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319B1 -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319B1
KR102505319B1 KR1020220148522A KR20220148522A KR102505319B1 KR 102505319 B1 KR102505319 B1 KR 102505319B1 KR 1020220148522 A KR1020220148522 A KR 1020220148522A KR 20220148522 A KR20220148522 A KR 20220148522A KR 102505319 B1 KR102505319 B1 KR 10250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exercise
riv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택
Original Assignee
박경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택 filed Critical 박경택
Priority to KR102022014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은, 플랫폼 제공서버의 정보수집부가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a)단계, 상기 정보수집부가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 각각을 통해 측정된, 각 사용자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에 대한 운동 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하는 (b)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b)단계에 의해 수집된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에 대응되도록 가공하여 각 운동수행데이터 별로 가공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c)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사용자관리부가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1위치정보 및 제1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d)단계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인 복수 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A Social Exercise Platform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소셜 미디어가 개발되었으며, 많은 사용자들에게 이용되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들의 생활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으며, 과거 1:1로 이루어지던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확장시켜 다수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정착시키게 되었다.
다만,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셜 미디어 중에는 다양한 욕구 중 성적 욕구를 실현하는 데 집중하는 소셜 미디어와 자아실현 욕구를 실현하는 데 집중하는 소셜 미디어, 그리고 자기과시/우월 욕구를 실현하는 데 집중하는 소셜 미디어는 존재하고 있으나, 건강 욕구를 실현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는 전무하다.
현재까지는 단순히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운동 행위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들을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소프트웨어 정도만이 존재하며, 따라서 건강 욕구를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의 개발이 시급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505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의 건강 욕구를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은, 플랫폼 제공서버의 정보수집부가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a)단계, 상기 정보수집부가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 각각을 통해 측정된, 각 사용자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에 대한 운동 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하는 (b)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b)단계에 의해 수집된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에 대응되도록 가공하여 각 운동수행데이터 별로 가공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c)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사용자관리부가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1위치정보 및 제1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d)단계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인 복수 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
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c)단계에 의해 생성된 복수 개의 가공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사용자단말기에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를 순위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리스트화하는 (f-1)단계,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순위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를 추출하여 라이벌 사용자로 설정하는 (f-2)단계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f-2)단계에 의해 라이벌 사용자로 설정된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에 라이벌 태그를 별도로 부여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f-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f-3)단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경쟁신청메시지를 수신하는 (g-1)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경쟁신청메시지를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쟁신청메시지를 전송하는 (g-2)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긍정 또는 부정의 경쟁답변메시지를 수신하는 (g-3)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쟁답변메시지를 전송하는 (g-4)단계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g-3)단계에서 수신된 경쟁답변메시지가 긍정의 경쟁답변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가 참여하는 경쟁채널을 개설하는 (g-5)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g-5)단계 이후에는, 상기 정보수집부가 상기 경쟁채널이 개설된 이후 제1시점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제1위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제2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h-1)단계, 상기 정보수집부가 상기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제1위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제2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h-2)단계,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1시점에서의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와 상기 제2시점에서의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의 위치 차이를 연산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이동거리를 추정하는 (h-3)단계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 중 상기 (h-3)단계에서 이동거리가 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된 일측이 승리하였음을 상기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h-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h-1)단계 및 상기 (h-2)단계의 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수집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사용자의 심박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2사용자의 심박수정보를 수신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당 이동거리에 따른 심박수가 기 설정된 기준심박수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경쟁채널에 경쟁취소메시지를 공지하고, 상기 경쟁채널을 폐쇄하는 (g)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은, 다양한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한 뒤 가공하여 가공운동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서로 근접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경쟁심을 유도하고, 서로 간에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 욕구를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1사용자에 대한 가공운동데이터를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1사용자의 제1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인접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사용자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1사용자의 제1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다양한 운동 시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플랫폼 제공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플랫폼 제공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용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모듈 등 영상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플랫폼 제공서버, 제1사용자가 소유한 제1사용자 단말기, 제2사용자가 소유한 제2사용자 단말기 등에서 시각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는 이동식 디스크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플랫폼 제공서버, 제1사용자 단말기, 제2사용자 단말기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은 플랫폼 제공서버, 제1사용자 단말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적 수단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를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이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에 할당된 부호는 본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은 (a)단계 내지 (e)단계를 포함한다.
(a)단계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정보수집부(11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 20)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본 단계에서는 정보수집부(110)가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으로서, 각각의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10, 20)에 내장된 GPS모듈 등을 통해 생성된 좌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a)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어, 각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b)단계는 정보수집부(110)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 20) 각각을 통해 측정된, 각 사용자 단말기(10, 20)를 소유한 사용자에 대한 운동 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즉 (b)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특정하게 신체를 사용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10, 20)에서 생성된 다양한 정보들을 취합하게 된다.
예컨대, 운동수행데이터는 사용자가 걷거나 뛴 거리, 자전거 등을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 운동을 수행한 총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데이터처리부(120)가 (b)단계에 의해 수집된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에 대응되도록 가공하여 각 운동수행데이터 별로 가공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c)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데이터처리부(120)에 의해 운동수행데이터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b)단계에서 수집된 운동수행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에서 가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시킨다.
즉 본 과정에서는 운동수행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재해석하여 유용한 정보로 전환하고, 이를 특정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도록 가공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d)단계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사용자관리부(130)가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1위치정보 및 제1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1사용자 단말기(10)는 전술한 과정에서 위치정보와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 20) 중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한 하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는,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1위치정보 및 제1가공운동데이터, 즉 사용자 입장에서 본인에 대한 위치정보와 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 대한 현재 위치와, 자신이 수행한 운동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1사용자에 대한 가공운동데이터를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단계에 의해 임의의 사용자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신의 프로필, 이동거리, 소요 칼로리, 운동시간, 활동 통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관리부(13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인 복수 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e)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2사용자 단말기(20)는 전술한 과정에서 위치정보와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 20) 중 임의로 선택된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제2사용자 단말기(20)는 어느 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른 모든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특정한 하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과정에서는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 즉 사용자 입장에서 타인에 대한 위치정보와 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된 다른 사용자들의 현재 위치와, 다른 사용자들이 수행한 운동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암묵적인 개인 운동경쟁을 유발시켜 운동의 흥미를 얻도록 하며, 또한 많은 사용자들의 운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1사용자의 제1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인접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사용자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단계에 의해 임의의 사용자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되는 맵 상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사용자들에 대한 세부 정보를 조회하고자 할 경우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이동거리, 소요 칼로리, 운동시간, 활동 통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데이터처리부(120)는 (c)단계의 가공 과정에서 각 사용자에 대한 기간 별 통계를 산출하고, 사용자관리부(130)는 (d)단계에서 산출된 통계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사용자는 1시간 단위별, 일별, 주별, 월별 칼로리 소모량을 체크할 수 있고, 운동시간/거리 역시 1시간 단위별, 일별, 주별, 월별 칼로리 소모량을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일간, 주간, 월간, 1시간 단위 별로 운동수행결과에 대한 사용자 별 순위를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1사용자의 제1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다양한 운동 시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제공서버(100)의 정보수집부(110)는 다양한 운동 시설/운동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데이터처리부(120)는 해당 정보를 가공하고, 사용자관리부(130)는 가공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 20)에 전송하여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 상에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자신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장소(헬스장, 수영장, 농구장, 테니스장, 피트니스 센터 등) 또는 교육 프로그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에서는 세부적으로 각 운동시설의 이용권, 회원권 등에 대한 판매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분야 별 운동 코치와 매칭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운동 교육/체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에서는 계절/시즌 별로 특화된 운동(서핑, 스키 등)의 교육프로그램 및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다양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10, 20)를 통해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한 뒤 가공하여 가공운동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서로 근접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경쟁심을 유도하고, 서로 간에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 욕구를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별 순위 부여 과정이 이루어지는 (f)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f)단계는 (f-1)단계 내지 (f-4)단계를 포함한다.
(f-1)단계는, 데이터처리부(120)가 (c)단계에 의해 생성된 복수 개의 가공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복수 개의 제2사용자단말기(20)에 순위를 부여하고,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복수 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순위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리스트화하는 과정이다.
즉 본 과정에 의해, 가공운동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각 사용자들의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f-2)단계는 데이터처리부(12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와 가장 가까운 순위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추출하여 라이벌 사용자로 설정하는 과정이다.
즉 데이터처리부(120)는 임의의 사용자에 대해, (f-1)단계에서 설정된 순위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와 비슷한 운동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다른 사용자를 매칭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f-3)단계는, 사용자관리부(130)가 (f-2)단계에 의해 라이벌 사용자로 설정된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에 라이벌 태그를 별도로 부여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하는 과정이다.
즉 임의의 사용자는 플랫폼 제공서버(100)에 의해 라이벌로 추천된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라이벌이라는 개념을 통해 운동 의욕을 보다 고취시키고 보다 높은 순위로 올라가고자 하는 동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f-3)단계 이후에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경쟁 신청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경쟁 게임이 수행되는 (g)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g)단계는 (g-1)단계 내지 (g-5)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g-1)단계는 사용자관리부(13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한 경쟁신청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즉 임의의 사용자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신의 라이벌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경쟁신청을 수행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g-2)단계에서는 사용자관리부(130)가 경쟁신청메시지를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에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경쟁신청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며, (g-3)단계에서는 사용자관리부(130)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긍정 또는 부정의 경쟁답변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즉 제1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경쟁신청메시지를 받은 사용자는 이에 응하는 긍정의 경쟁답변메시지 또는 경쟁을 거절하는 부정의 경쟁답변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g-4)단계에 의해 사용자관리부(13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에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경쟁답변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경쟁 게임이 개시되거나, 또는 경쟁 게임이 취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g-3)단계에서 수신된 경쟁답변메시지가 긍정의 경쟁답변메시지인 경우, 사용자관리부(13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가 참여하는 경쟁채널을 개설하는 (g-5)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후 경쟁 게임이 진행되는 (h)단계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h)단계는 (h-1)단계 내지 (h-4)단계를 포함한다.
(h-1)단계는 정보수집부(110)가 경쟁채널이 개설된 이후 제1시점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제1위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의 제2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각 사용자는 경쟁 게임이 시작되었음을 인지하고, 해당 경쟁 게임의 종목에 대한 활동을 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루어지는 경쟁 게임은 달리기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후 (h-2)단계에서는, 정보수집부(110)가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10)의 제1위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의 제2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본 과정을 통해 각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와 실시간 이동 상태, 라이벌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이동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다음으로, (h-3)단계에서는 데이터처리부(120)가 제1시점에서의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와 제2시점에서의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의 위치 차이를 연산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의 이동거리를 추정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과정에서는 경쟁 게임의 종료 조건인 제2시점이 도래하게 될 경우, 해당 시점에서 경쟁 게임을 종료하고 각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h-4)단계에서는, 사용자관리부(13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 중 (h-3)단계에서 이동거리가 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된 일측이 승리하였음을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각 사용자는 경쟁 게임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의 결과를 통해 운동 의욕을 보다 고취시킬 수 있다.
한편 (h-1)단계 및 (h-2)단계의 과정에서는, 정보수집부(1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측정된 제1사용자의 심박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측정된 제2사용자의 심박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처리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당 이동거리에 따른 심박수가 기 설정된 기준심박수와 대비하게 된다.
이때 기준심박수는, 사람의 이동 속도에 대비하여, 해당 이동 속도에서 최소한으로 인정될 수 있는 심박수로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부(12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 및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당 이동거리에 따른 심박수가 기 설정된 기준심박수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관리부(130)가 경쟁채널에 경쟁취소메시지를 공지하고, 경쟁채널을 폐쇄하는 (g)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경쟁 게임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이송수단 등을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우 등과 같은 부정행위를 시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이동속도에 비해 심박수가 낮은 경우 이를 부정행위로 판단하여 경쟁 게임이 취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제1사용자 단말기
20: 제2사용자 단말기
100: 플랫폼 제공서버
110: 정보수집부
120: 데이터처리부
130: 사용자관리부

Claims (4)

  1. 플랫폼 제공서버의 정보수집부가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a)단계;
    상기 정보수집부가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 각각을 통해 측정된, 각 사용자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가 특정하게 신체를 사용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운동 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집하는 (b)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b)단계에 의해 수집된 복수 개의 운동수행데이터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 포맷에 대응되도록 가공하여 각 운동수행데이터 별로 가공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c)단계;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사용자관리부가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1위치정보 및 제1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d)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인 복수 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를 전송하는 (e)단계;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c)단계에 의해 생성된 복수 개의 가공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사용자단말기에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를 순위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리스트화하는 (f-1)단계;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순위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를 추출하여 라이벌 사용자로 설정하는 (f-2)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f-2)단계에 의해 라이벌 사용자로 설정된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위치정보 및 제2가공운동데이터에 라이벌 태그를 별도로 부여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f-3)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경쟁신청메시지를 수신하는 (g-1)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경쟁신청메시지를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쟁신청메시지를 전송하는 (g-2)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긍정 또는 부정의 경쟁답변메시지를 수신하는 (g-3)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쟁답변메시지를 전송하는 (g-4)단계;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g-3)단계에서 수신된 경쟁답변메시지가 긍정의 경쟁답변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가 참여하는 경쟁채널을 개설하는 (g-5)단계;
    상기 정보수집부가 상기 경쟁채널이 개설된 이후 제1시점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제1위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제2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h-1)단계;
    상기 정보수집부가 상기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제1위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제2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h-2)단계;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1시점에서의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와 상기 제2시점에서의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의 위치 차이를 연산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이동거리를 추정하는 (h-3)단계;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 중 상기 (h-3)단계에서 이동거리가 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된 일측이 승리하였음을 상기 경쟁채널에 안내하는 (h-4)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h-1)단계 및 상기 (h-2)단계의 과정에서는,
    상기 정보수집부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1사용자의 심박수정보와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제2사용자의 심박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 및 라이벌 태그가 할당된 제2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당 이동거리에 따른 심박수가, 사람의 이동 속도에 대비하여 해당 이동 속도에서 최소한으로 인정될 수 있는 심박수로서 설정되는 기준값으로서 기 설정된 기준심박수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상기 경쟁채널에 경쟁취소메시지를 공지하고, 상기 경쟁채널을 폐쇄하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의 상기 정보수집부는 복수 개의 운동 시설/운동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소셜 운동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자신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 장소 또는 교육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48522A 2022-11-09 2022-11-09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KR10250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522A KR102505319B1 (ko) 2022-11-09 2022-11-09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522A KR102505319B1 (ko) 2022-11-09 2022-11-09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319B1 true KR102505319B1 (ko) 2023-03-06

Family

ID=8550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522A KR102505319B1 (ko) 2022-11-09 2022-11-09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3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305A (ko) * 2013-04-12 2014-10-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06487A (ko) * 2007-11-30 2015-01-1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대화식 아바타
KR20150128970A (ko) * 2013-03-15 2015-11-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신체단련 모니터링
KR101950598B1 (ko) 2017-08-29 2019-02-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운동 보조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210139016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플레이어스어셈블 네트워크를 통한 스포츠 모임 생성 방법
KR20210139013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플레이어스어셈블 인터넷을 통한 운동경기 초대 시스템
KR20220043552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골프존 대전 장치 및 대전 방법
KR20220049406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땀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487A (ko) * 2007-11-30 2015-01-1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대화식 아바타
KR20150128970A (ko) * 2013-03-15 2015-11-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신체단련 모니터링
JP2016517329A (ja) * 2013-03-15 2016-06-16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る健康モニタリング
KR20140123305A (ko) * 2013-04-12 2014-10-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50598B1 (ko) 2017-08-29 2019-02-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운동 보조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210139016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플레이어스어셈블 네트워크를 통한 스포츠 모임 생성 방법
KR20210139013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플레이어스어셈블 인터넷을 통한 운동경기 초대 시스템
KR20220043552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골프존 대전 장치 및 대전 방법
KR20220049406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땀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0072B (zh) 实时在线比赛方法及装置、观看比赛方法及装置和系统
Buttussi et al. Bringing mobile guides and fitness activities together: a solution based on an embodied virtual trainer
Seefeldt Overview of youth sports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inning et al. Postmodern youth culture and the crisis in Australian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N101583403B (zh) 运动表现感测和/或跟踪系统和方法
Knapp Gender representation in the CrossFit Journal: A content analysis
Alamri et al. Evaluating the impact of a cloud-based serious game on obese people
JP7010456B2 (ja) 活動応援方法および活動応援装置
KR102192542B1 (ko)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및 이용자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Gil-Castiñeira et al. RunWithUs: a social sports application in the ubiquitous Oulu environment
JP2003316905A (ja) ポイントシステム
KR102505319B1 (ko)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Kerr et al. The role of setting in the field: The positioning of older bodies in the field of elite women’s gymnastics
KR20160111079A (ko) 운동 관리 시스템 장치
Rowe et al. Beyond national sport: sociology, history and postmodernity
KR102138639B1 (ko) 치매환자용 복합 인지재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79503B1 (ko)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4016738A (ja) 仮想空間を利用した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
KR102268607B1 (ko) 스포츠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ulas et al. Link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with the Social Web: A web application to improve motivation in the exercising activity of users
Terry et al. Geofit: Verifiable fitness challenges
Ribeiro et al. Estimating time-to-contact with temporal occlusion in relay swimming: a pilot study
Widawska-Stanisz Use of modern technologies as a tool to support measures promoting physical activity–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spondents
JP683720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30247B1 (ko)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홈 트레이닝 그룹의 대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