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261A -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261A
KR20140125261A KR1020130043213A KR20130043213A KR20140125261A KR 20140125261 A KR20140125261 A KR 20140125261A KR 1020130043213 A KR1020130043213 A KR 1020130043213A KR 20130043213 A KR20130043213 A KR 20130043213A KR 20140125261 A KR20140125261 A KR 2014012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afety
life pattern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049B1 (ko
Inventor
전진수
정인장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04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triangulation other than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물리적 및 논리적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따른 사용자 관련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관련 센싱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생활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인함으로써, 보호 대상의 사용자가 생활 패턴에 따른 일상 생활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경우, 보호 대상의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management service based on context aware}
본 발명은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을 지켜주기 위한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본 개념은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 망을 통해 여러 자원을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한 공간을 스마트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최근의 스마트 공간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 공간 내의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 인지 기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상황 인지 기술이란 사용자 주변에 산재한 사용자와 관련된 논리적, 물리적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context)을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기술은 수집되는 상황 정보가 많을수록 보다 더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하나의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는 것 보다는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와 함께 땀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다수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보다 더 정확하게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 인지를 위한 장치는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통해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황 인지를 위한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주변 기기 등에 센서들을 부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도록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므로 사용자가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항상 인식하고 있다. 때문에 사용자가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개입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시간을 들이거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상황 인지를 위한 장치는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사용자의 별도의 개입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생활 패턴 등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 있다.
게다가 종래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 정보를 추론 및 분석하여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안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직접 연락하여 안전 여부를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판단하였다.
때문에 단말 장치를 통해서는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94186 B1, 2012년 10월 18일 등록(명칭: 지능형 상황 인식을 이용한 라이프 로그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을 지켜주기 위한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상황인지 정보를 시간 및 상황 별로 저장하는 상황 인지부;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과 관련된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생활 패턴 분석부; 및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대방에게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안전 확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활 패턴 분석부는, 주기적으로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통계 처리된 상황 인지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도출한 상황 인지 정보와 기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에 포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생활 패턴에 따른 이동 경로를 이탈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디바이스 리소스 최적화 수행 및 배터리 소모 최소화 프로세서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을 통해 지정된 번호로 다이렉트 콜(Direct Call)을 한 경우, 지정된 번호의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긴급 통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현재의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현재 상태, 사용자의 동작(움직임),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주변 환경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험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도출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동안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을 하고, 복귀하면서 위험 상황이 감지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 단순 경로 이탈로 판단하고,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안전 확인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을 알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활 패턴 분석부는,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상황 별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생활 패턴을 상기 시간 및 상황 별로 각각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 있어서, 물리적 센싱 정보는, GPS 모듈,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이며, 논리적 센싱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사용자 메모리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및 통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상의 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단말 장치와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생활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각 장소에서 제공하는 공지 정보 및 안전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제2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저장된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과 관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상기 서비스 장치로 상기 생활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검색된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 중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경우, 현재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위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안전 확인 메시지를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지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상기 안전 확인 결과,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위험 상황 발생 시 디바이스 리소스 최적화 수행 및 배터리 소모 최소화 프로세서를 실행하는 단계; 및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긴급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관련 물리적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고,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활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보호 대상의 사용자가 생활 패턴에 따른 일상 생활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경우, 보호 대상의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위험 상황을 단말 장치에서 인지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고 및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 및 범죄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활 패턴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로드 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 100a, 100b) 및 서비스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항 인지 기반의 안전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는 다른 장치들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수의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황 인지 프로그램 및 안전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상황 인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다수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 및 일상 생활의 생활 패턴을 감지하고, GPS 등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수집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분석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여,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사용자의 안전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대방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다수의 단말 장치(100)와 연동하며, 다수의 단말 장치(100)로 상황 인지 프로그램 및 안전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생활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각 장소(학교, 학원 등)에서 제공하는 공지 정보 및 안전에 관련한 정보 수집하여 저장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가 해당 장소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제1 단말 장치(100a)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 즉, 제2 단말 장치(100b)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수집된 안전에 관련한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센싱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안전 관리 장치(110a)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황 인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예를 들어, 자녀 및 노인 등의 보호가 필요한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상대방 즉, 보호자의 단말 장치(100)로 안전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안전 확인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정보 수집부(111), 상황 인지부(112), 생활 패턴 분석부(113) 및 안전 확인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1)는 센싱부(130)로부터 다수의 센싱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황 인지부(112)는 정보 수집부(111)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특정 행위 등의 일상 생활에 대한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정보는 현재 위치, 현재 상태(이동, 수업, 놀이, 휴식, 식사 등), 사용자의 동작(움직임), 이동 속도 등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주변 환경 정보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신호등, 학원, 학교 및 공공 장소 등에 대해서 제공해주는 데이터 및 주변 기기에 연동하여 얻은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황 인지부(112)는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및 상황 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상황 인지부(112)로부터 상황 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 거리, 이동 속도, 이동한 장소, 이동 경로, 식사 습관 및 수면 습관 등을 분석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상황 인지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현재 사용자가 집에서 학교로 걸어가는 것을 나타내면,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집에서 출발한 시간, 학교에 도착한 시간,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경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루 생활 패턴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생활 패턴 정보를 시간 및 상황별로 저장한다.
그리고 생활 패턴 분석부(113)는 주기적으로 시간대, 날짜 또는 주간 별로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통계 처리하고, 통계 처리한 생활 패턴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추론할 수 있다.
안전 확인부(114)는 생활 패턴 분석부(113)에서 추론한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한다. 즉, 안전 확인부(115)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황 인지 정보와 독출된 생활 패턴 정보에 포함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또는 이동 위치를 기준으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 두 상황 인지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안전 확인부(114)는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안전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두 상황 인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전 확인부(114)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행동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간주하고, 지정된 보호자의 단말 장치(100)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움직임 등의 상황 인지 정보를 지속적으로 알리는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안전 확인부(114)는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 시 디바이스 리소스 최적화 수행 및 배터리 소모 최소화 프로세서를 실행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흔들기 등)을 통해 지정된 번호로 다이렉트 콜(Direct Call)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때, 안전 확인부(115)는 현재의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현재 상태(이동, 수업, 놀이, 휴식, 식사 등), 사용자의 동작(움직임), 이동 속도 등을 확인하고, 주변 환경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험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 확인부(114)는 짧은 시간 동안 경로 이탈을 하고, 다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이동 경로로 복귀하고, 위험 상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단순 경로 이탈로 간주한다. 이때, 안전 확인부(114)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일상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경우, 안전 확인 메시지에 현재 사용자가 일상적인 행동으로 안전함을 알리고, 더 이상의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안전 확인 메시지는 안전한 상황이더라도 지정된 번호의 보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보호자의 단말 장치(100)로 지속적 또는 한번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안전 확인부(114)는 서비스 장치(2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 서비스 장치(200)에서 현재 위치 예를 들어, 학교 또는 학원에서 제공하는 숙제, 알림장, 학습 정보, 교원 정보 등의 공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생활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각 장소에서 제공하는 공지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공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안전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및 시간 또는 위험 요소가 있는 장소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 확인부(114)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안전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2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황 인지 프로그램, 안전 서비스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비스 장치(200)로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공지 정보 및 안전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 상대 단말 장치(100)로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GPS 모듈을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센싱부(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다수의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른 물리적 및 논리적 상황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된 상황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사용자의 행동(움직임), 사용자의 환경 및 위치 등의 사용자 관련 상황 정보를 센싱하는 물리적 센싱부와, 논리적 정보를 센싱하는 가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논리적 센싱부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센서는 선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조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센싱부는 물리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GPS 모듈,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논리적 센싱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사용자 메모리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및 통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40)는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 및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관심 정보 등을 입력 받아서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저장부(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등을 저장하고, 수집된 물리적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저장하며, 안전 서비스를 위한 상황 인지 정보, 생활 패턴 정보 및 안전 확인 결과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개인 정보, 안전에 관련한 관심 정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공지 정보 및 안전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60)는 기본적으로, 단말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60)는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상황 인지 프로그램 및 안전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화면, 비상 상황 시 알림 음 및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안전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안전 확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의 단말 장치(100) 즉, 제2 단말 장치(100a)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 즉, 제1 단말 장치(100a)에서 지정된 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서, 사용자가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0a)로부터 안전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치(100a)는 수신된 안전 확인 메시지를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자신의 사용자로부터 보호 대상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단말 장치(100b)는 제1 단말 장치(100a)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지속적으로 제1 단말 장치(100a)로부터 보호 대상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 받아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제2 단말 장치(100b)는 보호 대상 사용자의 위급 상황 시 제1 단말 장치(100a)로부터 걸려온 통화가 긴급 통화인지를 확인하여 위급 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단말 장치(100b)는 보호자로서 보호 대상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단말 장치(100b)에서도 동일하게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단말 장치(100a)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비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단말 장치(100)로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 및 안전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생활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각 장소(학교, 학원 등)에서 제공하는 공지 정보 및 안전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사용자 해당 장소에 위치한 경우 또는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 즉, 제1 단말 장치(100a)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 즉, 제2 단말 장치(100b)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수집된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1 단말 장치(100a)로부터 수신된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제2 단말 장치(100b)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제2 단말 장치(100b)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제1 단말 장치(10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메시지 서비스 예를 들어, 상황 인지 프로그램, 안전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부(220)는 안전 확인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서비스 장치(200)의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더불어, 저장부(23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된 공지 정보 및 안전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0)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장치(2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저장매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황 인지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의 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다수 단말 장치들(100) 중 보호 대상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단말 장치(100a)로 칭하고, 보호자의 단말 장치(100)는 제2 단말 장치(100b)로 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100a)의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 및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 및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실행 요청을 할 때 또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되거나, 최초 실행 후 사용자의 프로그램 중지 요청이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1102단계에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다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항목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제1 단말 장치(100a)의 센싱부(120)는 물리적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움직임), 사용자의 환경 및 위치(GPS 모듈, 카메라, 마이크로 폰, 와이파이, 모뎀, 블루투스 등) 등의 사용자 관련 정보를 센싱하고, 다수의 논리적 가상 센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SNS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등의 정보를 센싱한다.
그런 다음 1103단계에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수집된 센싱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특정 행위 등의 일상 생활에 대한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안전에 관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한다. 이러한 상황 인지 정보는 현재 위치, 현재 상태(이동, 수업, 놀이, 휴식, 식사 등), 사용자의 동작(움직임), 이동 속도 등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주변 환경 정보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신호등, 학원, 학교 및 공공 장소 등에 대해서 제공해주는 데이터 및 주변 기기에 연동하여 얻은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후, 1104단계에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 거리, 이동 속도, 이동한 장소, 이동 경로, 식사 습관 및 수면 습관 등을 분석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가 집에서 학교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상황 따른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출발 시간, 도착 시간,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경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생활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하루 일과가 끝나면,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루 생활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하루 동안 이동하는 이동 경로 맵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 경로 맵에 표시된 사용자의 하루 일과는 사용자가 집에서 학교로 도보로 이동하고,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방과 후 친구들과 축구를 하면 놀이를 한 후 집으로 귀가한다. 이후, 사용자는 피아노 학원을 들렸다 영어 학원에서 수업을 받은 후, 집으로 귀가를 한다. 이에 따라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 맵에 표시된 이동 경로에 따른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후,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주기적으로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날짜 또는 주간 별로 통계 처리하여 보다 정확한 생활 패턴을 추론하고, 통계 처리한 생활 패턴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1105단계에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즉, 경로 이탈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안전 관리 장치(110a)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황 인지 정보와 독출된 생활 패턴 정보에 포함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또는 이동 위치를 기준으로 비교한다.
확인 결과, 두 상황 인지 정보가 일치하여 경로를 이탈하지 않은 경우,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여 1102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두 상황 인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1106단계에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행동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간주하고, 지정된 안전 관리 장치(110a)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움직임 등의 상황 인지 정보를 지속적으로 알리는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아노 학원에서 영어학원으로 이동 중 영어 학원으로 가지 않고 경로를 이탈하면, 안전 관리 장치(110a)는 경로 이탈을 확인하고, "홍길동 군이 영어학원에 가는 도중 경로를 이탈하였습니다. 홍길동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시겠습니까?"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제2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관리 장치(11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이탈에 따른 이동 경로 맵을 구성하여 이동 경로 맵에 대한 정보를 안전 확인 메시지에 포함하여 제2 단말 장치(100b)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치(100b)는 안전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경로 맵을 자신의 표시부 화면에 표시하여 경로 이탈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1107단계에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 시 디바이스 리소스 최적화 수행 및 배터리 소모 최소화 프로세서를 실행한다. 1108단계에서,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흔들기 등)을 통해 지정된 번호로 다이렉트 콜(Direct Call)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지정된 제2 단말 장치(100a)로 긴급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안전 관리 장치(110a)는 현재의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현재 상태(이동, 수업, 놀이, 휴식, 식사 등), 사용자의 동작(움직임), 이동 속도 등을 확인하고, 주변 환경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험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경로를 이동 중 짧은 시간 동안 경로 이탈을 하고, 다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이동 경로로 복귀하면서, 위험 상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안전 관리 장치(110a)는 단순 경로 이탈로 간주한다. 이때,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일상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경우, 안전 확인 메시지에 현재 사용자가 일상적인 행동으로 안전함을 알리고, 더 이상의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안전 확인 메시지는 안전한 상황이더라도 지정된 번호의 보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보호자의 단말 장치(100) 즉, 제2 단말 장치(100b)로 지속적 또는 한번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안전 관리 장치(110a)는 주기적으로 서비스 장치(200)로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각 장소에서 제공하는 공지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위치한 경우, 특정 장소에서 제공하는 검색된 공 지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0a) 및 제2 단말 장치(100b)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장소(학교 또는 학원)에 위치한 경우, 특정 장소에서 제공하는 숙제, 알림장, 학습 정보, 교원 정보 등의 공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안전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및 시간 또는 위험 요소가 있는 장소로 이동한 경우, 제1 단말 장치(100a) 및 제2 단말 장치(100b)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수집된 안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관련 물리적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고,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활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보호 대상의 사용자가 생활 패턴에 따른 일상 생활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경우, 보호 대상의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 인지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위험 상황을 단말 장치에서 인지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고 및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 및 범죄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0a: 안전 관리 장치
111: 정보 수집부 112: 상황 인지부
113: 생활 패턴 분석부 114: 안전 확인부
120: 통신부 130: 센싱부
140: 입력부 150: 저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 및 상황 별로 저장하는 상황 인지부;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과 관련된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생활 패턴 분석부; 및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대방에게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안전 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패턴 분석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통계 처리된 상황 인지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도출한 상황 인지 정보와 기 저장된 생활 패턴 정보에 포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생활 패턴에 따른 이동 경로를 이탈하였는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디바이스 리소스 최적화 수행 및 배터리 소모 최소화 프로세서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을 통해 지정된 번호로 다이렉트 콜(Direct Call)을 한 경우, 지정된 번호의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긴급 통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현재의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현재 상태, 사용자의 동작(움직임),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주변 환경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험 상태인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부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도출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동안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을 하고, 복귀하면서 위험 상황이 감지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 단순 경로 이탈로 판단하고,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안전 확인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을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패턴 분석부는,
    상기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 및 상황 별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생활 패턴을 상기 시간 및 상황 별로 각각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센싱 정보는,
    GPS 모듈,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적외선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센싱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사용자 메모리 정보, 스케줄 기능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및 통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상의 논리적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
  11. 다수의 단말 장치와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생활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각 장소에서 제공하는 공지 정보 및 안전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제2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저장된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2.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물리적 센싱 정보 및 논리적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과 관련된 상황 인지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황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로 상기 생활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검색된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황 인지를 기반으로 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 중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경우, 현재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위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안전 확인 메시지를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지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 결과, 상기 생활 패턴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위험 상황 발생 시 디바이스 리소스 최적화 수행 및 배터리 소모 최소화 프로세서를 실행하는 단계; 및
    보호자의 단말 장치로 긴급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43213A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213A KR102005049B1 (ko)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213A KR102005049B1 (ko)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261A true KR20140125261A (ko) 2014-10-28
KR102005049B1 KR102005049B1 (ko) 2019-07-29

Family

ID=5199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213A KR102005049B1 (ko) 2013-04-18 2013-04-18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04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84A1 (ko) * 2017-06-08 2018-12-13 (주)한국해양기상기술 해상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938708B1 (ko) * 2018-03-05 2019-04-10 (주)아성정보 위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92455A (ko) * 2016-12-28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안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13131B1 (ko) * 2018-04-25 2019-08-22 주식회사 키위플러스 배터리 절약을 위한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032427B1 (ko) * 2019-03-25 2019-10-15 차진호 개인 사고/범죄 구조요청 자동발송시스템
KR102043923B1 (ko) * 2018-07-06 2019-12-02 주식회사 이송 휴대용 iot센서 기반 보안방범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2844A (ko) * 2018-11-27 202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행동 패턴 분석을 이용한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97921A (ko) * 2019-02-11 2020-08-20 (주) 텔트론 스마트 조명제어 시스템
US10810856B2 (en) 2018-04-18 2020-10-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ime series analysis of user behaviors
KR102305535B1 (ko) * 2020-10-06 2021-09-27 김민정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2223B1 (ko) * 2021-01-18 2022-02-14 김민정 취약계층 안전 주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922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세이프온 위난관리 시스템의 위난발생 예측방법
KR20120045459A (ko) * 2010-10-29 2012-05-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라이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194186B1 (ko) 2012-03-21 2012-10-24 주식회사 좋은정보기술 지능형 상황 인식을 이용한 라이프로그 시스템
KR20130012708A (ko) * 2011-07-26 2013-02-05 이턴인터내셔널(주) 안전지대 설정을 통한 보호대상자의 보호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922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세이프온 위난관리 시스템의 위난발생 예측방법
KR20120045459A (ko) * 2010-10-29 2012-05-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라이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012708A (ko) * 2011-07-26 2013-02-05 이턴인터내셔널(주) 안전지대 설정을 통한 보호대상자의 보호 서비스 시스템
KR101194186B1 (ko) 2012-03-21 2012-10-24 주식회사 좋은정보기술 지능형 상황 인식을 이용한 라이프로그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455A (ko) * 2016-12-28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안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8225984A1 (ko) * 2017-06-08 2018-12-13 (주)한국해양기상기술 해상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938708B1 (ko) * 2018-03-05 2019-04-10 (주)아성정보 위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810856B2 (en) 2018-04-18 2020-10-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ime series analysis of user behaviors
KR102013131B1 (ko) * 2018-04-25 2019-08-22 주식회사 키위플러스 배터리 절약을 위한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043923B1 (ko) * 2018-07-06 2019-12-02 주식회사 이송 휴대용 iot센서 기반 보안방범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2844A (ko) * 2018-11-27 202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행동 패턴 분석을 이용한 자녀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97921A (ko) * 2019-02-11 2020-08-20 (주) 텔트론 스마트 조명제어 시스템
KR102032427B1 (ko) * 2019-03-25 2019-10-15 차진호 개인 사고/범죄 구조요청 자동발송시스템
KR102305535B1 (ko) * 2020-10-06 2021-09-27 김민정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2223B1 (ko) * 2021-01-18 2022-02-14 김민정 취약계층 안전 주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049B1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049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031491B2 (en) Adaptive sensor data selection and sampling based on current and future context
EP2447809B1 (en) User device and method of recognizing user context
US10282970B2 (en) Mobile device loss prevention
CN106921700B (zh) 一种根据特征信息进行安全预判的方法、装置以及系统
KR20170059342A (ko) 환경 정보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8227823A1 (zh) 一种生成用户画像的方法和终端
CN105683989A (zh) 用于基于上下文的数据保护的系统
US20140361905A1 (en) Context monitoring
KR101614101B1 (ko) 모바일 크라우드소싱을 이용한 실종 아동 위치 제공 서버,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AU2018277650B2 (en) Adaptation of the auditory output of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 accordance with an indication of the acoustic environment
KR20210108977A (ko) 개인 모니터링 시스템
CN114077308A (zh) 用于警示用户保持物理距离的系统、方法和装置
KR20140125259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558895A (zh) 一种基于智能感知的校园管理方法、系统及介质
KR101564347B1 (ko) 긴급 구조 요청 단말 및 긴급 구조 요청 방법
CN113139029A (zh) 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20200322434A1 (en) Iot sensor fusion
KR101602480B1 (ko) 불법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193479B1 (ko) 상황 인지 기반의 사용자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243122B1 (en) Smartphone motion classifier
Huang et al. Intelligent and disaster prevention hard hat based on AIOT and speeches recognition
Sahu et al. A Vision Disabled-Aid using the Context of Internet of Things
KR20150109988A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