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746B1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746B1
KR102505746B1 KR1020180060302A KR20180060302A KR102505746B1 KR 102505746 B1 KR102505746 B1 KR 102505746B1 KR 1020180060302 A KR1020180060302 A KR 1020180060302A KR 20180060302 A KR20180060302 A KR 20180060302A KR 102505746 B1 KR102505746 B1 KR 10250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gear
comb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180A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4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되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컴바이너부와, 컴바이너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복수의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회전캠부와, 일측은 커버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안내홈부로 삽입되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커버부를 이동시키는 제1기어부와, 일측은 컴바이너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안내홈부에 삽입되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컴바이너부를 하우징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여, 컴바이너부와 커버부의 개폐성을 향상시키고, 컴바이너부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 UP DISPLAY APP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바이너와 커버의 개폐성을 향상시키고, 컴바이너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는 차량의 윈드 실드 글라스(WIND SHIELD GLASS)에 다양한 차량 정보를 가상 이미지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차량 운전 중 전방을 계속 주시하면서 상기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컴바이너 타입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 컴바이너(COMBINER)가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시 전개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착 공간에 따른 광 기구의 배치에 따라 수평형 컴바이너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수직형 컴바이너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있다.
종래 컴바이너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경우 리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컴바이너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전개하였는데 이 경우 리드 스크류의 리드의 크기와 모터 속도에 의해 컴바이너 개폐 속도가 결정되었으며, 컴바이너의 전개 속도가 신속하지 않았고, 컴바이너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리드의 크기와 스텝(STEP) 모터의 각도에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컴바이너의 팝업을 위한 동작에 있어서, 캠휠의 핀을 이용하여 작동하고, 이후 컴바이너의 회전동작은 핀과 분리된 캐리어의 형상에 의해 컴바이너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동작 품질이 부드럽지 못하고, 핀에서 캐리어로 넘어갈 때 작동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컴바이너의 전개 과정에서 가이드핀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전개 중 외부 진동에 의한 이음이나 오작동 가능성 있다. 뿐만 아니라 컴바이너의 전개 완료 이후 컴바이너의 외부 진동에 대한 지지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8658호(2015.10.01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컴바이너와 커버의 개폐성을 향상시키고, 컴바이너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컴바이너부; 상기 컴바이너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복수의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회전캠부;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커버부를 이동시키는 제1기어부; 및 일측은 상기 컴바이너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컴바이너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안내홈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컴바이너부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컴바이너부를 지지하는 틸트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회전캠부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하우징몸체; 및 상기 커버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기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가이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가이드에 구비된 가이드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돌기의 지름은 상기 가이드홈부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에 형성되는 커버몸체홀부는 상기 돌출돌기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돌기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바이너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서 굽어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양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기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몸체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가이드지지부; 및 상기 연결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지지부에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지지부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지지부는 지지측판부; 상기 지지측판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하판부; 상기 지지측판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상판부; 및 상기 지지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상판부를 관통하는 지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이동부는 상기 컴바이너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봉부가 관통되는 이동몸체부; 및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상판부를 압박하도록 탄성을 갖는 이동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캠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는 캠몸체; 상기 캠몸체의 측면에 상기 제1기어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제1안내홈부; 상기 캠몸체의 측면에 상기 제2기어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제2안내홈부; 및 상기 캠몸체의 측면에 상기 틸트기어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제3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안내홈부로 삽입되는 제1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1링크부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2안내홈부로 삽입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이동기어부; 상기 이동기어부의 측면에 구비된 외측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회전기어부; 상기 컴바이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기어; 및 일측은 상기 제1연결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기어부에 고정되는 제2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기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3안내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컴바이너부에 걸리는 틸트레버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틸트레버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지지하는 틸트서포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레버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3안내홈부로 삽입되는 제3돌기를 구비하는 레버몸체부; 상기 레버몸체부에서 상기 컴바이너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컴바이너부에 형성되는 틸트핀에 걸리는 레버걸림부; 및 상기 레버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틸트서포터부를 작동시키는 레버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서포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서포터몸체부; 상기 서포터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유도부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몸체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서포터돌기부; 및 상기 서포터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부에 구비된 돌출돌기가 커버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므로 커버부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커버부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바이너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하므로 컴바이너부의 상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컴바이너부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의 개폐와 컴바이너부의 상하 이동 및 컴바이너부의 틸트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커버부와 컴바이너부의 동작과 관련된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바이너부의 상승시 가이드이동부가 가이드지지부에 밀착되고, 틸트레버부와 연동되는 틸트서포터부가 가이드이동부를 받쳐줌으로써, 컴바이너부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와 커버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커버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와 컴바이너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가이드부가 홀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기어부와 컴바이너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기어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틸트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컴바이너부가 지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와 커버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커버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와 컴바이너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서 가이드부가 홀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기어부와 컴바이너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기어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틸트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컴바이너부가 지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부(10)와 커버부(20)와 컴바이너부(30)와 가이드부(40)와 회전캠부(50)와 제1기어부(60)와 제2기어부(70)와 틸트기어부(9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차량에 장착되며, 커버부(20)와 컴바이너부(30)와 가이드부(40)와 회전캠부(50)와 제1기어부(60)와 제2기어부(70)와 틸트기어부(90)의 부품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하우징몸체(12)와 커버가이드(14)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12)는 회전캠부(50)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몸체(12)의 양 측면에 회전캠부(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캠부(50)에 맞물리는 동력전달기어(18)도 하우징몸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하우징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가이드(14)는 커버부(20)와 마주하는 하우징몸체(12)의 내측에 위치하며, 커버부(20)의 이동경로를 따라 홈부를 형성하며 커버부(20)의 이동을 안내한다. 하우징몸체(12)의 상부 양측면에 커버가이드(14)가 설치된다. 커버가이드(14)의 내측에는 커버부(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16)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16)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커버부(20)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커버부(20)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동력전달기어(18)는 하우징몸체(1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캠부(50)에 맞물린다.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설치된 별도의 구동모터(도시생략)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력전달기어(18)가 회전된다.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는 제1기어부(60)에 의해 이동되어 하우징부(10)의 입구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는 커버몸체(22)와 돌출돌기(24)를 포함한다.
커버몸체(2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가이드(14)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커버몸체(22)의 양측에 제1기어부(60)가 연결되며, 제1기어부(60)는 회전캠부(50)에 의해 동작된다.
돌출돌기(24)는 커버몸체(22)에서 돌출되어 커버가이드(14)에 구비된 가이드홈부(16)로 삽입된다. 커버몸체(22)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24)는 커버가이드(14)의 가이드홈부(16)로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된다.
이때, 돌출돌기(24)는 원기둥 형상을 하며, 돌출돌기(24)의 지름(a)은 가이드홈부(16)의 폭(b)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몸체(22)의 가장자리에서부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몸체홀부(221)는 돌출돌기(24)를 가로지른다. 이로 인해, 2개로 분할된 돌출돌기(24)는 형상 자체가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가이드홈부(16)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별도로 동작되며 하우징부(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컴바이너부(30)는 영상을 반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30)는 제1몸체(32)와 제2몸체(34)와 연결몸체(36)와 틸트핀(38)을 포함한다.
제1몸체(3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몸체(34)는 제1몸체(32)의 일측(도 7기준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굽어진 형상으로 연장된다.
연결몸체(36)는 제2몸체(34)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2기어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틸트핀(38)은 연결몸체(36)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핀 형상이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기어부(90)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따라서 틸트기어부(90)가 회전될 때 틸트기어부(90)가 틸트핀(38)을 가압하여 컴바이너부(30)의 틸트 각도를 조절한다.
도 2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가이드부(40)는 연결몸체(36)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며 연결몸체(36)의 이동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연결몸체(36)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가이드지지부(41)와, 연결몸체부(36)에 연결되고 가이드지지부(41)에 관통되어 가이드지지부(41)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42)를 포함한다.
가이드지지부(41)는 지지측판부(411)와 지지하판부(412)와 지지상판부(413)와 지지봉부(414)를 포함한다.
지지측판부(411)는 연결몸체(36)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다. 일 예로, 지지측판부(411)는 하우징몸체(12)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하판부(412)는 지지측판부(4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지지측판부(41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지지상판부(413)는 지지측판부(41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지지측판부(411)의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지지봉부(414)는 원통 형상을 하고 하단부가 지지하판부(412)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지지상판부(413)를 관통하거나 지지상판부(413)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이동부(42)는 이동몸체부(421)와 이동홀더부(422)를 포함한다.
이동몸체부(421)는 컴바이너부(30)와 연결되고, 지지봉부(414)가 관통된다. 이로 인해 이동몸체부(421)는 지지봉부(414)와 면접촉되고, 지지봉부(414)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몸체부(421)는 연결몸체(36)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동몸체부(421)의 일부가 연결몸체(36)에 삽입되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몸체부(421)는 제2기어부(70)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동홀더부(422)는 이동몸체부(421)에 형성되고, 지지상판부(413)를 압박하도록 탄성을 갖는다. 일 예로, 이동홀더부(422)는 이동몸체부(421)의 상단부에서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압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몸체부(421)가 최상단에 위치되면, 이동홀더부(422)가 지지상판부(413)를 압박하여 이동몸체부(42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부(5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고 복수의 안내홈부(54)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20)의 개폐와 컴바이너부(30)의 상하 이동 및 컴바이너부(30)의 틸트 작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안내홈부(54)는 3개의 홈부를 형성하며, 각 기능의 구현을 위해 기어부의 돌기가 결합되어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캠부(50)는 캠몸체(52)와 안내홈부(54)와 오픈돌기(51)와 클로즈돌기(53)를 포함한다.
캠몸체(5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기어이다. 캠몸체(52)의 외주면에는 동력전달기어(18)에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며, 하우징몸체(12)의 양측 또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홈부(54)는 하우징몸체(12)와 마주하는 캠몸체(52)의 측면에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며, 제1기어부(60)와 제2기어부(70)와 틸트기어부(9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홈부(54)는 제1안내홈부(55)와 제2안내홈부(57)와 제3안내홈부(58)를 포함한다.
제1안내홈부(55)는 캠몸체(52)의 측면에 제1기어부(6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며, 제2안내홈부(57)는 캠몸체(52)의 측면에 제2기어부(7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며, 제3안내홈부(58)는 캠몸체(52)의 측면에 틸트기어부(9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한다.
캠몸체(52)의 회전에 의해, 제1안내홈부(55)에 삽입된 제1기어부(60)가 먼저 동작되며, 제1기어부(60)의 동작이 완료되면 제2안내홈부(57)에 삽입된 제2기어부(7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기어부(70)의 동작이 완료되면 제3안내홈부(58)에 삽입된 틸트기어부(9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캠몸체(52)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부(60)와 제2기어부(70)와 틸트기어부(90)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지기 위해 제1안내홈부(55)와 제2안내홈부(57)와 제3안내홈부(58)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안내홈부(55)와 제2안내홈부(57)와 제3안내홈부(58)는 캠몸체(5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홈부를 형성하는 구간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안내홈부(55)는 캠몸체(5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는 구간과 캠몸체(52)의 중심부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는 구간으로 구분된다. 제1안내홈부(55)에 삽입되는 제1기어부(60)의 제1돌기(64)가 원주 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는 구간에 위치할 때는 외력을 전달받지 못한다. 그리고, 제1돌기(64)가 캠몸체(52)의 중심부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의 홈에 위치할 때는 캠몸체(52)에 걸려서 이동되므로 제1기어부(60)로 외력이 전달된다.
캠몸체(52)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1기어부(60)와 제2기어부(70)와 틸트기어부(90)가 순차적으로 동작됨을 감안하여 제1안내홈부(55)와 제2안내홈부(57)와 제3안내홈부(58)의 형상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홈부(54)의 설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캠몸체(52)의 측면에는 3개의 안내홈부(54)가 형성되며, 각 안내홈부(54)에는 제1돌기(64)와 제2돌기(74)와 제3돌기(96)가 삽입되므로,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부(60)와 제2기어부(70)와 틸트기어부(90)가 순차적으로 동작된다. 또한 각 안내홈부(54)에는 캠몸체(52)의 회전방향과 같은 홈 구간인 무효구간이 구비되므로 각 기어부의 동작 완료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안내홈부(55)에는 제1기어부(60)의 제1돌기(64)가 삽입되며, 제1안내홈부(55)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20)의 오픈과 클로즈에 관련된 동작이 수행된다. 제2안내홈부(57)에는 제2기어부(70)의 제2돌기(74)가 삽입되며, 제2안내홈부(57)의 회전으로 컴바이너부(30)는 컴바이너가이드(4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제3안내홈부(58)에는 틸트기어부(90)의 제3돌기(9113)가 삽입되며, 제3안내홈부(58)의 회전으로 삼절링크인 틸트기어부(90)가 동작되어 컴바이너부(30)를 틸트 시킨다.
캠몸체(52)의 중심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클로즈돌기(53)와, 캠몸체(52)의 테두리 부근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오픈돌기(51)는 각각의 접촉센서를 가압하므로 회전캠부(50)의 회전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부(60)의 일측은 커버부(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안내홈부(54)로 삽입되며,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커버부(2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60)는 2개의 링크를 포함하며, 3개의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부(60)가 동작되어 커버부(20)를 이동시키므로, 커버부(20)는 커버가이드(14)를 따라 하우징부(10)의 상측을 개폐한다.
컴바이너부(30)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는 커버부(20)가 하우징부(10)의 상측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컴바이너부(30)가 하우징부(10)의 내측에 보관된 상태에서, 컴바이너부(30)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부(20)가 컴바이너부(30)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컴바이너부(30)를 사용할 경우에는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부(60)가 동작되어 커버부(20)를 오픈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컴바이너부(30)의 상측 이동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60)는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6)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재(62)는 제1안내홈부(55)로 삽입되는 제1돌기(64)를 구비하며 하우징부(10)에 힌지 연결된다. 제1링크부재(62)의 일측(도 5기준 하측)은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링크부재(62)의 타측은 제2링크부재(6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부재(62)의 측면으로 돌출된 제1돌기(64)는 제1안내홈부(55)로 삽입되며,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제1안내홈부(55)를 따라 이동된다.
제2링크부재(66)는 제1링크부재(62)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커버부(2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링크부재(66)의 타측은 커버부(20)의 양측에 구비된 테두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캠부(50)의 회전으로 제1돌기(64)와 함께 제1링크부재(62)가 하우징부(10)에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제1링크부재(62)의 회전으로 커버부(20)가 커버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되어 커버부(20)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진다. 제1기어부(60)는 하우징몸체(12)의 양측면 내측에 위치하며, 제1돌기(64)는 하우징몸체(12)의 측면에 구비된 원호 형상의 홈부를 통해 제1안내홈부(55)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 2, 도 3 및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부(70)의 일측은 컴바이너부(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안내홈부(54)에 삽입되며,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컴바이너부(30)를 하우징부(1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제2기어부(70)가 동작되어 컴바이너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컴바이너부(30)가 가이드부(40)를 따라 하우징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오픈위치라 하며, 컴바이너부(30)가 가이드부(40)를 따라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클로즈 위치라 한다. 컴바이너부(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컴바이너부(30)를 클로즈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컴바이너부(30)를 보호하며, 컴바이너부(30)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안내한다.
회전캠부(50)에 연결된 제2기어부(70)가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컴바이너부(30)를 이동시킨다. 제2기어부(70)는 3절링크로 구성되며, 컴바이너부(30)의 이동경로는 가이드부(40)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70)는 이동기어부(72)와 회전기어부(80)와 제1연결기어(82)와 제2연결기어(84)를 포함한다. 이동기어부(72)는 제2안내홈부(57)로 삽입되는 제2돌기(74)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어부(72)는 이동기어몸체(73)와 제2돌기(74)와 외측기어(76)를 포함한다.
이동기어몸체(73)의 일측은 하우징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기어몸체(73)의 타측에는 외측기어(76)가 형성된다. 이동기어몸체(73)의 측면으로 돌출된 제2돌기(74)는 제2안내홈부(57)로 삽입되며,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제2안내홈부(57)를 따라 이동되며 이동기어몸체(73)와 함께 회전된다.
외측기어(76)는 이동기어몸체(73)의 타측에 원호 형상으로 기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동기어몸체(73)가 회전되면, 이동기어부(72)에 구비된 외측기어(76)가 회전기어부(80)에 맞물리며 회전된다.
회전기어부(80)는 이동기어부(72)의 측면에 구비된 외측기어(76)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기어이며, 하우징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기어부(8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기어(76)에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기어부(72)가 회전될 때, 이동기어부(72)에 맞물린 회전기어부(80)도 회전된다.
제1연결기어(82)는 컴바이너부(30), 보다 구체적으로 컴바이너부(30)와 연결되는 이동몸체부(4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형상의 기어이다. 그리고 제2연결기어(84)의 일측은 제1연결기어(8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연결기어(84)의 타측은 회전기어부(80)에 고정된다.
제2연결기어(84)의 몸체는 원호 형상으로 굽어진 형상이며, 제2연결기어(84)의 타측은 회전기어부(80)에 고정되므로 회전기어부(80)와 함께 회전된다. 제2연결기어(84)의 일측은 제1연결기어(82)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캠부(50)의 회전에 따라 이동기어부(72)가 회전되며, 이동기어부(72)에 맞물린 회전기어부(80)가 회전될 때 제2연결기어(84)도 회전기어부(80)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제2연결기어(84)에 힌지 연결된 제1연결기어(82)가 이동하여 이동몸체부(421)를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동몸체부(421)와 연결된 컴바이너부(3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다.
도 2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기어부(90)는 안내홈부(54)에 연결되며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컴바이너부(30)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상측으로 전개된 컴바이너부(30)는 틸트기어부(90)의 동작으로 각도가 조절된다. 컴바이너부(30)는 설정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Tilt) 할 수 있도록 각도가 조절되므로,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가상이미지의 위치를 조정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기어부(90)는 틸트레버부(91)와 틸트서포터부(92)를 포함한다.
틸트레버부(91)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3안내홈부(58)로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컴바이너부(30)에 형성되는 틸트핀(38)에 걸린다.
틸트서포터부(92)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틸트레버부(91)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가이드이동부(42)를 지지한다.
틸트레버부(91)는 제3안내홈부(58)로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회전캠부(5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다. 틸트레버부(91)는 판 형상이며 하우징몸체(12)의 양측 외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레버부(91)는 레버몸체부(911)와, 레버걸림부(912)와, 레버유도부(913)를 포함한다.
레버몸체부(911)는 회전캠부(50)와 함께 하우징몸체(1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레버몸체부(911)에는 제1홀부(9111)와 제2홀홈부(9112)가 구비된다. 장공을 형성하는 제1홀부(9111)와 제2홀부(9112)에 핀이 삽입되어 하우징몸체(12)의 측면에 고정되므로, 레버몸체부(911)의 이동을 안내한다. 레버몸체부(911)에 형성되는 레버축부(919)가 하우징몸체(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레버몸체부(911)에는 제3돌기(9113)가 형성된다. 제3돌기(9113)는 레버몸체부(91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회전캠부(50)의 안내홈부(54)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3안내홈부(58)의 내측으로 삽입된 제3돌기(9113)는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된다.
레버걸림부(912)는 레버몸체부(911)에서 컴바이너부(30) 방향으로 돌출되고, 컴바이너부(30)에 형성되는 틸트핀(38)에 걸린다. 레버걸림부(912)에는 틸트스프링(99)의 일측이 연결되며, 틸트스프링(99)의 타측은 하우징부(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된 레버몸체부(911)는 틸트스프링(99)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틸트핀(38)은 연결몸체(36)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며, 레버걸림부(912)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동작시 연결몸체(36)의 상부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를 중심으로 컴바이너부(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컴바이너부(30)를 구성하는 제1몸체(32)와 제2몸체(34)는 연결몸체(36)에 고정되며, 틸트기어부(90)의 동작에 의해 연결몸체(36)는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틸트스프링(99)이 연결된 틸트레버부(91)가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때, 틸트걸림부(912)돌기부재(98)가 틸트핀(38)을 밀어주는 구조이다.
컴바이너부(30)의 틸트와 관련된 틸트기어부(90)와 컴바이너부(30)의 전개와 관련된 제2기어부(70)는 분리된 구조이며, 필요시에만 틸트핀(38)과 틸트걸림부(912)가 접촉되어 컴바이너부(30)의 틸트 기능을 구현한다.
회전캠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1기어부(60)와 제2기어부(70)와 틸트기어부(90)가 설치되며, 제1돌기(64)와 제2돌기(74)와 제3돌기(9113)의 길이를 조절하여 각 기어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레버유도부(913)는 레버몸체부(911)에 형성되고, 틸트서포터부(92)를 작동시킨다. 일 예로, 레버유도부(913)는 레버몸체부(911)에 형성되는 장방형 홀이 될 수 있으며, 레버유도부(913)에 틸트서포터부(92)가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몸체부(911)가 회전되어 틸트서포터부(92)를 작동시킬 수 있다.
틸트서포터부(92)는 서포터몸체부(921)와 서포터돌기부(922)와 서포터받침부(923)를 포함한다.
서포터몸체부(921)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서포터몸체부(921)는 하우징몸체(12)와 레버몸체부(911) 사이에 배치되고, 서포터축부(929)가 하우징몸체(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서포터돌기부(922)는 서포터몸체부(921)에 형성되고, 레버유도부(913)에 삽입되어 레버몸체부(911)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일 예로, 서포터돌기부(922)는 서포터몸체부(921)에서 레버몸체부(911)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버유도부(913)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컴바이너부(30)가 상승한 후 틸팅이 이루어지기 전 서포터돌기부(922)는 레버유도부(913)의 상단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컴바이너부(30)의 틸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서포터돌기부(922)가 레버유도부(913)의 중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서포터몸체부(92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포터받침부(923)는 서포터몸체부(921)에 형성되고, 가이드이동부(42)를 지지한다. 일 예로, 서포터받침부(923)는 서포터돌기부(92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우징몸체(12)를 관통한다. 그리고 컴바이너부(30)의 틸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서포터받침부(923)가 가이드이동부(42)에 형성되는 이동안착부(429)를 받쳐줌으로써, 컴바이너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서포터탄성부(925)는 하우징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서포터몸체부(921)에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터탄성부(925)는 서포터몸체부(92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커버부(20)의 오픈 동작을 설명한다. 작동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된 모터모듈이 작동되어 동력전달기어(18)를 회전시킨다. 동력전달기어(18)에 맞물려 있는 회전캠부(50)가 동력전달기어(18)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회전캠부(50) 내부의 제1안내홈부(55)와 제2안내홈부(57)와 제3안내홈부(58)도 회전된다. 제1안내홈부(55)의 회전에 따라 제1돌기(64)가 이동되며, 제1돌기(64)와 함께 제1링크부재(62)가 이동된다. 제1링크부재(62)의 이동으로 제2링크부재(66)가 이동되면서 커버부(20)를 이동시키므로, 커버부(20)의 돌출돌기(24)가 가이드홈부(16)를 따라 이동되어 커버부(20)의 오픈이 이루어진다.
커버부(20)의 오픈 동작이 완료되면, 도 2,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부(50)가 추가 회전되어 제2기어부(70)가 동작된다. 제2안내홈부(57)의 회전으로 제2돌기(74)가 제2안내홈부(57)를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기어부(72)가 회전된다.
이동기어부(72)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기어(76)가 회전기어부(80)에 맞물리므로, 이동기어부(72)의 회전에 의해 회전기어부(80)도 회전된다. 회전기어부(80)에 고정된 제2연결기어(84)가 회전되면서 제1연결기어(82)를 이동시키므로, 제1연결기어(82)에 연결된 가이드이동부(42) 및 가이드이동부(42)와 연결된 연결몸체(36)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이동부(42)는 가이드지지부(41)에 가이드되는데, 지지봉부(414)가 이동몸체부(421)를 관통하고, 가이드이동부(42)가 최고점에 도달할 때 이동홀더부(422)가 지지상판부(413)를 압박하여 이동몸체부(421)의 홀딩력을 증대시킨다.
도 2,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바이너부(30)가 오픈 위치로 이동하면, 제3안내홈부(58)에 걸린 제3돌기(9113)가 이동되며 틸트레버부(91)가 회전된다. 틸트레버부(91)의 회전에 의해 레버걸림부(912)가 틸트핀(38)을 가압하므로 연결몸체(36)가 회전되는 틸트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컴바이너부(3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컴바이너(30)가 틸트될 때 레버몸체부(911)가 레버축부(919)를 중심으로 회전되지만, 레버유도부(913)는 레버축(919)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레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돌기부(922)는 틸트 동작에 따라 레버몸체부(911)가 회전하더라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틸트레버부(91)와 연동되는 틸트서포터부(92)는 레버걸림부(912)가 틸트핀(38)에 도달하는 시점(도 12 참조)에서 서포터받침부(923)가 이동안착부(429)를 받쳐주어 이동몸체부(421)를 지지한다. 이로 인해 컴바이너부(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클로즈 동작을 설명하면, 동력전달기어(18)가 오픈 동작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력전달기어(18)에 맞물린 회전캠부(50)도 오픈 동작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안내홈부(58)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틸트기어부(90)가 동작되어 컴바이너부(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2안내홈부(57)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컴바이너부(30)가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안내홈부(55)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커버부(20)가 하우징부(10)의 상측을 차폐한다.
따라서 커버부(20)의 오픈과 컴바이너부(30)의 팝업 및 컴바이너부(30)의 틸트 동작이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개가 신속히 이루어지면서 소음이 저감된 구조를 제공하므로 구동메커니즘의 동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20)에 구비된 돌출돌기(24)가 커버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되므로 커버부(20)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커버부(20)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컴바이너부(30)가 가이드부(40)를 따라 승하강하므로 컴바이너부(30)의 상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컴바이너부(30)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캠부(50)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20)의 개폐와 컴바이너부(30)의 상하 이동 및 컴바이너부(30)의 틸트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커버부(20)와 컴바이너부(30)의 동작과 관련된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컴바이너부(30)의 상승시 가이드이동부(42)가 가이드지지부(41)에 밀착되고, 틸트레버부(91)와 연동되는 틸트서포터부(92)가 가이드이동부(42)를 받쳐줌으로써, 컴바이너부(30)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하우징부 12: 하우징몸체 14: 커버가이드 16: 가이드홈부 18: 동력전달기어
20: 커버부 22: 커버몸체 24: 돌출돌기
30: 컴바이너부 32: 제1몸체 34: 제2몸체 36: 연결몸체 38: 틸트핀
40: 가이드부 41: 가이드지지부 42: 가이드이동부
50: 회전캠부 52: 캠몸체 54: 안내홈부 55: 제1안내홈부 57: 제2안내홈부 58: 제3안내홈부 51: 오픈돌기 53: 클로즈돌기
60: 제1기어부 62: 제1링크부재 64: 제1돌기 66: 제2링크부재
70: 제2기어부 72: 이동기어부 73: 이동기어몸체 74: 제2돌기 76: 외측기어 80: 회전기어부 82: 제1연결기어 84: 제2연결기어
90: 틸트기어부 91: 틸트레버부 92: 틸트서포터부

Claims (15)

  1.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컴바이너부;
    상기 컴바이너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복수의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회전캠부;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복수의 상기 안내홈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커버부를 이동시키는 제1기어부; 및
    일측은 상기 컴바이너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복수의 상기 안내홈부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컴바이너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컴바이너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가이드지지부; 및
    상기 컴바이너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지지부에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지지부의 길이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안내홈부 중 또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컴바이너부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컴바이너부를 지지하는 틸트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회전캠부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하우징몸체; 및
    상기 커버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기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가이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가이드에 구비된 가이드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기의 지름은 상기 가이드홈부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에 형성되는 커버몸체홀부는 상기 돌출돌기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돌기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서 굽어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양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기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지지부는
    지지측판부;
    상기 지지측판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하판부;
    상기 지지측판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상판부; 및
    상기 지지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상판부를 관통하는 지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이동부는
    상기 컴바이너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봉부가 관통되는 이동몸체부; 및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상판부를 압박하도록 탄성을 갖는 이동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는 캠몸체;
    상기 캠몸체의 측면에 상기 제1기어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제1안내홈부;
    상기 캠몸체의 측면에 상기 제2기어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제2안내홈부; 및
    상기 캠몸체의 측면에 상기 틸트기어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제3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안내홈부로 삽입되는 제1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1링크부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2안내홈부로 삽입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이동기어부;
    상기 이동기어부의 측면에 구비된 외측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회전기어부;
    상기 컴바이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기어; 및
    일측은 상기 제1연결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기어부에 고정되는 제2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기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3안내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컴바이너부에 걸리는 틸트레버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틸트레버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지지하는 틸트서포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레버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3안내홈부로 삽입되는 제3돌기를 구비하는 레버몸체부;
    상기 레버몸체부에서 상기 컴바이너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컴바이너부에 형성되는 틸트핀에 걸리는 레버걸림부; 및
    상기 레버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틸트서포터부를 작동시키는 레버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서포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서포터몸체부;
    상기 서포터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유도부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몸체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서포터돌기부; 및
    상기 서포터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60302A 2018-05-28 2018-05-2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02A KR102505746B1 (ko) 2018-05-28 2018-05-2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02A KR102505746B1 (ko) 2018-05-28 2018-05-2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80A KR20190135180A (ko) 2019-12-06
KR102505746B1 true KR102505746B1 (ko) 2023-03-03

Family

ID=6883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302A KR102505746B1 (ko) 2018-05-28 2018-05-2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6382B1 (en) * 2020-06-19 2024-05-29 Jabil Inc. Mirror system for mounting a mirror of a head-up display
WO2022030198A1 (ja) 2020-08-05 2022-02-10 日東電工株式会社 接合体の分離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855A (ja) 2001-05-11 2002-11-19 Yazak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開口部カバーユニット
KR101319587B1 (ko) 2012-04-17 2013-10-16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226315A (ja) * 2016-06-22 2017-12-2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17A (ko) * 2014-04-09 2015-10-1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9580B1 (ko) * 2017-06-26 2021-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0738B1 (ko) * 2017-11-21 2022-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855A (ja) 2001-05-11 2002-11-19 Yazak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開口部カバーユニット
KR101319587B1 (ko) 2012-04-17 2013-10-16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226315A (ja) * 2016-06-22 2017-12-2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80A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580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4611566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コンバイナの収納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コンバイナ収納装置
KR102505746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5851744B2 (ja) 遊技機
JP587755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8157232B2 (en) Display panel driv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CN104819436B (zh) 致动器
WO2016157368A1 (ja) 表示装置
KR20150117117A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28265B (zh) 抬头显示器
JP2010241358A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ボード
JP2012106743A (ja) デフレクター装置
EP1932716A1 (en) Article stowage device for vehicle
EP3299206A1 (en) Display apparatus
JP2017148168A (ja) 遊技機
JP3974005B2 (ja) 車載用電子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KR102577359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8876303B2 (en) Lens barrier device
US8254008B2 (en) Blade drive device and optical device
JP4416623B2 (ja) 電子機器の表示パネル開閉機構
KR102505745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5075329B2 (ja) 絞り機構
JP2024046907A (ja) サンルーフ装置
JP395806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4047216A (ja) サンルーフ装置およびサンルーフ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