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673A -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673A
KR20050032673A KR1020030068591A KR20030068591A KR20050032673A KR 20050032673 A KR20050032673 A KR 20050032673A KR 1020030068591 A KR1020030068591 A KR 1020030068591A KR 20030068591 A KR20030068591 A KR 20030068591A KR 20050032673 A KR20050032673 A KR 20050032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egative ion
cleaning
fa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555B1 (ko
Inventor
오인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5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과,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수단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 발생수단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판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 본체(456')와, 상기 음이온판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 침(456")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456')는 공기를 흡입하고 강제 송풍하는 청정팬(45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팬하우징(454)의 배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음이온 침(456")은 상기 본체(456')와는 분리되어 팬하우징(454)의 배면에 설치되는데, 선단부가 공기배출구(110) 내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음이온발생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 Humidifier combined an air cleaner }
본 발명은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수단과 공기청정수단이 겸비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와 가습기는 별도의 제품으로 제조되어 사용되어지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가습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이 하나의 제품에 모두 겸비된 제품이 나오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가습기능이 겸비된 공기청정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종래의 가습기능이 겸비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공기청정기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필터(2)및 이 메인필터(2)의 전방에 설치되는 커버(3)를 포함하며, 본체(1)의 후부에는 가습기용 물탱크(4)와 분무통(5)이 내장되고 그 위에 후부커버(6)가 씌워진다.
상기 본체(1)는 그 내부의 전방측에 공기흡입용 임펠러(11)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조절스위치들로 이루어진 조작부(C)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작부(C)의 맞은편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토출그릴(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는 유색커버가 씌워진 디스플레이부(D)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부에는 임펠러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흡입구(12)의 전방으로는 장방형의 필터설치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설치부(13)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는 메인필터(2)의 양측이 걸려 끼워지는 걸림편(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설치부(13)의 하부와 상부측에는 상기 커버(3)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34)와 상부 양측에 형성된 후크형의 걸림들기(32)를 끼우기 위한 끼움구멍(15)과 탄성편(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 본체(1)와 커버(3)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3)의 양측부 및 하부측이 본체(1)의 정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벌어져 틈새(g)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틈새(g)를 통해 외부공기가 임펠러(11)쪽으로 흡입되는 것이다.
상기 임펠러(11)는 팬 모터(11a)에 축결합된 시로코 팬(17)이 회전하면서 시로코 팬(17)의 축방향 전방에 형성된 임펠러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점차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임펠러 하우징(18)의 방사방향으로 유도되어 방출구(19)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며, 임펠러 흡입구(12)의 전방에는 메인필터(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체(1)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메인필터(2)에서 여과처리되면서 실내와 공기청정기 본체(1)를 순환하므로 실내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
상기 임펠러 하우징(18)의 하부 일측에는 가습기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방출구(1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조 방출구(19a)에는 가습기부의 분무통쪽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연성 있는 연결관(19b)의 일단이 끼워진다.
상기 임펠러 하우징(18)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방출구(19)에는 에어토출그릴(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에어토출그릴(G)의 하측에는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히터(H)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후측에는 가습기가 부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 후방에 형성된 가습기부(40)에 물탱크(4)와 분무통(5)이 내장된다.
상기 분무통(5)의 하부측에는 상기한 임펠러 하우징(18)의 보조 방출구(19a) 일단에 연결된 연결관(19b)이 접속되는 공기입구(41)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없음을 감지하는 저수위 감지센서 및 초음파 가습 진동자와 살균램프 등이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나의 장치로서, 가습 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방측에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고 이러한 공기청정기의 후방측에는 가습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방으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내부에서 탈취 및 살균된 다음 상방으로 토출되며, 가습공기 또한 상방으로 분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습기능이 겸비된 공기청정기에서는 가습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이 하나의 제품에 의해 가능해지나, 음이온발생기능은 겸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이온 발생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음이온발생기를 구입하여 비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며, 관리상의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이온 발생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과,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수단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고, 청정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강제 송풍하는 청정팬과; 상기 청정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청정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습수단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세 입자로 변화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수단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판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음이온판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 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공기를 흡입하고 강제 송풍하는 청정팬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팬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팬하우징의 배면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이온 침은, 공기를 흡입하고 강제 송풍하는 청정팬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팬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이온 침의 선단부는,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공기배출구 내측에 노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음이온발생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가 채용된 가습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요부구성인 물탱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하부 평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공기청정기는 전반부에는 가습기능을 가지는 가습부분이 구비되고 후반부에는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부문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문의 하측과 상기 공기청정부문이 일체로 된 본체(1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에는 공기청정부문이 구비되고, 이러한 공기청정부문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가습몸체부(20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습몸체부(200) 상측에 물탱크(300)가 안착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물탱크(300)는 내부의 물 저장상태가 외부로부터 인식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우측 하단에는 물주입구(310)가 형성되고, 이러한 물주입구(310)를 물탱크뚜껑(320)이 차폐하고 있다. 상기 물탱크뚜껑(320)의 중앙부에는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하방으로 공급되는 관문이 되는 물공급홀(322)이 형성되고 이러한 물공급홀(322)의 내부에 밸브(324)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324)는 상기 물탱크(300)가 아래에서 상기 가습몸체부(200)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물공급홀(322)을 개방하여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물탱크(300)가 상기 가습몸체부(200)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물공급홀(322)을 차폐한다.
상기 물탱크뚜껑(320)의 상부에는 정수필터(330)가 장착된다. 상기 정수필터(330)는 물탱크(300) 내부의 물을 정수하여 하방으로 내려보내는 것으로, 주로 물속의 마그네슘, 칼슘, 이온 등의 불순물을 흡착해서 백분 상태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300)의 좌측 내부에는 분무통(350)이 형성된다. 상기 분무통(3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진동자(222)에 의해 발생되는 물입자가 상기 물탱크(300)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이송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3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분무통(350)의 상단에는 분무구(3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분무구(360)는 내부에서 생성된 분무가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로, 사용자의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분무구(360)는 단수로 형성되는 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다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무구(360)가 형성되면 여러방향으로 동시에 분무가 가능하므로 실내의 가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탱크(300)의 전면부 상단은 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함몰부(370)가 형성되며, 이러한 함몰부(370)를 좌우로 가로질러 탱크손잡이(3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손잡이(372)를 손으로 잡고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물탱크(300)가 상기 가습몸체부(200)로부터 착탈되는 것이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상면 우측부에는 상기 물탱크(300)의 물탱크뚜껑(320)이 안착되는 뚜껑안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안착부(210)는 하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개폐돌기(212)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돌기(212)는 상기 뚜껑안착부(210)에 물탱크뚜껑(320)이 안착되면 내부의 밸브(324)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물탱크뚜껑(320) 내부의 물공급홀(322)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물공급홀(322)을 통해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안착부(210)의 하면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진 저면의 일측에는 물관통홀(2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300)로부터 물공급홀(322)을 통해 뚜껑안착부(210)로 내려온 물은 상기 물관통홀(214)을 통해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상면 좌측부에는 상기 물탱크(300)의 분무통(350) 하단이 안착되는 분무통안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의 중앙에는 무화입자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222)의 상단이 노출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분무입자를 불어주는 공기의 토출 출구가 되는 송풍구(224)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저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26)가 일측에 더 구비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내부에는 전압을 분배하는 트랜스(230)와, 분무입자를 불어내는 소형의 송풍팬(240)과 송풍팬모터(242) 그리고, 상기 물탱크(300)로부터 물공급홀(322)을 통해 하방으로 내려오는 물을 상기 분무통안착부(220)로 안내하는 물공급호스(2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호스(250)의 중앙부분에는 가열히터(252)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가열히터(252)는 상기 물공급호스(250)의 중앙부를 일정부분 절개한 후 이러한 절개부분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파이프와 이러한 파이프를 감싸는 열선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열선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가열되면 상기 파이프가 고온으로 되고 이러한 고온의 파이프의 열이 내부를 유동하는 물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호스(250)를 통과하는 물은 상기 가열히터(252)의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다음, 상기 진동자(222)에 의해 분무된다. 이렇게 되면, 외부로 분무되는 분무입자는 따뜻한 상태로 외부로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찬 분무로 인한 감기 등의 질병에 걸리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가습몸체부(2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콘트롤판넬(260)이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판넬(260)에는 다수개의 다이얼과 버튼이 구비되어 가습과 공기청정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270)가 결합되어 하부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에는 공기청정부문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면커버(400)가 설치되고, 이러한 상면커버(400)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인 에어토출그릴(G)이 장착되어진다. 즉, 상기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110)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토출그릴(G)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에어토출그릴(G)은 장착수단에 의해 상기 상면커버(400)에 체결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상면커버(400)에 형성되는 리브체결홈(402)과 상기 에어토출그릴(G)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리브(4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면커버(400)의 내측에는 청정된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부(400')가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부(400')를 상기 에어토출그릴(G)이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커버(400)의 개구부(400') 양측단 중앙부에는 측방으로 함몰된 리브체결홈(40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리브체결홈(402)은 개구부(400') 양측단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410)는 상기 에어토출그릴(G)의 양측단 중앙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에어토출그릴(G)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412)와, 상기 지지부(412)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41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414)이 상기 리브체결홈(402)의 측단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에어토출그릴(G)의 테두리에는 지지리브(416)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지지리브(416)는 상기 에어토출그릴(G)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커버(400)에는 상기 지지리브(416)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홈(404)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리브(416)는 상기 체결리브(410)의 지지부(412)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에어토출그릴(G)의 체결리브(410)가 상기 리브체결홈(402)에 체결되면, 상기 지지리브(416) 하단은 상기 지지홈(404)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에어토출그릴(G)에는 다수개의 통공(418)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418)은 공기의 유동이 많고 토출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중앙부는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측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후면 중앙부에는 공기흡입구(4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420)의 후방으로는 장방형의 필터설치부(4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설치부(430)에는 메인필터(432)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메인필터(4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엘레멘트형태의 항균필터(432')와, 상기 항균필터(432')의 후면에 형성되는 그라스 시트로 된 탈취필터(432")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2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후방에는 공기중의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이 1차적으로 필터링되는 망사조직을 갖는 프리필터(434)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메인필터(432)는 패키지 형태로 제작되어 소비자들도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커버(440)를 열고 상기 필터설치부(430)로부터 사용된 메인필터(432)를 빼내고 새것으로 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100)의 공기흡입구(420) 후방에는 흡입커버(440)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흡입커버(440)는 상기 메인필터(432)와 프리필터(434)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10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벌어져 있어 이 틈새(g)를 통해 외부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청정팬(450)쪽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흡입구(420)의 전방에는 청정된 공기를 강제송풍하는 청정팬(450)이 설치된다. 상기 청정팬(450)의 일측에는 청정팬모터(452)가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청정팬(450)의 외부에는 팬하우징(454)이 청정팬(45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팬하우징(4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공기배출구(110)를 통해 상방으로 대부분 토출된다.
상기 팬하우징(454)의 배면에는 음이온 발생수단이 되는 음이온발생기(456)가 설치된다. 즉, 상기 팬하우징(454)의 배면 일측에는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된 음이온기안착부(458)가 형성되고, 여기에 음이온발생기의 본체(456')가 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은 혈액의 정화작용과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작용 뿐만 아니라 공기의 정화작용이나 먼지제거 및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즉, 음이온은 혈액 중에 미네랄 성분인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이온화 율을 상승시켜 알칼리화의 진행을 통해 혈액을 정화해주고, 엔돌핀, 엔케피린이라는 물질을 발생시킴으로 인해 혈청 속에 칼슘과 나트륨의 이온화율의 상승으로 혈액정화, 피로회복, 체력의 회복뿐 아니라 강한 통증이 있던 부분의 세포를 건강하게 활성화시켜 통증이 완화되도록 하며, 세포막에서의 전기적 물질교류로 혈액을 정화해 주기도 한다.
그리고, 혈청 중에 포함된 면역 성분인 글로부린의 양을 증가 시켜 감염증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게 되며, 음이온의 양은 모든 혈관, 내장 등 우리들의 생각이나 느낌에 반응을 하는 자율신경계를 인체에 유익하도록 조절해 준다. 이와 같이, 음이온은 인체의 모든 기관, 신경계통 및 혈액, 세포, 임파액 등에 생기를 주어 약화된 기능을 강화시키고 활력을 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공기 중에는 존재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 예를 들어 담배연기,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 타소, 오존 및 각종 유기물질은 양이온을 형성하고 있는데 음이온은 이들 양이온을 경화 침전시켜 제거하므로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해 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양이온은 세균이나 먼지, 꽃가루 곰팡이, 오염된 입자들을 자유롭게 떠다니도록 해 공기를 혼탁하게 만드는데, 음이온은 이들을 중화, 제거하게 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456)는 이러한 음이온을 인공적으로 만들어주는 장치로서, 코로나 방전방식, 전자방사식, 수파쇄(水破碎)방식, 알파(α)선 이용 방식과 같은 대개 4종류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음이온발생기(456)의 원리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456)의 본체(456')는 상기 팬하우징(454)의 배면에 장착되고, 이러한 본체(456')의 내부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454)의 배면 상단부에는 상기 음이온발생기(456)의 일 구성인 음이온 침(456")이 상기 본체(456')와는 분리되어 설치된다. 상기 음이온 침(456")은 표면적인 매우 적은 뾰족하고 날카로운 바늘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고압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음이온 침(456")은 두 개가 구비되어 선단부가 상기 공기배출구(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음이온발생기(456)의 작동은 상기 콘트롤판넬(260)에서 조작하게 된다. 즉, 상기 콘트롤판넬(260)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에 의해 음이온발생기(456)를 온(ON)/오프(OFF)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흐름은 상기 가습몸체부(200)로도 일부 흡입된다. 즉, 상기 가습몸체부(200)와 공기청정부문 사이에 형성되는 베리어(460)의 하단 일측에는 보조방출구(462)가 형성되고, 이러한 보조방출구(462)를 통해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가습몸체부(200)로 유입되어 상기 송풍팬(240)에 의해 상기 송풍구(224)로 토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11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반부에 구비되는 가습부문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에 물이 소정량 담겨진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판넬(260)의 각종 다이얼과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가습상태를 설정하면 상기 물탱크(300)의 물이 상기 정수필터(330)를 거치면서 정수되어 하방으로 내려온다.
상기 정수필터(33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은 상기 물탱크뚜껑(320)의 물공급홀(322)을 통해 상기 물공급호스(250)로 유입된다. 상기 물공급호스(250)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열히터(252) 부분을 통과하면서 열전달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따뜻해진 물은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에 도달한다.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에 도달한 물은 상기 초음파 진동자(222)에 의해 무화입자로 변형된다. 즉, 상기 초음파 진동자(222)에 전압이 인가되면 대략 1.63MHz정도의 초음파가 발생하여 진동자(222)가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에 고인 물의 수면에 분수상의 수주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주 선단부의 분자가 서로 충돌하여 미세한 입자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반적으로 무화 현상(霧化 現狀)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상기 송풍팬모터(242)에 정격전압이 인가되면 송풍팬모터(24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이와 결합되어 있는 송풍팬(240)이 송풍팬모터(242)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여 바람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40)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이 상기 분무통안착부(220)의 송풍구(224)를 통해 토출된 다음, 상기 분무통(350)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무화 현상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물의 입자가 공기속에 함유되어 상기 송풍구(224)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물탱크(300) 내부의 물이 점차 감소되어 없어지면, 상기 수위센서(226)가 물 없음을 감지하여 상기 진동자(222)의 발진 및 가열히터(25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분무를 중단시킨다.
다음으로, 후반부에 형성되는 공기청정부문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흡입커버(4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틈새(g)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이 공기는 일차적으로 큰 이물이 상기 프리필터(434)에 의해 걸러진 다음 이차적으로 상기 메인필터(432)에 의해 이물이 여과된다.
상기 메인필터(43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구(420)를 통해 상기 청정팬(4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청정팬모터(452)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하고 이와 동일축으로 결합된 청정팬(450)이 회전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방사방향으로 유도되고 이러한 공기는 상기 청정팬하우징(454)에 안내되어 상측의 공기배출구(110)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상기 청정팬(450)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안내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청정팬하우징(454)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방출구(462)를 통해 상기 가습몸체부(2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무의 이동에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기능이 수행되면 실내의 공기가 프리필터(434)와 메인필터(432)를 거쳐 이물질이 여과되고 공기중의 세균 및 각종 바이러스균 등이 살균되며 담배연기를 비롯한 각종 악취가 탈취된 후, 상기 본체(100)내부로 유입되어 에어토출그릴(G)을 통해 다시 실내로 방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므로 공기청정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본체(100)에서 방출되는 공기는 풍량과 그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활한 공기청정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음이온발생기(456)를 작동시키면 상기 음이온 침(456")으로부터 음이온이 발생되며, 이러한 음이온은 공기중에 있는 먼지나 꽃가루와 같은 입자에 결합하여 떨어지게 되어 공기를 깨끗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어 불면증, 긴장, 편두통, 역겨움, 호흡곤란, 천식 등을 치료하는 등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음이온발생기(456)는 상기 팬하우징(454)의 배면 하단부에 구비되고 음이온 침(456")은 팬하우징(454)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부품의 설치위치는 음이온발생기(456)의 기능을 발휘하는 한 다른 부위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제품으로 공기청정기능과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음이온 발생 기능을 겸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팬하우징의 배면 하단부에는 음이온발생기 본체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음이온이 방출되는 음이온 침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음이온 침의 선단은 상기 팬하우징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인 공기배출구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에서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으로 오염되지 않은 보다 신선한 공기가 제공되고, 가습에 의해 적절한 습도가 유지되며, 또한 음이온으로 인하여 공기의 정화능률이 향상되며 인체에도 유익한 효과를 가져온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음이온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주로 건물의 실내)에 거주하는 인간이 가지는 불면증, 긴장, 편두통, 역겨움, 호흡곤란, 천식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제품에 공기청정기능과 가습기능 뿐만아니라, 음이온 발생기능까지 구비되므로 각각 기능별로 별개의 제품을 구입하는 것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고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습기능이 겸비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에어토출그릴 장착상태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요부구성인 음이온 침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요부구성인 음이온발생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내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물탱크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공기배출구
210. 뚜껑안착부 212. 개폐돌기
214. 물관통홀 220. 분무통안착부
222. 진동자 224. 송풍구
226. 수위센서 230. 트랜스
240. 송풍팬 250. 물공급호스
252. 가열히터 260. 콘트롤판넬
270. 하부케이스 300. 물탱크
310. 물주입구 320. 물탱크뚜껑
322. 물공급홀 324. 밸브
330. 정수필터 350. 분무통
360. 분무구 400. 상면커버
400'. 개구부 402. 리브체결홈
404. 지지홈 410. 체결리브
416. 지지리브 420. 공기흡입구
430. 필터설치부 432. 메인필터
434. 프리필터 440. 흡입커버
450. 청정팬 452. 청정팬모터
454. 팬하우징 456. 음이온발생기
456'. 음이온발생기 본체 456". 음이온 침
458. 음이온기안착부 460. 베리어
462. 보조방출구 G. 에어토출그릴

Claims (8)

  1.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과,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수단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고, 청정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강제 송풍하는 청정팬과;
    상기 청정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청정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세 입자로 변화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수단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판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음이온판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 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공기를 흡입하고 강제 송풍하는 청정팬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팬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팬하우징의 배면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침은,
    공기를 흡입하고 강제 송풍하는 청정팬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팬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침의 선단부는,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공기배출구 내측에 노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20030068591A 2003-10-02 2003-10-02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1004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91A KR101004555B1 (ko) 2003-10-02 2003-10-02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91A KR101004555B1 (ko) 2003-10-02 2003-10-02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673A true KR20050032673A (ko) 2005-04-08
KR101004555B1 KR101004555B1 (ko) 2011-01-03

Family

ID=3723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91A KR101004555B1 (ko) 2003-10-02 2003-10-02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5274A (zh) * 2015-12-07 2017-06-16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能有效清除异味的空气净化器
JP2017133767A (ja) * 2016-01-28 2017-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器
CN112611050A (zh) * 2020-12-18 2021-04-06 江苏方时远略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雾霾深度净化的空气处理设备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012B1 (ko) * 2011-09-15 2014-06-1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KR101403010B1 (ko) 2011-09-15 2014-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
KR101335230B1 (ko) 2011-09-16 2013-11-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
KR101634532B1 (ko) 2014-10-16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KR101634530B1 (ko) 2014-10-16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
KR101634528B1 (ko) 2014-10-17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
KR101689174B1 (ko) 2014-10-17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KR101634529B1 (ko) 2014-10-17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
KR101634527B1 (ko) 2014-10-17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594A (ko) * 1996-06-05 1998-03-30 윤학균 자동차 용 공기 청정기
KR200154615Y1 (ko) * 1997-02-17 1999-08-16 서백석 음전극침이 중앙에 위치한 전자식 공기청정기
KR19980066240U (ko) * 1997-05-13 1998-12-05 장병국 3단분리 구조로된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5274A (zh) * 2015-12-07 2017-06-16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能有效清除异味的空气净化器
JP2017133767A (ja) * 2016-01-28 2017-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器
CN112611050A (zh) * 2020-12-18 2021-04-06 江苏方时远略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雾霾深度净化的空气处理设备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555B1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88B1 (ko)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101389823B1 (ko)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JP2004524875A (ja) 銀イオン水を用いた加湿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032673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JP2006029664A (ja) 天井埋設型または天井吊下型の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清浄ユニット
KR20190122357A (ko) 가습기
JP2002327940A (ja) 空気調和機
KR20080104482A (ko)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101902788B1 (ko)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CN212253008U (zh) 一种家用电器
KR101003634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JP6020805B2 (ja) 空気清浄機
KR100607261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20050024042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20050025504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CN111928397A (zh) 一种家用电器
KR200226528Y1 (ko) 다용도 공기청정기
KR200353621Y1 (ko) 공기 살균수단이 구비된 공기 청정기
JP2012037170A (ja) 加湿機能付脱臭装置
KR20050025879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에어토출그릴 장착구조
KR200360134Y1 (ko) 물을 이용한 음이온 발생 공기청정기
CN111637561A (zh) 空气净化装置
KR20110043321A (ko) 은이온세정기가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KR101012995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2023762B1 (ko) 가습공기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