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688B1 -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688B1
KR102392688B1 KR1020210097117A KR20210097117A KR102392688B1 KR 102392688 B1 KR102392688 B1 KR 102392688B1 KR 1020210097117 A KR1020210097117 A KR 1020210097117A KR 20210097117 A KR20210097117 A KR 20210097117A KR 102392688 B1 KR102392688 B1 KR 102392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vibrator
cradle
disposed
cas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주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주)제스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스파 filed Critical (주)제스파
Priority to KR102021009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래들(100); 상기 크래들(1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에 배치되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100)은, 상기 본체(200)의 좌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샤프트프레임(140); 상기 본체(200)의 우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샤프트프레임(150);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에서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좌측이 거치되는 제 1 거치부(160); 및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에서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우측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200)는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를 연결하는 틸팅축(T)이 형성되는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체가 상기 크래들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틸팅될 수 있고, 상호 걸림을 통해 틸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입자화된 가습공기를 틸팅된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TILTABLE PORTABLE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이 되면 실내의 건조한 공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이 발생하여 건강을 해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분의 공급방식은 그릇에 담아둔 물의 자연 증발식, 물을 데우는 기화식,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물을 작은 입자로 잘개 쪼개서(이하, 입자화) 분사하는 분무식 그리고 바람을 이용하는 자연기화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를 가습하는 장치중 가장 사용이 편리하고 기능이나 성능면에서 매우 우수한 초음파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 가습기는 분무장치인 진동자 및 전자 회로부가 내장된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는 물공급부와, 입자화된 수분이 분사되는 분사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부는 진동자 쪽으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와 적정 수위로 물을 채우기 위한 주입구가 구비되고, 이 주입구에는 물통의 개구부가 위치하도록 끼우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물의 공급과 입자화 과정을 살펴보면, 본체 상부 일측의 물통 안착홈에 물통의 개구부가 위치하도록 끼워 넣으면, 안착홈의 돌기가 물통의 개구부에 장착된 밸브를 물통 내부로 밀어 올려 개방시키면 동시에 물통 내의 물이 안착홈으로 낙하되어 유입되고, 이어서 주입구를 거처 진동자로 이동하여 진동자에 의해 입자화된 수분은 분사관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 중으로 분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음파 가습기는, 물을 장시간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에 대용량 물통이 장착된 구조이기 때문에, 가습기 전체의 크기가 크고 사용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용량 물통 속에 정체(停滯)된 물은 오랜 시간 잠겨 있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자주 세척을 해주어야 하지만, 그 구조가 세척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청결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트,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생수를 직접 이용하는 생수용 가습기들을 제안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559호는 상기 생수용 가습기 중 일부는 일반적인 초음파 가습기의 물통 안착부에 생수병을 거꾸로 꽂을 수 있도록 생수병 연결구를 단순히 변경한 구성으로서, 신선한 맑은 물을 담은 생수병을 새로이 교체하여 사용하므로 항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는 있으나 역시 본체의 크기가 커 보관 및 휴대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생수용 가습기 중 하나는 생수병을 거꾸로 세우지 않고 직접 체결하도록 이루어지고, 초음파 진동자, 급수펌프, 급수필터, 급수관, 송풍팬 등을 장착하여 가습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생수용 가습기 역시 별도의 급수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새로운 생수병을 이용하므로 그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꽂아서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과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고 하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 고가이며 사용이 어렵고, 특히 유량이 크고 작은 생수병에 따라 그 구성에 적합한 부품이 장착된 가습기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55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87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88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002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9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2928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크래들(100); 상기 크래들(1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에 배치되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100)은, 상기 본체(200)의 좌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샤프트프레임(140); 상기 본체(200)의 우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샤프트프레임(150);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에서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좌측이 거치되는 제 1 거치부(160); 및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에서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우측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200)는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를 연결하는 틸팅축(T)이 형성되는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200)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에 제공하는 제 1 필터(410); 및 상기 본체(200)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에 제공하는 제 2 필터(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회전 시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틸팅모듈(240);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회전 시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틸팅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가 삽입되는 제 1 패스(211); 및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거치부(170)가 삽입되는 제 2 패스(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물이 저장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로어케이스(210);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어퍼케이스(220); 상기 로어케이스(210) 및 어퍼케이스(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스(210) 및 어퍼케이스(220) 중 어느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너케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본체가 크래들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틸팅될 수 있고, 상호 걸림을 통해 틸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입자화된 가습공기를 틸팅된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물을 유동시키기 때문에, 초음파진동자에 물을 공급하는데 전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본체에 배치된 틸팅모듈과 크래들에 배치된 거치부가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본체의 청소가 용이하게 물을 재공급하기에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가습디스플레이의 클릭 횟수에 따라 복수개의 제 1 초음파진동자 또는 제 2 초음파진동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사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필터케이스를 통해 필터를 초음파진동자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크래들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0의 내부 부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1의 저면도이다.
도 27은 틸팅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0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크래들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0의 내부 부품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1의 좌측면도이고, 도 24는 도 21의 우측면도이고, 도 25는 도 21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도 21의 저면도이다. 도 27은 틸팅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는 크래들(100)과, 상기 크래들(1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배치되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와, 상기 본체(2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에 제공하는 제 1 필터(410) 와, 상기 본체(2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에 제공하는 제 2 필터(4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크래들(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각도 틸팅될 수 있고, 틸팅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입자화된 물을 틸팅된 방향으로 분사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200)는 물을 입자화시키는 적어도 2개의 초음파진동모듈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초음파진동모듈은 동시에 작동되거나, 어느 하나만 작동되거나, 교대로 작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분무량 및 분사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를 통해 무선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크래들(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크래들샤프트(13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00)은 지면에 안착되는 크래들베이스(110)와, 상기 크래들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200)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크래들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크래들베이스(110)는 지면에 안착되는 로어베이스(112)와, 상기 로어베이스(112)의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베이스(114)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베이스(114)에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이 조립된다.
상기 로어베이스(112)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이고, 상기 어퍼베이스(114)는 하측에 개구된 형상이며, 상하 방향으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은 상기 어퍼베이스(114)에 조립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가습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은 360도 회전된다.
상기 어퍼베이스(114)는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축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베이스(114)는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홈(115)을 형성시키는 축결합부(1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결합부(116)는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상기 축홈(115)을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홈(115)은 홈의 형태로 형성되나 본 실시예와 달리 홀의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축결합부(116)는 하단에서 축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축돌기(1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돌기(117)는 상기 크래들프레임(12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의 하중을 일부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베이스(114)는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터(1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118)는 상기 축결합부(116)의 하단에서 축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118)는 상기 축돌기(117)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118)가 상기 본체(200) 및 크래들프레임(120)의 하중 대부분을 지지한다.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결합부(116)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크래들샤프트(130)와, 상기 크래들샤프트(130)에서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200)의 좌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샤프트프레임(140)과, 상기 크래들샤프트(13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200)의 우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샤프트프레임(150)과,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에서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좌측이 거치되는 제 1 거치부(160)와,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에서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우측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거치부(160)는 제 1 샤프트프레임(140)와 일체로 제작된 거치베이스(162)와, 상기 거치베이스(162)에 체결 조립되는 조립거치부재(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거치부(170)는 제 2 샤프트프레임(150)와 일체로 제작된 거치베이스(172)와, 상기 거치베이스(172)에 체결 조립되는 조립거치부재(17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거치부(170)는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의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또는 "제 2"의 접두어를 붙여 구분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래들프레임(120)은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8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연결프레임(180)이 배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크래들샤프트(130)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결합부(116)의 축홈(115)에 삽입되며, 상기 크래들샤프트(130)의 하단이 상기 서포터(118)에 지지된다.
상기 크래들샤프트(13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샤프트(130)는 상기 축돌기(117)와 상하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축걸림부(13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축결합부(116)는 상기 축걸림부(137)가 삽입되는 걸림슬릿(119)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슬릿(119)은 상기 축결합부(116)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슬릿(119)은 홈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걸림슬릿(119)은 축돌기(117)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걸림부(137)가 상기 걸림슬릿(119)에 삽입되어 상기 축돌기(117)와 상호 걸림된다.
상기 크래들샤프트(130)의 밑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118)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방향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샤프트(130)가 회전될 때, 상기 축걸림부(137) 및 걸림슬릿(119)은 상호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걸림슬릿(119)은 360 미만의 소정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각도 이상 회전될 경우, 축결합부(116)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은 좌우 대칭이고,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도 좌우 대칭이다.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크래들(100)은,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의 내측면(140a)(150a)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너프레임(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190)은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의 내측면(140a)(150a)과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프레임(190)은 상기 거치프레임(12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190)의 좌측이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연결되고, 우측이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연결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너프레임(190)은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의 중간에 연결된다.
상기 이너프레임(190)이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에 연결됨으로써, 거치프레임(120)의 구조적 강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가 본체(200)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이너프레임(190)이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의 처짐 및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80)은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의 상측을 연결하고 변형을 최소화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80)이 없을 경우, 상기 본체(200)가 거치되며,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및 제 2 샤프트프레임(150)의 상측을 연결이 좌우 방향으로 벌어져 거치된 본체(200)가 분리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프레임(190)은 상기 연결프레임(180)의 내측면(180a)을 따라 연장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의 하측에 배치된 이너프레임을 로어이너프레임(191)이라 하고, 상측에 배치된 이너프레임을 어퍼이너프레임(192)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은 상측을 향해 개구된 호 형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는 상측으로 개구된 반원 형상이다.
상기 제 1 거치부(160)는 상기 이너프레임(190)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상기 제 2 거치부(17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거치부(170)는 상기 이너프레임(190)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상기 제 1 거치부(160) 측으로 돌출된다.
내측에 형성된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의 오목한 홈에 상기 본체(200)가 거치된다.
상기 본체(200)는, 물이 저장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로어케이스(210)와,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어퍼케이스(220)와, 상기 로어케이스(210) 및 어퍼케이스(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스(210) 및 어퍼케이스(220) 중 어느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너케이스(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케이스(210)는 상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된다.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내부 공간을 저장공간(215)으로 정의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며, 회전 시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틸팅모듈(240)과,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며, 회전 시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틸팅모듈(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로어케이스(210)는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가 삽입되는 제 1 패스(211)와,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거치부(170)가 삽입되는 제 2 패스(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스(211) 및 제 2 패스(212)는 상하 길게 연장된 홈 형태이다.
상기 제 1 패스(211)의 하단 폭(W1)이 상단 폭(W2)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스(212)도 하단 폭(W1)이 상단 폭(W2)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폭의 차(W1 - W2)를 통해 상기 거치부(160)(170)의 삽입이 용이하다. 상기 제 1 패스(211) 및 제 2 패스(212)의 상하단 폭이 같을 경우, 거치부(160)170)가 삽입될 때, 걸림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스(21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이 하측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2 패스(21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이 하측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1 패스(211)의 상측에 상기 제 1 틸팅모듈(240)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패스(212)의 상측에 상기 제 2 틸팅모듈(25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모듈(240) 및 제 2 틸팅모듈(250)은 좌우 대칭이다.
상기 제 1 틸팅모듈(240)은 상기 로어케이스(21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틸팅방향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간섭디스크(242)와,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42) 또는 로어케이스(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42)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때,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상호 간섭을 형성하여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틸팅각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24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틸팅모듈(250)은 상기 로어케이스(21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틸팅방향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간섭디스크(252)와, 상기 제 2 간섭디스크(252) 또는 로어케이스(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간섭디스크(252)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때,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상호 간섭을 형성하여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틸팅각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2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52) 및 제 2 간섭디스크(252)의 중심을 관통하여 틸팅축(T)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축(T)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틸팅축(T)은 상기 본체(200)의 전후 방향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틸팅축(T)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토퍼(244)는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42)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42)는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간섭돌기(243)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거치부(16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간섭돌기(243)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거치돌기(163)가 배치된다.
상기 간섭돌기(243)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거치돌기(163)도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거치돌기(163)는 전방 측에 배치된 프론트 거치돌기(163a)와, 후방 측에 배치된 리어 거치돌기(163b)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거치돌기(163a) 및 리어 거치돌기(163b)는 상기 조립거치부재(164)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거치돌기(163a) 및 리어 거치돌기(163b)는 상기 본체(200)의 틸팅축(T)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42)에 대해 프론트 거치돌기(163a) 및 리어 거치돌기(163b) 각각이 상호 간섭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200)의 틸팅 후 틸팅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간섭돌기(243) 및 거치돌기(163)는 적어도 선접촉되어 전후 방향 회전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스토퍼(244)는 거치베이스(162) 또는 조립거치부재(164) 중 어느 하나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거치부재(164)의 전방 상측단 또는 후방 상측단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틸팅모듈(250)은 상기 제 1 틸팅모듈(240)과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케이스(220) 및 이너케이스(500)는 조립되어 일체화된다. 그래서 상기 어퍼케이스(220)를 로어케이스(210)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이너케이스(500)도 상기 어퍼케이스(220)와 함께 분리된다.
상기 어퍼케이스(22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고,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어퍼케이스(220)는 입자화된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는 어퍼케이스(22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200)의 틸팅 시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의 토출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가 틸팅축(T)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틸팅될 경우,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는 전방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200)가 틸팅축(T)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틸팅될 경우,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는 후방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의 배열방향은 상기 틸팅축(T)과 평행하다.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는 상기 틸팅축(T)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500)는 상기 어퍼케이스(220)에 조립되어 상기 어퍼케이스(220)의 개구된 하측면을 폐쇄한다.
상기 어퍼케이스(220) 및 이너케이스(5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설치공간(225)으로 정의한다. 상기 이너케이스(500)의 상측에 상기 설치공간(225)이 배치되고, 하측에 상기 저장공간(215)이 배치된다.
상기 저장공간(215) 및 설치공간(225)은 상기 이너케이스(500)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설치공간(225)에는 가습공기를 생성시키는 초음파진동자를 비롯한 부품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상기 설치공간(225)에 배치되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와, 상기 설치공간(22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330)와, 상기 어퍼케이스(22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모듈(340)과, 상기 어퍼케이스(220)에 배치되고,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350)와, 상기 설치공간(22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제 2 초음파진동자(320) 및 배터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는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1 초음파진동자(310)가 제 1 토출구(221)와 연통되고, 제 2 초음파진동자(320)가 제 2 토출구(222)와 연통된다.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는 어퍼케이스(220)의 내부 상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를 밀폐시키며, 입자화된 공기가 상기 설치공간(225)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는 저면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진동시켜 입자화된 물을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로 토출한다.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후방 측에 상기 배터리(330)가 배치된다. 상기 틸팅축(T)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가 배치되고, 후방에 상기 배터리(330)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33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무게배분을 통해 본체(200)의 틸팅 시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전후 방향 틸팅 시에도 전후 방향 어느 한쪽에 무게가 치우쳐 본체(2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30)는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된다. 상기 어퍼케이스(220)의 배면에 상기 배터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C 타입 충전포트(331)가 배치된다. 상기 충전포트(331)의 타입 및 형태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인쇄회로기판(361)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1)은 상기 이너케이스(500)에 조립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61) 상측에 상기 배터리(330)가 거치되고, 저면에 램프(450)가 배치된다. 상기 램프(45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는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램프(450)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500)는, 설치공간(225) 및 저장공간(215)을 구획하는 구획판(550)과, 상기 구획판(5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필터(410)가 조립되는 제 1 필터설치부(510)와, 상기 구획판(5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필터(420)가 조립되는 제 2 필터설치부(520)와, 상기 구획판(5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가 배치되는 제 1 진동자설치부(530)와, 상기 구획판(5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가 배치되는 제 2 진동자설치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케이스(500)를 구성하는 구획판(550), 제 1 필터설치부(510), 제 2 필터설치부(520), 제 1 진동자설치부(530), 제 2 진동자설치부(540)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고, 이를 통해 제작비용 조립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550) 및 로어케이스(21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450)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구획판(550)을 통과하며 저장공간(215)의 수면으로 투사될 수 있다.
투사된 빛은 수면에서 반사 또는 확산되어 무드등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설치부(510)의 상측에 상기 제 1 진동자설치부(53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필터설치부(520)의 상측에 상기 제 2 진동자설치부(540)가 배치된다.
제 1 필터설치부(510) 및 제 1 진동자설치부(530)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이를 통해 저장공간(215)에 저장된 물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 2 필터설치부(520) 및 제 2 진동자설치부(540)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이를 통해 저장공간(215)에 저장된 물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설치부(510) 및 제 1 진동자설치부(530)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중공(51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터설치부(520) 및 제 2 진동자설치부(540)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중공(525)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중공(515) 및 제 2 중공(525)은 직선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중공(515)의 상측을 제 1 초음파진동자(310)가 커버하고, 상기 제 1 중공(515)의 하측을 통해 상기 제 1 필터(410)가 상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필터(410)의 상단이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중공(525)의 상측을 제 2 초음파진동자(320)가 커버하고, 상기 제 2 중공(525)의 하측을 통해 상기 제 2 필터(420)가 상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 2 필터(420)의 상단이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는 부직포 또는 코튼과 같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고,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215)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현상을 통해 상기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의 하측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저장공간(215)의 물에 잠기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215)의 물은 상기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을 따라 유동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진동자(310)(320)들의 저면에는 여과된 물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필터설치부(510)에 조립되어 상기 제 1 필터(410)를 지지하는 제 1 필터케이스(560)와, 상기 제 2 필터설치부(520)에 조립되어 상기 제 2 필터(420)를 지지하는 제 2 필터케이스(57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필터케이스(560) 및 제 2 필터케이스(57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필터케이스(560)의 상측에 개구된 제 1 케이스개구면(56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터케이스(570)의 상측에 개구된 제 2 케이스개구면(57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스개구면(565)을 통해 상기 제 1 필터설치부(510)의 하단이 삽입되어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개구면(575)을 통해 상기 제 2 필터설치부(520)의 하단이 삽입되어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필터케이스(560)는 내측 및 외측을 관통하는 제 1 유입구(56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입구(561)를 통해 저장공간(215)의 물이 상기 제 1 필터케이스(5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구(561)는 제 1 필터케이스(5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장공간(215)의 수위가 변하더라도 다양한 높이에서 물을 흡입할 수 있다.
특히, 수위가 높은 경우, 제일 상측에 배치된 유입구에서 물이 흡입되기 때문에, 필터의 상단까지 물이 유동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습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단에만 유입구가 배치될 경우 필터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물이 유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동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제 2 필터케이스(570)는 내측 및 외측을 관통하는 제 2 유입구(57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입구(571)를 통해 저장공간(215)의 물이 상기 제 2 필터케이스(57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입구(57)는 제 2 필터케이스(5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케이스(560)는 상기 제 1 필터(41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필터설치부(510)와의 조립 시 상기 제 1 필터(410)를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저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1 초음파진동자(310)와의 조립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케이스(570)는 상기 제 2 필터(42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필터설치부(520)와의 조립 시 상기 제 2 필터(420)를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저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2 초음파진동자(320)와의 조립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340)은 상기 어퍼케이스(2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진동자설치부(530) 및 제 2 진동자설치부(540) 사이에 배치되는 모듈케이스(342)와, 상기 모듈케이스(342)에 조립되고, 상기 어퍼케이스(2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케이스(344)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케이스(34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모듈회전축(345)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케이스(344)는 상기 모듈회전축(345)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상측 배면에 제 1 스위치가 배치되고, 하측 배면에 제 2 스위치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사이 모듈케이스(342)에 설치된다.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상측 회전 및 하측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 또는 제 2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고, 제 1 스위치 또는 제 2 스위치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360)에 전달된다.
상기 모듈케이스(342)는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기둥 형상이다.
상기 모듈케이스(342)의 좌측면이 상기 제 1 진동자설치부(530)에 밀착되고, 우측면이 상기 제 2 진동자설치부(540)에 밀착된다.
상기 모듈케이스(342)는 상기 제 1 진동자설치부(530) 및 제 2 진동자설치부(54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진동자설치부(530) 및 제 2 진동자설치부(540)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의 조립 시 상기 모듈케이스(342)가 제 1 진동자설치부(530) 및 제 2 진동자설치부(540)를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350)는 가습디스플레이(351)와, 조명디스플레이(352)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디스플레이(351)는 물방울 모양이고, 상기 조명디스플레이(352) 해 모양이다.
상기 가습디스플레이(351) 및 조명디스플레이(352)는 아이콘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가습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습디스플레이(351) 및 조명디스플레이(352)의 후방 측에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각각 발광체(미도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발광체는 LED가 사용된다.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는 틸팅축(T)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모세관현상을 통해 필터(410)(420)를 따라 초음파진동자로 물이 유동되기 때문에 본체(200)가 기울어지더라도 저장된 물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충전가능한 배터리(330)가 내장되기 때문에, 전원을 직접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도 가습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공간(215)에는 550ml의 물이 저장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가습디스플레이(351)를 1번 누를 경우(제 1 클릭), 제어부(360)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모두 작동시키고,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에서 모두 입자화된 가습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제 1 클릭 시 최대 6시간 정도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클릭에 따른 동작은, 듀얼분사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클릭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가습디스플레이(351)를 1번 더 누를 경우(제 2 클릭, 가습분사모드 또는 싱글분사모드로 지칭될 수 있음), 제어부(360)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교대로 작동시키고,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에서 교대로 입자화된 가습공기가 토출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제1 작동주기(예를 들면, 3-5초)마다 제 1 토출구(221) 및 제 2 토출구(222)에서 교대로 입자화된 가습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클릭 시 최대 8시간 정도의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클릭에 따른 동작은, 교차분사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작동주기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에 대하여 서로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총 작동시간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을 내부에 내장된 메모리(internel memory)에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총 작동시간과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 사이의 차분 시간(항상 총 작동시간이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차분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음)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360)는, 교차분사모드에서,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총 작동시간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에 기초하여,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작동주기와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작동주기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제1 초음파진동자(310)의 작동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1085425304-pat00001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제1 초음파진동자(310)의 작동주기(T1, sec)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총 작동시간(L1, sec),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L2, sec), 및 비례상수(k)에 따라 결정되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L2, sec)이 길수록 더 길게 결정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360)는,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제2 초음파진동자(320)의 작동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1085425304-pat00002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제2 초음파진동자(320)의 작동주기(T2, sec)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총 작동시간(L1, sec),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L2, sec), 및 비례상수(k)에 따라 결정되며, 수학식 2에서와 같이, 제 1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L1, sec)이 길수록 더 길게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서 비례상수(k)는 상술한 제1 작동 주기의 두배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제1 초음파진동자(310)와 제2 초음파진동자(320)가 한번씩 작동하였을 때의 작동주기는 변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총 작동시간과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 사이의 차분 시간(항상 총 작동시간이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차분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음)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360)는, 교차분사모드에서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작동 주기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작동 주기를 서로 동일하게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교차분사모드에서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총 작동시간과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총 작동시간 사이의 차분 시간을 기초로하여 필요에 따라 제 1 초음파진동자(310)의 작동 주기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의 작동 주기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초음파진동자가 다른 하나보다 과도하게 동작하여 수명저하를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고, 2개의 초음파진동자(310, 320)가 서로 일정한 수명을 갖도록 동작하도록 유지함으로써 상품 전체의 수명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2 클릭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가습디스플레이(351)를 1번 더 누를 경우(제 3 클릭), 제어부(360)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또는 제 2 초음파진동자(320)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고, 다른 하나를 정지시키며, 제 1 토출구(221) 또는 제 2 토출구(222) 중 어느 하나에서만 입자화된 가습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제 3 클릭 시 최대 12시간 정도의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클릭에 따른 동작은, 단일분사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 3 클릭 시,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또는 제 2 초음파진동자(320) 중 어느 하나만 노후화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360)는 전원이 오프된 후 재가동될 때마다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 교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클릭에서 제 1 초음파진동자(310)가 작동되고, 전원 오프 후 재가동 시에 제 3 클릭이 다시 작동되면,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대신에 제 2 초음파진동자(320)가 작동된다.
같은 방식으로, 제 3 클릭에서 제 2 초음파진동자(320)가 작동되고, 전원 오프 후 재가동 시에 제 3 클릭이 다시 작동되면, 제 2 초음파진동자(320) 대신에 제 1 초음파진동자(310)가 작동된다.
제3 클릭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가습디스플레이(351)를 1번 더 누를 경우(제 4 클릭), 제어부(360)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 및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모두 정지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조명디스플레이(352)를 1번 누를 경우(제 1 클릭), 제어부(360)는 램프(450)를 제 1 단계로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계는 램프(450)을 "약"단계로 작동시킨다.
조명디스플레이(352)에 대한 제1 클릭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조명디스플레이(352)를 1번 더 누를 경우(제 2 클릭), 제어부(360)는 램프(450)를 제 2 단계로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단계는 램프(450)을 "중"단계로 작동시킨다.
조명디스플레이(352)에 대한 제2 클릭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조명디스플레이(352)를 1번 더 누를 경우(제 3 클릭), 제어부(360)는 램프(450)를 제 3 단계로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단계는 램프(450)을 "강"단계로 작동시킨다.
조명디스플레이(352)에 대한 제3 클릭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케이스(344)의 조명디스플레이(352)를 1번 더 누를 경우(제 4 클릭), 제어부(360)는 램프(450)를 제 4 단계로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4 단계는 램프(450)을 "오프"단계로 작동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크래들 110 : 크래들베이스
120 : 프래들프레임 130 : 크래들샤프트
140 : 제 1 샤프트프레임 150 : 제 2 샤프트프레임
160 : 제 1 거치부 170 : 제 2 거치부
200 : 본체 210 : 로어케이스
220 : 어퍼케이스 240 : 제 1 틸팅모듈
250 : 제 2 틸팅모듈 310 : 제 1 초음파진동자
320 : 제 2 초음파진동자 330 : 배터리
340 : 조작모듈 350 : 디스플레이
360 : 제어부 410 : 제 1 필터
420 : 제 2 필터 450 : 램프
500 : 이너케이스 510 : 제 1 필터설치부
520 : 제 2 필터설치부 530 : 제 1 진동자설치부
540 : 제 2 진동자설치부 550 : 구획판

Claims (5)

  1. 크래들(100);
    상기 크래들(1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200);
    상기 본체(200)에 배치되는 제 1 초음파진동자(310)와 제 2 초음파진동자(320);
    상기 본체(200)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에 제공하는 제 1 필터(410); 및
    상기 본체(200)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에 제공하는 제 2 필터(420);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100)은,
    상기 본체(200)의 좌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샤프트프레임(140);
    상기 본체(200)의 우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샤프트프레임(150);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에서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좌측이 거치되는 제 1 거치부(160); 및
    상기 제 2 샤프트프레임(150)에서 상기 제 1 샤프트프레임(14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200)의 우측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200)는 상기 제 1 거치부(160) 및 제 2 거치부(170)를 연결하는 틸팅축(T)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00)는,
    물이 저장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로어케이스(210);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어퍼케이스(220); 및
    상기 로어케이스(210) 및 어퍼케이스(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스(210) 및 어퍼케이스(220) 중 어느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너케이스(500);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케이스(210)는,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가 삽입되는 제 1 패스(211);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거치부(170)가 삽입되는 제 2 패스(212);
    상기 제 1 패스(211)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틸팅모듈(240); 및
    상기 제 2 패스(212)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거치부(17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틸팅모듈(25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틸팅모듈(240)은,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틸팅방향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간섭돌기(243)들이 배치되고, 상기 간섭돌기(243)들이 상기 제 1 거치부(160)의 내주면에서 전방 측으로 배치된 프론트 거치돌기(163a) 및 후방 측으로 배치된 리어 거치돌기(163b)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간섭디스크(242)와,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4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간섭디스크(242)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때, 상기 제 1 거치부(160)와 상호 간섭을 형성하여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틸팅각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2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틸팅모듈(250)은 상기 제 1 틸팅모듈(240)과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고,
    상기 어퍼케이스(220)와 상기 이너케이스(500)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225)에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 및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와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60)가 배치되고,
    상기 로어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한 저장공간(215)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이너케이스(500)는,
    상기 설치공간(225) 및 상기 저장공간(215)을 구획하는 구획판(550)과, 상기 구획판(5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필터(410)가 조립되는 제 1 필터설치부(510)와, 상기 구획판(5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필터(420)가 조립되는 제 2 필터설치부(520)와, 상기 구획판(5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가 배치되는 제 1 진동자설치부(530)와, 상기 구획판(5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가 배치되는 제 2 진동자설치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60)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361)의 일 면에 램프(450)가 배치되고,
    상기 구획판(550)과 상기 로어케이스(21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램프(450)에서 발생되는 빛이 상기 구획판(550)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공간(215)의 수면으로 투사되고,
    상기 제어부(360)는,
    듀얼 분사 모드에서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와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모두 작동시키고,
    교차 분사 모드에서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310)와 상기 제 2 초음파진동자(320)를 미리 설정된 제1 작동주기마다 교번하여 작동시키는,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97117A 2021-07-23 2021-07-23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KR10239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117A KR102392688B1 (ko) 2021-07-23 2021-07-23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117A KR102392688B1 (ko) 2021-07-23 2021-07-23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688B1 true KR102392688B1 (ko) 2022-05-03

Family

ID=8159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117A KR102392688B1 (ko) 2021-07-23 2021-07-23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68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028Y1 (ko) 2002-01-09 2002-03-27 주식회사 일진바이닉스 음료수용기를 수조로 이용하는 가습기
KR200271923Y1 (ko) 2002-01-29 2002-04-12 고산기업주식회사 가습기
JP2002286284A (ja) * 2001-03-26 2002-10-03 Toyoda Gosei Co Ltd 摺動抵抗装置
KR200381874Y1 (ko) 2005-02-03 2005-04-15 주식회사 프로네트텔레콤 휴대용 다기능 가습기
KR200411889Y1 (ko) 2005-12-05 2006-03-21 서순교 휴대용 가습기
KR20090092928A (ko) 2008-02-28 2009-09-02 안종훈 꽂이형 가습기
KR200446559Y1 (ko) 2007-11-15 2009-11-12 우리텍 주식회사 휴대용 가습기
KR20140103752A (ko) * 2013-02-19 2014-08-27 주식회사 더블유케이마케팅 다공 가습기
KR20170068298A (ko) * 2015-12-09 2017-06-19 (주)비케이더블유 스틱 필터형 가습기
KR20180112373A (ko) * 2017-04-03 2018-10-12 이욱 소형 가습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284A (ja) * 2001-03-26 2002-10-03 Toyoda Gosei Co Ltd 摺動抵抗装置
KR200270028Y1 (ko) 2002-01-09 2002-03-27 주식회사 일진바이닉스 음료수용기를 수조로 이용하는 가습기
KR200271923Y1 (ko) 2002-01-29 2002-04-12 고산기업주식회사 가습기
KR200381874Y1 (ko) 2005-02-03 2005-04-15 주식회사 프로네트텔레콤 휴대용 다기능 가습기
KR200411889Y1 (ko) 2005-12-05 2006-03-21 서순교 휴대용 가습기
KR200446559Y1 (ko) 2007-11-15 2009-11-12 우리텍 주식회사 휴대용 가습기
KR20090092928A (ko) 2008-02-28 2009-09-02 안종훈 꽂이형 가습기
KR20140103752A (ko) * 2013-02-19 2014-08-27 주식회사 더블유케이마케팅 다공 가습기
KR20170068298A (ko) * 2015-12-09 2017-06-19 (주)비케이더블유 스틱 필터형 가습기
KR20180112373A (ko) * 2017-04-03 2018-10-12 이욱 소형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8952B2 (en)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US10203123B2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20170051176A (ko) 가습청정장치
US1005432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71268B1 (ko) 가습청정장치
JP7328708B2 (ja) 加湿器
CN112923465B (zh) 加湿净化装置
CN206522896U (zh) 一种新型加湿器
JP2013050290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102392688B1 (ko) 틸팅 가능한 휴대용 가습기
KR200263133Y1 (ko) 필터 기화식 가습기
JP2013032867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2016194394A (ja) 加湿装置
KR20170051243A (ko) 가습청정장치
US20170122591A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JP5824655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2003106578A (ja) 加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暖房機器
KR101304113B1 (ko) 가습기 및 그의 탱크
RU183064U1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KR20180109790A (ko) 가습청정장치
JP3591462B2 (ja) 加湿器
CN208129449U (zh) 一种具有雾化功能的抽吸装置及电子烟
CN209655495U (zh) 一种便携式加湿器
KR20120113026A (ko) 가습장치
KR101826869B1 (ko)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