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180B1 - 스틱 필터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스틱 필터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180B1
KR101750180B1 KR1020150175333A KR20150175333A KR101750180B1 KR 101750180 B1 KR101750180 B1 KR 101750180B1 KR 1020150175333 A KR1020150175333 A KR 1020150175333A KR 20150175333 A KR20150175333 A KR 20150175333A KR 101750180 B1 KR101750180 B1 KR 10175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ibrator
humidifier
stick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298A (ko
Inventor
김재순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주)비케이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케이더블유 filed Critical (주)비케이더블유
Priority to KR102015017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1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틱 필터형 가습기는, 물통에 설치된 스틱 모양의 워터 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진동자에 의해 입자화 되면, 이를 토출구를 통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진동자와 이격되게 팬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가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자와 팬 사이에는 차단막을 설치하였다. 차단막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진동자에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와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형성된 전원 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물이 지지대로 유입되더라도 쇼트(short)와 전원 차단과 같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틱 필터형 가습기{STICK FILTER TYPE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의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가습입자를 팬(fan)을 구동시켜 외부로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그 내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가습기의 가습력이 향상되도록 한 스틱 필터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일정 공간의 건조한 환경에 습기를 인위적으로 보충해주는 장치로서, 통상 실내 습도를 약 60% ~ 70% 정도로 유지되게 하여 호흡장애와 질병을 예방하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가습기는 가습방식 및 가습기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전기회로에서 발생한 소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가습을 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그러한 초음파를 사용하면서 물통내에 저장된 물을 스틱 모양의 워터 필터를 통해 공급하여 가습하는 가습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물통 내에 스틱모양의 워터 필터가 사용되는 가습기를 스틱 필터형 가습기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상기 스틱 필터형 가습기는 대부분 소형 가습기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이처럼 초음파 가습방식을 사용하면서 스틱 모양의 워터 필터를 이용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보면, 물통 내에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리도록 스틱모양의 워터 필터(1)가 설치되고, 상기 워터 필터(1)의 상단에는 초음파 진동자(2)가 올려져 있다. 그래서 상기 스틱 필터형 가습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초음파 진동자(2)가 떨리면서 초음파가 발생하고, 워터 필터(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초음파에 의해 가습 입자화 되어 토출구(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가습이 이루어지는 원리이다.
하지만, 스틱 필터형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2)에 의해 발생하는 가습입자가 가습부 상단의 토출구(3)를 통해 자연 발생적으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가습입자가 전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습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가습입자가 가습부 내부에 일부 남아있기 때문에 그러한 침전물로 인해 가습기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되는 못하는 또 다른 문제도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틱 필터형 가습기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가습효과를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고, 이로 인해 가습기 내부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구조를 개선하여 가습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65887호(2012. 06. 21. 초음팍 가습기)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의 동작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습입자를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가습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습입자를 가습기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되게 하여 가습기 내부, 즉 진동자 부근에 가습입자로 인한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습기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습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구조도 함께 개선하여 불량율을 최소화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물을 저장하며 내부에는 워터 필터가 설치되는 물통; 케이스와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물통 상단에 결합하며, 상기 워터 필터의 상단 일부가 관통되어 위치하되, 상기 워터 필터의 상단에는 진동자가 장착되는 가습부; 상기 진동자와 이격되어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팬(fan); 그리고 상기 진동자와 상기 팬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차단막은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상기 진동자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통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진동자로 공급하도록 전원 라인이 설치된 가이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물통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에는 하측에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좌/우측면에는 오목 형상의 한 쌍의 전원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물통을 안착하는 안착 홈과, 상기 돌출편이 끼워지도록 상기 안착 홈 내에 형성되는 고정 홈 및, 상기 전원 단자에 끼워지도록 상기 안착 홈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원 커넥터가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스틱 필터형 가습기에 의하면, 진동자의 측면에 팬을 장착하고 진동자와 팬 사이에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진동자에 의해 발생하는 가습입자가 토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팬의 구동에 의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어, 가습 면적이 더 확장되기 때문에 가습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습부 내에 배출되지 못하는 가습입자를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부 내부를 더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대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물이 일정 범위 이내로 흘러들어가더라도 전원 단자로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구조를 개선하고 있어, 전원 단자로 물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초음파 가습방식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틱 필터형 가습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틱필터형 가습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은 소형 가습기로 사용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의 내부에 팬을 설치하여 진동자에 의해 발생하는 가습입자를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하면서 이를 통해 가습기 내부에는 가습입자가 남지 않도록 하여 가습기를 더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틱 필터형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이를 보면 스틱 필터형 가습기(100)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110)과, 물통(110)의 상단과 결합하며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120)와, 물통(110)의 하단에 결합하여 물통(110)을 받치는 지지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물통(110)을 지지대(13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150), 또한 손잡이(150)와 연결되는 가이드(160)가 포함된다. 이들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10) 내에는 스틱형상의 워터 필터(112)가 설치된다. 워터 필터(112)는 물통(11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워터 필터(112)의 하단은 물통(110)의 바닥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또한 워터 필터(112)의 상단은 일부가 가습부(120)의 내부까지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이는 물통(110)에 저장된 물을 가습부(120) 내부에 위치한 진동자(121)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아래에서 설명하지만 진동자(121)는 워터 필터(112)의 상단에 위치하는 형상이다.
물통(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습부(120)는 물통(110)과 일련의 체결방식, 예컨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습부(120)는 진동자(121)가 워터 필터(112)에서 공급되는 물을 입자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가습을 위해 가습부(120)는 스틱필터형 가습기(100)의 상단을 형성하는 돔 형상의 케이스(122), 케이스(122)의 저면을 형성하는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22)에는 상단 중앙에 가습입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23)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면에 한 쌍의 결합구(1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22)의 내부에는 비어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또한, 플레이트(125)는 중앙에 워터 필터(112)의 상단 일부가 관통하도록 관통 홀(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 홀(126)과 이격된 일 방향에는 지지편(127)이 구성되고, 지지편(127)에는 팬(128)이 장착된다. 팬(128)은 외부의 바람이 케이스(12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지지편(127)은 반드시 성형될 필요는 없다. 팬(128)을 감싸는 팬 브라켓이 그 역할을 대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통 홀(126)과 팬(128) 사이에는 차단막(129)이 설치된다. 차단막(129)은 팬(128)의 구동에 의해 내부로 공급되는 바람이 진동자(121)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는 바람이 직접 진동자(121)로 흐르게 될 경우 케이스(122) 내부에는 와류 현상이 발생하여 가습 입자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바람은 차단막(129)의 좌우 측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차단막(129)의 상단 일부는 팬(128)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차단막(129)은 다른 형상으로 얼마든지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통 홀(126)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링 형태의 차단막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슬릿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두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진동자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함은 물론이다. 물론 링 형태로 일정 높이의 차단막을 형성할 경우, 진동자(121)가 워터 필터(112)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가습부(120)의 케이스(122)에는 손잡이(150)가 연결된다. 손잡이(15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에 내측을 향해 형성된 돌출편(151)이 케이스(122)의 결합구(124)에 끼워진다. 그리고 돌출편(151)이 위치한 양 끝단은 내측으로 계단형상의 단부가 형성되고, 아울러 돌출편(151)에는 결합홈(151)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구(124)에 가이드(160)도 함께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위함이다. 즉, 결합구(124)에 손잡이(150)의 돌출편(151)이 끼워지고, 돌출편(151)의 결합홈(152)에 가이드(160)의 돌출편(161)이 순서대로 끼워지면서 결합하는 것이다.
가이드(16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곡선부(162)와 상기 곡선부(162)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163)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형성된 가이드(160)는 물통(110)의 측면과 하면 일부를 둘러싸게 된다. 그리고 곡선부(162)의 중앙에는 돌출편(164)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편(164)은 지지대(130)에 형성된 고정홈(134)에 삽입되어, 물통(110)이 안정되게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돌출편(164)의 좌/우측에는 전원 단자(+)(-)(165)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 단자(+)(-)(165)는 지지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진동자(121)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지지대(130)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도면 미도시)이 설치된다. 즉 전원라인은 전원 단자(+)(-)와 진동자(121)를 연결한다. 여기서 전원단자(+)(-)(165)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통(11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지지대(130)는 물통(110)을 지지하게 된다. 물통(110)과 지지대(130)는 항상 결합하고 있는 상태는 아니고 손잡이(150)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면 쉽게 분리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지지대(130)에는 스틱필터형 가습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패널(180)이 구성된다. 조작패널(180)에는 전원 온/오프 버튼, 타이머 버튼, 가습량 조절버튼 등이 제공된다.
지지대(130)에는 물통(110)을 세워놓을 수 있도록 물통(110)의 하부모양과 대응되는 안착 홈(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 홈(131)에는 물통(110)의 외주면에 결합한 U자 형상의 가이드(160)도 안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안착 홈(131)에는 상기 전원 단자(+)(-)(165)와 대응되는 개소에 전원 커넥터(133)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물통(110)이 지지대(130) 위에 올려지게 되면 전원 커넥터(133)가 전원 단자(+)(-)(165)에 끼워지게 된다. 한 쌍의 전원 커넥터(133) 사이, 즉 안착 홈(131)의 중앙에는 고정 홈(134)이 형성된다. 고정 홈(134)에는 상기 가이드(160)의 돌출편(164)이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30)에 형성된 안착 홈(131) 및 고정 홈(134)으로 인해 가이드(160)가 결합 된 물통(110)은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습기(100)의 구동으로 인해 습기가 물통(110)의 외면을 따라 하 방향으로 낙화하여 안착 홈(131)으로 스며들게 되더라도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커넥터(133)가 안착 홈(131)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면서 아울러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물이나 습기로 인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틱필터형 가습기(10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통(110) 내에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패널(180)을 조작하여 가습기(10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물통(110) 내에 저장된 물은 스틱 모양의 워터 필터(112)를 통해 진동자(121)로 공급된다. 이때 진동자(121)는 전원 공급과 함께 진동하게 되면서 초음파를 발생하게 되고, 이에 워터 필터(11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초음파에 의해 입자화 된다. 이렇게 입자화 된 가습 입자(수분)는 케이스(120)의 상단에 마련된 토출구(123)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 공간을 가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팬(128)이 함께 구동하게 된다. 팬(128)은 플레이트(125)의 일 측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바람을 유입하고 진동자(121)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바람은 차단막(129)에 의해 진동자(121)로 직접 공급되지는 않고 차단막(129)의 좌/우측을 통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케이스(122)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의 압력에 따라 진동자(121)에 의해 만들어진 가습 입자는 토출구(123)를 통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연 발생적으로 가습입자를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켜 가습하는 것보다 더 멀리 가습입자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가습범위를 더 넓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진동자(121)에 의해 발생하는 가습입자는 팬(128)의 구동에 따라 토출구(123)를 통해 충분히 배출되게 된다. 즉 이는 케이스(122) 내에 가습입자가 남는 양이 현저하게 줄어듦을 의미한다. 종래에 자연 발생적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가습입자가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케이스(122) 내에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었다. 이렇게 되면 플레이트(125) 상면에 가습입자가 침전물로 쌓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청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진동자(121)에 의해 만들어진 가습입자를 팬(128)의 구동에 따라 충분히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어 침전물로 인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자(121)에 의해 만들어진 가습입자를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가습성능을 개선하고자 소형 목적으로 사용되는 가습기 내부에 외부 바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팬을 장착한 스틱필터형 가습기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틱 필터형 가습기 110 : 물통
112 : 워터 필터 120 : 가습부
121 : 진동자 122 : 케이스
123 : 토출구 124 : 결합구
125 : 플레이트 126 : 관통홀
127 : 지지편 128 : 팬
129 : 차단막 130 : 지지대
131 : 안착홈 133 : 전원 커넥터
134 : 고정홈 150 : 손잡이
160 : 가이드 164 : 돌출편
165 : 전원단자 180 : 조작패널

Claims (5)

  1. 물을 저장하며 내부에는 워터 필터(112)가 설치되는 물통(110);
    돔 형상이며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면에 한 쌍의 결합구(124)가 형성되는 케이스(122)와 상기 케이스(122)의 저면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의 플레이트(125)로 구성되어 상기 물통(110) 상단과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며, 상기 플레이트(125)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홀(126)을 통해 상기 워터 필터(112)의 상단 일부가 관통되어 위치하고, 상기 워터 필터(112)의 상단에는 진동자(121)가 장착되는 가습부(120);
    상기 가습부(1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홀(12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일 방향의 플레이트(125) 상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바람이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팬(fan)(128);
    상기 가습부(1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팬(128)의 구동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상기 진동자(121)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 홀(126)의 주위를 일정 높이로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막;
    상기 물통(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30);
    상기 물통(110)을 지지대(130)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결합구(124)에 돌출편(151)이 끼움 연결되는 손잡이(150);
    상기 돌출편(151)의 결합홈(152)에 돌출편(161)이 더 끼워져서 연결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진동자(121)로 공급하도록 전원 라인이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1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160)에는 하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전원 단자(165)가 구비된 돌출편(16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30)에는 상기 물통(110)을 안착하는 안착 홈(131)과, 상기 돌출편(164)이 끼워지도록 상기 안착 홈(131) 내에 형성되는 고정 홈(134) 및 상기 안착 홈(131)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전원 단자(165)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전원 커넥터(133)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134)은 상기 한 쌍의 전원 커넥터(13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물통(110)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스틱 필터형 가습기.
  4. 삭제
  5. 삭제
KR1020150175333A 2015-12-09 2015-12-09 스틱 필터형 가습기 KR10175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33A KR101750180B1 (ko) 2015-12-09 2015-12-09 스틱 필터형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33A KR101750180B1 (ko) 2015-12-09 2015-12-09 스틱 필터형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298A KR20170068298A (ko) 2017-06-19
KR101750180B1 true KR101750180B1 (ko) 2017-06-22

Family

ID=5927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333A KR101750180B1 (ko) 2015-12-09 2015-12-09 스틱 필터형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324B1 (ko) * 2018-07-18 2020-06-03 제로웰 주식회사 가습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505250B1 (ko) * 2020-11-09 2023-03-02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디퓨저 겸용 가습기
KR102392688B1 (ko) * 2021-07-23 2022-05-03 (주)제스파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CN118009439A (zh) * 2024-04-07 2024-05-10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一种供热通风与空调工程用加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74B1 (ko) * 2015-05-28 2015-09-14 김정우 초입자 분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74B1 (ko) * 2015-05-28 2015-09-14 김정우 초입자 분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298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180B1 (ko) 스틱 필터형 가습기
EP3022496B1 (en) Floating type humidifier
US9127855B2 (en) Fan assembly
US10066846B2 (en) Floating type humidifier
KR20170051211A (ko) 가습청정장치
JP5156802B2 (ja) 加湿器
JP2018536827A (ja) 垂直型電力伝送方式を用いた浮遊式加湿器
US10060640B2 (en) Floating type humidifier
KR101871268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614879B1 (ko) 초음파 가습기
KR20160083171A (ko) 기화식 및 초음파식 겸용 가습기
JP2016031229A (ja) ファン組立体
KR20170079985A (ko) 가습 겸용 공기 정화 장치
KR101670464B1 (ko) 가습기용 낙수 소음 방지구
KR101916886B1 (ko) 가습기
KR20180068870A (ko) 캡을 이용한 부유식 가습기의 소음 저감 장치
JP6247967B2 (ja) 除電装置
KR101610704B1 (ko) 가습기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0784315B1 (ko) 가습기
WO2023124065A1 (zh) 加湿装置
KR101630627B1 (ko) 생수병 가습기
KR200483926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KR102381724B1 (ko) 가습청정장치
KR20170077644A (ko)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