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305A -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305A
KR20140123305A KR1020130040474A KR20130040474A KR20140123305A KR 20140123305 A KR20140123305 A KR 20140123305A KR 1020130040474 A KR1020130040474 A KR 1020130040474A KR 20130040474 A KR20130040474 A KR 20130040474A KR 20140123305 A KR20140123305 A KR 20140123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outdoor activity
outdoo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383B1 (ko
Inventor
전진수
정인장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물리 정보 및 논리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정보 수집모듈;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상황 정보 추출모듈; 및 상기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하고, 기록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상황에 맞는 정보를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SYSTEM FOR PROVIDING COMTEXT AWARENESS BASED OUTDOOR ACTIVITY SUPPPOR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UTDOOR ACTIVITY SUPPPORTING SERVICE IN THE SYSTEM}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본 개념은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 망을 통해 여러 자원을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한 공간을 스마트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최근의 스마트 공간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 공간 내의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 인지 기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인지 기술이란 사용자 주변에 산재한 사용자와 관련된 논리적, 물리적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context)을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상황 인지 기술을 이용한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있는 시점이다.
한편, 아웃도어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는데, 대부분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을 요구하고 있어 운동에 매우 방해가 된다.
예를 들어, 아웃도어 활동 중 등산을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등산 코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운동 시작할 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만 한다던가, 다른 사용자들과 완등 위치까지의 기록 경쟁을 하기 위해 완등 시간을 체크할 때 일일이 완등 위치에 도달하였을 시 사용자가 자신이 완등 위치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단말에 별도의 조작을 하여야만 했다. 이와 같이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힘든데, 이와 같이 운동하는 도중 단말에 별도의 조작을 한다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상태 즉, 현재 상황을 인지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도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11943호, 2010년 10월 18일 등록 (명칭: 휴대 단말기용 등산지도 및 이를 이용한 등산지도정보 제공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상황을 인지하여 인지된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물리 정보 및 논리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정보 수집모듈;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상황 정보 추출모듈; 및 상기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하고, 기록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도어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 운동 상태 중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는 이동 속도, 칼로리 소모량, 이동 거리, 평균 속도, 최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은 상기 추출한 사용자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미리 설정된 발신지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들로부터 다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들을 미리 설정된 분류 조건에 따라 분류하여 랭킹화한 후, 소정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또는 랭킹화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류 조건은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물리 정보 및 단말의 실행에 따라서 생성되는 논리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도출하는 과정; 상기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지정된 장소나 시간의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장소나 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다수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집하는 과정은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조도센서, 근접센서, 자기센서, 카메라, 위치 센서,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물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집하는 과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통화 히스토리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인터넷 접속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사용 메모리 정보 및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논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도출된 사용자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미리 설정된 발신지로 구조 요청을 위한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 운동 상태 중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 소정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분류하는 과정; 소정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선택된 분류 조건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상기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상기 분류 조건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랭킹화하여 상기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상황을 인지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운동 시작 시간이나 명칭(지명) 혹은 위치에 도달될 때 자동으로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운동 시작 시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어 매우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아웃 도어 활동 정보들을, 지명, 위치,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랭킹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흥미를 가지고 운동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아웃도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 사용자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인지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지로 현재 위치와 위험 상황임을 알리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까지 고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 시 사용자 상황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 시 사용자 상황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랭킹화된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록되는 사용자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100),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100)은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소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을 위해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이러한 단말(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를 포함한다.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사용자가 지정한 운동 시작 시간이나 명칭(지명) 혹은 위치에 도달될 때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사용자와 관련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한다. 또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은 이와 같이 기록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아웃도어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 운동 상태 중 하나의 정보이다. 이러한 단말(1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설명은 하기의 도 2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통신망(1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망(1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부터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들을 지명, 위치,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랭킹화한다. 또한, 소정 단말(100)로부터 다른 사용자들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단말(100)은 아웃도어 활동 정보 제공 요청 시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조건을 선택하여 요청한다. 예를 들어, 북한산에서 겨울시즌(11월~2월)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단말(100)의 랭킹화 정보 요구에 따라 요청 시 선택한 분류 조건에 맞는 랭킹화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기능 및 설명에 대하여는 하기 도 3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및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어부(200), 통신부(210), 센서부(230), 출력부(240), 입력부(250), 저장부(2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100)은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받아 설치한 상태임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단말(100)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를 포함하고,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센싱 정보 수집모듈(20), 상황 정보 추출모듈(22),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모듈(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지정한 운동 시작 시간이나 명칭(지명) 혹은 위치에 도달될 때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센싱 정보 수집모듈(20)은 센서부(230)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물리 정보 및 논리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상황 정보 추출모듈(22)은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한다.
그러면,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24)은 이렇게 추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저장부(260)에 기록하고, 기록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제공한다. 즉,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표시할 시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에 현재 운동 상태를 함께 보이도록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기록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기록은 도 9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 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운동 상태는 이동 속도, 칼로리 소모량, 이동 거리, 평균 속도, 최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한다. 즉, 운동 시작 시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사용자가 지정한 운동 시작 시간이나 명칭(지명) 혹은 위치에 도달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운동 시 매우 편리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24)은 기록된 사용자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하여 같은 장소 방문자와 공유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24)은 상황 정보 추출모듈(22)를 통해 추출한 사용자 상황이 넘어짐, 추락과 같은 위험 상황인 경우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설정된 발신지를 확인하여 확인된 발신지로 현재 위치를 전송하여 구조를 요청한다.
또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24)은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현재 위치한 위치 또는 지명과 관련된 다른 사람들의 아웃도어 활동 기록을 소정 조건을 기반으로 아웃 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통해 검색하여 제공한다. 이때, 조건은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24)은 아웃도어 활동 랭킹 정보 보기를 위한 입력이 있으면,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통해 해당 지명 혹은 위치와 관련된 다른 사람들의 아웃도어 활동 기록을 조건을 기반으로 검색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아웃도어 활동 기록 조건이란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하나의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활동 기록 검색 요청 시 사용자로부터 검색 조건을 입력받아 입력된 검색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24)은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랭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또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24)은 현재 위치가 인근 맛집이나 명소와 같은 주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이면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주변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주변 정보를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110)을 통해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물리 정보 및 단말의 실행에 따라서 생성되는 다수의 논리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센싱 정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동 속도, 칼로리 소모량, 이동거리, 평균 속도, 최대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30)는 물리적 센서와 논리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물리적 센서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카메라 모듈, 마이크로 폰 모듈, 와이 파이 모듈, 모뎀, 블루투스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센서로 통화 정보, SMS 정보, 스케쥴러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SNS 정보, 주소록 정보, 데이터 베이스 정보, 배터리 정보, 메모리 정보 등을 수집하기 위한 가상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단말(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특히 아웃도어 어플리케이션 및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아웃도어 활동 정보란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저장부(260)는 위험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단말의 위치 변화 값을 저장하고, 위험 상황인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발신지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6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어부(300), 통신부(310), 저장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110)을 통해 단말(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3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3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아웃도어 활동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들로부터 다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들을 미리 설정된 분류 조건에 따라 분류하여 랭킹화한다. 이후, 제어부(300)는 소정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또는 랭킹화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분류 조건은 지명, 위치, 시간,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분류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랭킹화하여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전송되는 랭킹 정보는 도 8과 같이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운동 코스가 등산 코스일 경우로 가정하고, 이에 따라 경쟁 종료 위치는 완등 위치가 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쟁에 참여한 참여자 정보와, 완등 시간, 랭킹 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 C가 완등 시간이 3시간 50분이라면 랭킹 1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완주 시 포인트도 제공하고, 포인트 제공 현황도 함께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운동에 게임화 요소를 가미하여 정보성과 흥미성을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운동 시 필수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장부(320)는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2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아웃도어 서비스를 위한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자동 혹은 수동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수동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고, 자동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운동 시작 시간이나 명칭(지명) 혹은 위치에 도달될 때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것이다. 이하, 도 4의 설명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될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먼저,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아웃 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이면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즉, 사용자가 지정한 운동 시작 시간이나 명칭(지명) 혹은 위치에 도달하면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시킨다.(S400 ~ S402)
이후,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사용자와 관련된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도출한다.(S404 ~ S408)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이와 같이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한다.(S410)
또한,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이 기록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기록은 요구에 따라 시각적으로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기록은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제공되어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들의 운동 상황에 따른 아웃도어 활동 기록을 이용하여 아웃도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아웃도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통해 아웃도어 활동 기록을 검색하여 제공한다.(S500 ~ S504) 이때, 단말(100)은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조건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이후,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아웃도어 활동 랭킹 정보 보기를 위한 요구가 있으면,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통해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분류된 아웃도어 활동 랭킹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S506 ~ S508)
그러면,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에서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 시 사용자 상황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설정된 운동 강도로 운동 중인지를 검사한다.(S600) 만약, 설정된 운동 강도로 운동 중이 아니라면 현재 운동 상태를 알리고, 설정된 운동 강도로 운동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운동 강도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중"으로 설정하였는데 하로 운동하고 있다면, 좀 더 강도를 높여 운동할 수 있는 메시지인 "너무 천천히 운동하고 있습니다. 좀 더 빨리 노력하세요~~~~!!"라고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단말의 위치 변화를 계산하여 운동 중 넘어짐, 추락과 같은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발신지로 현재 위치를 전송하여 구조를 요청한다.(S602 ~ S603)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현재 위치가 인근 맛집이나 명소와 같은 주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에 해당되면 즉, 하산이라고 인지하면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주변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주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S604 ~ S606)
이후,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10)는 현재 위치가 운동 코스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아웃도어 서비스를 종료시키고(S608), 그렇지 않으면 S600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아웃도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부터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700)
또한,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소정 단말(100)로부터 다른 사용자들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제공한다.(S701) 이때, 단말(100)은 아웃도어 활동 정보 제공 요청 시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조건을 선택하여 요청하고,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선택된 분류 조건에 맞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들을,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랭킹화한다.(S702)
이후,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소정 단말(100)로부터 요구된 랭킹 분류 조건을 이용하여 해당 랭킹 정보를 요청한 단말(100)로 제공한다.(S704)
본 발명에 따른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상황을 인지하여 현재 위치가 운동 시작위치이면 자동으로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을 시작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10: 통신망
120: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 200: 제어부
10: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 20: 센싱 정보 수집모듈
22: 상황 정보 추출모듈 24: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모듈
210: 통신부 220: GPS모듈
230: 센서부 240: 출력부
250: 입력부 260: 저장부
300: 제어부 310: 통신부
320: 저장부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물리 정보 및 논리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정보 수집모듈;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상황 정보 추출모듈; 및
    상기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하고, 기록한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도어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 운동 상태 중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상태는,
    이동 속도, 칼로리 소모량, 이동 거리, 평균 속도, 최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모듈은,
    상기 추출한 사용자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미리 설정된 발신지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
  5.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들로부터 다수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들을 미리 설정된 분류 조건에 따라 분류하여 랭킹화한 후, 소정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 정보 또는 랭킹화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조건은,
    지명, 위치, 시간, 연령, 성별, 체력 상태, 전체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 서버.
  7.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물리 정보 및 단말의 실행에 따라서 생성되는 논리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다수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과 관련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도출하는 과정;
    상기 도출된 사용자 상황 정보들을 시간 및 위치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아웃도어 활동을 기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지정된 장소나 시간의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장소나 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다수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과정은,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조도센서, 근접센서, 자기센서, 카메라, 위치 센서,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물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과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통화 히스토리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인터넷 접속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사용 메모리 정보 및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논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사용자 상황이 위험 상황인 경우, 미리 설정된 발신지로 구조 요청을 위한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도어 활동 정보를 상기 분류 조건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랭킹화하고 랭킹화 정보를 상기 아웃도어 활동 정보 관리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웃도어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40474A 2013-04-12 2013-04-12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8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74A KR102084383B1 (ko) 2013-04-12 2013-04-12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74A KR102084383B1 (ko) 2013-04-12 2013-04-12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305A true KR20140123305A (ko) 2014-10-22
KR102084383B1 KR102084383B1 (ko) 2020-04-14

Family

ID=5199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474A KR102084383B1 (ko) 2013-04-12 2013-04-12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319B1 (ko) * 2022-11-09 2023-03-06 박경택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943A (ko) 2008-07-25 2010-02-0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00114270A (ko) * 2009-04-15 2010-10-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식 기반 휴대 단말장치를 포함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KR20110109603A (ko) * 2010-03-31 2011-10-06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943A (ko) 2008-07-25 2010-02-0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00114270A (ko) * 2009-04-15 2010-10-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식 기반 휴대 단말장치를 포함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KR20110109603A (ko) * 2010-03-31 2011-10-06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319B1 (ko) * 2022-11-09 2023-03-06 박경택 소셜 운동 플랫폼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83B1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873B2 (en) Data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CN104798417B (zh) 基于语义位置的地理围栏
US201701481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location reviews
JP6208654B2 (ja) 関心地点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8196788A1 (zh) 目的地点推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0710190B (zh) 一种生成用户画像的方法、终端、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274932B2 (en)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005049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770054B (zh) 用于移动设备的统一资源定位符(url)列表的位置感知管理
US201703297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765792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system including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9699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at controls a representation of a user object in a virtual space
KR101575931B1 (ko) 운동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CN103916473B (zh) 行程信息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09211259A (zh) 轨迹路线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126697A (zh) 人员情况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169609B1 (ko) 객체 표시 방법, 객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4930319A (zh) 音乐推荐方法和装置
KR102084383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웃도어 활동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09612B1 (ko) 위치 기반의 지리 관계 서비스를 위한 장치
JP6066824B2 (ja) 投稿情報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投稿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93479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사용자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66714A (ko) 일과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152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9827589A (zh) 一种智能导航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