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664A - 고온 살균 가습키트 - Google Patents

고온 살균 가습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664A
KR20180033664A KR1020160122910A KR20160122910A KR20180033664A KR 20180033664 A KR20180033664 A KR 20180033664A KR 1020160122910 A KR1020160122910 A KR 1020160122910A KR 20160122910 A KR20160122910 A KR 20160122910A KR 20180033664 A KR20180033664 A KR 2018003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ying
heating
ki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673B1 (ko
Inventor
박승희
Original Assignee
박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희 filed Critical 박승희
Priority to KR102016012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2003/166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살균 가습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나 가습기, 에어워셔 등에 설치하여 고온으로 살균처리된 수증기를 제공하므로 주변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 및 가습함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물을 수용가능한 저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류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급수단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기화상태인 수증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가습용기체와; 상기 가습용기체의 하부영역을 부분적으로 수용 지지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의 일면에 면 접촉상태를 이루도록 매립 설치된 히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저류공간 내 물을 기화시킬 수 있게 가열하는 키트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에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저류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장형성되는 절곡단부를 포함하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온 살균 가습키트 {High-Temperature Sterilizing Humidification Kit}
본 발명은 고온 살균 가습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나 가습기, 에어워셔 등에 설치하여 고온으로 살균처리된 수증기를 제공하므로 주변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 및 가습하는 것이 가능한 고온 살균 가습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가 유지되어야만 실내생활에 호흡장애 및 질병 등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간을 쾌적한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 적당한 증기요소를 가하여 공기 속의 습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습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가습기기에는 청정화된 공기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여과기능을 동반하는 송풍장치는 물론 공기에 여과 및 가습 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가습키트가 활용되고 있으며, 가습방식 중에서도 상대습도에 따라 40~60%정도의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기화 가습방식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습기기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89823호(2014.04.29.)에는 물이 충진된 물탱크가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에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작동공간이 분무부와 송풍부로 구획,분할되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격벽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분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통기공을 서로 연결하는 작동관이 설치된 가습기 본체;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는 펌프와 상기 물탱크에 충진된 물을 상기 펌프로 전달하는 전달관과 상기 물탱크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작동관 내부에 분무시키되, 단부에 마련되는 분사노즐이 상기 배출구를 바라보도록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 분무관을 포함하는 분무장치;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관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작동관에 설치되는 고주파 발생기로 구성됨에 따라 고주파 발생기로 살균된 물입자를 분사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가습기기에 적용되는 가습키트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858호(2013.03.04.)에는 마개에 의해 개방되는 밀폐 구조의 용기 내에 일정한 물을 수용할 수 있고, 물탱크 표면에서 내부로 관통하도록 심지가 식재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탈착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공기의 통행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결합상태에서 물탱크의 심지와 접촉함으로써 모세관에 의한 함습상태가 되는 복수의 필터로 이루어지는 함습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함습필터로부터 가습조건을 형성하여 다양한 가습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기화 가습키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389823호는 단순히 분사되는 물 입자에 고주파 발생기를 적용하여 살균처리하며, 공개특허공보 제20858호에서는 함습필터를 적용한 필터작용으로 가습하기 때문에 충분한 가열작용에 따른 세균 살균 및 번식억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공개특허공보 제20858호의 경우에는 여러 개의 필터를 겹겹이 적용해야만 하는 구조로서 가습키트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다양한 가습기기의 규모에 맞춰 적용가능한 범위가 극히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89823호 (2014.04.29.)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858호(2013.03.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수위의 물과 함께 수증기를 수용가능한 공간을 확보한 채 유체를 고온에서 살균작용토록 가열하여 장비의 살균기능성을 높이고, 슬림(slim)한 모듈형태로 구성하여 다양한 구조의 가습기기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유체가열을 위한 가열원으로부터 생성된 전도열을 즉시 일방향으로 방열시키도록 구성하므로 장비자체적인 기능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장비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는 내부에 물을 수용가능한 저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류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급수단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기화상태인 수증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가습용기체와; 상기 가습용기체의 하부영역을 부분적으로 수용 지지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의 일면에 면 접촉상태를 이루도록 매립 설치된 히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저류공간 내 물을 기화시킬 수 있게 가열하는 키트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에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저류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장형성되는 절곡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습용기체의 급수단에는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연결되는 급수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급수제어수단은 상기 가습용기체의 저류공간에 채워지는 물 수용량이 상기 저류공간의 1/6~2/6 범위 내의 면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제어한다.
상기 키트모듈체는 일면이 개방되되 상기 가습용기체를 지지토록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 상에 상기 히팅수단의 일면이 노출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배관홈을 구비하는 메인모듈과, 상기 메인모듈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토록 결합하되 상기 가습용기체의 급수단에 대응하여 관통홀을 형성하는 모듈커버를 구성한다.
상기 메인모듈에는 상기 히팅수단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방열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트모듈체에는 외부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히팅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열이 상기 가습용기체에 집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외부보온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키트모듈체는 상기 가습용기체의 전체면적을 기준으로 2/3~3/4 범위 내의 면적을 가열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열살균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가열살균영역은 상기 가습용기체 내에 물이 수용된 하층구역에 대응하여 물을 가열하는 액체가열영역과, 상기 가습용기체 내 중층구역에 대응하여 물이 기화된 직후의 수증기를 재차 가열하는 증기가열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살균 가습키트에 의하면 물을 저류하여 수증기를 토출하는 가습용기체의 하부영역을 수용한 채 물과 함께 수증기를 가열하는 키트모듈체를 구성하므로, 유체의 충분한 가열면적을 확보하여 우수한 살균작용을 도모함은 물론 가습용기체 내 수증기는 최소 200℃ 이내외로 과열된 내부공간을 통과한 후 외부로 분출되어 다시 포화되는 과정을 진행하지 않으므로 주변에 축축함과 물방울이 생기지 않으며, 나아가 가습기기에 청정한 수증기를 제공하면서 각종 유해한 세균의 방멸 및 번식억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살균 가습키트는 모듈형의 슬림한 가습용기체 및 키트모듈체로 구성하여 다양한 구조 및 규모를 갖는 가습기기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살균 가습키트는 가습용기체를 향한 급수량을 제어하여 물과 수증기의 살균처리를 위한 가열살균영역을 구분토록 구성하므로, 항시 균일한 살균효율을 도모하여 가습키트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가습용기체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수용가능한 저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류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급수단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기화상태인 수증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가습용기체와; 상기 가습용기체의 하부영역을 부분적으로 수용 지지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의 일면에 면 접촉상태를 이루도록 매립 설치된 히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저류공간 내 물을 기화시킬 수 있게 가열하는 키트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에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저류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장형성되는 절곡단부를 포함하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살균 가습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살균 가습키트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원인 물을 저류하는 가습용기체(10)와, 상기 가습용기체(10) 내 물을 가열하는 키트모듈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습용기체(10)는 물을 수용하며 수증기를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습용기체(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슬림(slim)한 판자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류공간(11)을 형성한다.
상기 가습용기체(10)에는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저류공간(11)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급수단(13)을 구비한다.
상기 가습용기체(10)의 급수단(13)에는 도 4에서처럼,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연결되는 급수제어수단(17)을 구성한다.
상기 급수제어수단(17)은 상기 가습용기체(10) 내 채워지는 물의 수용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되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저류공간(11)에 채워지는 물 수용량이 상기 저류공간(11)의 1/6~2/6 범위 내의 면적(F)으로 유지할 수 있게 물의 공급 유무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급수제어수단(17)은 상기 가습용기체(10) 내 채워진 저류공간(11)의 물 수용량 면적(F)이 전체수용량의 1/6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급수단(13)을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저류공간(11) 내 물 수용량 면적(F)이 전체수용량의 2/6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급수정지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급수제어수단(17)을 통해 급수 여부를 제어함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가능한 타이머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급수제어수단(17)에 인가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주기적으로 일정량씩 급수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급수제어수단(17)으로 별도의 수위조절용 물통 및 센서를 구비하여 일정하게 급수가 이뤄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상부에는 상기 키트모듈체(20)를 통해 기화상태인 수증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토출구(15)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토출구(15)는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상단에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원활한 수증기의 토출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가습용기체(1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5)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저류공간(11)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장형성되는 절곡단부(16)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절곡단부는 상기 가습용기체(10)의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를 물을 제외한 불포화수증기로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키트모듈체(20)를 통해 가열되는 물이 팽창하여 넘치거나 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불포화수증기의 원활한 토출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습용기체(10)는 우수한 내식성 및 강도를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므로, 물과의 접촉에도 성질변화가 없이 위생적이면서 두께를 얇게 적용하여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키트모듈체(20)는 상기 가습용기체(10) 내 물로부터 수증기를 생성시킬 수 있게 가열하되 물과 함께 수증기를 가열하여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트모듈체(2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습용기체(10)를 수용 지지하여 상호 결합관계를 유지하되 상기 가습용기체(10)의 하부영역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메인모듈(21) 및 모듈커버(23)와, 히팅수단(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트모듈체(20)에 있어서도 상기 가습용기체(10)에 대응하여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습용기체(10)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키트모듈체(20)의 경우 우수한 가공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금속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메인모듈(21)은 일면이 개방된 구조로서, 상기 모듈커버(23)로부터 개방된 상기 메인모듈(21)의 일면을 폐쇄토록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듈체를 형성한다.
상기 메인모듈(21)에는 상기 가습용기체(10)를 지지토록 수용가능한 공간을 이루는 결합홈(21a)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21a)에는 상기 히팅수단(25)을 수용할 수 있는 배관홈(21b)을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21a)은 상기 가습용기체(10)를 수용한다는 특성상 상기 가습용기체(10)의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배관홈(21b)은 상기 결합홈(21a) 상에 상기 히팅수단(25)을 수용토록 형성하되 상기 가습용기체(10)가 접하는 상기 결합홈(21a)의 표면상에 상기 히팅수단(25)의 일면이 노출상태로 수용될 수 있게 형성하므로, 상기 히팅수단(25)이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배관홈(21b)은 상기 히팅수단(25)의 형상 및 배설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히팅수단(25)을 장착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모듈커버(23)는 상기 메인모듈(21) 상에 복수 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메인모듈(2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모듈커버(23)에는 상기 가습용기체(10)의 급수단(13)에 대응하여 관통홀(24)을 형성한다. 즉 상기 키트모듈체(20)의 결합홈(21a) 상에 수용된 상기 가습용기체(10)는 상기 관통홀(24) 상에 상기 급수단(13)이 끼움 결합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상기 가습용기체(10)를 부동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키트모듈체(20)의 메인모듈(21)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히팅수단(2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형성되는 방열부재(27)를 구비한다.
상기 방열부재(27)은 상기 메인모듈(21)의 외부 일면에 형성되되 복수 개의 핀이 좌우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키트모듈체(20)에 방열부재(27)를 구성하게 되면, 가습이 필요한 겨울철 외부로 온도를 분산시켜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가능하며, 히팅수단(25)에 따른 전도열을 일방향으로 방열시켜 히팅수단의 과열 현상을 방지하고 가열효율에 따른 기능성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면서 가습기기의 다른 설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키트모듈체(2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히팅수단(25)으로부터 생성되는 열이 상기 가습용기체(10)에 집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외부보온시트(2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외부보온시트(29)를 구성하게 되면, 내부 가습용기체(10)에 열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을 때 효율적으로 단열하여 보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팅수단(25)은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저류공간(11) 내 물을 기화시킬 수 있게 가열함과 동시에 기화된 수증기를 재차 가열할 수 있게 구비한다.
상기 히팅수단(25)은 상기 키트모듈체(20) 내 결합홈(21a) 상에 매립 설치되되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일면에 부분적인 면 접촉상태를 이루어 물 및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히팅수단(25)은 상기 키트모듈체(20)의 가열영역 범위 내에 배설되는 파이프형의 히터로서, 도면에는 지그재그형태로 배설된 하나의 코일형으로 형성하였지만, 그외 상기 키트모듈체(20)의 가열영역 범위 내에서 단수 또는 다수의 히팅수단(25)이 직선방향으로 배설된 일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키트모듈체(20)의 메인모듈(21) 및 모듈커버(23)를 서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메인모듈(21) 및 상기 모듈커버(23)를 다이캐스팅(die casting)하여 상호 일체화된 키트모듈체(20)로 구성하므로 대량생산 및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키트모듈체(20)에는 내부에 온도를 감지가능한 온도센서를 매립설치하여 자체적인 발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키트모듈체(20)에는 상기 가습용기체(10)를 수용하며 상기 히팅수단(25)이 배설되어 가열가능한 영역을 이루는 가열살균영역(A)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살균영역(A)은 상기 가습용기체(10) 중 가열상태를 적용하여 유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상기 가습용기체(10)의 전체면적을 기준으로 2/3~3/4 범위 내의 면적을 가열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가열살균영역(A)의 경우 상하로 구분된 역할을 수용할 수 있게 구분하되, 상기 가열살균영역(A)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습용기체(10) 내에 물이 수용된 하층구역에 대응하여 물을 가열하는 액체가열영역(A1)과, 상기 가습용기체(10) 내 중층구역에 대응하여 물이 기화된 직후의 수증기를 재차 가열하는 증기가열영역(A2)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가열영역(A1)에서는 상기 가습용기체(10) 내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1차 살균하고, 상기 증기가열영역(A2)에서 수증기를 가열하여 재차 살균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습용기체(10)를 향한 급수량을 제어하면서 물과 수증기의 살균처리를 위한 가열살균영역(A)을 구분토록 구성하면, 항시 균일한 살균효율을 도모하여 가습키트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살균 가습키트에 의하면 물을 저류하여 수증기를 토출하는 가습용기체의 하부영역을 수용한 채 물과 함께 수증기를 가열하는 키트모듈체를 구성하므로, 유체의 충분한 가열면적을 확보하여 우수한 살균작용을 도모함은 물론 가습용기체 내 수증기는 최소 200℃ 이내외로 과열된 내부공간을 통과한 후 외부로 분출되어 다시 포화되는 과정을 진행하지 않으므로 주변에 축축함과 물방울이 생기지 않으며, 나아가 가습기기에 청정한 수증기를 제공하면서 각종 유해한 세균의 방멸 및 번식억제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모듈형의 슬림한 가습용기체 및 키트모듈체로 구성하여 다양한 구조 및 규모를 갖는 가습기기에 범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살균 가습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가습용기체 11 : 저류공간
13 : 급수단 15 : 토출구
16 : 절곡단부 17 : 급수제어수단
20 : 키트모듈체 21 : 메인모듈
21a : 결합홈 21b : 배관홈
23 : 모듈커버 24 : 관통홀
25 : 히팅수단 27 : 방열부재
29 : 외부보온시트
A : 가열살균영역 A1 : 액체가열영역
A2 : 증기가열영역 F : 가습용기체의 물 수용 면적

Claims (6)

  1. 내부에 물을 수용가능한 저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류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급수단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기화상태인 수증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가습용기체와;
    상기 가습용기체의 하부영역을 부분적으로 수용 지지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의 일면에 면 접촉상태를 이루도록 매립 설치된 히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저류공간 내 물을 기화시킬 수 있게 가열하는 키트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용기체에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저류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하여 연장형성되는 절곡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용기체의 급수단에는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연결되는 급수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급수제어수단은 상기 가습용기체의 저류공간에 채워지는 물 수용량이 상기 저류공간의 1/6~2/6 범위 내의 면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제어하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트모듈체는, 일면이 개방되되 상기 가습용기체를 지지토록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 상에 상기 히팅수단의 일면이 노출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배관홈을 구비하는 메인모듈과, 상기 메인모듈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토록 결합하되 상기 가습용기체의 급수단에 대응하여 관통홀을 형성하는 모듈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에는 상기 히팅수단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트모듈체에는 외부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히팅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열이 상기 가습용기체에 집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외부보온시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트모듈체는 상기 가습용기체의 전체면적을 기준으로 2/3~3/4 범위 내의 면적을 가열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열살균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가열살균영역은 상기 가습용기체 내에 물이 수용된 하층구역에 대응하여 물을 가열하는 액체가열영역과, 상기 가습용기체 내 중층구역에 대응하여 물이 기화된 직후의 수증기를 재차 가열하는 증기가열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1020160122910A 2016-09-26 2016-09-26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10204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10A KR102047673B1 (ko) 2016-09-26 2016-09-26 고온 살균 가습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10A KR102047673B1 (ko) 2016-09-26 2016-09-26 고온 살균 가습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664A true KR20180033664A (ko) 2018-04-04
KR102047673B1 KR102047673B1 (ko) 2019-11-22

Family

ID=6197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910A KR102047673B1 (ko) 2016-09-26 2016-09-26 고온 살균 가습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87B1 (ko) * 2021-07-15 2022-04-11 주식회사 거양 이동부재가 구비된 가습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740U (ja) * 1991-10-30 1993-06-01 東京電機工業株式會社 加湿器
JPH09287785A (ja) * 1996-04-19 1997-11-04 Pika Corp:Kk 加湿機能を備えた加温装置
KR20090086658A (ko) * 2008-02-11 2009-08-14 나노제트(주) 가습기
JP2009276028A (ja) * 2008-05-16 2009-11-26 Corona Corp マイナスイオン及びナノミスト発生装置
KR20130020858A (ko) 2011-08-19 2013-03-04 이승현 기화 가습키트
KR101389823B1 (ko) 2012-08-29 2014-04-29 김진한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160072997A (ko) * 2014-12-16 2016-06-24 (주) 내츄럴웰테크 수조가 수정 소재인 가습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740U (ja) * 1991-10-30 1993-06-01 東京電機工業株式會社 加湿器
JPH09287785A (ja) * 1996-04-19 1997-11-04 Pika Corp:Kk 加湿機能を備えた加温装置
KR20090086658A (ko) * 2008-02-11 2009-08-14 나노제트(주) 가습기
JP2009276028A (ja) * 2008-05-16 2009-11-26 Corona Corp マイナスイオン及びナノミスト発生装置
KR20130020858A (ko) 2011-08-19 2013-03-04 이승현 기화 가습키트
KR101389823B1 (ko) 2012-08-29 2014-04-29 김진한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160072997A (ko) * 2014-12-16 2016-06-24 (주) 내츄럴웰테크 수조가 수정 소재인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87B1 (ko) * 2021-07-15 2022-04-11 주식회사 거양 이동부재가 구비된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673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7568B1 (en) Device for heating and moistening a breathing gas
KR100704148B1 (ko) 살균형 가습기
KR101389823B1 (ko)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US8132500B2 (en) Humidity controlled food warming cabinet
US20180172300A1 (en)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JP2012149812A (ja) 滴下式気化機
US20180172303A1 (en)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KR20180033664A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20130092093A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US20180172297A1 (en)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JP3837651B2 (ja) 気化式加湿装置
KR101346249B1 (ko) 증발식 가습기
KR20160132424A (ko) 저유량 증발기를 갖는 기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케이지 시스템
JP3716797B2 (ja) 加湿器の構造
US20180172299A1 (en)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KR20180014565A (ko) 실내 가습장치
KR101132564B1 (ko) 가습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20020074306A (ko) 은용액을 이용한 가습 방법과 그 장치
KR101276044B1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JP3131209U (ja) 湿り空気を用いた処理装置
KR101672775B1 (ko) 무소음 자연 증발식 가습장치
JPH11351619A (ja) 加湿器
JP3236063U (ja) 寒冷地対応型除菌液霧化装置
KR940007848Y1 (ko) 초음파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5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5

Effective date: 201910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