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565A - 실내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565A
KR20180014565A KR1020160098078A KR20160098078A KR20180014565A KR 20180014565 A KR20180014565 A KR 20180014565A KR 1020160098078 A KR1020160098078 A KR 1020160098078A KR 20160098078 A KR20160098078 A KR 20160098078A KR 20180014565 A KR20180014565 A KR 2018001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ner cylinder
heating
main bod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16009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565A/ko
Publication of KR2018001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565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실내 가습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내용은, 내부가 비어있으며 전면에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내에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재와, 상기 저수부재의 저장된 물에 부유되며 물이 저장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재로 구성되며, 수증기를 발생시켜 상기 본체의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장치; 및 내통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필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고열 가습에 의하므로 열에 의한 멸균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세척이 필요없게 되어 유지가 간편하다. 또한 외부통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되는 내통체 등의 구성품들이 외부로 노출된 형상이므로 구조가 간결하고 항상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 가습장치{Humidification Apparatus}
개시되는 발명은 실내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가습을 위해 사용되는 실내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건조한 공기에 무화된 공기입자를 분사시켜 적정한 습도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와 히터를 이용한 가열가습기로 구분된다.
초음파 가습기는 본체에 착탈되는 물탱크에 저장한 물을 수조로 공급하되, 상기 수조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을 미세 물방울로 변화시켜 이를 송풍팬의 작동으로 공기와 함께 무화 상태로 분무구를 통해 분무되는 것이다.
가열가습기는 수조상에 공급된 물을 히터의 예열로 증기화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에 의해 공기와 함께 무화상태로 분무구를 통해 분무되는 것이다.
국내 출원 20-2010-0001558호, 동 20-2014-0008694호에는 가습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초음파 가습기는 소음이 크고, 자주 세척하여야 하므로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발명은 세척이 필요없고 구조가 간결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내 가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내부가 비어있으며 전면에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내에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재와, 상기 저수부재의 저장된 물에 부유되며 물이 저장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재로 구성되며, 수증기를 발생시켜 상기 본체의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장치; 및 내통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실내 가습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상기 저수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에 뜨며 상기 내통체에 부착되는 부력구; 일측은 저수부재에 통하고 타측은 내통체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재의 물을 흡입하는 펌프로 구성되는 물공급부; 양단이 개구되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것이며, 하단이 상기 내통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본체의 상면 통공에 연결되어 내통체에서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본체의 상면 통공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고열 가습에 의하므로 열에 의한 멸균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세척이 필요없게 되어 유지가 간편하다. 또한 외부통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되는 내통체 등의 구성품들이 외부로 노출된 형상이므로 구조가 간결하고 항상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가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가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가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가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가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의 '가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습장치는, 본체(2)와,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는 증기발생장치(4), 제어부(6), 정수필터(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금속재질의 판재를 연결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되며, 내부가 비어있으며 전면에는 도어(21)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증기발생장치(4)는, 본체(2) 내에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재(42)와, 상기 저수부재(42)의 저장된 물에 부유되며 물이 저장되는 내통체(44)와, 상기 내통체(44)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재(46)로 구성되며, 수증기를 발생시켜 상기 본체(2)의 통공(22)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증기발생장치(4)는, 도 2, 및 도 3,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재(42)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에 뜨며 상기 내통체(44)에 부착되는 부력구(41); 일측은 저수부재(42)에 통하고 타측은 내통체(44)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급수관(452)과, 상기 급수관(452)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재(42)의 물을 흡입하는 펌프(454)로 구성되는 물공급부(45); 양단이 개구되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것이며, 하단이 상기 내통체(44)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본체(2)의 상면 통공(22)에 연결되어 내통체(44)에서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본체(2)의 상면 통공(22)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덕트(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수부재(42)는 본체(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외부의 급수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되어 상시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사각형의 그릇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력구(41)는 상기 저수부재(42)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에 뜨게 된다. 부력구(41)는 내통체(44)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부력구(41)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통체(44)는 부력구(41)에 결합되어 물에 떠있게 된다. 내통체(44)에는 저수부재(42)의 저장된 물이 공급되어 적정한 수위로 저수되도록 한다.
내통체(44)의 상부 일측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421)와, 상기 리미트스위치(421)와 연동되어 온오프 작동되는 급수밸브(423)가 형성된다. 따라서 물이 차오르다가 리미트스위치(421)가 감지하면 급수밸브(423)를 오프시켜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이다.
가열부재(46)는 내통체(44)에 삽입되는 코일관체(462)와, 상기 코일관체(462)의 내부에 삽입되는 열선 및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열부재(46)는 내통체(44)에 형성되어 내통체(44)의 물을 가열하여 끓이게 된다.
가열부재(46)는 보다 전열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코일형상으로 된 코일관체(462)를 사용하는 것이고, 코일관체(462)의 상단에는 설정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셋팅스위치(466)가 형성된다.
통상 물이 끓을 수 있을 정도의 고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가열부재(46)는 100~150℃의 열량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팅스위치는 가열부재(46)의 상단에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방식이 채용되며, 제어부(6)와 연동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물공급부(45)는 도 6을 참조하면, 일측은 저수부재(42)에 통하고 타측은 내통체(44)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급수관(452)과, 상기 급수관(452)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재(42)의 물을 흡입하는 펌프(454)와, 상기 급수관(452)의 토출측에 형성되어 온오프를 제어하는 급수밸브(423)로 구성되어 저수부재(42)의 물을 이동시켜 공급하게 된다.
펌프(454)는 소형 용량이며, 급수관(452)을 통해 저수부재(42)의 물을 흡입하여 내통체(44)에 공급하게 된다.
덕트(47)는 양단이 개구되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상이며 수직되게 설치된다.
덕트(47)의 하단이 상기 내통체(44)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본체(2)의 상면 통공(22)에 연결되어 내통체(44)에서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본체(2)의 상면 통공(22)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한다.
고열의 수증기가 덕트(47)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덕트(47)의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어 외부로 열이 발산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가온시켜 실내난방작용을 하게 된다.
제어부(6)는 본체(2)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재(46)의 온오프, 가열 온도,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가열조절스위치와, 상기 물공급부(45)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물공급스위치 및 설정스위치가 구비된다.
물론 제어부(6)에는 이외에도 여러 가지 필요한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급수관(452)의 일측에 정수필터(8)가 형성된다. 지표수 또는 지하수와 같은 자연수, 상수도 내의 이온성분은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양이온이 포함되어 있고, 이온성분에 따라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반응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자연수, 지표수, 상수도의 경우 경도성분, 즉 칼슘, 마그네슘은 일시적 경도와 영구적 경도로 구분될 수 있다.
정수필터(8)에 사용되는 수지의 용도는 경도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정수필터(8)의 토출측에 연결된 급수관(452)에 결합되어 정수된 물을 예열시키는 히터(89)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89)에서 예열된 물이 내통체(44)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2)의 상면 통공(22)에는 망사체(25)가 결합된다. 망사체(25)는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물질이 통공(22)을 통해 덕트(47)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상면에는 통공(22)의 주변에 형성되며,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부재(7)가 형성된다. 즉 수증기에 직접 닿는 경우 화상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부재(7)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부재(7)는 본체(2)의 상면 통공(22) 주변에 수직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지주(72)와, 상기 복수개의 지주(72)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결합되는 받침판(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74)에는 통공(22)에 대응되는 개구공(740)이 형성되는데 수증기의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 개구공(740)의 크기는 통공(2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72)는 분해 및 조립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지주(72)는 복수개의 봉체(722)와, 각 봉체(722)를 연결하는 소켓(724)으로 구성되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봉체(722)의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소켓(724)과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봉체(722)의 갯수를 가감함으로써 지주(72)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74)은 다수개가 수평으로 지주(72)에 결합되어 받침판(74) 사이에 수증기가 지나갈 수 있는 틈새(t)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받침판(74)은 각기 중앙에 개구공(740)이 형성되며, 상부 받침판(74)의 개구공(740)으로부터 하부 받침판(74)의 개구공(740)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을 저수부재(42)에 저장하고, 물공급부(45)의 펌프(454)를 작동시켜 저수부재(42)의 물이 내통체(44)에 공급되도록 한다.
적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리미트스위치(421)가 내통체(44)의 수위를 감지하면서 급수밸브(423)를 온오프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물공급부(45)에서 토출되는 물은 정수필터(8)를 경유하면서 정수되어 경도성분이 제거되어 연수가 된다.
이렇게 연수된 물이 내통체(44)에 적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고, 가열부재(46)의 작동에 의해 물이 끓게 되고, 발생되는 수증기는 덕트(47)를 통해 본체(2) 상부의 통공(22)으로 배출되어 실내에 수증기가 분사됨으로써 가습작용을 하게 된다.
고온의 수증기가 안전부재(7)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여 수증기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부재(7)를 구성하는 받침판(74)에 화분 등을 올려놓을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를 제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통체(44)의 물이 증발됨에 따라 수위가 낮아지면 급수밸브(423)가 개방되면서 물공급부(45)가 온 작동하여 저수부재(42)의 물을 지속적으로 보충하게 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4 : 증기발생장치
6 : 제어부 8 : 정수필터
41 : 부력구 42 : 저수부재
44 : 내통체 45 : 물공급부
46 : 가열부재 47 : 덕트

Claims (9)

  1. 내부가 비어있으며 전면에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재와, 상기 저수부재의 저장된 물에 부유되며 물이 저장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재로 구성되며, 수증기를 발생시켜 상기 본체의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발생장치;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온오프, 가열 온도,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가열조절스위치와, 물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물공급스위치 및 설정스위치를 구비한 제어부;
    상기 내통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상기 저수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에 뜨며 상기 내통체에 부착되는 부력구;
    일측은 저수부재에 통하고 타측은 내통체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저수부재의 물을 흡입하는 펌프로 구성되는 물공급부;
    양단이 개구되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것이며, 하단이 상기 내통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본체의 상면 통공에 연결되어 내통체에서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본체의 상면 통공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덕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의 토출측에 연결된 급수관에 결합되어 정수된 물을 예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에서 예열된 물이 내통체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는 내통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구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의 상부 일측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와 연동되어 온오프 작동되는 급수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내통체에 삽입되는 코일관체와, 상기 코일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열선 및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통공에 망사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통공의 주변에 형성되며,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본체의 상면 통공 주변에 수직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복수개의 지주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결합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통공에 대응되는 개구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는 복수개의 봉체와, 각 봉체를 연결하는 소켓으로 구성되어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습장치.
KR1020160098078A 2016-08-01 2016-08-01 실내 가습장치 Abandoned KR20180014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078A KR20180014565A (ko) 2016-08-01 2016-08-01 실내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078A KR20180014565A (ko) 2016-08-01 2016-08-01 실내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65A true KR20180014565A (ko) 2018-02-09

Family

ID=6119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078A Abandoned KR20180014565A (ko) 2016-08-01 2016-08-01 실내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5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8008U1 (ru) * 2018-12-29 2019-03-26 Валерий Михайлович Тарабанов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CN112710049A (zh) * 2021-01-22 2021-04-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器
US20220065492A1 (en) * 2020-08-31 2022-03-03 Dirk Niedermann Portable air treatment apparatus
US11767994B2 (en) 2019-12-18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midifier for preventing pollution of humidifying wa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8008U1 (ru) * 2018-12-29 2019-03-26 Валерий Михайлович Тарабанов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US11767994B2 (en) 2019-12-18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midifier for preventing pollution of humidifying water
US20220065492A1 (en) * 2020-08-31 2022-03-03 Dirk Niedermann Portable air treatment apparatus
US12270567B2 (en) * 2020-08-31 2025-04-08 Dirk Niedermann Portable air treatment apparatus
CN112710049A (zh) * 2021-01-22 2021-04-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4565A (ko) 실내 가습장치
KR20130092093A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KR101276044B1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1446643B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JP6186590B2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サウナ装置
KR101346249B1 (ko) 증발식 가습기
KR101553024B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KR200434072Y1 (ko) 매트용 보일러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101348120B1 (ko) 가습기
KR102047673B1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200421625Y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JP2005278782A (ja) 浴室サウナ装置
KR200413313Y1 (ko) 가습기
JP2019124383A (ja) スチーム式加湿器
CN210020277U (zh) 一种新型药材蒸薰装置
KR101113100B1 (ko)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101051492B1 (ko) 온수보일러의 열을 이용한 가습장치
JP5847043B2 (ja) 加湿機構
CN205919450U (zh) 一种红外加湿装置
KR102338822B1 (ko) 복합식 가습기
KR100403853B1 (ko) 쑥 훈증이 가능한 초음파 가습기
KR102303446B1 (ko) 가습기
EP4488576A1 (en) Steam generation system and steam apparatus
KR200383138Y1 (ko) 전기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