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848Y1 - 초음파 가습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848Y1
KR940007848Y1 KR92015192U KR920015192U KR940007848Y1 KR 940007848 Y1 KR940007848 Y1 KR 940007848Y1 KR 92015192 U KR92015192 U KR 92015192U KR 920015192 U KR920015192 U KR 920015192U KR 940007848 Y1 KR940007848 Y1 KR 940007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reservoir
water
heat sink
consta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080U (ko
Inventor
왕영성
홍진녕
송한식
Original Assignee
우덕창
쌍용양회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덕창, 쌍용양회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덕창
Priority to KR92015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848Y1/ko
Publication of KR940006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음파 가습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정온발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일부 단면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풍속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습기 11 : 본체
12 : 무화관 13 : 저수조
14 : 배출구 15 : 압전진동자
16 : 정온발열장치 17 : 송수관
18 : 송풍기 21, 31 : 알루미늄 방열판
22, 36 : 알루미늄 방열망 32 : 운모절연체
33 : 내열플라스틱 34 : 정온발열체소자
35 : 전극
본 고안은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무화되어 액적으로 배출될 때, 이 액적을 수증기상태로 변화시켜서 배출하여 가습기에 의한 실내의 온도강하 방지와 살균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음파 가습기는 일정 수위로 유지되는 저수조 하부에 압전진동자를 설치하고, 초음파 전원으로 진동자를 진동시켜, 이 진동에 의한 음향 방사압에 의해 물이 액적화하게 된다. 이 액적은 대기중에서 증발되어 대기의 습도를 높히는 가습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는 액적이 그대로 대기중에 배출되기 때문에 저수조에서 발생한 세균들이 그대로 실내에 방출되어 인체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대기중에 배출된 액적은 대기로 부터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강하시키게 된다. 또한, 증발에 의해 기화된 수증기는 충분한 확산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못하여 가습기 주변이 상대적으로 높은 습도를 유지하는 상태가 되어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제어하는 가습기의 경우, 실내가 전체적으로 실정습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습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온(on), 오프(off)상태의 빈번한 전환에 의해 안전소자 및 제어부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심한 경우, 상대습도의 증가에 의해 실내의 가구나 전자기기의 내부회로에 이슬이 맺혀 가구에 곰팡이가 생기거나 내부회로에 누전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0-527호에서는, 가습기의 출구에 히터와 온도감지기소자를 설치하여 액적을 가열하고, 따뜻한 증기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온도강하에 의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 단지 액적을 따뜻하게 가열하여 온도강하에 의한 문제만을 해결하고 있으며, 액적속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의 살균효과를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또 발열체외에 온도감지기, 온도제어부, 출력제어부 등 가습기의 기본회로와 제어회로를 필요로 함으로써, 가습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 가습기의 무화관에 정온발열장치를 설치하여 압전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액적을 완전히 수증기로 전환시킴으로서 실내온도를 향상시키고, 가습효율을 개선시킴은 물론 살균효과도 우수한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초음파 가습기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는 배출구와 연통되게 무화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무화관의 밑부위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저수조가 있고, 상기 저수조는 송수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조의 밑바닥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자가 설치되어 있고, 압전진동자의 측면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무화관의 중앙부위에 링형태의 정온발열장치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진동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액적을 무화관 통과시 수증기상태로 전환시켜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1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가습기(10)는 가습기 본체(11), 무화관(12), 저수조(13) 및 배출구(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수조(13)의 밑바닥의 하부에 압전진동자(15)가 배치되어 있고, 무화관(12)의 내부에는 정온발열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10)는, 가습기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상부에 배출구(14)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14)의 하부에는 배출구(14)와 연통되게 무화관(12)이 위치하고 있다. 이 무화관(12)의 내부 중앙부위에는 정온발열장치(1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무화관(12)의 밑부분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3)가 있다. 그리고, 이 저수조(13)는 송수관(17)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저수조(13)의 밑바닥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자(15)가 설치되어 있고, 압전진동자(15)의 측면에 송풍기(1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10)는 송풍기(18)에 의해 송풍이 이루어지면서, 압전진동자(15)의 진동에 의해 저수조(13)에 담겨 있는 물이 진동하고, 송풍에 의해 액적이 발생하게 되며, 이 액적은 무화관(12)을 통과하면서 정온발열장치(16)에 의해 수증기로 전환된 상태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첨부도면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링형태의 정온발열장치(16)의 정면 개략도로서, 부호 21은 알루미늄 방열판이고, 부호 22는 알루미늄 방열망이다.
첨부도면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을 절취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서, 부호 31은 알루미늄 방열판이고, 부호 32는 운모 절연체이며, 부호 33은 내열 플라스틱이고, 부호 34는 정온발열체 소자이며, 부호 35는 전극이고, 부호 36은 알루미늄 방열망이다.
제 3 도에서 정온발열체 소자(34)는 절연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내열플라스틱(33)으로 감싸여져 있으며, 알루미늄 방열판(31)은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계 금속재로 된 것이며, 알루미늄 방열망(35)은 벌집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방열판(31)과 내열플라스틱(33)의 연결부위들은 발열체 소자(34)에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잘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발열장치(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화관(12)의 중앙부위에 설치되고, 그 입력부가 가습기소자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어, 진동자(15)의 구동시와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풍속에 따른 무화관내의 온도변화를 살펴보면, 첨부도면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속이 0.3㎥/분 이하인 경우에, 발열장치를 통과한 가습공기는 약 100℃ 이상으로 물을 끓이는 효과에 의해 액적을 완전히 수증기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초음파 가습기는 압전진공자에 의해 발생된 액적이 정온발열장치에 의해 열이 강제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모두 수증기로 전환됨으로서 수증기의 온도에 의해 실내온도의 강하를 방지할 수 있고, 물을 끓이는 기능에 의해 공급수중에 존재하는 세균을 모두 살균시킬 수 있게 된다. 발열체로서 정온발열체를 사용함으로써 일반 발열체를 사용할 때 필요한 온도제어부나 출력제어부 등의 부속장치의 설비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가습기의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되어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고, 과열에 의한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히터에 의한 가열방식의 가습기에 있어서는 내부에 물이 항상 끓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구(가습기)가 넘어졌을 경우에 사람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의 가습기는 무화관중에서 액적화된 물만을 수증기화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한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는 충분한 확산력을 갖고 있으므로 습도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가습기의 온, 오프전환을 줄여 주게 되고, 이로 인해 가습기와 제어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무화된 액적을 보다 빠르게 수증기로 전환시켜 줌으로써 액적이 서로 뭉쳐져 저수조로 되돌아오는 것도 방지하게 되어 가습효율을 높힐 수도 있다.

Claims (4)

  1. 가습기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상부에 배출구(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14)의 하부에는 배출구(14)와 연통되게 무화관(12)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무화관(12)의 밑부위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저수조(13)가 있고, 상기 저수조(13)는 송수관(17)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조(13)의 밑바닥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자(15)가 설치되어 있고, 압전진동자(15)의 측면에는 송풍기(18)가 설치되어 있는 초음파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무화관(12)의 중앙부위에 링형태의 정온발열장치(16)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진동자(1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액적을 무화관(12) 통과시 수증기상태로 전환시켜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온발열장치(16)는 알루미늄 방열판(31)과 알루미늄 방열판(2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31)은 정온발열체 소자(34)를 전극(35)과 내열플라스틱(33) 그리고 운모절연체(32)가 감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10).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22)은 벌집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10).
KR92015192U 1992-08-13 1992-08-13 초음파 가습기 KR940007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192U KR940007848Y1 (ko) 1992-08-13 1992-08-13 초음파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192U KR940007848Y1 (ko) 1992-08-13 1992-08-13 초음파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080U KR940006080U (ko) 1994-03-22
KR940007848Y1 true KR940007848Y1 (ko) 1994-10-24

Family

ID=1933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192U KR940007848Y1 (ko) 1992-08-13 1992-08-13 초음파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8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10B1 (ko) * 2002-08-21 2005-02-23 (주)선보정밀 초음파가습기에 설치되는 착탈식 증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10B1 (ko) * 2002-08-21 2005-02-23 (주)선보정밀 초음파가습기에 설치되는 착탈식 증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080U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848Y1 (ko) 초음파 가습기
KR19980083624A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KR20180126688A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KR100446217B1 (ko) 복합식 가습기
KR102047673B1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JP2589922B2 (ja) 超音波加湿機
KR100470710B1 (ko) 초음파가습기에 설치되는 착탈식 증발장치
KR0128168Y1 (ko) 초음파 가습기의 진동자 조립체
KR10240748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습 온풍기
CN216744555U (zh) 多功能电暖器
KR102629199B1 (ko) 신속하게 분무를 생성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가습기
KR0158808B1 (ko) 초음파가습기
KR200314450Y1 (ko) 가습기의 살균장치
KR200293592Y1 (ko) 다용도 초음파 가습기
KR200317612Y1 (ko) 오존발생기가 결합된 초음파가습기
JPH07503383A (ja) 気候的チャンバ
KR20030010814A (ko) 복합식 가습기
KR200255280Y1 (ko) 복합식 가습기
KR200360039Y1 (ko) 가습기의 가열장치
KR0139831Y1 (ko) 가습기의 히터
KR200266008Y1 (ko) 다용도방식의 은가습기
JP2000205614A (ja) 加湿器
JPH0744239Y2 (ja) エアータオル
JPS6038821Y2 (ja) 超音波加湿器
JPH03251658A (ja) 加湿機能付電気温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