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259A -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259A
KR20140125259A KR20130043211A KR20130043211A KR20140125259A KR 20140125259 A KR20140125259 A KR 20140125259A KR 20130043211 A KR20130043211 A KR 20130043211A KR 20130043211 A KR20130043211 A KR 20130043211A KR 20140125259 A KR20140125259 A KR 20140125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user
service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수
정인장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259A/ko
Publication of KR2014012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ritical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물리적 및 논리적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관련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생활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 및 건강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들이거나 노력을 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based on context aware}
본 발명은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건강 생태를 진단하고,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본 개념은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 망을 통해 여러 자원을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한 공간을 스마트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최근의 스마트 공간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 공간 내의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 인지 기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상황 인지 기술이란 사용자 주변에 산재한 사용자와 관련된 논리적, 물리적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context)을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기술은 수집되는 상황 정보가 많을수록 보다 더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하나의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는 것 보다는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와 함께 땀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다수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보다 더 정확하게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 인지를 위한 장치는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통해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황 인지를 위한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주변 기기 등에 센서들을 부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도록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므로 사용자가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항상 인식하고 있다. 때문에 사용자가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개입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시간을 들이거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상황 인지를 위한 장치는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사용자의 별도의 개입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생활 패턴 등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 있다.
한편, 사용자가 건강에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헬스장, 병원 및 건강 센터 등에 설치된 장치들을 이용하여 신체 정보 및 행동 정보 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건강 상태에 따른 관련 서비스를 자신의 단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는 인식한 정보를 추론 및 분석하여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들과의 연동이 필수적이며, 단말 장치에서 상황을 인식하더라도 해당 장치로 인식한 정보를 전송해주어야 한다. 더욱이, 종래 단말 장치에서 상황을 인식하더라도 한정된 장소 및 시간에 상황을 인식하므로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정확한 건강 상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94186 B1, 2012년 10월 18일 등록(명칭: 지능형 상황 인식을 이용한 라이프 로그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다양한 움직임 감지와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일상 생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생태를 확인하여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는 상황 인지부;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과 관련된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생활 패턴 분석부; 및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여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건강 관리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활 패턴 분석부는,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상황 별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생활 패턴을 상기 시간 및 상황 별로 각각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활 패턴 분석부는,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상황 별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생활 패턴을 시간 및 상황 별로 각각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처리부는, 건강 관련 컨텐츠를 실행하면, 실행된 건강 관련 컨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출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 있어서, 건강 관리 처리부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 중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경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현재 위치 및 상황을 알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처리부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와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비교하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와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가 일정 범위 겹치는지를 확인하고, 일정 범위 겹치지 않는 경우 위기 상황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센싱 정보는, GPS 모듈,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이며, 상기 논리적 센싱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사용자 메모리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및 통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상의 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단말 장치와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건강 상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위기 상황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한 한 경우, 기 설정된 다른 단말 장치로 위기 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한 위기 상황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건강과 관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및 상황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일정 주기로 상기 시간 및 상황 별로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통계 처리하는 단계; 및 통계 처리된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 결과 정보에 관련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관련 컨텐츠가 실행되면, 실행된 건강 관련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건강 관련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의 일치율을 구하는 단계; 구해진 일치율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 수행 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동작 수행 결과 정보에 따른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실행 중 기 저장된 건강 관련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된 건강 관련 생활 패턴 정보와 상기 확인된 동작 수행 결과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건강 상태를 분석을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실행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결합된 정보를 반영하여 건강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물리적 및 논리적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관련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건강 상태에 관련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들이거나 노력을 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및 상항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사용자의 별도의 개입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생활 패턴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건강 상태 분석 결과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건강 관련 컨텐츠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는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항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는 다른 장치들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상황 인지 프로그램 및 건강 관리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상황 인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다수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 및 일상 생활의 생활 패턴을 감지하고, GPS 등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수집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분석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연동하며, 단말 장치(100)로 상황 인지 프로그램 및 건강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100)로 건강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센싱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상황 인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황 인지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황 인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건강 관리 장치(11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실행하고,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건강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오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황 인지 기능을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해 연동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황 인지 기능 및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정보 수집부(111), 상황 인지부(112), 생활 패턴 분석부(113) 및 건강 관리 처리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1)는 센싱부(130)로부터 다수의 센싱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111)는 건강 관련 컨텐츠 실행에 따라 다수의 센서 또는 카메라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건강 관리 처리부(114)로 전달한다.
상황 인지부(112)는 정보 수집부(111)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특정 행위 등의 일상 생활에 대한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정보는 현재 위치, 현재 상태(수면, 운동, 식사 등), 움직임 속도 등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주변 환경 정보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및 공공장소에 대해서 제공해주는 데이터 및 주변 기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등에 연동하여 얻은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상황 인지부(112)로부터 상황 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량, 이동 수단, 식사 습관 및 수면 습관 등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시간 및 상황 별로 각각 저장 및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상황 인지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현재 사용자가 달리기를 하는 것을 나타내면,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달리기를 시작한 시간,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등을 파악하여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운동량 계산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계산된 운동량을 생활 패턴 정보로 생성하고, 이때, 생활 패턴 정보는 운동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날짜 또는 주간 별로 통계 처리하여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추론할 수 있다. 그리고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통계 처리된 통계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사용자의 식습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식사를 한 시간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통계 처리할 수 있으며, 통계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주일 동안 아침, 점심, 저녁 식사 여부, 간식 여부 등의 식사 습관을 확인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생활 패턴 분석부(113)에서 추론한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건강 상태, 신체 나이, 수면 상태, 운동량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 체중 변화량, 체온 변화량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건강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능을 통해 파악하거나, 다른 건강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을 확인하기 위해,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저장된 운동 관련 생활 패턴 정보 즉, 계산된 운동량 정보,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사용자 개인 정보 등을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들을 에너지 소모량을 계산하는 기능에 반영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다이어트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 예를 들어, 식사 습관, 운동량,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가 평상시 이용하는 이동 수단 등의 정보를 다이어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여 체중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중 변화량 및 생활 패턴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수면 습관 관련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수면 습관 관련 생활 패턴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면 중 움직임, 수면 시간, 기상 시간, 소음(코골이, 뒤적임, 호흡 상태, 기침 등) 상태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면 현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수면 현황에 따른 건강 상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고, 수면 질을 높이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베개를 낮추고, 가습기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건강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아 컨텐츠를 실행하여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동작에 따라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가, 체조 등의 사용자가 간단히 따라 할 수 있는 운동 동영상 등을 실행하고, 정보 수집부(111)로부터 운동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사용자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움직임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도를 분석하고, 분석된 동작 수행 결과 정보를 건강 관련 컨텐츠 실행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분석된 동작 수행 정보와 생활 패턴 분석부(113)에서 분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결합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단말 장치(100)를 들고 사용자가 건강 관련 컨텐츠의 동영상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따라 하면, 이에 따라 수집된 움직임 정보를 정보 수집부(111)로부터 전달받고, 움직임 정보가 제공되는 동영상 동작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 건강 관련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기 설정된 건강 정보 테이블 예를 들어, 신체 나이 테이블에서 판단된 동작 일치율에 매핑된 건강 정보(신체 나이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건강 정보(신체 나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미리 설정된 운동량 및 에너지 소모량에 대한 테이블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일치율에 따른 운동량 및 에너지 소모량을 추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론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와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비교하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와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가 일정 범위 겹치는지를 확인하고, 일정 범위 겹치지 않는 경우 위기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 처리부(114)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 중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경우, 위기 상황 발생에 따른 기 설정된 사용자의 단말 장치 또는 긴급 의료 센터 등의 단말 장치로 위기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위기 상황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위기 상황 메시지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된 현재 위치 및 상황 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2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황 인지 프로그램 및 건강 관리 서비스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건강 관련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장치(200)로 분석된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GPS 모듈을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센싱부(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다수의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른 물리적 및 논리적 상황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된 상황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사용자의 행동(움직임), 사용자의 환경 및 위치 등의 사용자 관련 상황 정보를 센싱하는 논리적 정보를 센싱하는 가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논리적 센싱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센싱부는 물리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GPS 모듈,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논리적 센싱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사용자 메모리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및 통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센서는 선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조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40)는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 및 건강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 입력 신호 및 건강 관련 컨텐츠 요청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이, 몸무게, 키, 시력, 병력 등) 및 건강 관심 정보 등을 입력 받아서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저장부(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등을 저장하고, 수집된 물리적 및 논리적 센싱 정보, 및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상황 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1), 생활 패턴 정보 데이터베이스(152) 및 건강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53)를 포함하여 해당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개인 정보, 건강 관심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에 따라 제공된 다양한 건강 관련 컨텐츠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60)는 기본적으로, 단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60)는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상황 인지 프로그램 및 건강 관련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화면, 알림 음 및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건강 관련 컨텐츠 및 건강 상태 결과 정보에 따라 제공된 컨텐츠 및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60)는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알림 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비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단말 장치(100)로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 및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받으면, 건강 관련 컨텐츠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에 관련한 정보 및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정보 및 컨텐츠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위기 상황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다른 단말 장치로 위기 상황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메시지 서비스 예를 들어, 상황 인지 프로그램,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련 컨텐츠 및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서비스 장치(200)의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더불어, 저장부(23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관련하여 검색된 컨텐츠 및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0)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장치(2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저장매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단말 장치에 포함된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 및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실행 요청을 할 때 또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되거나, 최초 실행 후 사용자의 프로그램 중지 요청이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1102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00)는 다수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항목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의 센싱부(120)는 물리적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움직임), 사용자의 환경 및 위치(GPS 모듈, 카메라, 마이크로 폰, 와이파이, 모뎀, 블루투스 등) 등의 사용자 관련 정보를 센싱하고, 다수의 논리적 가상 센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SNS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등의 정보를 센싱한다.
그런 다음 1103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00)는 수집된 센싱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특정 행위 등의 일상 생활에 대한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건강에 관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정보는 현재 위치, 현재 상태(수면, 운동, 식사 등), 움직임 속도 등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주변 정보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및 공공장소에 대해서 제공해주는 데이터 및 주변 기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등에 연동하여 얻은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100)는 GPS 수신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외부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건강 관리 장치(100)에 부착된 물리적 센서들(선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움직임 정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동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건강 관리 장치(100)는 위치의 변화,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움직임 정도를 통해 운동 종류(예를 들어, 달리기, 걷기, 줄넘기 등), 운동 거리, 운동 횟수, 운동한 시간 정보 등을 운동 관련 상황 인지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 정보가 현재 집으로 파악되고, 조도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가 감지된 경우 즉, 사용자의 이동이 없거나, 조명이 꺼진 상태인 경우 또는 논리적 센싱 정보에서 수면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건강 관리 장치(100)는 이들 정보를 조합하여 현재 사용자가 수면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 장치(100)는 취침 시간, 기상 시간, 수면 중 불규칙한 호흡, 기침, 수면 중 행동, 수면 중 실내 습도, 온도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한 수면 관련 상황 인지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이후, 1104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00)는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건강 관리 장치(100)는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별, 상황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운동량, 이동 수단, 식사 습관 및 수면 습관 등의 각 상황 별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각 상황 별로 저장 및 관리한다. 이때, 건강 관리 장치(100)는 일정 주기로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날짜 및 주간 별로 통계 처리하여 보다 정확한 생활 패턴을 추론하고, 통계 처리한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100)는 상황 인지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현재 사용자가 달리기를 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황 인지 정보에 포함된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센싱 정보 즉, 사용자가 달리기를 시작한 시간,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등의 정보를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운동량 계산 기능에 반영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및 운동에 따라 소모된 열량, 운동 효율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 장치(100)는 계산된 운동 정보를 포함한 운동에 관련한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하고,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운동 주기 및 운동 시간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일주일 또는 한달 단위로 운동에 관한 생활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어느 시간대에 사용자가 어떤 운동을 얼마만큼 하는지를 파악하여 파악된 생활 패턴 정보를 분석 항목별로 저장한다. 일 예로, 현재 운동에 관련한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하면서, 일정 주기로 저장된 운동에 관련한 생활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운동 습관 생활 패턴 정보로서 별도 저장 및 관리한다.
다른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일주일 동안 사용자의 식습관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가 식사를 한 시간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통계 처리할 수 있으며, 통계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주일 동안 아침, 점심, 저녁 식사 여부, 간식 여부 등의 식사 습관을 확인하여 확인된 식사 습관에 관련한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후, 1105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또는 상황 인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산한 시간 등의 정해진 시간이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해당 시간이 아닌 경우, 계속해서 1102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단계들을 수행한다.
반면, 확인 결과, 정해진 시간이 되면, 1106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나이, 수면 상태, 생활 패턴, 운동량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한다.
이후, 1107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건강 관리 화면에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는 건강에 관련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에서는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에 관련한 건강 관련 컨텐츠(예를 들어, 운동 동영상, 건강 관련한 광고, 기사, 이미지 등)를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그러면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 포함된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1201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건강 관련 컨텐츠를 수신하고,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실행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따라 할 수 있는 동작을 제공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건강 관리 장치(110a)를 들고 사용자가 건강 관련 컨텐츠 예를 들어, 요가 및 체조 등의 동영상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따라 하면, 1202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사용자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
1203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수집된 사용자 동작 정보를 분석한다. 즉,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 동작 정보가 동영상 동작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1204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생활 패턴 정보와 분석된 사용자 동작 정보를 결합하고, 1205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결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110a)는 건강 관련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미리 설정된 신체 나이 테이블에 동작 수행 정도 즉, 동작 일치율에 매핑된 신체 나이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건강 관리 장치(110a)는 기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신체 나이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1205단계에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의 화면에 확인된 신체 나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신체 나이 정보와 실제 나이 정보를 비교하여 볼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관련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운동이나 일상 생활 중 갑작스런 사고(골절, 추락) 등의 이유로 단말 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정도의 위기 상황이 발생 시 자동으로 현재의 위치나 상황을 주변 지인 또는 응급의료 시설의 다른 단말 장치에 연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의 운동이나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고, 일정 시간 이전의 상황 인지 정보와 비교하여 일정 범위 내에 두 정보가 겹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건강 관리 장치(110a)는 두 정보가 겹치는 경우에는 현재 사용자의 상황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반면, 두 정보가 겹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상황에서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급격히 변화되거나, 아무런 움직임 정보가 센싱되지 않은 경우, 건강 관리 장치(110a)는 현재 위치의 주변 네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위험 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장치(110a)는 보다 더 정확한 정보 획득을 위해 위험 상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건강 관리 장치(110a)의 기 설정된 횟수만큼 특정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건강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위기 상황으로 간주하고, 위기 상황에 따라 실행되는 주변 지인 또는 응급 의료 시설에 자동으로 통화 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기 상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물리적 및 논리적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관련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건강 상태에 관련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들이거나 노력을 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및 상항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사용자의 별도의 개입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생활 패턴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0a: 건강 관리 장치
111: 정보 수집부 112: 상황 인지부
113: 생활 패턴 분석부 114: 건강 상태 분석부
120: 통신부 130: 센싱부
140: 입력부 150: 저장부
151: 상황 인지 DB 152: 생활 패턴 정보 DB
153: 건강 상태 정보 DB 16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는 상황 인지부;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과 관련된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생활 패턴 분석부; 및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여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건강 관리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패턴 분석부는,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상황 별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생활 패턴을 시간 및 상황 별로 각각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처리부는,
    건강 관련 컨텐츠를 실행하고, 실행된 건강 관련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처리부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 중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경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현재 위치 및 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처리부는,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와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가 일정 범위 겹치는지를 확인하고, 일정 범위 겹치지 않는 경우 위기 상황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센싱 정보는,
    GPS 모듈,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센싱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사용자 메모리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및 통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상의 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
  8. 단말 장치와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건강 상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위기 상황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위기 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한 위기 상황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0.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건강과 관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및 상황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일정 주기로 상기 시간 및 상황 별로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통계 처리하는 단계; 및
    통계 처리된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 결과 정보에 관련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건강 상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관련 컨텐츠가 실행되면, 실행된 건강 관련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건강 관련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의 일치율을 구하는 단계;
    구해진 일치율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 수행 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동작 수행 결과 정보에 따른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건강 관련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실행 중 기 저장된 건강 관련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된 건강 관련 생활 패턴 정보와 상기 확인된 동작 수행 결과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및
    결합된 정보를 반영하여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43211A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25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211A KR20140125259A (ko)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211A KR20140125259A (ko)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259A true KR20140125259A (ko) 2014-10-28

Family

ID=5199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211A KR20140125259A (ko)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52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029A (ko) * 2014-12-09 2016-06-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70133102A (ko) * 2016-05-25 2017-12-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미병의 발현 주기에 따른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보조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20170133871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픽플컴퍼니 개인화된 운동커리큘럼 제공방법 및 제공프로그램
KR20200038628A (ko) * 2018-10-04 2020-04-14 김창호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31232A (ko) * 2020-09-04 2022-03-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요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029A (ko) * 2014-12-09 2016-06-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70133102A (ko) * 2016-05-25 2017-12-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미병의 발현 주기에 따른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보조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20170133871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픽플컴퍼니 개인화된 운동커리큘럼 제공방법 및 제공프로그램
KR20200038628A (ko) * 2018-10-04 2020-04-14 김창호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31232A (ko) * 2020-09-04 2022-03-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요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zimi et al. Internet of things for remote elderly monitoring: a study from user-centered perspective
US10687193B2 (en) Assist device and system
US11955212B2 (en) Location-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data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US20170330297A1 (en) Dynamic wearable device behavior based on family history
KR102005049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Incel et al. A review and taxonomy of activity recognition on mobile phones
US2018030120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He et al. Physical activity recognition utilizing the built-in kinematic sensors of a smartphone
US201802854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profile
US20170070537A1 (en) Data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20160066827A1 (en) Pulse oximetry ring
CN104952447A (zh) 一种老龄人安康服务智能穿戴设备及语音识别方法
CN104796485A (zh) 一种老龄人云安康服务平台及大数据处理方法
KR20140078518A (ko) 외부 기기 관리 방법, 외부 기기의 동작 방법, 호스트 단말, 관리 서버 및 외부 기기
CN104867309A (zh) 一种中老龄人安康服务智能穿戴设备及深度学习方法
CN104434315A (zh) 便携式监视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40125259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799825A (zh) 一种中老龄人云安康服务平台及药术评估方法
CN104835003A (zh) 一种面向移动养老服务的系统及其实现方法
WO2015143085A1 (en) Techniques for wellness monitoring and emergency alert messaging
WO2019202707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20277764A1 (en) Cough detection system
EP3639270A1 (en) Providing suggested behavior modifications for a correlation
Chen et al. An adaptive sensor data segments selection method for wearable health care services
JP702775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57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24

Effective date: 2021022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