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250B1 - 디퓨저 겸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디퓨저 겸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250B1
KR102505250B1 KR1020200148727A KR20200148727A KR102505250B1 KR 102505250 B1 KR102505250 B1 KR 102505250B1 KR 1020200148727 A KR1020200148727 A KR 1020200148727A KR 20200148727 A KR20200148727 A KR 20200148727A KR 102505250 B1 KR102505250 B1 KR 10250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grance oil
lower body
unit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947A (ko
Inventor
한윤진
강호중
박찬선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Priority to KR102020014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2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는 일측으로 수증기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상부바디, 상부바디에 형성된 개방구에 삽입되고, 향기 오일을 기화시키도록 구성된 발향유닛, 상부바디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물을 기화시키는 가열공간을 갖는 하부바디, 하부바디의 가열공간에서 상부바디의 개방구에 삽입된 발향유닛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히터 및 가열공간에서 히터의 외곽을 감싸고 물을 기화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히터는 발향유닛과 필터유닛 사이에서 발향유닛과 필터유닛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디퓨저 겸용 가습기{HUMIDIFER COMBINED WITH DIFFUSER}
본 발명은 디퓨저 겸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이 용이하고, 소형화된 디퓨저 겸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써, 가습기를 이용하여 적당한 실내 습도인 55% 내지 60%를 유지함으로써, 호흡기 관련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날씨나 장소에 쾌적하고 유용한 실내습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가습기의 종류에는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방식 가습기와 특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진동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무화시키는 초음파 방식,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이 합쳐진 복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초음파 방식의 가습기는 물을 가열시키지 않으므로 안정상의 염려는 적지만, 물을 무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기화열로 인해 주변 온도가 떨어지는 강하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진동자 등의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세균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 및 호흡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을 직접 가열하여 분무하는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증기를 일으키는 곳을 직접 청소하기 어렵거나, 분리가 복잡하여 가습기의 청소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삶의 질을 중시하는 시대적 트랜드의 변화에 따라, 피로 해소, 심신 안정 등을 위한 셀프 테라피(self-therapy)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향초, 디퓨저 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시장의 수요에 따라 가습효과와 방향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는 가습기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향기 오일을 사용하는 가습기의 경우, 가습기 내부의 물에 향기 오일을 몇 방울 떨어뜨린 뒤 사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 방식은 향기 오일에 의해 가습기의 입구가 막히거나, 쉽게 부식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향기 오일의 향이 변향될 수 있으며, 물이 빠르게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가습효과와 방향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가습기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76061호 “전열 증발식 가습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습기능과 방향기능을 모두 갖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의 오염이나 향기 오일의 변향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척 및 구성품의 교체가 편리한 디퓨저 겸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퓨저 겸용 가습기는 일측으로 수증기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에 형성된 개방구에 삽입되고, 향기 오일을 기화시키도록 구성된 발향유닛, 상기 상부바디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물을 기화시키는 가열공간을 갖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상기 가열공간에서 상기 상부바디의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기 발향유닛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가열공간에서 상기 히터의 외곽을 감싸고 상기 물을 기화하여 상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발향유닛과 상기 필터유닛 사이에서 상기 발향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디퓨저 겸용 가습기는 상기 하부바디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물을 흡수하여 상기 가열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필터유닛으로 전달하는 물 흡수 기둥, 상기 물 흡수 기둥을 상기 하부바디에 고정하는 물 흡수 기둥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바디는 상기 하부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부바디의 수용공간을 따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하부바디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가열공간까지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물 흡수 고정부와 상기 하부바디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가열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물 흡수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디퓨저 겸용 가습기는 상기 하부바디의 가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및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상기 물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물을 상기 초음파 진동자로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향유닛은 상기 향기 오일이 수용된 향기 오일병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향기 오일을 일정량 배출하도록 구성된 향기 오일 배출부, 상기 향기 오일 배출부와 상기 향기 오일병을 수용하고, 상기 향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일정량 배출된 상기 향기 오일을 수용하는 향기 오일 증발용기 및 상기 향기 오일 증발용기 내로 배출된 상기 향기 오일이 기화될 경우, 상기 기화된 향기 오일이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향기 오일 배출부는 공기구멍과 돌출부를 갖는 공기핀 및 상기 공기핀의 돌출부와 밀착되어 향기 오일병을 밀폐시키는 러버 및 상기 향기 오일병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의 상단을 누를 경우, 상기 향기 오일병이 눌리면서 상기 공기핀이 바닥에 눌렸다가 다시 상승함에 따라 상기 러버와 상기 뚜껑 사이 밀착 부분이 벌어져 벌어진 공간 사이로 상기 향기 오일이 중력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유닛은 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바디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을 전달받아 흡수하는 필터 및 상기 히터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를 가열하는 발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물을 포착할 수 있도록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증기 발생 및 향기 오일의 기화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물의 오염 또는 오일의 변향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디퓨저 겸용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리 및 결합이 쉽게 구성되므로, 세척 및 구성품의 교체가 보다 편리한 디퓨저 겸용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히터를 통해 가습기능 및 발향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된 디퓨저 겸용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퓨저 겸용 가습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부바디, 물 흡수기둥 및 물 흡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부바디, 하부바디, 물 흡수기둥 및 물 흡수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발향유닛, 히터 및 필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발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발향유닛에서 향기 오일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퓨저 겸용 가습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가습기능과 발향기능이 병합된 장치로서, 소형화되어 휴대성이 향상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상부바디(100), 발향유닛(200), 하부바디(300),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물 흡수 기둥(600) 및 물 흡수 고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300)는 서로 결합되고, 발향유닛(200)은 상부바디(100)에 형성된 개방구(120)에 삽입된다.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은 상부바디(100)에 결속되어 하부바디(300) 내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히터(400)와 필터유닛(500)은 상부바디(100)의 개방구(120)로 삽입되는 발향유닛(200)의 외곽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하부바디(300) 내로 삽입된다. 한편, 히터(400)와 필터유닛(500)은 상부바디(100)에 결합되어 상부바디(100)를 하부바디(300)로부터 분리 시, 상부바디(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바디(300)로부터 분리된다.
상부바디(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상단에 배치되어, 구성요소들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바디(100)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분사구(110)와 발향유닛(200)이 삽입되는 개방구(120)를 포함하는 상부와, 하부바디(300)와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바디(100)는 일측에 기화된 물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가 분사되는 분사구(110)를 갖는다. 분사구(110)는 수증기가 모든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부바디(100)의 원주를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분사구(110)는 한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어느 일 방향을 향하여 집중 분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110)의 형상은 수증기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고, 외부로 분산이 용이하도록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부바디(100)의 상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향유닛(200)이 삽입되는 개방구(120)을 갖는다. 이때, 개방구(120)는 발향유닛(200)의 상부바디(100)에 삽입되는 부분보다 조금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바디(100)의 개방구(120)는 발향유닛(200)의 상부바디(100)에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구(120)의 직경은 발향유닛(200)의 직경보다 1 내지 5mm 클 수 있다. 만약, 개방구(120)의 직경와 발향유닛(200)의 직경이 1mm 미만으로 차이 날 경우, 발향유닛(200)을 상부바디(100)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리 또한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개방구의 직경이 발향유닛(200)의 직경과 5mm 초과로 차이 날 경우, 발향유닛(200)의 분리가 너무 쉽게 이루어져, 디퓨저 겸용 가습기 사용 시 발향유닛(200)이 상부바디(100)에서 이탈되어 발향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방구(120)의 직경 조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방구(120)의 직경 조건은 제조 공정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부바디(100) 개방구(120)의 형상은 개방구(120)에 삽입되는 발향유닛(2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향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일 수 있으며, 개방구(120)는 발향유닛(200)의 원통 외면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방구(120)의 형상은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바디(100)의 하부는 하부바디(3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는 상부바디(100)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일부분에 결합돌기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300)의 결합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부바디(100)는 내측에 히터(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PC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바디(100)는 내측에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이 결속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바디(100) 내측의 결속부에 의해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은 상부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바디(100)가 하부바디(300)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부바디(100)에 결합된 채로 하부바디(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400)는 발향유닛(200)과 필터유닛(500)을 가열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가 발향기능 및 가습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히터(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향유닛(200)과 필터유닛(5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발향유닛(20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필터유닛(50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이에,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단면상에서 발향유닛(200)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이 차례로 감싸진 형태로 배치된다.
히터(400)는 하부바디(300)의 가열공간(320)에 위치된다. 즉, 물이 수납되는 수용공간(310)과 분리된 가열공간(320)에 위치되어, 수용공간(310)에 수납된 물을 직접 가열하지 않는다.
히터(400)는 발향유닛(200)의 외면을 약 2mm의 틈을 두고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터유닛(5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400)는 전류에 의해 직접 열을 발생시키는 저항성 히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소형화를 위해 히터(400)는 필름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400)는 두 개의 내열성 필름 층 사이에 발열체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잉크가 필름 위에 인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필터유닛(500)은 물이 기화하여 수증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물을 흡수한다.
필터유닛(500)은 하부바디(300)의 가열공간(320)에서 히터(40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필터유닛(500)은 히터(400)의 외곽을 감싸도록 히터(40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유닛(500)은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유닛(500)은 직물로 이루어지며 물 흡수 기둥(600)과 접촉되어 물을 흡수하는 필터(510) 및 히터(400)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필터를 가열하는 발열판(520)을 포함한다.
필터(510)는 필터유닛(500)의 가장 외곽에 배치되며, 필터(510)는 물 흡수 기둥(600)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필터(510)는 물 흡수 기둥(600)이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20)에서 흡수한 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필터(510)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직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터(510)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바디(300)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필터(510)를 통과할 때, 외부 공기에 포함된 미세오염 물질들을 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510)는 0.3μm 크기의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ance)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터(510)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510)에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증가하고 기화되는 물의 양 또한 증가하여 가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발열판(520)은 필터(510)와 히터(400) 사이에 배치된다. 발열판(520)은 히터(400)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필터(510)를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발열판(520)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히터(400)의 열을 필터(510)로 전달함으로써, 필터(510)을 가열한다.
발열판(520)은 스테인레스 등의 내부식성을 가지고,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하부바디, 물 흡수기둥 및 물 흡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 흡수 기둥(600)은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10)에 삽입되어, 수용공간(310)에 제공되는 물을 흡수하여 가열공간(320)에 위치하는 필터유닛(500)으로 전달한다.
물 흡수 기둥(600)은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물을 가열공간(320)으로 전달하여야 하므로, 수용공간(31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흡수 기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과 윗면이 직사각형이며, 수용공간(31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물 흡수 기둥(6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 흡수 기둥(600)은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 흡수 기둥(600)은 빠른 시간 내에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흡수 기둥(600)은 PVA 스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20)에서 하부바디(300)와 결합되어, 물 흡수 기둥(600)이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10) 및 가열공간(320)의 경계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물이 가열공간(320)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으로 기능한다.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20)에 밀착 결합되도록 수용공간(320)의 상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20)을 덮을 수 있는 원통형 뚜껑의 형태로 구성된다.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이 외주면에는 하부바디(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 및 나사골이 구비된다.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나사산 및 나사골을 통해 하부바디(300)와 결속되며,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10)과 가열공간(320)을 단절시킨다.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와 하부바디(300)의 결합에 대한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물 흡수 기둥(600)이 끼워질 수 있는 관통부를 갖는다. 관통부는 물 흡수 기둥(6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흡수 기둥(600)이 밑면이 직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일 경우, 물 흡수 고정부(700)의 관통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의 관통부에 물 흡수 기둥(600)이 삽입되며, 물 흡수 기둥(600)의 상면이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의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된 물 흡수 기둥(600)의 상면은 필터(510)에 접하며, 물 흡수 기둥(600)을 통해 흡수된 물은 노출된 물 흡수 기둥(600)의 상면을 통해 필터(510)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바디(300)는 상부바디(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구성품들을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해준다.
하부바디(300)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구성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부바디(30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면은 뚫려 있으며, 바닥면은 막혀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300)는 열에 강한 플라스틱, 유리-세라믹,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300)는 하부바디(300)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통과 하부바디(300)의 내측면을 구성하고, 물과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구성품들을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내통으로 구성된다.
외통은 하부바디(300)의 외부를 구성하며, 디퓨저 겸용 가습기(10)의 구성품들을 보호한다. 외통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면은 뚫려 있으며, 바닥면은 막혀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외통의 바닥면은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해 복수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내통은 물과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구성품들을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은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310)과 물을 기화시키는 가열공간(320)으로 구분된다. 수용공간(310)에는 물 흡수 기둥(600) 및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가 위치될 수 있다. 가열공간(320)에는 발향유닛(200), 발향유닛(20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히터(400) 및 히터(40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필터유닛(500)이 위치될 수 있다.
하부바디(300)의 내통은 수용공간(310) 및 가열공간(320)에서 각각 크기가 다른 원기둥이 합쳐진 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310)의 내통이 특정한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가열공간(320)의 내통은 수용공간(310)에서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통은 내부는 비어 있고, 상단면은 뚫려 있으며, 바닥면은 막혀 있는 형상을 갖는다.
수용공간(310)과 가열공간(320)에서의 내통의 직경 차이로 인해, 수용공간(310)과 가열공간(320)의 경계부에서 단차가 발생된다. 단차 면은 수용공간(310)과 가열공간(320)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차 면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차 면의 구멍은 수용공간(310)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외통의 하부면에 형성된 구멍들과 연통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바디(300)의 내통과 외통 사이에 슬릿 형태의 관통구(330)가 형성된다.
하부바디(300)는 상술한 관통구(33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관통구(330)의 하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외부 공기는 관통구(330)를 통해 하부바디(300)의 가열공간(320)으로 이동하여 올라가며, 가열공간(320)에서 증발된 물을 흡수하여 상부바디(100)의 수증기 분사구(110)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습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상부바디, 하부바디, 물 흡수기둥 및 물 흡수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바디(300)는 수용공간(310)에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결합부(340)를 갖는다. 또한,하부바디(300)는 가열공간(320)에 상부바디(1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결합부(350)를 갖는다.
제 1 결합부(340)는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가 하부바디(300)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1 결합부(340)는 내통 내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340)는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10) 상단에 위치한다.
제1 결합부(340)는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나사산 및 나사골을 갖는다. 이 경우, 제1 결합부(340)의 나사산은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골에 대응되며, 제1 결합부(340)의 나사골은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된다.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의 나사산을 하부바디(300)의 제 1결합부(340)의 나사골에 맞춘 뒤,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와 하부바디(300)가 나사 결합된다. 만약, 결합된 상태에서, 물 흡수 고정부(700)를 타 방향으로 돌려주면, 물 흡수 고정부(700)와 하부바디(300)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하부바디(300)의 제 2 결합부(350)는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30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제 2 결합부(350)는 제1 결합부(340)와 마찬가지로 내통 내부에 위치하며, 하부바디(300)의 가열공간(310) 상단에 위치한다.
제 2 결합부(350)는 내통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며, 내통 내측면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다 끝단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50)는 상부바디(10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서로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바디(1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하부바디(300)의 제 2결합부(350)에 밀착되며, 제2 결합부(35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부바디(100)를 돌려주면, 제 2 결합부(350)의 'ㄷ'자로 절곡되는 끝단에, 상부바디(100)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이때, 상부바디(100)의 결합돌기는 제2 결합부(350)의 'ㄷ'자로 절곡된 끝단 홈에 꼭 맞게 끼워진다. 상부바디(100)의 결합돌기는 'ㄷ'자 절곡 끝단에서 상부와 하부로 이탈이 불가능하므로,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300)는 결속된다. 만약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바디(100)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부바디(100)의 결합돌기가 제2 결합부(350) 'ㄷ' 자로 절곡된 끝단의 홈에서 빠져나오며, 상부바디(100)의 결합돌기는 제2 결합부(350)의 상부로 이탈이 가능해지므로,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300)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수용된 물을 기화시킴으로써, 가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가습기능이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하부바디(300)는 수용공간(320)에 물이 수용된다. 물 흡수 기둥(600)이 수용공간(320)의 물을 흡수하여 물 흡수 기둥(600)과 접촉되어 있는 필터(510)로 전달한다. 이때, 히터(400)에 의해 필터(510) 내측에 접촉되어 배치된 발열판(520)이 발열되고, 발열판(520)으로부터 전해지는 열에 의해 필터(510)에 흡수된 물이 가열된다. 필터(510)에 흡수된 물이 기화되어 수증기가 발생되면, 수증기는 상부바디(100)의 분사구(11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하부바디(300)의 관통구(330)를 통해 외부 공기가 하부바디(300)의 가열공간(310)으로 유입되며, 수증기를 흡수한 외부 공기는 상부바디(100)의 수증기 분사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가습기능이 구현된다.
도 6은 도 2의 발향유닛, 히터 및 필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발향유닛(200)은 향기 오일을 저장 및 배출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발향유닛(200)은 상부바디(100)의 개방구에 삽입되며, 외곽이 필터유닛(500)으로 둘러 쌓인 히터(4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도 7은 도 2의 발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6 및 도 7를 참조하면, 발향유닛(200)은 향기 오일 배출부(210),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230) 및 향기 오일병(240)을 포함한다.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230)는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230)은 향기 오일 증발용기(200) 상단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을 덮도록 구성된다.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230)는 기화된 향기 오일이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231)를 구비한다. 배출구(23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230)의 측면에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출구(231)는 한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어느 일 방향을 향하여 집중 분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는 향기 오일 배출부(210)와 향기 오일병(240)을 수용한다. 이때, 향기 오일병(240)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일 수 있다. 즉,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향기 오일병(24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크기의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는 향기 오일 배출부(210)를 통해 일정량 배출된 향기 오일을 수용한다.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는 발향유닛(200)의 외곽을 구성하며, 향기 오일병(240)과 향기 오일 배출부(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향기 오일 배출부(210)는 향기 오일을 일정량 배출한다.
향기 오일 배출부(210)는 향기 오일병(24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16), 공기구멍과 돌출부를 갖는 공기핀(211), 공기핀(211)의 돌출부와 밀착되어 공기핀(211)의 돌출부와 뚜껑(216)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 1 러버(212) 및 향기 오일병(240)과 뚜껑(216)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 2 러버(213)를 포함한다. 또한, 향기 오일 배출부(210)는 공기핀(211) 돌출부 상단에 제 1 스프링(214) 및 향기 오일병(240)과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 사이에 제 2 스프링(215)을 포함한다.
향기 오일 배출부(210)는 상술한 구성들이 모두 결속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향기 오일병(24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발향유닛에서 향기 오일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a는 발향유닛(200)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발향유닛(200)이 닫혀 있는 상태란, 향기 오일이 배출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발향유닛(200)이 닫혀 있을 때는, 공기핀(211)이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러버(212)와 뚜껑(216) 사이가 밀폐되어 있다.
도 8b는 발향유닛(200)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발향유닛(200)이 열려 있는 상태란, 향기 오일이 배출되는 상태를 말한다. 향기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230)의 상단을 누르면, 제 1 스프링(214) 및 제 2 스프링(215)이 압축되면서 향기 오일 배출부(210)의 공기핀(211)이 향기 오일병(240)과 함께 눌려 바닥에 닿게 된다. 이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핀(211)의 돌출턱과 밀착된 제 1 러버(212)와 뚜껑(216) 사이가 벌어지면서, 공간이 형성된다. 형성된 공간 사이로 향기 오일은 중력에 의해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 바닥으로 배출된다. 한편, 향기 오일이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에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핀(211)을 관통하는 공기구멍을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이 경우, 공기는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의 하부로부터 공기핀(211)의 공기구멍으로 유입되어 공기핀(211)을 관통하여 향기 오일병(240)의 내부로 유입된다.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향기 오일병(240) 내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향기 오일병(240)의 오일은 제 1 러버(212)와 뚜껑(216)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향기 오일이 배출된 이후, 압축되었던 제 1 스프링(214) 및 제 2 스프링(215)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팽창됨에 따라, 향기 오일병(240), 공기핀(211), 공기핀(211)의 돌출턱과 밀착된 제 1러버(212) 또한 원위치로 상승되어 돌아간다. 이에, 제 1 러버(212)와 뚜껑(216) 사이에 형성되었던 공간이 닫히게 된다. 즉, 발향유닛(200)의 전체 형상은 도 8a의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발향유닛(200) 외곽에는 히터(40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향기 오일 증발용기(220) 바닥으로 배출된 향기 오일은 히터(400)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기화한다. 기화된 향기 오일은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230)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231)을 통해 확산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향기 오일을 기화시킴으로써, 방향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의 히터(400)는 발향유닛(200)과 필터유닛(500) 사이에 배치되어, 발향유닛(200)의 향기 오일과 필터유닛(500)의 물을 동시에 가열하여 기화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히터(400)를 이용하여 가습기능과 방향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된 디퓨저 겸용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향기 오일이 기화되어 확산되는 공간과 물이 기화되어 확산되는 공간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물이 향기 오일에 의해 오염되거나, 향기 오일이 물에 수용되어 변향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각 구성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발향유닛(200)은 상부바디(100)의 개방구(120)에 삽입되고,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은 상부바디(100)에 결속되어,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300) 결합 시, 하부바디(300)의 가열공간(320) 내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물 흡수 기둥(600)과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도 서로 결속되어,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와 하부바디(300) 결합 시, 하부바디(300) 수용공간(310) 내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오래되거나, 기능이 저하된 구성품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흡수 기둥(600)의 교체를 원할 경우, 하부바디(300)의 제 2 결합부(340)에 결합된 상부바디(100)만을 분리하여, 물 흡수 기둥(600)을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결합부(340)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바디(100)를 분리하면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이 상부바디(100)와 결합된 상태로 함께 분리되어, 물 흡수 기둥(600) 및 물 흡수 고정부(700)가 바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물 흡수 기둥(600)은 물 흡수 고정부(700)의 관통부에 삽입되므로, 물 흡수 고정부(700)의 분리 없이, 관통부에서 물 흡수 기둥(600)만을 빼낼 수 있으며, 관통부에 새로운 물 흡수 기둥(600)을 삽입함으로써 물 흡수 기둥(600)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몇몇 구성품들이 서로 결속된 상태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세척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수용되는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10)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 하부바디(300)의 제 2 결합부(350)와 결합된 상부바디(100)를 분리하면, 히터(400) 및 필터유닛(500)이 상부바디(1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340)과 결합된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를 분리하면, 물 흡수 기둥(600)역시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될 수 있다. 즉, 구성품들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제 1 결합부(340) 및 제 2 결합부(350)에 결합된 구성품만을 분리하여도, 하부바디(300) 내의 구성품들이 모두 분리되므로 하부바디(300)의 세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깨끗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물 흡수 기둥(600)과 필터(510)가 생략되고, 초음파 진동자(910) 및 물 공급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물 흡수 기둥(600)과 필터(510)가 생략되고, 초음파 진동자(910) 및 물 공급부(92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초음파 진동자(910)는 특정 주파수의 전기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무화시킨다. 즉, 초음파 진동자(910)는 하부바디(300)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물을 진동시켜 에어로졸 상태로 만들어 준다.
초음파 진동자(910)는 하부바디(300)의 가열공간(320)에 위치될 수 있다.
물 공급부(920)는 초음파 진동자(910)에 물을 전달해준다. 구체적으로, 물 공급부(920)는 하부바디(300)의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물을 가열공간(320)에 위치한 초음파 진동자(910)로 전달해준다.
물 공급부(920)의 하부는 수용공간(310)에 위치되며, 상부는 가열공간(320)에 위치한다. 이때, 물 공급부(920)의 상부는 초음파 진동자와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물 공급부(920)는 수용공간(310)에서 가열공간(320)으로 길게 뻗어져 있고,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관 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물 공급부(920)는 관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스펀지가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물 공급부(920)는 관 내부의 스펀지를 이용해 수용공간(310)의 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흡수한 후, 물 공급부(920)의 상부와 접촉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자(9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에는 물 공급부(920)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진동자(910)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물 흡수 기둥(600)과 필터(510)가 생략되고, 초음파 진동자(910) 및 물 공급부(920)가 포함될 경우,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물 공급부(920)의 수용공간(310)을 통과하여 가열공간(320)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개방구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물 공급부(920)가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물 흡수 기둥 고정부(700)는 물 공급부(920)와 동일한 개수의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물 공급부(920)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나의 커다란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물 공급부(920)에 의해 수용공간(310)의 물이 초음파 진동자(920)로 전달되면, 초음파 진동자(920)가 전달된 물을 에어로졸화 시킨다. 에어로졸화 된 물은 발열판(520)으로 직접 전달되어 기화될 수 있다. 또는, 히터(400)의 작동으로 가열공간(320)에 채워진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다. 물이 기화됨에 따라 발생한 수증기는 상부바디(100)의 분사구(11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가습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겸용 가습기(1)는 물 흡수 기둥(600) 및 필터(510)가 생략되므로, 물 흡수 기둥(600) 및 필터(510)의 기능이 저하될 때마다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 흡수 기둥(600) 및 필터(510)가 젖은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되어 오염됨에 따라 발생하는 위생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좀 더 개선된 위생상태를 갖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1)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디퓨저 겸용 가습기
100: 상부바디
110: 수증기 분사구
120: 개방구
200: 발향유닛
210: 향기 오일 배출부
211: 공기핀
212: 제 1러버
213: 제2 러버
214: 제 1 스프링
215: 제 2 스프링
216: 뚜껑
220: 향기 오일 증발용기
230: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
231: 향기 오일 배출구
240: 향기 오일병
300: 하부바디
310: 수용공간
320: 가열공간
330: 관통구
340; 제 1 결합부
350: 제 2 결합부
400: 히터
500: 필터유닛
510: 필터
520: 발열판
600: 물 흡수 기둥
700: 물 흡수 기둥 고정부
910: 초음파 진동자
920: 물 공급부

Claims (10)

  1. 일측으로 수증기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에 형성된 개방구에 삽입되고, 향기 오일을 기화시키도록 구성된 발향유닛;
    상기 상부바디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물을 기화시키는 가열공간을 갖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상기 가열공간에서 상기 상부바디의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기 발향유닛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가열공간에서 상기 히터의 외곽을 감싸고 상기 물을 기화하여 상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발향유닛 외면을 감싸며 필터유닛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발향유닛과 상기 필터유닛 사이에서 상기 발향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구성된, 디퓨저 겸용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물을 흡수하여 상기 가열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필터유닛으로 전달하는 물 흡수 기둥; 및
    상기 물 흡수 기둥을 상기 하부바디에 고정하는 물 흡수 기둥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하부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부바디의 수용공간을 따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하부바디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가열공간까지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된, 디퓨저 겸용 가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물 흡수 고정부와 상기 하부바디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가열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수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의 가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및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상기 물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물을 상기 초음파 진동자로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유닛은,
    상기 향기 오일이 수용된 향기 오일병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향기 오일을 일정량 배출하도록 구성된 향기 오일 배출부;
    상기 향기 오일 배출부와 상기 향기 오일병을 수용하고, 상기 향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일정량 배출된 상기 향기 오일을 수용하는 향기 오일 증발용기; 및
    상기 향기 오일 증발용기 내로 배출된 상기 향기 오일이 기화될 경우, 상기 기화된 향기 오일이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를 포함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오일 배출부는,
    공기구멍과 돌출부를 갖는 공기핀; 및
    상기 공기핀의 돌출부와 밀착되어 향기 오일병을 밀폐시키는 러버; 및
    상기 향기 오일병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향기 오일 증발용기 덮개의 상단을 누를 경우, 상기 향기 오일병이 눌리면서 상기 공기핀이 바닥에 눌렸다가 다시 상승함에 따라 상기 러버와 상기 뚜껑 사이 밀착 부분이 벌어져 벌어진 공간 사이로 상기 향기 오일이 중력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바디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을 전달받아 흡수하는 필터; 및
    상기 히터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를 가열하는 발열판을 포함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물을 포착할 수 있도록 기공을 포함하는, 디퓨저 겸용 가습기.
KR1020200148727A 2020-11-09 2020-11-09 디퓨저 겸용 가습기 KR10250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27A KR102505250B1 (ko) 2020-11-09 2020-11-09 디퓨저 겸용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27A KR102505250B1 (ko) 2020-11-09 2020-11-09 디퓨저 겸용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47A KR20220062947A (ko) 2022-05-17
KR102505250B1 true KR102505250B1 (ko) 2023-03-02

Family

ID=8180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727A KR102505250B1 (ko) 2020-11-09 2020-11-09 디퓨저 겸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784Y1 (ko) * 2003-04-17 2003-07-22 (주)아로마솔루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향발현 장치
KR200454965Y1 (ko) * 2011-05-20 2011-08-08 김충민 전자담배 카트리지
KR102022049B1 (ko) * 2018-10-08 2019-09-18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908A (ja) * 1997-12-25 1999-07-06 Tiger Vacuum Bottle Co Ltd 加湿方法および加湿器
KR100876061B1 (ko) 2008-04-25 2008-12-26 이명순 전열 증발식 가습기
KR101750180B1 (ko) * 2015-12-09 2017-06-22 (주)비케이더블유 스틱 필터형 가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784Y1 (ko) * 2003-04-17 2003-07-22 (주)아로마솔루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향발현 장치
KR200454965Y1 (ko) * 2011-05-20 2011-08-08 김충민 전자담배 카트리지
KR102022049B1 (ko) * 2018-10-08 2019-09-18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47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5755C2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US9457117B2 (en) Emanator element for volatile liquids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JP4800311B2 (ja) 改良された液体液滴プラグおよびスプレーシステム
US4819625A (en) Nebulizer heater
KR100704354B1 (ko) 정전 분무 장치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어
US20180125117A1 (en) Enhanced Modular Electronic Cigarette Assembly with Disposable Elements Including Tanks
KR101377128B1 (ko) 무화된 액적들의 찌끼를 저감시키는 액체무화기구
US20040217188A1 (en) Liquid dispersion device
KR20110006928U (ko) 전자담배
JP2014528764A (ja) 携帯用蒸気発生電子装置および蒸気発生方法
KR200493437Y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전자 담배
KR102505250B1 (ko) 디퓨저 겸용 가습기
JP2023527620A (ja) 液体カプセルとヒータを備えたホルダと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及び装置
US20230292833A1 (en)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System
SK151995A3 (en) The inhalation device
KR101894757B1 (ko) 가열증발식 전기발향기
JP2022518574A (ja) 低排出電子喫煙装置および排出物フィルタ装置
RU2772667C2 (ru)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и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RU2799594C1 (ru) Распылитель электронной сигареты и распылительный узел электронной сигареты
KR20180033664A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200447044Y1 (ko) 살균기능을 향상시킨 가습기
KR20230089212A (ko) 실내용 가습기
JPH07139771A (ja) 加湿器
JPH08313021A (ja) 加湿器
JP2011242062A (ja)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