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406A -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406A
KR20220049406A KR1020200133001A KR20200133001A KR20220049406A KR 20220049406 A KR20220049406 A KR 20220049406A KR 1020200133001 A KR1020200133001 A KR 1020200133001A KR 20200133001 A KR20200133001 A KR 20200133001A KR 20220049406 A KR20220049406 A KR 2022004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marathon
virtual
virtual marathon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717B1 (ko
Inventor
전지영
김가영
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땀
Priority to KR102020013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7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6Means for conducting or scheduling competition, league, tournaments or rank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teletext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들의 러너 단말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5)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어뷰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8) 러너별 이동 거리 또는 러너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9)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가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방송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각각의 러너들이 정해진 가상의 마라톤 코스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에서 달리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마라톤 경기를 관람하는 것과 같이 박진감을 제공하고 시청자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ervice system, Service method for virtual marathon competition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증진의 중요한 수단으로 운동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아침, 저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조깅을 비롯한 달리기는 달리는 것 자체의 즐거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많은 유익함을 주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달리기가 활성화되면서, 마라톤 대회와 같이 정해진 코스를 달리며 다른 사람들과 순위를 겨루거나 친목을 도모하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다양한 지자체나 기업의 주최하에 42.195km의 풀코스 마라톤 대회, 하프 마라톤 대회, 10km 코스의 마라톤 대회, 5km 코스의 마라톤 대회 등이 열리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 마라톤 대회에는 전문 선수들뿐만 아니라 많은 아마추어들도 참여하고 있다.
한편, 마라톤 대회는 정해진 코스를 달려서 순위를 겨루는 장거리 경기이므로, 마라톤 코스를 선정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최근 다양한 마라톤 대회가 개최되면서 독특한 코스 개발이 필요하나,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마라톤 코스가 한정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마라톤 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마라톤 코스로 정해진 차선의 일부를 폐쇄하여야 하는 상황도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마라톤 대회 자체를 빈번하게 개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라톤 대회를 1회 개최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경찰청 등 행정기관의 협조 절차가 필요하고, 시설, 인원, 장비 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예를 들어, 서울 도심 도로를 통제하고 진행하는 대규모 마라톤 대회 개최 예산에는 20억 내지 30억의 비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천재지변 및 자연재해와 같은 기상, 전염병, 재난, 사고 등으로 개최일 전 취소, 연기 또는 진행 중 중단 시 주최사와 고객에게 마라톤 대회 주최 및 참가에 투자한 비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마라톤에 참여할 러너들이 모두 한 장소에 모인 상태에서 경기가 시작되므로, 러너들이 마라톤 대회가 열리는 위치까지 장거리를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라톤 코스 선정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러너들이 장거리를 이동할 필요없이 기존 오프라인 마라톤 대회와 유사한 경기 진행 방식의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수 있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4)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 이전까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들이 동시에 레이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대기시키는 단계; (5)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이 도래하면, 러너들의 러너 단말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6)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어뷰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9) 러너별 이동 거리 또는 러너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10)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가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와 상기 제 (9)단계 사이에, (7) 어뷰징이 확인된 러너들을 순위 선정에서 제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를 근거로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을 분석하는 단계; 및 (8)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우승 예상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전에, (1)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와 러너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2) 접수된 러너의 수에 기반하여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을 산출하고, 러너별 랭킹을 근거로 우승 예상 순위를 분석하는 단계; 및 (3)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과 우승 예상 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0)단계 이후에, (11)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가상 마라톤 대회의 우승자와 러너별 대회 순위를 선정하고 러너별 랭킹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러너별 방송 룸을 생성하고, 러너 단말 또는 사전에 접수된 러너 촬영용 단말로부터 러너별 개인 방송을 위한 방송 스트림을 더 수신하며, 상기 제 (9)단계는, 수신된 방송 스트림이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각 러너별 방송 룸을 통해 방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시청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 (9)단계는, 생성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각 러너 단말에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 이전까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들이 동시에 레이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대기시키고,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이 도래하면, 러너들의 러너 단말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어뷰징 여부를 확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 또는 러너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가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방송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어뷰징이 확인된 러너들을 순위 선정에서 제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를 근거로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을 분석하며,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우승 예상 순위를 업데이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와 러너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접수하며, 접수된 러너의 수에 기반하여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을 산출하고, 러너별 랭킹을 근거로 우승 예상 순위를 분석하며,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과 우승 예상 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 단말에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가상 마라톤 대회의 우승자와 러너별 대회 순위를 선정하고 러너별 랭킹을 갱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러너별 방송 룸을 생성하고, 러너 단말 또는 사전에 접수된 러너 촬영용 단말로부터 러너별 개인 방송을 위한 방송 스트림을 더 수신하며, 수신된 방송 스트림이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각 러너별 방송 룸을 통해 방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시청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각 러너 단말에 송신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물리적인 마라톤 코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가상 마라톤 대회를 서비스함으로써, 마라톤 코스 선정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라톤 대회 주최사에서 마라톤 개최에 필요한 시설, 인원, 장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지자체 및 경찰청 등의 복잡한 협조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마라톤 개최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러너들이 직접 달릴 위치나 장소를 선정하여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러너들이 마라톤 대회가 열리는 장소까지 장거리를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보다 많은 러너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러너들의 러닝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각의 러너들이 정해진 가상의 마라톤 코스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에서 달리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마라톤 경기를 관람하는 것과 같이 박진감을 제공하고 시청자의 관심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러너들이 직접 본인이 달리는 모습을 촬영하여 시청자에게 방송하거나 시청자의 응원을 실시간으로 러너에게 송신함으로써, 시청자와 러너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탑재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시청자 단말에 제공되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로 구현되어 복수의 러너 단말(10)과 복수의 시청자 단말(20)이 접속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러너 단말(10)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러너가 소유하는 단말로서, 러너의 위치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및 풋팟(Foot Pod)일 수 있으며, 시청자 단말(20)은 가상 마라톤 대회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소유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및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범용통신단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은 가상 마라톤 대회를 개최하고,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 단말(10)들과 통신하여 러닝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분석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 현재 순위 등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각각의 러너들이 정해진 가상의 마라톤 코스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에서 달리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시청자 단말(20)들을 대상으로 방송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은 러닝 데이터에 기반하여 어뷰징을 포함하는 부정 행위를 확인하고, 러너의 개인 방송을 시청자 단말(20)들로 방송하거나 시청자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각각의 러너 단말(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00), 통신부(200) 및 메모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하나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고, 메모리(30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200)는 러너 단말(10) 및 시청자 단말(2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기지국,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 서버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프로세서(10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00)는 프로세서(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은, 예를 들면,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 프로세서(100), 또는 메모리(30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은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서버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매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 대체 운영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의 프로세서(1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탑재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4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시청자 단말에 제공되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블록들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해당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전술한 프로세서(1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스크립트 언어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1000)은 접수부(110), 러닝 데이터 수집부(120), 방송 스트림 수신부(130), 실시간 응원 데이터 수신부(140),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160), 방송부(170) 및 순위 선정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수부(110)는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와 러너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접수한다.
이러한, 접수부(110)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일정을 공지하고, 러너가 참여할 가상 마라톤 대회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러너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 이름, 성별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와, 러너가 가상 마라톤에 참여하면서 착용할 적어도 하나의 러너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아울러, 접수부(110)는 가상 마라톤 대회가 시작되기 이전에, 접수된 러너의 수에 기반하여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을 산출하고, 러너별 랭킹을 근거로 우승 예상 순위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러너별 랭킹은 러너가 과거에 참여한 가상 마라톤 대회의 성적과 첨여 횟수 등을 근거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러닝 데이터 수집부(120)는 러너 단말(10)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러닝 데이터 수집부(120)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 이전까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들이 동시에 레이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러너들을 대기시키고 컨트롤한다.
그리고, 러닝 데이터 수집부(120)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이 도래하면,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들의 각 러너 단말(10)에 가상 마라톤 대회의 시작을 알리고 러너 단말(10)들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가상 마라톤 대회가 종료될 때까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러닝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러닝 데이터는 러너가 착용한 러너 단말(10)이 러너의 위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데이터로서, GPS 데이터, 스텝 카운트 데이터, 심박수 데이터 및 걸음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러닝 데이터 수집부(120)에 수집된 각 러너의 러닝 데이터는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에 출력되어 러너들의 이동 거리와 현재 순위를 분석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스트림 수신부(130)는 러너별 개인 방송을 위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러한, 방송 스트림 수신부(130)는 가상 마라톤이 시작되기 이전부터 가상 마라톤이 진행되는 동안, 러너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러너별 방송 룸을 생성하게 되는데, 시청자는 시청자 단말(20)을 이용하여 러너별 방송 룸에 입장할 수 있다.
또한, 가상 마라톤 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방송 스트림 수신부(130)는 러너 단말(10) 또는 사전에 접수된 러너 촬영용 단말로부터 러너가 달리는 모습이 촬영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스트림 수신부(130)에 수신된 방송 스트림은 방송부(170)에 출력되고, 방송부(170)에 의해 시청자 단말(20)에 중계 또는 방송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응원 데이터 수신부(140)는 시청자 단말(20)로부터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간 응원 데이터 수신부(140)는 시청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어 송신되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러너별 방송 룸을 통해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응원 데이터 수신부(140)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는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가 달리는 상태에서 러너 단말(10)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시청자의 응원을 들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시간 응원 데이터 수신부(140)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비속어나 부적절한 용어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간 응원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생성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는 방송부(170)에 출력되고, 방송부(170)에 의해 러너 단말(10)에 송신되어 러너 단말(10)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어뷰징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GPS 데이터에 기반하여 러너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러너의 과거 위치와 비교하여 이동 거리를 분석하며, 러너가 과거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분석하여 러너의 이동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칼만 필터나 러너 주변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GPS 데이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러너별 러닝 데이터가 수신되어 러너들의 현재 위치가 갱신되면, 각 러너의 현재 위치와 과거 위치를 비교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또한, 러너별 이동 속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러너별 이동 속도를 분석한 이후에, 분석된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제한 속도를 벗어나는 러너가 존재하면, 그 러너가 정상적인 상태로 달리는 것이 아니라 어뷰징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스텝 카운트 데이터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본 걸음 수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러너가 어뷰징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외에도,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심박수 데이터가 최저 심박 수 이하인 상태를 유지하거나,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걸음 속도 데이터 및 스텝 카운트 데이터에 기분석된 이동 거리를 매칭시켜서 걸음 속도나 걸음 수에 비해 이동 거리가 과도한 경우에도 러너가 어뷰징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는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심박수 데이터가 최대 심박 수 이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러너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방송부(170)를 통해 러너에게 휴식을 권장하는 메세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러닝 데이터 분석부(150)에서 분석된 러너별 이동 거리 및 러너별 이동 속도와, 어뷰징을 사용한 러너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160)와 순위 선정부(18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160)는 러너별 이동 거리 또는 러너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160)는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들 중에서 가장 많은 이동 거리를 이동한 러너부터 가장 적은 이동 거리를 이동한 러너를 식별하고, 각각의 러너를 나타내는 아바타(401)가 가상의 마라톤 코스 상에 표시되도록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160)는 각 러너의 아바타(401)에 러너의 이름이나 아이디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러너별 이동 속도(402)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160)는 가상의 마라톤 코스의 전체 구간에서 각 러너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시청자 단말(20)로부터 요청되는 특정 러너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는 방송부(17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송부(170)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진행 상황을 시청자 단말(20)에 방송하고, 러너의 현재 상태나 시청자의 응원을 러너 단말(10)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송부(170)는 가상 마라톤 대회가 시작되기 이전에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과 우승 예상 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부(170)는 가상 마라톤 대회가 시작되어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가 시청자 단말(20)에 표시되도록 방송할 수 있다. 이때, 방송부(170)는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와 함께,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방송부(170)는 러너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방송 스트림이 시청자 단말(20)에 표시되도록 각 러너별 방송 룸을 통해 방송하거나, 시청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어 음성으로 변환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각 러너 단말(10)에 송신하여 각각의 러너 단말(10)에서 소리로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순위 선정부(180)는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들의 순위를 선정한다.
예컨대, 순위 선정부(180)는 어뷰징이 확인된 러너들을 순위 선정에서 제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를 근거로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된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에 대한 정보는 방송부(170)를 통해 시청자 단말(20)에 방송된다.
또한, 순위 선정부(180)는 가상 마라톤 대회가 시작되기 이전에 접수부(110)에서 분석된 우승 예상 순위를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순위 선정부(180)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가상 마라톤 대회의 우승자와 러너별 대회 순위를 선정하고 러너별 랭킹을 갱신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100)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메모리(3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00)가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와 러너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접수한다(S10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러너가 참여할 가상 마라톤 대회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러너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 이름, 성별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와, 러너가 가상 마라톤에 참여하면서 착용할 적어도 하나의 러너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러너 단말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러너가 소유하는 단말로서, 러너의 위치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및 풋팟(Foot Pod)일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접수된 러너의 수에 기반하여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을 산출하고, 러너별 랭킹을 근거로 우승 예상 순위를 분석한다(S200).
이때, 전술한 러너별 랭킹은 러너가 과거에 참여한 가상 마라톤 대회의 성적과 첨여 횟수 등을 근거로 산출된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과 우승 예상 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 단말에 제공한다(S300).
이러한 정보를 가상 마라톤 대회가 시작되기 이전에 시청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시청자들은 가상 마라톤 대회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고, 러너들의 경우에는 다른 러너들과의 경쟁심이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 이전까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들이 동시에 레이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러너들을 대기시키고 컨트롤한다(S400).
그 다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러닝 데이터를 수집하고, 방송 스트림과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수신한다(S500).
예컨대,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이 도래하면(S510),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들의 각 러너 단말에 가상 마라톤 대회의 시작을 알리고 러너 단말들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한다(S520). 이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가 종료될 때까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러닝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10단계에서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제 100단계부터 다시 반복 수행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이 시작되기 이전부터 가상 마라톤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러너 단말의 요청에 따라 러너별 방송 룸을 생성하고, 러너 단말 또는 사전에 접수된 러너 촬영용 단말로부터 러너별 개인 방송을 위한 방송 스트림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S530).
아울러, 프로세서는 시청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수신하고(S540), 수신된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550).
그 다음, 프로세서는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어뷰징 여부를 확인한다(S600).
예컨대, 프로세서는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GPS 데이터에 기반하여 러너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러너의 과거 위치와 비교하여 이동 거리를 분석하며, 러너가 과거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분석하여 러너의 이동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칼만 필터나 러너 주변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GPS 데이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분석된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제한 속도를 벗어나거나,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스텝 카운트 데이터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본 걸음 수를 벗어나거나,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심박수 데이터가 최저 심박 수 이하인 상태가 계속 유지되거나,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걸음 속도 데이터, 스텝 카운트 데이터 및 이동 거리가 상호 매칭되지 않는 러너가 존재하면, 그 러너가 정상적인 상태로 달리는 것이 아니라 어뷰징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는 러닝 데이터에 포함된 심박수 데이터가 최대 심박 수 이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러너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러너들의 현재 순위를 분석한다(S70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어뷰징이 확인된 러너들을 순위 선정에서 제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를 근거로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을 분석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우승 예상 순위를 업데이트한다(S800).
이때, 가상 마라톤 대회가 시작되기 이전에 분석된 우승 예상 순위를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업데이트되고, 가상 마라톤 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따라 우승 예상 순위의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러너별 이동 거리 또는 러너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한다(S900).
이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러너들 중에서 가장 많은 이동 거리를 이동한 러너부터 가장 적은 이동 거리를 이동한 러너의 순서로, 각각의 러너를 나타내는 아바타가 가상의 마라톤 코스 상에 표시되도록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러너의 아바타에는 러너의 이름이나 아이디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러너별 이동 속도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진행 상황을 방송하고, 러너의 현재 상태나 시청자의 응원을 러너 단말에 송신한다(S1000).
이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한 각각의 러너들이 정해진 마라톤 코스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에서 달리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방송할 수 있다(S1010).
또한, 프로세서는 각 러너별 방송 룸을 통해 러너 단말로부터 수신된 방송 스트림을 시청자 단말에 방송하거나(S1020), 시청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음성으로 변환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각 러너 단말에 송신하여 각각의 러너 단말에서 소리로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S1030).
그 다음,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우승자와 러너별 대회 순위를 선정한다(S110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S1110), 가상 마라톤 대회의 우승자와 러너별 대회 순위를 선정하고 러너별 랭킹을 갱신할 수 있다(S1120).
여기서, 제 1100단계에서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제 520단계, 제 530단계 및 제 540단계부터 다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프로세서
110 : 접수부 120 : 러닝 데이터 수집부
130 : 방송 스트림 수신부 140 : 실시간 응원 데이터 수신부
150 : 러닝 데이터 분석부 160 :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 생성부
170 : 방송부 180 : 순위 선정부
200 : 통신부
300 : 메모리

Claims (13)

  1. (4)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 이전까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들이 동시에 레이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대기시키는 단계;
    (5)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이 도래하면, 러너들의 러너 단말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6)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어뷰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9) 러너별 이동 거리 또는 러너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10)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가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와 상기 제 (9)단계 사이에,
    (7) 어뷰징이 확인된 러너들을 순위 선정에서 제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를 근거로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을 분석하는 단계; 및
    (8)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우승 예상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전에,
    (1)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와 러너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2) 접수된 러너의 수에 기반하여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을 산출하고, 러너별 랭킹을 근거로 우승 예상 순위를 분석하는 단계; 및
    (3)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과 우승 예상 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단계 이후에,
    (11)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가상 마라톤 대회의 우승자와 러너별 대회 순위를 선정하고 러너별 랭킹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러너별 방송 룸을 생성하고, 러너 단말 또는 사전에 접수된 러너 촬영용 단말로부터 러너별 개인 방송을 위한 방송 스트림을 더 수신하며,
    상기 제 (9)단계는,
    수신된 방송 스트림이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각 러너별 방송 룸을 통해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시청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 (9)단계는,
    생성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각 러너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7. 컴퓨터에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 이전까지,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들이 동시에 레이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대기시키고,
    가상 마라톤 대회의 출발 시간이 도래하면, 러너들의 러너 단말로부터 러닝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러너별 이동 거리를 분석하고 어뷰징 여부를 확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 또는 러너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실시간 시각화 데이터가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방송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어뷰징이 확인된 러너들을 순위 선정에서 제외하고, 러너별 이동 거리를 근거로 러너들의 현재 순위와 러닝 그룹을 분석하며,
    러너들의 현재 순위에 기반하여 우승 예상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가상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러너와 러너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접수하며,
    접수된 러너의 수에 기반하여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을 산출하고, 러너별 랭킹을 근거로 우승 예상 순위를 분석하며,
    가상 마라톤 대회의 참여 인원과 우승 예상 순위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가상 마라톤 대회의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가상 마라톤 대회의 우승자와 러너별 대회 순위를 선정하고 러너별 랭킹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러너별 방송 룸을 생성하고, 러너 단말 또는 사전에 접수된 러너 촬영용 단말로부터 러너별 개인 방송을 위한 방송 스트림을 더 수신하며,
    수신된 방송 스트림이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각 러너별 방송 룸을 통해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시청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응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실시간 응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각 러너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133001A 2020-10-14 2020-10-14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001A KR102416717B1 (ko) 2020-10-14 2020-10-14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001A KR102416717B1 (ko) 2020-10-14 2020-10-14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406A true KR20220049406A (ko) 2022-04-21
KR102416717B1 KR102416717B1 (ko) 2022-07-05

Family

ID=8143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001A KR102416717B1 (ko) 2020-10-14 2020-10-14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319B1 (ko) * 2022-11-09 2023-03-06 박경택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KR102608394B1 (ko) * 2023-05-15 2023-12-01 주식회사 야나두 활동과 관련된 리워드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648A (ko) * 2013-07-01 2015-01-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경주 대회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87060A (ko) * 2017-01-24 2018-08-0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648A (ko) * 2013-07-01 2015-01-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경주 대회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87060A (ko) * 2017-01-24 2018-08-0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319B1 (ko) * 2022-11-09 2023-03-06 박경택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KR102608394B1 (ko) * 2023-05-15 2023-12-01 주식회사 야나두 활동과 관련된 리워드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717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717B1 (ko)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시스템, 가상 마라톤 대회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522335B2 (en) Low-friction synchronous interaction in multiplayer online game
US9095760B2 (en) User device position indication for security and distributed race challenges
CN106776900B (zh) 出行方法和装置
CN108337656B (zh) 一种移动群智感知激励方法
CN110717102A (zh) 对游乐园游玩导引的方法、装置及服务器
US20120330445A1 (en) Entertainment system for performing human intelligence tasks
CN106028391B (zh) 人流量统计方法及装置
CN103828399A (zh) 提供实时段表现信息
CN111402085A (zh) 基于大数据的旅游定制系统
CN104303539A (zh) 经由上下文感知移动装置估计媒体观众的人口统计数据
CN108074633B (zh) 一种基于日常活动的运动协调性监测方法及可穿戴设备
JP2022002702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US20220299334A1 (en)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30071755A (ko) 사용자 행동의 예측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단말
KR101742053B1 (ko) 경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경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운용 방법
CN113194338B (zh) 一种户外健身的音视频播放和健身指导的系统及方法
US11975239B2 (en) Virtual competitive event management system with result validation
EP1837814A1 (en) Method and central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a community service for athletes
GB2465162A (en) Sporting event co-ordination and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KR19990073202A (ko) 실시간레이싱경기중계시스템
US109433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284593A (zh) 资源调配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986786B1 (ko) Gps정보 기반 팀플 관리시스템
JP202106421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