황에서도 충전 대기 설비의 발열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230)는 무선 수신 회로(232), 충전 관리 회로(234) 및 강압 회로(236)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 회로(232)는 배터리(238)를 충전하도록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무선 수신 회로(232)는 예를 들어,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도 2에 도시되지 않음)와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정류 회로 및/또는 필터링 회로 등과 같은 성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는 무선 충전 신호를 교류 전류(AC)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될 수있다. 성형 회로는 AC를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관리 회로(234)는 배터리(238)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단은 배터리(238)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충전 관리 회로(234)는 그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직접 배터리(238)가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로 변환함으로써, 배터리(238)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단은 다른 회로(아래 설명되는 강압 회로(236) 등)를 통해 배터리(238)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충전 관리 회로(234)는 그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그의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다른 회로를 통과한 후에 형성된 전압 및/또는 전류는 배터리(238)가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이며, 따라서 배터리(238)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강압 회로(236)는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 전압 또는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데에 사용된다. 강압 회로(236)을 사용함으로써, 충전 관리 회로(234)의 강압 기능과 충전 관리 회로(234)의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어느 정도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전 관리 회로(234)의 발열량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강압 회로(236)의 강압 변환 효율은 충전 관리 회로(234)(또는 백 회로(BUCK 회로)와 같은 충전 관리 회로(234) 내의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을 수 있다. 강압 변환 효율은 강압 변환하는 동안의 에너지 손실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강압 회로(236)의 강압 변환 효율은 충전 관리 회로(234)의 강압 변환 효율 높다"라는 표현은, 같은 강압 상황에서 강압 회로(236)의 에너지 손실(또는 전력 손실)은 충전 관리 회로(234)의 에너지 손실(또는 전력 손실)보다 낮음을 의미한다. 충전 관리 회로(234)가 BUCK 회로를 사용하여 강압하는 경우, "강압 회로(236)의 강압 변환 효율은 충전 관리 회로(234)의 강압 변환 효율 높다"라는 표현은, 강압 회로(236)의 강압 변환 효율이 충전 관리 회로(234) 내의 BUCK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으로 무선 충전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크게 낮출 필요가 있다. 직접 충전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경우, 충전 관리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강압 변환 동안 에너지 손실이 크고, 충전 관리 회로의 발열이 더욱 심각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것은 단지 충전 관리 회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높은 강압 변환 효율을 갖는 강압 회로로 강압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담하기 때문에, 충전 관리 회로는 비교적 작은 전압 범위 내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의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강압 회로(236)의 강압 변환 효율이 충전 관리 회로(234)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기만 하면, 강압 회로(236)의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관리 회로(234)는 유도 강압 회로를 사용하여 강압할 수 있고, 강압 회로(236)는 용량 강압 회로(차지 펌프 등)를 사용하여 강압할 수 있으며, 또는 강압 회로(236)는 유도 강압 회로와 용량 강압 회로를 조합한 강압 회로를 사용하여 강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압 회로(236)는 차지 펌프이다. 차지 펌프는 주로 스위치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강압 변환 동안 에너지 손실이 적고, 강압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지 펌프의 강압 계수(즉,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비율)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차지 펌프의 강압 계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압 계수는 1/2, 1/3, 2/3, 1/4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 전압은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 전압보다 높다. 다시 말하면,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 전압을 배터리(238)가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으로 강압하는 과정에서 충전 관리 회로(234)는 강압 작업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으며, 강압 작업의 나머지 부분은 강압 변환 효율이 더 높은 강압 회로(236)가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관리 회로(234)는 모든 강압 조작의 작은 부분을 수행할 수 있고, 강압 회로(236)는 강압 작업의 나머지 대부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즉 강압 회로(236)의 강압 전압 차이는 충전 관리 회로(234)의 강압 전압 차이보다 크다. 강압 회로(236)의 강압 전환 효율은 더 높기 때문에, 상술한 강압 작업 분배 방식으로 충전 대기 설비의 발열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관리 회로(234)와 강압 회로(236)의 위치 관계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단은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관리 회로(234)는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 전압에 따라 배터리(238)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강압 회로(236)의 입력단은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강압 회로(236)의 출력단은 배터리(2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강압 회로(236)는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고, 또한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배터리(238)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강압 회로(236)가 반 전압 회로(즉, 강압 계수가 1/2이다)인 경우,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238)가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의 2배로 되도록, 충전 관리 회로(234)는 그의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으며(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반 전압 회로의 출력 전압과 배터리(238)가 현재 필요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관리 회로(234)는 그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있다. 또는 충전 관리 회로(234)는 배터리(238) 양단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충전 관리 회로(234)는 상술한 전압/전류 샘플링 방식의 임의의 다른 조합 방식을 채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무선 수신 회로(232)와 충전 관리 회로(234)를 하나의 무선 충전 칩에 통합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230)의 집적도를 향상시키고, 충전 대기 설비(23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무선 충전 칩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칩이 충전 관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충전 관리 회로(234)와 강압 회로(236)의 하나의 가능한 위치 관계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충전 관리 회로(234)와 강압 회로(236)의 다른 가능한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압 회로(236)는 무선 수신 회로(232) 및 충전 관리 회로(234)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압 회로(236)의 입력단은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강압 회로(236)는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여 강압한 후의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단은 강압 회로(236)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충전 관리 회로(234)의 출력단은 배터리(2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관리 회로(234)는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배터리(238)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38)는 단일 셀 또는 직렬로 연결된 여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전력은 20W이고, 단일 셀의 충전 전압/충전 전류는 5V인 경우, 배터리(238)가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셀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셀의 충전 전압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배터리(238)의 충전 전압을 10V로 유지해야 하며, 따라서 강압 회로(26)의 입력 전압은 10V보다 커야 한다. 단일 셀 방식과 비교하면, 충전 전력이 동일한 조건에서, 무선 수신 회로(232)의 출력 전류는 더 작을 수 있으므로 무선 수신 회로(232)의 발열량도 더 작다. 따라서, 충전 전력이 동일한 조건에서 직렬로 연결된 여러 셀을 채용하면 충전 대기 설비의 발열량을 더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대기 설비(230)는 통신 제어 회로(237)를 더 포함한다. 통신 제어 회로(237)는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줄이기 위해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관리 회로(234)의 강압 변환 효율은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전압 차이와 긍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 따라서,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줄임으로써 충전 관리 회로(234)의 발열을 더 감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230)의 발열을 더 줄일 수 있다.
통신 제어 회로(237)는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전압 차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신 제어 회로(237)는 다양한 방법으로 충전 관리 회로(234)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전압 차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 회로(237)는 전압 감지 회로로 전압 차이를 감지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 전압 차이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 제어 회로(237)의 제어 기능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제어 장치(MCU) 또는 충전 대기 설비(230) 내부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MCU와 AP가 서로 협력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제어 회로(237)와 무선 충전 장치 사이의 통신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또는 후방 산란(backscatter) 변조(또는 전력 부하 변조) 방식에 따라 서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제어 회로(237)와 무선 충전 장치 사이의 통신 순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 회로(237)가 주동적으로 통신을 시작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충전 관리 회로(237)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사이의 전압 차이를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무선 충전 장치가 주동적으로 통신을 시작하여 통신 제어 회로(237)에 충전 관리 회로(237)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감소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전압 차이를 감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 통신 제어 회로(237)는 무선 충전 장치의 문의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관리 회로(237)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감소하도록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신호의 조정 방식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의 입력 전압 및/또는 입력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 장치는 주파수 변조(FM) 또는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무선 송신 회로가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서 추출하는 전력량을 조정함으로써,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무선 송신 회로의 입력 전압 및/또는 입력 전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 회로는 전원 공급 회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무선 충전 장치는 전원 공급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의 입력 전압 및/또는 입력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에 전압 변환 회로를 설치할 수 있다. 전압 변환 회로의 입력단은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되고, 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단은 무선 송신 회로에 연결된다. 전압 변환 회로는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하는 입력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의 입력 전압 및/또는 입력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법 실시예와 장치 실시예는 서로 대응되며,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각 장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충전 대기 설비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술한 충전 대기 설비(230)이다. 도 6의 방법은 단계 S610~S630을 포함한다.
단계 S610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620에서, 충전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 S630에서, 강압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한다.
선택적으로,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단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강압 회로의 입력단은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강압 회로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계 S620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S630은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의 방법은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강압 회로의 입력단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단은 강압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계 S630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여 강압한 후의 전압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S620은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제어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강압 회로는 차지 펌프이다.
선택적으로,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은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충전 대기 설비의 배터리는 직렬로 연결된 여러 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는 강압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충전 제어 방법은,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줄이기 위해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충전 관리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전압 비율은 1:2, 1:3, 2:3 또는 1:4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다른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로딩하여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또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실행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으로 한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 통합을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면, 소프트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절차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전문 기술자라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들 들어, 여러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기능은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분리된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여러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은 단지 본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교체를 쉽게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0)

  1. 충전 대기 설비에 있어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 회로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관리 회로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데에 사용되는 강압 회로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통신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관리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강압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강압 회로는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고, 또한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는 그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강압 회로에 의해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한 후에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을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는 하나의 무선 충전 칩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강압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여 강압한 후의 전압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 관리 회로는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는 그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는 상기 강압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전압 비율은 1:2, 1:3, 2:3 또는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는 그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되는 수신 코일과,
    상기 교류 전류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되는 성형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기 설비.
  13.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충전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강압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강압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것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단은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단은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는 것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여 강압한 후의 전압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강압한 후의 전압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및 정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은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출력 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는 상기 강압 회로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수신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는 것과,
    성형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26472A 2018-05-15 2018-05-15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 KR102484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6914 WO2019218161A1 (zh) 2018-05-15 2018-05-15 待充电设备和充电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947A KR20200120947A (ko) 2020-10-22
KR102484519B1 true KR102484519B1 (ko) 2023-01-05

Family

ID=6853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472A KR102484519B1 (ko) 2018-05-15 2018-05-15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50018B2 (ko)
EP (1) EP3742575B1 (ko)
JP (1) JP7204766B2 (ko)
KR (1) KR102484519B1 (ko)
CN (1) CN111566893B (ko)
AU (1) AU2018423401B2 (ko)
WO (1) WO2019218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9290B2 (ja) 2017-04-07 2022-04-25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充電装置、無線充電方法及び被充電機器
EP3462564A4 (en) * 2017-04-07 2019-05-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LOA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TO BE LOADED
CN112956109A (zh) * 2018-12-21 2021-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收装置和无线充电方法
CN115085770B (zh) * 2021-03-15 2023-07-28 上海复旦微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无源nfc接口及设备
CN115347624A (zh) * 2021-05-13 2022-11-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Tws耳机充电方法及装置、tws耳机及充电盒、存储介质
CN113721096A (zh) * 2021-08-31 2021-11-3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模拟电池电路和充电测试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4704A (ja) * 2012-11-29 2014-06-09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16123162A (ja) * 2014-12-24 2016-07-07 株式会社ダイヘン 非接触給電システム、送電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JP2017041967A (ja) * 2015-08-19 2017-0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制御装置及び輸送機器、並びに、蓄電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3680B2 (ja) * 2000-01-24 2006-1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出力制御装置
JP2004252658A (ja) * 2003-02-19 2004-09-09 Fujitsu Ltd 電源装置
US7911191B2 (en) * 2006-08-14 2011-03-22 Infineon Technologies Ag Drop-out voltag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226594A (ja) * 2007-03-12 2008-09-25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2510614A (zh) * 2011-10-25 2012-06-20 上海大学 Led多灯集散式群驱动系统
US9793740B2 (en) * 2012-11-26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e control in wireless charging system
CN103107584B (zh) * 2013-02-01 2015-08-19 深圳市京泉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移动充电功能的装置及其无线充电方法
JP2014168365A (ja) * 2013-02-28 2014-09-11 Renesas Electronics Corp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US9136756B2 (en) * 2013-03-14 2015-09-15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s for two-stage buck boost converters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JP6052149B2 (ja) * 2013-12-06 2016-12-27 ソニー株式会社 受電装置、受電制御方法、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9711983B2 (en) * 2014-04-09 2017-07-18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US20160118805A1 (en) * 2014-10-24 2016-04-28 Motorola Solution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thereof
TWI580152B (zh) * 2014-11-08 2017-04-2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高效率充電系統與應用於其中之充電電路
KR102445714B1 (ko) * 2015-08-28 2022-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CN105226745B (zh) * 2015-09-11 2017-12-29 浙江超威创元实业有限公司 电动车用无线充电电池组及其充电方法及电动车
JP2017099114A (ja) * 2015-11-24 2017-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
CN205249551U (zh) * 2015-11-24 2016-05-18 深圳市威诺华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led应急球泡灯电路结构
CN105958581B (zh) * 2016-05-31 2024-01-09 零度智控(北京)智能科技有限公司 充电方法、充电装置以及无人机
KR102602243B1 (ko) * 2016-07-2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6517089U (zh) * 2017-01-04 2017-09-22 许昌学院 一种适于锂离子电池的充电控制器
JP6918135B2 (ja) * 2017-04-07 2021-08-11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無線充電装置、無線充電方法及び被充電機器
CN107294172A (zh) * 2017-07-20 2017-10-24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终端设备、电源适配器及充电控制方法
CN207150424U (zh) * 2017-07-31 2018-03-27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管理芯片、供电系统和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4704A (ja) * 2012-11-29 2014-06-09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16123162A (ja) * 2014-12-24 2016-07-07 株式会社ダイヘン 非接触給電システム、送電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JP2017041967A (ja) * 2015-08-19 2017-0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制御装置及び輸送機器、並びに、蓄電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6527A (ja) 2021-07-01
WO2019218161A1 (zh) 2019-11-21
US11750018B2 (en) 2023-09-05
CN111566893B (zh) 2024-01-30
KR20200120947A (ko) 2020-10-22
EP3742575A1 (en) 2020-11-25
JP7204766B2 (ja) 2023-01-16
CN111566893A (zh) 2020-08-21
AU2018423401A1 (en) 2020-10-08
US20210099006A1 (en) 2021-04-01
EP3742575B1 (en) 2024-02-14
AU2018423401B2 (en) 2021-06-17
EP3742575A4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4645C1 (ru) Беспроводн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заряжа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и
KR102484519B1 (ko) 충전 대기 설비 및 충전 제어 방법
US11201509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to-be-charged
KR102222153B1 (ko)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102506348B1 (ko)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11462931B2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CN111566889B (zh) 无线充电接收装置及移动终端
CN112956109A (zh) 接收装置和无线充电方法
KR20200084011A (ko)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EP3872950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power supply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1202788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power supply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