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212A - 실내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실내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212A
KR20230089212A KR1020210177661A KR20210177661A KR20230089212A KR 20230089212 A KR20230089212 A KR 20230089212A KR 1020210177661 A KR1020210177661 A KR 1020210177661A KR 20210177661 A KR20210177661 A KR 20210177661A KR 20230089212 A KR20230089212 A KR 2023008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heater
discharge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4652B1 (ko
Inventor
강호중
한윤진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Priority to KR102021017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46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을 저장하는 하부파트, 상기 하부파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 가능한 상부파트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트는 물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히터유닛, 상기 히터유닛으로부터 기화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유닛 및 상기 히터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히터유닛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파트에서 양수된 물을 상기 히터유닛의 상부에서 일정한 양을 낙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공급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용 가습기 {INDOOR 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최소화한 실내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습도를 조절하는 기구로 건조한 환경을 개선해줌과 동시에 건조할 때 잘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해준다.
이러한 가습기의 종류에는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하여 미세한 물 입자들을 형성하여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초음파식, 히터로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내보내는 가열식, 물을 적신 매체에 바람을 불어주거나 팬없이 자연 증발시키는 증발식 등이 있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필터링 없이 수증기 자체를 분사하는 방식이므로, 수증기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세균 등이 함께 분무될 수 있어 비위생적이고, 물 분자 내에 세균이 포함되어 분무된다면 공기중에 세균이 이동하여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증발식 가습기는 상온에서의 가습량이 적은 경우 증발되는 필터의 면적을 최대로 넓히기 위하여 모터를 사용하므로, 모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내장된 필터의 세척이 까다롭기 때문에 세척하지 않으면 필터에 세균과 곰팡이가 증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화 하므로, 초음파식 또는 증발식에 비해 전력소비가 심하고, 높은 온도에 의한 화상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가열식 가습기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헝겊 또는 천 소재의 물 흡수 부재에 물을 흡수시킨 후 물의 끓는점 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323호). 그러나, 물 흡수 부재를 사용한 가열식 가습기는 물 흡수 부재에 충분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가습 효율이 떨어지고, 낭비되는 전력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물 흡수 부재를 주기적으로 세척 또는 교체하지 않으면, 물 흡수 부재에서 세균이 번식할 위험이 있고, 물 흡수 부재의 하부에서 기화된 수증기가 물 흡수 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 흡수 부재에 진동을 발생시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물의 수증기화를 효율적으로 진행시켜 가습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 물 흡수 부재를 주기적으로 세척 또는 교체하지 않더라도 세균 번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 및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등록실용신안문헌 0000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3235호 “전열가습기” (2011.04.0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습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동 시 소음을 최소화한 실내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습기 내부 부품들의 물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을 저장하는 하부파트, 상기 하부파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 가능한 상부파트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트는 물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히터유닛, 상기 히터유닛으로부터 기화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유닛 및 상기 히터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히터유닛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파트에서 양수된 물을 상기 히터유닛의 상부에서 일정한 양을 낙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공급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출유닛은,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물공급유닛으로 전달하거나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유닛은, 상부에 공급된 물을 확산시키는 물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유닛은, 물확산부로부터 확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열을 전달하는 히터 스틸, 상기 히터 스틸을 상기 물공급유닛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스틸 고정부 및 상기 히터 스틸과 상기 히터 스틸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물공급유닛은, 공급된 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물 순간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간 저장부는, 물 순간 저장공간에 배치되고, 일정량의 물을 상기 히터유닛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미세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배출유닛의 상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물 순간 저장부로 유도하는 물 유도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유도 트레이는, 상기 배출유닛의 상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물 순간 저장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물 순간 저장부의 양수공간에 배치된 양수부 및 일단이 상기 양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파트로 연장된 양수부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물 순간 저장부는, 상기 물 순간 저장공간의 물이 소정의 양을 넘지 않도록 초과된 물을 배출하는 한계 수위 유지부 및 상기 한계 수위 유지부를 통해 배출된 초과 물을 상기 하부파트로 배출하는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출유닛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방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부는, 상기 히터유닛의 열로 가열되어 액체화됨으로써,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출유닛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오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일부는,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수증기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수증기를 통해 향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파트로부터 양수되거나, 배출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물 순간 저장부에 모이도록 구성되고, 모여진 물이 물 순간 저장부를 통해 물확산부 상부에 일정량으로 낙하되고, 물확산부를 통해 확산되어진 물이 히터유닛의 히팅 면적에 고르게 퍼져 기화되기 때문에 수증기 발생량을 최대화하여 가습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확산부의 메쉬 구조를 통해 기화된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소음이 최소화된 실내용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확산부가 포함된 히터유닛이 다른 구성들로부터 분리되어 물에 담궈 세척할 수 있고, 물확산부는 내부식성의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고, 실내용 가습기의 위생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출유닛에 방향부나 오일이 결합될 수 있고, 방향부 및 오일은 히터유닛의 열로 향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가습과 동시에 방향의 효과를 주는 실내용 가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내용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하부파트 및 상부파트의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도2의 IV-IV'에 따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에 방향부가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IV-IV'에 따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에 오일부가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IV-IV'에 따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 또는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실내용 가습기(1)는 건조한 실내에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며, 실내 습도를 조절하고, 주변에 향기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1)는 물이 저장되는 하부파트(100)와 공급된 물을 가열 후 기화시켜 수증기로 배출하거나 향기를 배출할 수 있는 상부파트(200)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파트(100)는 실내용 가습기(1)의 하부 바디를 구성하며,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그릇 형태로 구성된다.
하부파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트(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파트(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와 크기로 결합된다.
이때, 하부파트(100)는 상부파트(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파트(100)는 원통형 이외에 육면체, 다면체 등 제품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내용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파트(10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파트(200)와 결합되는 상단면은 뚫려 있으며, 바닥면은 막혀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파트(100)는 플라스틱부터 금속까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조 단가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파트(200)는 하부파트(100)와 분리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부파트(200)와 하부파트(100)는 상호 나사산으로 결합되거나, 후크 결합 방식, 자석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물통의 기능을 하는 하부파트(100)가 상부파트(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하부파트(100)의 물 공급 및 세척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부파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닛(210), 물공급유닛(220) 및 히터유닛(230)을 포함한다.
이때, 배출유닛(210)은 기화된 수증기 또는 향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물공급유닛(220)은 물을 히터유닛(23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히터유닛(230)은 물공급유닛(220)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부파트(200)의 배출유닛(210), 물공급유닛(220) 및 히터유닛(230)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분리되어 별도로 세척되거나,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유닛(210)은 물공급유닛(220)의 상부에 얹어지거나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반대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히터유닛(230)은 히터유닛(230)의 히터 스틸 고정부(232)의 외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물공급유닛(220)의 외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후크의 내부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반대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유닛(210), 히터유닛(230) 및 물공급유닛(220)의 결합은 자석 결합방식, 나사산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3은 도2의 하부파트 및 상부파트의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부파트(20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출유닛(210)은 배출구(211),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유닛(210)은 방향부(213) 및 오일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211)는 실내용 가습기(1) 내부에서 기화되어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구(211)는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의 원형 구멍에 삽입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상면에서 원기둥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한다.
배출구(211)의 상면은 수증기의 배출을 위하여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며 이때, 슬릿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호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릿의 형상은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11)는 복수의 슬릿 내측에 원형의 오일부 삽입구(211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오일부 삽입구(211a)에 오일부(214)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오일부 삽입구(211a)의 형상이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되는 오일부(214)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물공급유닛(220)으로 전달하거나 실내용 가습기(1) 내부에서 기화되어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방향부 삽입구(212a)를 포함하고 있으며, 방향부 삽입구(212a)의 밑면 외곽선을 따라 쟁반 형상으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확장된 띠 형상의 구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의 확장된 띠 형상의 구조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거나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을 포함한다. 이때, 슬릿의 형상은 배출구(211)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히터유닛(230)은 물공급유닛(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히터유닛(230)은 물확산부(231), 히터 스틸 고정부(232), 히터 스틸(233), 히터(234) 및 방수부(235)를 포함한다.
히터 스틸 고정부(232)는 히터(234), 히터 스틸(233), 방수부(235) 및 물확산부(231)를 지지하며, 물공급유닛(220)과 히터유닛(23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히터 스틸 고정부(2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유닛(220)과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히터(234), 히터 스틸(233) 및 물확산부(231)의 적층 정렬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 구조물들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스틸 고정부(232)는 히터(234)의 열이 차단되는 단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부(235)는 히터 스틸 고정부(232)와 히터 스틸(233) 사이에 위치하며, 히터 스틸(233)의 외면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 링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방수부(235)는 수분에 의한 곰팡이 또는 세균 번식 등으로부터 안전하도록 내부식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방수부(235)는 히터유닛(230)을 물에 담궈 세척할 때 히터(234)가 수용되어 있는 히터 스틸(233)을 밀폐하기 때문에 히터(234)의 고장 및 부식을 방지한다.
히터 스틸(233)은 물확산부(231)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히터(234)를 수용한다. 또한, 히터 스틸(233)의 하부는 방수부(235) 및 히터 스틸 고정부(232)와 결합된다.
히터 스틸(233)은 히터(234)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한다. 수용공간은 확장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이며, 히터(234)가 삽입되도록 히터(234)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히터(234)는 히터 스틸(233)의 수용공간 하부에서 상부로 수납될 수 있다.
히터 스틸(233)의 수용공간 상면은 히터(234)의 상면에 대응되며, 히터(234)의 열을 전달받아 물을 기화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히터 스틸(233)은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234)는 히터 스틸(233)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히터 스틸(233)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히터(234)는 전류에 의해 직접 열을 발생시키는 저항식 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름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히터(234)는 히터 스틸(233)에 유도 기전력을 유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인덕션 형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물확산부(231)는 히터(234) 및 히터 스틸(233)의 상부에 위치하고, 물공급유닛(220)으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물을 확산시키도록 구성된다.
물확산부(231)는 그릴망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릴망 형태는 복수개의 메쉬를 포함한다. 물확산부(231)로 공급된 물은 그릴망의 메쉬들 사이로 유동되며, 그릴망의 표면장력에 의해 다수의 세부 물줄기들로 분기되어 확산된다. 확산된 물은 히터 스틸(233)의 상면으로 제공되고, 히터 스틸(233)의 열에 의해 수증기로 기화될 수 있다.
물확산부(231)가 메쉬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히터유닛(230)으로부터 기화된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 스틸(233)에서 기화된 수증기는 상승하여 물확산부(231)로 도달되며, 물확산부(231)의 메쉬 구멍들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물확산부(231)를 통과한 수증기들은 물공급유닛(2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며, 배출구(211)와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의 슬릿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 스틸(233)에서부터 외부까지 수증기의 이동경로를 가로막는 구성이 없으므로, 수증기의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수증기의 유동을 가로막는 구성으로 인한 소음이 억제될 수 있다. 소음 억제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만약 본 발명과 같이, 실내용 가습기(1)가 물확산부(231)를 포함하지 않고, 히터 스틸(233)에 물을 공급하는 천 또는 헝겊 재질의 물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히터 스틸(233)에서 기화된 수증기는 천 또는 헝겊 재질의 물공급 부재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천 또는 헝겊 재질의 물공급 부재와 히터 스틸(233) 사이 공간은 수증기압에 의해 압력이 높아지며, 높아진 압력에 의해 천 또는 헝겊 재질의 물공급 부재가 움직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1)는 그릴망 형태의 물확산부(231)를 구비하며, 히터 스틸(233)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상대적으로 통과가 용이한 그릴망을 통과하면 되므로, 물확산부(231)와 히터 스틸(233) 사이에 수증기압이 증가되는 문제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증기압의 증가로 인한 소음발생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물확산부(231)는 히터 스틸(233)과 이격된다. 예를 들어, 물확산부(231)와 히터 스틸(233)은 1mm이내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만약, 물확산부(231)와 히터 스틸(233)의 이격 거리가 1mm를 초과하는 경우, 물확산부(231)와 히터 스틸(233)의 이격 거리가 너무 멀어, 물확산부(231)에서 확산된 물이 히터 스틸(233)에 잘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물확산부(231)와 히터 스틸(233)를 이격시키기 위해 물확산부(231)의 테두리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의 두께에 의해 물확산부(231)의 그릴망은 히터 스틸(233)로부터 이격된다.
물확산부(231)는 물공급유닛(22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확산하여 히터 스틸(233)로 공급하는 구성이므로, 히터 스틸(233)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물확산부(231)는 수분과 열에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확산부(231)는 히터 스틸(23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즉, 물확산부(231)는 히터 스틸(233)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별도로 교체되거나, 세척될 수 있다. 이에, 실내용 가습기(1)의 위생 관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물공급유닛(220)은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유닛(210)과 물을 가열하는 히터유닛(230)의 사이에 위치한다. 물공급유닛(220)은 배출유닛(210) 및 히터유닛(230)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물공급유닛(220)은 상기 하부파트(100)에서 물을 양수하여 히터유닛(23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로부터 공급된 물을 히터유닛(23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낙하 공급한다. 특히, 물공급유닛(220)은 히터유닛(23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도록 물 공급량을 제어한다.
물공급유닛(220)은 물 유도 트레이(221), 양수부(222), 물 순간 저장부(223) 및 양수부 연결 호스(224)를 포함한다.
물공급유닛(220)의 양수부(222) 및 양수부 연결 호스(224)는 하부파트(100)에 저장된 물을 히터유닛(230)의 상부로 양수하도록 구성된다.
양수부 연결 호스(224)는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튜브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파트(100)에 저장된 물을 물공급유닛(220)으로 양수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파트(100) 내부의 측면을 따라 삽입된다. 양수부 연결 호스(224)는 양수부(222)와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부파트(200)를 하부파트(100)로부터 제거했을 때 양수부 연결 호스(22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양수부 연결 호스(224)의 일단은 호스부 물 공급관(223e)을 통해 양수부(222)와 연결되며, 양수부 연결 호스(224)의 타단은 하부파트(100)의 바닥면에 맞닿게 구성된다.
양수부 연결 호스(224)의 타단은 하부파트(100)의 바닥면에 맞닿아 형성됨에 따라 하부파트(100)에 저장된 물의 대부분을 최대한 끌어올려 물 순간 저장부(223)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양수부(222)는 물 순간 저장부(223)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파트(100)에 저장된 물을 양수부 연결 호스(224)를 통해 끌어올려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으로 양수하는 역할을 한다.
양수부(222)는 낮은 위치에 있는 물을 끌어올려 높은 위치에 있는 물 순간 저장부(223)로 전달할 수 있도록 양수 펌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공급유닛(220)의 물 유도 트레이(221)는 하부파트(100)로부터 공급되지 않고,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를 통해 제공되는 물을 물 순간 저장부(223)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물 유도 트레이(221)는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의 방향부 삽입구(212a)의 외곽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슬릿을 통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물 순간 저장부(223)로 전달한다. 이때, 물 유도 트레이(221)는 물 순간 저장부(223)의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지는 물이 이탈없이 물 순간 저장부(223)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물 유도 트레이(221)의 경사면은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의 슬릿 보다 길게 형성되어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물 순간 저장부(223)는 양수부(222) 및 양수부 연결 호스(224)를 통해 양수된 하부파트(100)의 물을 수용하거나, 물 유도 트레이(221)를 통해 상부파트(200)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을 일정량으로 히터유닛(23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공한다.
물 순간 저장부(223)는 링 형상의 유로 형태로 구성되며, 물확장부(231)의 외측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물 순간 저장부(223)의 링 형상의 내측은 비어 있기 때문에 히터유닛(230)으로부터 기화된 수증기는 물 순간 저장부(223)의 내측 구멍을 관통하여 배출유닛(21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물 순간 저장부(223)는 복수의 미세 구멍(223b)을 포함한다. 미세 구멍(223b)은 물 순간 저장부(223)로 전달된 물을 히터유닛(230)의 상부로 일정한 양으로 낙하 공급한다. 이에, 미세 구멍(223b)은 물확산부(231)의 수직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미세 구멍(223b)을 통해 물의 양이 일정하고 미세하게 조절되므로, 수증기의 발생 효율이 증가되며, 히터유닛(230)의 열 낭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공급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한다.
도 5은 도2의 IV-IV'에 따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물 순간 저장부(223)의 양수공간(223c)에 배치된 양수부(222)를 통해 양수된 하부파트(100)의 물은 물 공급관(223d)을 통해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으로 제공된다.
한편,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를 통해 상부파트(200)로 공급된 물은 물 유도 트레이(221)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물 유도 트레이(221)의 경사면의 단부에는 흘러내린 물이 안정적으로 물 순간 저장부(223)로 공급되도록 낙하부(221a)가 구비될 수 있다. 낙하부(221a)는 물 유도 트레이(221)의 경사면 단부로부터 물 순간 저장부(223)의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진 차양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양수부(222)를 통해 제공된 하부파트(100)의 물과 물 유도 트레이(221)를 통해 제공된 상부파트(200)의 물은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에 수용되며, 물 순간 저장공간(223a)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미세 구멍(223b)을 통해 히터유닛(23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 공급된다. 미세 구멍(223b)의 크기 및 개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물은 미세 구멍(223b)을 통해서만 히터유닛(230)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히터유닛(23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일정할 수 있다.
한편,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에 수용된 물이 과도할 경우, 넘쳐 히터유닛(230)으로 유입될 수 있고, 히터유닛(230)에 물이 과공급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 구멍(223b)에 의한 물 공급량 제어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히터유닛(230)에 남은 잔류 수분에 의한 곰팡이 및 세균 번식의 문제도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간 저장부(223)는 한계 수위 유지부(225)및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226)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히터유닛(23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계 수위 유지부(225)는 물 순간 저장부(223)의 외측을 두르고 있는 외벽에 홈 형태로 구성되며,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과 양수공간(223c)을 관통한다.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으로 공급되는 물이 과도하여 수위가 한계 수위 유지부(225)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초과된 물은 한계 수위 유지부(225)를 통해 물 순간 저장부(223)의 양수공간(223c)으로 배출된다.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226)는 한계 수위 유지부(225)와 인접한 양수공간(223c)에 배치되며, 한계 수위 유지부(225)를 통해 배출된 초과 물을 물 순간 저장부(223)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한계 수위 유지부(225)를 통해 배출된 초과 물이 다시 물 공급관(224d)를 통해 물 순간 저장부(223)의 물 순간 저장공간(223a)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226)에 인접하여 가림막(227)이 배치된다.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226)는 하부파트(100)와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226)를 통해 배출된 초과 물은 하부파트(100)에 재공급될 수 있다. 또한, 초과 물이 하부파트(100)로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226)는 튜브형식의 배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1)는 물 순간 저장부(223)를 포함하여 하부파트(100)에서 양수된 물과 상부파트(200)에서 공급된 물이 안정적으로 모일 수 있으며, 히터유닛(23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양으로 낙하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1)는 그릴망 형태의 물확산부(231)를 포함하기 때문에 낙하 공급된 물이 히터 스틸(233)로 확산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히터(234)의 열을 온전히 사용하여 수증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수증기 발생량을 최대화하여 가습효율을 높인 실내용 가습기(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는 물확산부(231)의 메쉬 구조를 통해 기화된 수증기가 배출유닛(210)으로 효과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용 가습기(1) 작동 시 소음이 최소화된 실내용 가습기(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1)는 하부파트(100), 배출유닛(210), 물공급유닛(220) 및 히터유닛(230)이 각각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들이 모두 물에 세척될 수 있으므로, 세척의 용이성이 증대되고, 위생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1)는 방향부(213) 및 오일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습효과와 더불어 방향 효과를 추가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을 위해,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에 방향부가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IV-IV'에 따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향부(213)는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212)의 방향부 삽입구(212a)로 삽입된다. 이때, 방향부(213)의 하단면은 물확산부(231) 상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며, 방향부(213)가 삽입된 후에는 배출구(211)를 다시 결합하여 방향부(213)의 상부가 덮혀질 수 있다.
방향부(213)는 히터유닛(230) 상부에 삽입되어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가열 부재 없이 히터유닛(230)의 열을 이용하여 방향부(213)가 가열될 수 있다.
이때, 방향부(213)는 향초와 같이 열에 의해 액체화됨으로써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향부(213)와 히터유닛(230) 사이에 받침대(213a)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받침대(213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부(213)와 물확산부(231)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구멍이 뚫려 있고, 뚫려 있는 구멍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슬릿을 포함한다.
방향부(213)의 하단에 받침대(213a)가 위치함에 따라 방향부(213)가 물확산부(231)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방향부(213) 밑면의 오염물질로 인한 물확산부(231)의 오염이 방지된다.
받침대(213a)는 방향부 삽입구(212a)를 통해 삽입되기 때문에 방향부 삽입구(212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방향부 삽입구(212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받침대(213a)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지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213a)는 히터유닛(23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열에 강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받침대(213a)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기 때문에 물확산부(231)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받침대(213a)에 의해 막히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방향부(213)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수증기의 배출효율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에 오일부가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IV-IV'에 따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오일부(214)는 배출구(211)의 오일부 삽입구(211a)에 삽입되며,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보관용기(214a) 및 보관용기(214a)에 수용된 오일을 포함한다.
오일은 보관용기(214a) 내부에 저장되어 실내용 가습기(1) 작동 시 기화된 수증기와 함께 향을 제공할 수 있다.
오일부(214)는 히터유닛(230)의 상부에 배치되며, 히터유닛(23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이에, 오일부(214)내에서 향기 입자를 함유하는 공기는 고온 팽창되어 향기의 확산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보관용기(214a)는 배출구(211)에 구비된 오일부 삽입구(211a)에 수용되며, 오일부 삽입구(211a)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관용기(214a)는 오일부 삽입구(211a)의 지름과 거의 동일한 지름의 원통 용기부와 원통 용기부의 상면둘레를 따라 확장된 확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부는 오일부 삽입구(211a)에 삽입되고, 확장부는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보관용기(214a)가 오일부 삽입구(211a)에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보관용기(214a)내의 오일이 히터유닛(230)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보관용기(214a)의 용기부 높이는 배출구(211)의 전체 높이 대비 짧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보관용기(214a)를 오일부 삽입구(211a)로부터 탈착하여 세척할 때 세척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가습기(1)는 하부파트(100)에 수위 센서를 더 구비하고, 히터유닛(2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위 센서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어부는 하부파트(100)에 물이 없는 경우, 히터유닛(230)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만큼 낮추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하부파트(100)에 물이 없는 경우, 오일부(214)의 오일이 기화될 수 있는 최소한의 온도로 히터유닛(230)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며, 이를 통해 실내용 가습기(1)가 디퓨저로만 기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실내용 가습기(1)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에는 방향부(213) 및 오일부(214)가 각각 배출유닛(210)에 위치한 오일부 삽입구(211a) 및 방향부 삽입구(212a)에 삽입되기 때문에 기화된 수증기가 배출유닛(210)을 통해 배출될 때 가습기능 및 방향기능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실내용 가습기
100: 하부파트
200: 상부파트
210: 배출유닛
211: 배출구
211a: 오일부 삽입구
212: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
212a: 방향부 삽입구
213: 방향부
213a: 받침대
214: 오일부
214a: 보관용기
220: 물공급유닛
221: 물 유도 트레이
221a: 낙하부
222: 양수부
223: 물 순간 저장부
223a: 물 순간 저장공간
223b: 미세 구멍
223c: 양수공간
223d: 물 공급관
224: 양수부 연결 호스
225: 한계 수위 유지부
226: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
227: 가림막
230: 히터유닛
231: 물확산부
232: 히터 스틸 고정부
233: 히터 스틸
234: 히터
235: 방수부

Claims (10)

  1. 물을 저장하는 하부파트;
    상기 하부파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 가능한 상부파트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트는,
    물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히터유닛;
    상기 히터유닛으로부터 기화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유닛; 및
    상기 히터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히터유닛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파트에서 양수된 물을 상기 히터유닛의 상부에서 일정한 양을 낙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 및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물공급유닛으로 전달하거나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 및 수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상부에 공급된 물을 확산시키는 물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물확산부로부터 확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열을 전달하는 히터 스틸;
    상기 히터 스틸을 상기 물공급유닛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스틸 고정부; 및
    상기 히터 스틸과 상기 히터 스틸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닛은,
    공급된 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물 순간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간 저장부는,
    물 순간 저장공간에 배치되고, 일정량의 물을 상기 히터유닛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미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배출유닛의 상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물 순간 저장부로 유도하는 물 유도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유도 트레이는,
    상기 배출유닛의 상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물 순간 저장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물 순간 저장부의 양수공간에 배치된 양수부; 및
    일단이 상기 양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파트로 연장된 양수부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8. 제5항에 있어서,
    물 순간 저장부는,
    상기 물 순간 저장공간의 물이 소정의 양을 넘지 않도록 초과된 물을 배출하는 한계 수위 유지부; 및
    상기 한계 수위 유지부를 통해 배출된 초과 물을 상기 하부파트로 배출하는 한계 수위 유지용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방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부는,
    상기 히터유닛의 열로 가열되어 액체화됨으로써,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오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일부는,
    상기 배출유닛을 통해 수증기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수증기를 통해 향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가습기.









KR1020210177661A 2021-12-13 2021-12-13 실내용 가습기 KR10268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61A KR102684652B1 (ko) 2021-12-13 2021-12-13 실내용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61A KR102684652B1 (ko) 2021-12-13 2021-12-13 실내용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12A true KR20230089212A (ko) 2023-06-20
KR102684652B1 KR102684652B1 (ko) 2024-07-12

Family

ID=8699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661A KR102684652B1 (ko) 2021-12-13 2021-12-13 실내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46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A (en) 1836-07-13 John Ruggles Locomotive steam-engine for rail and other roads
JPH07248136A (ja) * 1994-01-20 1995-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吸水型加熱式加湿装置
JPH11178908A (ja) * 1997-12-25 1999-07-06 Tiger Vacuum Bottle Co Ltd 加湿方法および加湿器
JP2005274041A (ja) * 2004-03-25 2005-10-06 Seiichi Futaboshi 加湿装置
KR20080104482A (ko) * 2007-05-28 2008-12-03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101588128B1 (ko) * 2014-07-23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A (en) 1836-07-13 John Ruggles Locomotive steam-engine for rail and other roads
JPH07248136A (ja) * 1994-01-20 1995-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吸水型加熱式加湿装置
JPH11178908A (ja) * 1997-12-25 1999-07-06 Tiger Vacuum Bottle Co Ltd 加湿方法および加湿器
JP2005274041A (ja) * 2004-03-25 2005-10-06 Seiichi Futaboshi 加湿装置
KR20080104482A (ko) * 2007-05-28 2008-12-03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101588128B1 (ko) * 2014-07-23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4652B1 (ko) 2024-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2008B2 (en) Combination warm and cool mist humidifier
JP5097899B2 (ja) 改良された紫外線消毒作用を有する加湿器
EP2047179B1 (en) Humidifeir with controlled heated scent mechanism
RU2395755C2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US6591061B2 (en) Humidifier
US6220579B1 (en) Warm mist humidifier
KR20230089212A (ko) 실내용 가습기
US3510252A (en) Vapor-type humidifier-deodorizer for warm air heating systems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421095B1 (ko) 자연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1096B1 (ko) 자연 기화식 가습기
KR20180126688A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JP2009085482A (ja) 加湿器の排水構造
KR20180014565A (ko) 실내 가습장치
KR101894757B1 (ko) 가열증발식 전기발향기
JP2006170573A (ja) 加湿器
JP3104574B2 (ja) 加湿器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102047673B1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100858285B1 (ko) 훈증기
CN211316436U (zh) 一种空气加湿系统
JP3123392B2 (ja) 加湿器
KR20140037492A (ko) 자연 증발식 가습기
EP4455570A1 (en) Humid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