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061B1 - 전열 증발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전열 증발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061B1
KR100876061B1 KR1020080038893A KR20080038893A KR100876061B1 KR 100876061 B1 KR100876061 B1 KR 100876061B1 KR 1020080038893 A KR1020080038893 A KR 1020080038893A KR 20080038893 A KR20080038893 A KR 20080038893A KR 100876061 B1 KR100876061 B1 KR 10087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electrothermal
heating plat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순
Original Assignee
이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순 filed Critical 이명순
Priority to KR102008003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061B1/ko
Priority to PCT/KR2009/001976 priority patent/WO200913133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 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수용된 몸체 내부에 구비된 교류전류로 발열 되는 열발생부에 상기 물을 흡수하는 천이 연결되어 열에 의해 물이 증발되면서 수증기를 발생하여 실내에 가습을 함으로 인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게 되는 전열 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내부중앙에 수직의 기둥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에 구비된 전선을 통해 교류전류를 인가받아 발열 되는 전열코일과, 상기 전열코일을 감싸는 수평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코일에서 발열 된 열을 인가받는 발열판을 갖는 열발생부와; 상기 발열판의 상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에 수용된 물에 닿도록 형성된 물흡수천과;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제2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흡수천의 상면에 제공가능 하도록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에 연결형성되고 수평의 원통 형태로 된 물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몸체, 제1,2수용부, 열발생부, 결합홈, 결합돌기, 물공급관, 물흡수천, 온도조절버튼

Description

전열 증발식 가습기{ELECTRONIC HEATING TYPE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전열 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수용된 몸체 내부에 구비된 교류전류로 발열 되는 열발생부에 상기 물을 흡수하는 천이 연결되어 열에 의해 물이 증발되면서 수증기를 발생하여 실내에 가습을 함으로 인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게 되는 전열 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공기는 실내에 적당한 증기발생요소가 없고 실내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건조해지기 쉬우며, 이때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여 적당한 습도(60%)를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기관지관련 질병을 예방하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습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따라 물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방생시키는 전기 열 방식의 가습기와, 전기회로에서 특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설치된 진동자를 초음파진동시켜 물을 무화(안개와 같이 미세한 물방울로 형성)시키는 초음파식 가습기로 구 분된다.
그러나 상기의 초음파방식 가습기의 경우, 액상인 물을 초음파발진기에 의해 초음파진동시켜 안개와 같이 미세한 물방울로 형성하는 방식이므로, 실내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킬 뿐 아니라 가습기를 제대로 청소해주지 않거나 또는 오랫동안 물탱크 내에 물을 저장하게 되는 경우 및 가습기가 노후한 경우 등 수조내의 저장된 물에 번식하게 되는 세균으로 인한 심약한 환자 및 유아의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가습기를 자주청소해 주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에 수분을 공급 및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기관지관련 질병을 예방하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함과 동시에, 가습기 내부에 저장된 물에 세균이 번식하지 않아 심약한 환자 및 유아들이 세균에 의해 건강에 악영향을 받게 되는것을 방지하게 되고, 자주 청소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그 사용이 용이한 전열 증발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내부중앙에 수직의 기둥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에 구비된 전선을 통해 교류전류를 인가받아 발열 되는 전열코일과, 상기 전열코일을 감싸는 수평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코일에서 발열 된 열을 인가받는 발열판을 갖는 열발생부와; 상기 발열판의 상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에 수용된 물에 닿도록 형성된 물흡수천과;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제2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흡수천의 상면에 제공가능 하도 록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에 연결형성되고 수평의 원통 형태로 된 물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2몸체와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 결합 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관의 하부에는, 상기 물흡수천의 상면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된 분사노즐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외면 일단에는, 상기 전열코일의 발열 온도를 조절 가능한 온도조절버튼이 더 구비된다.
위생적으로 청결하면서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 가능하고, 실내에 수분을 공급 및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기관지관련 질병을 예방가능하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고, 청소가 매우 간편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고, 상기 가습기를 사용 가능함으로 인해 심약한 환자 및 유아들 및 일반 사용자들이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게 되며, 자주 청소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그 사용이 용이한 사용상의 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전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분리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이러한 전열 증발식 가습기는 호흡장애 및 기관지관련 질병을 예방가능하고,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기 위해 사용된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물(30)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10)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제1몸체(100)와, 상기 제1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되어, 교류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발생부(120)와, 상기 제1몸체(100)에 수용된 물(30)에 닿도록 형성된 물흡수천(130)과,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제2몸체(200)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100)는, 상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태 또는 다각형의 형태 및 반구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물(30)이 상기 제1수용부(110)는 상기 제1몸체(100)의 내면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상면 에는 상기 제2몸체(200)와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결합홈(14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100)의 외면 일단에는 상기 제1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열발생부(120)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열발생부(120)의 열을 조절 가능한 온도조절버튼(150)이 구비되며, 상기 온도조절버튼(150)은, 다단계의 온도를 기설정하여 사용자에 따른 최적의 온도로 고정하여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00) 내부중앙에 형성된 상기 열발생부(120)는, 수직의 기둥형태로 내고 내부에 관통공(123)이 구비된 지지축(122)과, 상기 지지축(122)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23)에 구비된 전선(125)을 통해 교류전류를 인가받아 발열 되는 전열코일(127)과, 상기 전열코일(127)을 감싸는 수평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코일(127)에서 발열 된 열을 인가받는 판 형태 또는 완곡한 반구 형태를 갖는 발열판(129)을 갖으며, 상기 전열코일(127)은 수평의 지그재그 또는 다수개의 원형이 가로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코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125)은, 상기 제1몸체(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콘센트(50)로부터 교류전류를 인가받게 된다.
또한, 상기 물흡수천(130)은, 상기 발열판(129)의 상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100)에 수용된 물(30)에 닿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물흡수천(130)의 하부 일단에서 상기 제1몸체(100)에 수용된 상기 물(30)을 흡수하여 그 물(30)을 상기 물흡수천(130)의 상부 다른 일단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가열된 상기 발열판(129)에 의해 상기 물(30)이 증발되면서 다량의 습기가 발생되고, 그 습기는 상기 제1몸체(100)의 개구된 상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몸체(200)는, 그 하부에 상기 제1몸체(100) 상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홈(140)에 대응되게 결합 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40)가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00)와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물(3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수용부(210)는, 그 제2수용부(210) 하부에 연결형성되는 수평의 원통 형태로 된 물공급관(220)을 갖는데, 상기 물공급관(230)의 하부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통공(236)이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관(230)의 내부에는 상기 물공급관(230)과 대응되게 형성된 호수관(232)이 형성되어 상기 물(30)이 상기 호수관(232)을 통해 상기 물공급관(230)의 통공(236)으로 배출되고, 그 배출된 물(30)은 상기 제1몸체(10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된 상기 물흡수천(130)의 상부로 제공되어 상기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가열된 상기 발열판(129)에 의해 상기 물(30)이 증발되면서 다량의 습기가 발생 되고, 그 습기는 상기 제2몸체(200)의 개구된 상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 제2몸체(200)의 호수관(232) 일단은 상기 제2몸체(20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된 밸브(234)와 연결되어 상기 제2수용부(210)에 구비된 물(30)의 양이 가열된 발열판(129)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물흡수천(130)에 조절되어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에 언급된 구성으로 본 발명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1몸체(100)는, 원기둥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 등 제작시 소비자들의 선호에 따라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 및 사용되고, 상기 제1몸체(100)에서 상기 제2몸체(200)를 결합 및 분리 한 채로 각각 사용 가능하다.
먼저 상기 제1,2몸체(100, 200)가 결합 된 채로 사용되는 경우는, 상기 제1,2몸체(100, 200)가 상호 수직으로 결합 된 채로, 상기 제1몸체(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된 콘센트(50)를 통해 상기 전선(125)에 교류전류를 인가되면, 상기 전선(125)에 연결된 전열코일(127)이 발열 되고, 이렇게 발열 된 열은 상기 발열판(129)에 인가된다.
한편, 상기 발열판(129)이 가열되기 전에 상기 발열판(129)의 상부에 그 발열판(129)에 구비된 물흡수천(130)은, 상기 제1몸체(100) 제1수용부(110)에 수용된 물(30)을 흡수한 채로 구비되어, 상기 발열판(129)이 가열되면 극세사 또는 면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상기 물흡수천(130)에 흡수된 물(30)은 빠른 속도록 증발하여 습기를 발생하게 되고, 그 습기는 제1몸체(100)를 통해 상기 제2몸체(200)의 상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30)이 모두 소진시 상기 제1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물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꺼지게 된다.
또한, 물(30)이 수용된 상기 제2수용부(210)를 갖는 상기 제2몸체(200)의 물은 상기 제2수용부(210)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의 원통 형태로 된 물공급관(210)과, 상기 물공급관(210) 내부와 대응되게 그 물공급관(2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호수관(232)을 거쳐 상기 물공급관(210)의 하부에 구비된 통공(236)을 통해 상기 열발생부(120) 발열판(129)의 상부에 기 형성된 물흡수천(130)의 상부에 제공 되어 상기 물흡수천(13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기가 더욱 많이 발생 되도록 하며, 이렇게 발생 된 습기는 상기 제2몸체(20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상기 제2몸체(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몸체(100,200)는, 게르마늄, 황토, 옥, 맥반석, 토르말린이 혼합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또는 유리재로 형성되어 인체의 혈액을 정화 시키고, 음이온과 활성산소를 인체에 공급하여 천식과 편두통의 원인인 건정과 긴장을 완화시키며,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신경 호르몬인 세로토닌과 자유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등 공기를 정화시켜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열발생부(120)는, 상기 제1몸체(100) 전선(125)과 연결되되 상기 제1몸체(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129)의 가열된 열을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버튼(150)을 갖는데, 상기 발열판(129)의 온도는 30°~ 150°까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물흡수천(130)에 무리가 가지 않는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몸체(20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되 상기 호수관(232)의 일단에 연결된 밸브(234)로 상기 제2수용부(210)의 물(30)을 상기 물흡수천(130)에 제공시 그 제공되는 물(30)을 양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몸체(100, 200)가 분리된 채로 상기 제1몸체(100)만 사용되는 경우는, 상기 제1몸체(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된 콘센트(50)를 통해 상기 전선(125)에 교류전류를 인가되면, 상기 전선(125)에 연결된 전열코일(127)이 발열 되고, 이렇게 발열 된 열은 상기 발열판(129)에 인가된다.
한편, 상기 발열판(129)이 가열되기 전에 상기 발열판(129)의 상부에 그 발열판(129)에 구비된 물흡수천(130)은, 상기 제1몸체(100) 제1수용부(110)에 수용된 물(30)을 흡수한 채로 구비되어, 상기 발열판(129)이 가열되면 상기 물흡수천(130)에 흡수된 물(30)은 빠른 속도록 증발하여 습기를 발생하게 되고, 그 습기는 제1몸체(100)의 개구된 상부로 배출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몸체(100) 전선(125)과 연결되되 상기 제1몸체(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129)의 가열된 열을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버튼(150)으로 상기 발열판(129)에 가해지는 열을 조절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전열 증발식 가습기를 다 사용한 후에는 상기 열발생부(120)에 교류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중지하면 되고, 상기 전열 증발식 가습기를 청소시에는, 상기 제1,2몸체(100, 200)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제1,2수용부(110, 210)의 물(30)을 제거하고 상기 제1,2몸체(100, 200) 내면을 세척하며, 상기 물흡수천(130)만 세척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전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분리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물 50 : 콘센트
100 : 제1몸체 110 : 제1수용부
120 : 열발생부 122 : 지지축
123 : 관통공 125 : 전선
127 : 전열코일 129 : 발열판
130 : 물흡수천 140 : 결합홈
150 : 온도조절버튼
200 : 제2몸체 210 : 제2수용부
220 : 물공급관 230 : 분사노즐부
232 : 호수관 234 : 밸브
236 : 통공
240 : 결합돌기

Claims (4)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10)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제1몸체(100)와;
    상기 제1몸체(100) 내부중앙에 수직의 기둥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공(123)이 형성된 지지축(122)과, 상기 지지축(122)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23)에 구비된 전선(125)을 통해 교류전류를 인가받아 발열 되는 전열코일(127)과, 상기 전열코일(127)을 감싸는 수평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코일(127)에서 발열 된 열을 인가받는 발열판(129)을 갖는 열발생부(120)와;
    상기 발열판(129)의 상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100)에 수용된 물에 닿도록 형성된 물흡수천(130)과;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제2몸체(20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제2수용부(210)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흡수천(130)의 상면에 제공가능 하도록 상기 제2수용부(210)의 하부에 연결형성되고 수평의 원통 형태로 된 물공급관(2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증발식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제2몸체(200)와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결합홈(14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200)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140)에 대응 결합 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증발식 가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220)의 하부에는,
    상기 물흡수천(130)의 상면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된 분사노즐부(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증발식 가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외면 일단에는,
    상기 전열코일(127)의 발열 온도를 조절 가능한 온도조절버튼(1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증발식 가습기.
KR1020080038893A 2008-04-25 2008-04-25 전열 증발식 가습기 KR100876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893A KR100876061B1 (ko) 2008-04-25 2008-04-25 전열 증발식 가습기
PCT/KR2009/001976 WO2009131334A2 (ko) 2008-04-25 2009-04-16 전열 증발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893A KR100876061B1 (ko) 2008-04-25 2008-04-25 전열 증발식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061B1 true KR100876061B1 (ko) 2008-12-26

Family

ID=4037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893A KR100876061B1 (ko) 2008-04-25 2008-04-25 전열 증발식 가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6061B1 (ko)
WO (1) WO200913133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35Y1 (ko) 2009-03-18 2011-04-15 이명순 전열 가습기
KR2019001498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창의산업 돌판을 이용한 스팀 가습 구조
KR102022049B1 (ko) 2018-10-08 2019-09-18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가습기
KR20220062947A (ko) 2020-11-09 2022-05-17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디퓨저 겸용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2752A (zh) * 2015-07-31 2015-11-11 无锡市日升化工有限公司 一种新型水杯加湿器
CN105972739A (zh) * 2016-07-15 2016-09-28 安庆市星胜机电设备销售有限公司 一种加湿器
CN110118430B (zh) * 2019-05-20 2021-10-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清洁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218B1 (ko) 2001-08-31 2004-08-30 (주)선보정밀 흡수증발식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049B2 (ja) * 1994-01-20 2003-08-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吸水型加熱式加湿装置
KR0158804B1 (ko) * 1995-07-31 1999-01-15 배순훈 히터식 가습기
KR0158947B1 (ko) * 1995-12-09 1999-01-15 배순훈 가습팬 및 제습팬을 각각 구비한 제습겸용 가습기의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218B1 (ko) 2001-08-31 2004-08-30 (주)선보정밀 흡수증발식 가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35Y1 (ko) 2009-03-18 2011-04-15 이명순 전열 가습기
KR20190014988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창의산업 돌판을 이용한 스팀 가습 구조
KR102099931B1 (ko) * 2017-08-04 2020-06-08 주식회사 창의산업 돌판을 이용한 스팀 가습 구조
KR102022049B1 (ko) 2018-10-08 2019-09-18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가습기
KR20220062947A (ko) 2020-11-09 2022-05-17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디퓨저 겸용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1334A3 (ko) 2009-12-17
WO2009131334A2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061B1 (ko) 전열 증발식 가습기
RU2395755C2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KR101743032B1 (ko) 초음파 가습기
KR101523837B1 (ko)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US20040022675A1 (en) Humidify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ilver ionized water
KR20140005025A (ko) 다기능성 나노물분자의 발생장치 및 나노물분자의 발생방법
KR100970006B1 (ko) 고정형 기화식 가습기
KR20050032673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1938196B1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KR20130092093A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CN105066313B (zh) 一种空气消毒与加湿装置
KR200453235Y1 (ko) 전열 가습기
WO2022052485A1 (zh) 一种家用电器
KR100935624B1 (ko) 가습장치
CN202613664U (zh) 一种高焓润宝
CN111928394A (zh) 一种家用电器
KR20110045506A (ko) 대나무숯 가습 장치 및 대나무숯 가습 장치를 포함하는 분경 장치
KR101672775B1 (ko) 무소음 자연 증발식 가습장치
JP2539195Y2 (ja) 理美容院用加湿装置
KR102036616B1 (ko) 가습모듈
KR200266008Y1 (ko) 다용도방식의 은가습기
CN102679488A (zh) 一种高焓润宝
CN212566094U (zh) 一种家用电器
KR20020028190A (ko) 은의 특성을 이용하여 나노입자의 크기로 제조한 은함유분무 은가습기
CN212319976U (zh) 一种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