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283B1 -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 - Google Patents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283B1
KR102505283B1 KR1020200149797A KR20200149797A KR102505283B1 KR 102505283 B1 KR102505283 B1 KR 102505283B1 KR 1020200149797 A KR1020200149797 A KR 1020200149797A KR 20200149797 A KR20200149797 A KR 20200149797A KR 102505283 B1 KR102505283 B1 KR 10250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oin
tray
deck
co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888A (ko
Inventor
박종근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20014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2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2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의 입금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동전입금장치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동전입금 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FINANCIAL DEVICE HAVING COIN DEPOSIT DEVICE}
본 발명은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전의 입금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동전입금장치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동전입금 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산기, 자동금융거래 단말기, 현금자동입출금기와 같은 장치에는 동전의 입금을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장치에는 외관상 하나의 입금(또는 정산)장치로 인식되지만, 동전이 입금되는 부분과 지폐가 입금되는 부분이 따로 설치된다. 때문에, 내부적으로도 동전의 계수 및 수납을 위한 장치와 지폐의 계수 및 수납을 위한 장치가 구분되어 하나의 케이스(또는 본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입금장치(이하에서는 정산기, 자동금융거래 단말기, 현금자동입출금기 중 동전 또는 지폐 입금 기능이 있는 장치를 '입금장치'로 통칭하기로 한다)는 사용자가 입금을 시도하는 경우 각각의 장치가 내부적으로 구동되어 지폐 또는 동전의 계수 결과가 합산되는 과정을 거쳐 입금이 진행된다.
종래의 장치는 입금을 시도하는 경우 지폐의 유무, 동전의 유무에 상관없이 지폐 처리장치와 동전 처리 장치가 각각 구동되어 결과가 도출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지폐만 입금하는 경우에 지폐의 정산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전의 처리를 위한 장치의 구동이 진행되며, 동전 처리 장치의 구동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해야만 했다. 때문에, 입금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며, 정산기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이용하는 장치의 경우 소요시간의 증가로 인해 전체 사용자의 입금 종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동전 입금장치의 경우 동전 외의 이물질 투입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입금장치의 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612417호(등록일 2016년 04월 07일) "자동 정산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전의 입금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동전입금장치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동전입금 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전 입금이 이루어지는 투입구에 이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이물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물의 투입을 동전의 투입으로 오인식하는 가능성을 줄여 장치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한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폐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계수하여 지폐 입금액을 산출하는 지폐입금장치;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동전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을 계수하여 동전 입금액을 산출하는 동전입금장치; 및 상기 지폐와 상기 동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투입을 판단하여, 투입되는 화폐에 대응되는 입금장치를 구동시키고, 구동결과에 따라 각각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입금액을 정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전 투입구는 상기 동전이 상기 본체 내부로 투입되는 셔터; 상기 셔터의 개방 여부 또는 개방각을 감지하는 셔터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가 미개방되는 경우 동전이 입금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지폐의 입금만 정산한다.
상기 셔터센서부는 상기 셔터에 접촉하여 상기 셔터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에 대응되는 신호값을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셔터는 상기 커넥팅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을 상기 커넥팅로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셔터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동전투입구는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셔터가 마련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데크;와 상기 데크와 동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셔터를 마주하는 모서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크 상에 거치되는 트레이;를 더 구비하는 포함한다.
상기 동전투입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데크에 거치되는 각도인 거치각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각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가 상기 데크에 완전히 안착된 안착각과 상기 데크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으로 이탈된 이탈각 사이의 값인 경우 상기 트레이와 상기 데크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
상기 트레이는 입금되는 상기 동전 중 가장 작은 크기의 상기 동전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는 계수할 동전이 통과할 때 개방되는 셔터; 상기 동전이 거치되고, 거치된 상기 동전을 상기 셔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는 데크; 및 상기 셔터의 개방여부 또는 개방각을 감지하는 셔터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셔터센서부는 상기 셔터에 접촉하여 상기 셔터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에 대응되는 신호값을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는 상기 커넥팅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을 상기 커넥팅로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셔터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셔터를 마주하는 모서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크 상에 거치된다.
상기 데크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데크에 거치되는 각도인 거치각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는 입금되는 상기 동전 중 가장 작은 크기인 상기 동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겨의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는 동전의 입금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동전입금장치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동전입금 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전 입금이 이루어지는 투입구에 이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이물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물의 투입을 동전의 투입으로 오인식하는 가능성을 줄여 장치의 보호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체에 설치되는 동전투입구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동전투입구의 트레이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동전투입구의 바닥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셔터센서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동전투입구에 마련되는 접촉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금융거래장치에서의 입금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입금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장치는 본체(11)와 본체(11) 내부에 마련되는 지폐입금장치(20) 및 동전입금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체(11)에 내부에 설치되어 금융거래장치 즉, 지폐입금장치(20)와 동전입금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고, 계수에 의한 입금액을 정산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서는 제어부(70)가 본체(11)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제어부(70)를 표시한 것일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금융거래장치는 일반적으로 현금의 입출금, 이체를 위해 사용되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장치 외에도, 지폐나 동전을 입금하기 위한 정산기와 같은 장치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장치들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만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일례로, 금융거래장치의 종류에 따라 위폐 감별장치, 권종 감별장치, 증권/수표의 처리를 위한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거래 장치와 같은 장치들이 마련될 수도 있는 것으로, 금융거래장치의 기능을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사항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11)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공간 내부에는 지폐입금장치(20) 및 동전입금장치(30)가 설치된다. 이 본체(11)의 일부분에는 지폐입금장치(20)로 지폐를 투입하기 위한 지폐투입구(21)와 동전입금장치(30)로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구(40)가 마련된다.
본체(11) 내부에는 지폐투입구(21)와 인접한 위치에 지폐입금장치(30)가 마련되고, 동전입금장치(30)와 인접한 위치에 동전입금장치(30)가 마련된다. 또한, 이들 장치와 인접하여, 지폐 또는 동전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관장치를 대신하여, 별도의 장치 또는 투입구로 지폐 또는 동전을 인출하기 위한 배출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외에 본체(11)에는 금융거래장치의 동작 확인, 거래관련 정보의 입력 및 표시를 위한 표시장치(미도시)와 입력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지폐입금장치(2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지폐투입구(21)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계수하고, 계수결과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여기서, 계수 결과를 제어부(70)에 전달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지폐임금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제어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70)는 지폐입금장치(20)와 동전입금장치(30)의 복합적인 동작제어, 별도의 기능에 대한 제어 등을 수행하고, 지폐입금장치(20)의 기능과 관계된 부분은 전용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용제어부의 기능이 제어부(7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지폐입금장치(20)는 지폐투입구(21)에 센서가 마련되어 투입되는 지폐가 감지되는 경우 지폐입금장치(20)의 기계적 구성, 예를 들어, 지폐의 이송, 감지, 감별을 위한 장치들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지폐입금장치(20)는 지폐 입금의 발생여부를 계수결과와 별도로 제어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지폐입금장치(20)는 입금액을 확인하기 위해 지폐의 권종(금액), 화폐의 종류(현금, 수표, 증권, 상품권, 외화 등)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기능이 마련될 수 있다.
동전입금장치(30)는 동전투입구(40)에 마련되는 셔터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을 계수하여 계수결과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동전입금장치(30)는 투입되는 동전의 종류를 구분하여 계수하고, 계수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이 동전입금장치(30)도 입금되는 동전의 위폐여부, 동전의 종류와 같은 사항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기능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동전입금장치(30)도 지폐입금장치(20)와 마찬가지로 동전투입구(40)를 통해 동전이 입금되는 것을 감지하면, 동전을 감별, 이송 및 계수하기 위한 장치를 구동시켜 계수를 수행한다. 이와 함께 동전입금장치(30)는 동전입금 여부를 계수결과와 별도로 제어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동전입금장치(30)는 동전입금장치(30) 또는 본체(11) 내부로 이물질일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70)는 지폐입금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계수결과와 동전입금장치(30)로부터 전달되는 계수결과를 이용하여 입금된 금액에 대한 계수결과를 합산하고, 입금자 확인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정산 또는 입금처리를 수행한다. 이 제어부(70)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특히 제어부(70)는 어느 한 입금장치(20, 30)로부터의 입금 진행이 확인되면, 다른 입금장치(30, 20)의 입금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다른 입금장치(30, 20)의 입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입금된 장치의 입금액을 정산처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지폐입금장치(20) 또는 동전입금장치(30)는 지폐 또는 동전의 입금을 감지하여 동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폐입금장치(20) 또는 동전입금장치(30)는 입금을 위한 지폐 또는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고, 투입이 감지되는 경우에 입금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입금장치(20, 30)의 구성을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70)는 투입이 감지되지 않은 임금장치(20, 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지폐 또는 동전의 투입이 감지된 장치만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구동된 장치에 의한 계수가 종료되어 계수결과가 전달되면 이를 정산하여 입금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금융거래장치는 불필요한 장치 구동을 방지하고, 장치 구동 및 구동종료에 따른 불필요한 소요시간을 감소시켜 빠른 입금이 정산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금융거래장치는 전술한 기능의 실현을 위해 동전 및 지폐의 투입을 감지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지폐의 경우 투입구에 마련되는 공지의 센서를 통해 지폐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투입시 적은 지연시간에 의해 지폐입금장치의 구성들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동전입금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체에 설치되는 동전투입구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동전투입구의 트레이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입금장치는 본체(11)에 설치되는 동전 투입구(40)는 셔터(51), 데크(45) 및 트레이(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통해서는 데크(45)와 트레이(41)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고, 셔터(51) 및 동작 관련 설명은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전투입구(40)는 사용자가 금융거래장치의 본체(11) 내부로 동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11) 외부에 노출되게 마련된다. 이 동전투입구(40)와 본체(11)의 내부는 동전투입구(4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셔터(51)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동전을 금융거래장치에 입금 또는 투입하기 위해서, 소지하는 동전을 트레이(41) 상에 올려둔 후 셔터(51) 방향으로 동전을 이동시켜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동전투입구(40)는 데크(45)와 트레이(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크(45)는 본체(11)에 결합되고, 트레이(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트레이(41) 안착을 위한 공간(43)을 형성한다. 이 데크(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은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데크(45)의 일 측면에는 동전 투입 경로를 개폐하는 셔터(51)가 마련된다.
트레이(41)는 데크(45)와 동상으로 형성되어 데크(45)의 공간(46)에 삽입 및 안착된다. 또한, 트레이(41)도 용기형태로 형성되고 위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되게 구성되어 공간(43)을 형성한다. 이 트레이(41)는 데크(45)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데크(45) 또는 본체(11)에 마련된 회전축(47)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통해 트레이(41)는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회동하며, 이때 데크(45)에서 이탈된다.
이 트레이(41)는 금융거래장치에 입금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동전을 거치하고, 트레이(41)의 회동을 통해 동전을 투입하게 된다. 즉, 트레이(41)를 기울이는 동작을 통해 동전이 셔터(51)를 향해 미끄러지게 되어 투입된다. 이를 위해 트레이(41)는 회전축(47)이 마련된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손잡이(42)가 마련된다.
트레이(41)의 측면 중 셔터(51)와 인접한 측면은 다른 측면들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거나, 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개방되어 트레이(41) 바닥면을 미끄러지는 동전이 셔터(51)를 통해 쉽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트레이(41)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홀(44)이 마련된다. 이 홀(44)은 트레이(41) 동전을 거치할 때, 트레이(41)를 회동시켜 동전을 미끄러지게 할 때 이물질이 데크(45)에 낙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홀(44)은 동일한 직경의 홀이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직경이 다른 홀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가장 큰 직경의 홀이 금융거래장치에 투입되는 동전 중 가장 작은 직경의 동전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이 동전투입구(40)에는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동전투입구의 바닥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셔터센서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전입금장치에 마련되는 동전투입구에는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동전투입구(40)에는 셔터센서(60)가 구비되며, 접촉센서(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셔터센서(60)는 셔터(51)의 개방여부 또는 개방각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셔터센서(60)는 셔터(51)와 접촉하여 셔터(51)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셔터센서(60)는 커넥팅로드(61)과 커넥팅로드(61)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값을 생성하는 신호생성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셔터(51)에는 커넥팅로드(61)와 접촉하여, 셔터의 회전을 커넥팅로드에 전달하기 위한 돌출부(53)가 형성된다.
이러한 셔터센서(60)는 동전투입구의 하부 측면에 해당하는 본체(11)에 설치되도록 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셔터(51)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예와 설치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커넥팅로드(61)의 형태와 돌출부(53)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커넥팅로드(61)는 셔터(51)의 개폐시 돌출부(53)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커넥팅로드(61)는 회전축(62)에 의해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신호생성부(63)에 결합된다. 커넥팅로드(61)는 돌출부(53)에 의해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어 회전을 하게 되며, 신호생성부(63)는 이러한 커넥팅로드(61)의 회전값을 감지하여 셔터(61) 개폐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값을 생성한다.
이 커넥팅로드(61)의 회전 즉, 눌림과 눌림해제에 따른 복원 궤적은 돌출부(53)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돌출부(53)는 호 형태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고, 커넥팅로드(61)는 이에 따라 가압되거나 복원된다. 이러한 커넥팅로드(61)와 돌출부(53)의 이동궤적 차이를 보완하여 충분한 접점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돌출부(53)의 말단에는 풋(54)이 형성된다. 이 풋(5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3)와 직교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셔터(51)의 완전한 닫힘 위치와 동전 투입시 최소 개방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커넥팅로드(61)와 돌출부(53) 간의 접점 확보가 이루어진다. 즉, 셔터센서(60)의 위치, 커넥팅로드(61)의 크기와 모양, 돌출부(53) 및 풋(54)의 크기와 모양이 결정된다. 이러한 크기와 모양, 위치는 실험적으로 산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크기와 형태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궤적을 가급적 긴 구간에 걸쳐 겹쳐지도록 할 수 있는 형태이며, 커넥팅로드(61), 돌출부(53) 및 풋(54)의 형태 및 크기는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신호생성부(63)는 본체(11) 내부 또는 브라켓(64)에 의해 본체(11)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생성부(63)는 회전축(62)에 의해 커넥팅로드(61)와 결합된다. 이 신호생성부(63)는 커넥팅로드(61)의 회전값을 신호값으로 생성하여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제어부(70)는 셔터센서(6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값을 통해 동전의 투입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신호값이 셔터 닫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동전의 투입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최소 개방위치 이상으로 개방되면 동전이 투입되는 것을 발생할 수 있다.
최소 개방위치는 동전이 투입될 때 셔터(51)가 개방되어야 하는 최소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셔터(51)가 동전 투입구의 측면에 위치하고, 복수의 동전이 함께 미끄러지는 형태로 투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때문에, 동전의 투입시 미끄러지는 동전이 셔터(51)를 밀어서 개방하는 형태가 되며, 이를 위해 동전 투입시 셔터(51)가 일정 폭 이상으로 개방된다. 때문에, 제어부(70)가 이 최소 개방 위치의 값과 신호값을 비교하여 동전 투입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최소 개방위치의 값과 닫힘 위치의 사이값에 해당하는 신호값이 전달되면 제어부(70)는 셔터(51)의 고장 또는 이물질에 의해 셔터(51)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셔터센서(60)가 커넥팅로드(61)의 회전각도를 각각의 신호값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셔터센서(60)는 최소개방위치의 신호값과 닫힘 위치의 신호값만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전투입구에는 이물질의 감지 또는 동전 투입의 더 정확한 감지를 위한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접촉센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동전투입구에 마련되는 접촉센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전투입구(40)의 하부에는 접촉센서(80)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센서(80)는 트레이(41)가 데크(45)에 안착되는지 이탈되는지를 감지하여 신호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값을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접촉센서(80)는 접촉암(83)과 접촉암(83)의 동작을 감지하여 신호값을 생성하는 신호생성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접촉센서(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본체(11)와의 결합을 위해 브라켓(81)과 같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접촉센서(80)는 전술한 셔터센서(6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신호생성부(82)에 마련되는 회전축에 접촉암(83)이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접촉암(83)은 트레이(41)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트레이(41)이 움직임이 접촉암(83)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 접촉암(83)과 트레이(41)의 접촉을 위해 데크(45)에는 홀(4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홀(48)을 통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접촉센서(80)의 접촉암(83)이 본체(11) 외부로 노출되어 트레이(41)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 접촉센서(80)의 접촉암(83)은 트레이(41)가 데크(45)에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 트레이(41)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동전 투입을 위해 트레이(41)가 데크(45)로 이탈되면 눌림이 해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신호발생부(82)는 접촉암(83)의 눌림 위치와 눌림 해제 위치에 대한 신호값을 생성하여 제어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접촉센서(80)로부터의 신호값을 통해 눌림이 해제된 상태는 동전 투입 또는 이물질이 데크(45)와 트레이(41) 사이에 존재하는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트레이(41)가 데크(45)로부터 이탈된 상태 즉, 눌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셔터센서(60)의 신호값을 참조하여 현재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70)는 접촉센서(80)의 신호값이 눌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낼 때 셔터센서(60)의 신호값이 최소 개방위치를 나타내면 동전 투입이 이루어지는 정상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 제어부(70)는 눌림이 해제된 상태이고, 셔터센서(60)의 신호값이 닫힘 위치 또는 최소 개방위치 이내의 위치이면 데크(45)와 트레이(41)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접촉센서(80)는 전술한 셔터센서(60)와 마찬가지로 접촉암(83)의 회전각 즉, 눌림정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신호값은 동전을 투입하기 위해 트레이(41)가 완전히 기울어진 이탈각과 트레이(41)가 데크(45) 안착된 안착값을 경계값으로 하고, 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한 사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센서(80)가 트레이(41)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70)는 안착값과 이탈각을 나타내는 신호값은 정상동작으로 인식하고, 사이값을 나타내는 신호값은 데크(45)와 트레이(41)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센서(80)가 트레이(41)의 회전각을 측정하도록 할 경우 접촉암(83)의 길이와 형태가 전술한 접촉센서(80)와는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셔터센서(60)와 접촉센서(80)는 내구성 및 감지 정확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접촉을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비접촉식 광학센서, 압력센서, 자기센서와 같은 다른 센서종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센서와 함께 사용하여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금융거래장치에서의 입금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거래장치를 이용한 입금과정은 입금선택 단계(S10), 입금화폐판단 단계(S20), 계수 단계(S30), 금액확인 단계(S40), 이상유무판단 단계(S50) 및 처리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금선택 단계(S10)는 입금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금융거래장치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금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입금선택 단계(S10)는 금융거래장치의 용도에 따라 입금선택 단계(S10)가 생략되고, 금융거래장치의 구동 준비 단계나 다른 단계로 대체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입금화폐판단 단계(S20)는 입금기능을 선택한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화폐의 종류 즉, 지폐인지 동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입금화폐판단 단계(S20)에서 사용자는 본인이 입금하고자 하는 화폐를 지폐투입구(21) 또는 동전투입구(40)를 통해 금융거래장치의 본체(11)에 투입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금융거래장치에 구비되는 지폐입금장치(20)와 동전입금장치(30)는 각각의 장치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 또는 동전을 감지하게 된다. 즉, 지폐입금장치(20)는 지폐투입구(21)에 마련되는 센서에 의해 지폐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그리고, 동전입금장치(30)는 동전투입구(40)에 구비되는 셔터센서(60) 또는 셔터센서(60)와 접촉센서(80)에 의해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70)에 전달하게 된다.
계수 단계(S30)는 투입되는 화폐를 계수하여 입금액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계수 단계(S30)에서는 전술한 입금화폐판단 단계(S20)에서의 판단결과에 따라 투입이 이루어지는 화폐에 대응되는 장치만 구동시켜 투입되는 화폐를 계수한다. 이를 위해 계수 단계(S30)는 동전 계수단계(S31), 지폐계수 단계(S35) 및 동전/지폐 계수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술한 입금화폐판단 단계(S20)에서 동전의 투입만 확인되면, 제어부(70)는 동전 계수단계(S31)를 통해 동전입금장치(30)만 구동시켜 투입된 동전의 계수를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지폐만 투입된 경우 제어부(70)는 지폐입금장치(20)만 구동시켜 투입된 지폐의 계수를 진행한다. 지폐와 동전이 모두 입금된 경우 제어부(70)는 동전/지폐 계수단계(S33)를 통해 입금장치(20, 30)를 모두 동작시켜 계수를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각각의 장치를 통해 계수된 금액을 동전/지폐금액합산 단계(S37)을 통해 합산하게 된다.
금액확인 단계(S40)는 계수된 금액을 제어부(70)가 금융거래장치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상유무판단 단계(S50)는 제어부(70)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확인요청한 금액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처리 단계(S60)는 이상유무판단 단계(S50)의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부(70)가 이후의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이상유무판단 단계(S50)에서 제어부(70)는 투입된 금액과 계수된 금액의 차이가 없다고 확인된 경우, 계수금액을 입금처리하게 된다(S61). 그리고, 이상유무판단 단계(S50)에서 제어부(70)는 투입도니 금액과 계수된 금액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불량 화폐가 확인되는 경우 전액 또는 일부액을 반환하여 재투입 또는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반환처리 하게 된다(S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금융처리장치는 동전 또는 지폐의 투입여부에 따라 해당 입금장치(20, 30)의 구동여부를 결정하여, 투입되는 화폐에 대응되는 입금장치(20, 30)만을 구동시킨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입금장치의 구동에 따라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불필요한 계수결과를 기다림으로써 발생하는 시간소요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동전 입금장치와 같이 구동 후 결과가 전달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장치를 필요시에만 구동시킴으로써 정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금융거래장치 11: 본체
20: 지폐입금장치 21: 지폐투입구
30: 동전입금장치 40: 동전 투입구
41: 트레이 42: 손잡이
44: 홀 45: 데크
43, 46: 공간 51: 셔터
53: 돌출부 54: 풋
60: 셔터센서 61: 커넥팅로드
63, 82: 신호발생부 64, 81: 브라켓
70: 제어부 80: 접촉센서
83: 접촉암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폐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계수하여 지폐 입금액을 산출하는 지폐입금장치;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동전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을 계수하여 동전 입금액을 산출하는 동전입금장치; 및
    상기 지폐와 상기 동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투입을 판단하여, 투입되는 화폐에 대응되는 입금장치를 구동시키고, 구동결과에 따라 각각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입금액을 정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투입구는 상기 동전이 상기 본체 내부로 투입되는 셔터; 상기 셔터의 개방 여부 또는 개방각을 감지하는 셔터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전투입구는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셔터가 마련된 데크;와 상기 셔터를 마주하는 모서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크 상에 거치되는 트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전투입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데크에 거치되는 각도인 거치각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를 더 구비하는 금융거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가 미개방되는 경우 동전이 입금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지폐의 입금만 정산하는 금융거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센서부는 상기 셔터에 접촉하여 상기 셔터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에 대응되는 신호값을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구비하는 금융거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커넥팅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을 상기 커넥팅로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셔터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금융거래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각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가 상기 데크에 완전히 안착된 안착각과 상기 데크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으로 이탈된 이탈각 사이의 값인 경우 상기 트레이와 상기 데크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금융거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입금되는 상기 동전 중 가장 작은 크기의 상기 동전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금융거래장치.
  10. 계수할 동전이 통과할 때 개방되는 셔터;
    상기 동전이 거치되고, 거치된 상기 동전을 상기 셔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는 데크; 및
    상기 셔터의 개방여부 또는 개방각을 감지하는 셔터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셔터를 마주하는 모서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크 상에 거치되며, 상기 데크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데크에 거치되는 각도인 거치각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입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센서부는 상기 셔터에 접촉하여 상기 셔터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에 대응되는 신호값을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동전입금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커넥팅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을 상기 커넥팅로드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셔터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동전입금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입금되는 상기 동전 중 가장 작은 크기인 상기 동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겨의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동전입금장치.
KR1020200149797A 2020-11-11 2020-11-11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 KR10250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797A KR102505283B1 (ko) 2020-11-11 2020-11-11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797A KR102505283B1 (ko) 2020-11-11 2020-11-11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888A KR20220063888A (ko) 2022-05-18
KR102505283B1 true KR102505283B1 (ko) 2023-03-03

Family

ID=8180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797A KR102505283B1 (ko) 2020-11-11 2020-11-11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2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813A (ja) * 2001-05-18 2002-11-2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US20020189920A1 (en) * 1992-09-04 2002-12-19 Molbak Jens H. Coin counter and 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JP2012014636A (ja) * 2010-07-05 2012-01-19 Glory Ltd 自動取引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993A (ja) * 1990-05-28 1992-02-04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コイン受入装置
KR101612417B1 (ko) 2015-11-23 2016-04-14 주식회사 케이씨티 자동 정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9920A1 (en) * 1992-09-04 2002-12-19 Molbak Jens H. Coin counter and 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JP2002342813A (ja) * 2001-05-18 2002-11-2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JP2012014636A (ja) * 2010-07-05 2012-01-19 Glory Ltd 自動取引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888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8167B1 (en) Bill handling machine
US7331513B2 (en) Automated currency canister reloading machine with ability to update canister memory
EP2166517B1 (en) Currency handling device
EP1805728A2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EP1034126A1 (en) Document sensor for currency recycl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KR930002031B1 (ko) 자동출납장치에서 보충지폐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272024A (ja) 自動取引装置
KR102505283B1 (ko) 동전 입금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거래장치
US8967362B2 (en) Apparatus, method, software and graphical interface for flexible dispensing of coins in a coin handling apparatus
JP4910494B2 (ja) 自動取引装置
JP5397027B2 (ja) 硬貨釣銭機
JP673701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処理装置
JP2000207635A (ja) 紙幣処理機の制御方法
JP2003157465A (ja) 紙幣取扱装置
JP6496591B2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処理システム
JP5193696B2 (ja) 包装硬貨処理機
CN107301720B (zh) 介质处理装置及自动交易装置
JPH05334520A (ja) 硬貨処理装置
JP6277747B2 (ja) 入出金装置及び入出金プログラム
JP2013143086A (ja) 硬貨処理装置
JP2019016047A (ja) 紙葉類処理装置
WO2024075395A1 (ja) 媒体取引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495159B2 (ja) 媒体識別装置
WO2020179221A1 (ja) コイン保留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ン処理装置
JP2018005616A (ja) 包装硬貨処理機、包装硬貨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