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49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49B1
KR102022049B1 KR1020180119926A KR20180119926A KR102022049B1 KR 102022049 B1 KR102022049 B1 KR 102022049B1 KR 1020180119926 A KR1020180119926 A KR 1020180119926A KR 20180119926 A KR20180119926 A KR 20180119926A KR 102022049 B1 KR102022049 B1 KR 10202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heater
humidifier
fram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중
박찬선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Priority to KR102018011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가습기는 일측으로 기화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상부바디,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히터가 형성된 하부바디, 히터와 접촉되어 물을 기화시키며, 상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유닛, 및 필터유닛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며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을 포함하고, 필터유닛 및 물통의 세척을 위하여 용이하게 이동하거나, 필터유닛 및 물통이 상부바디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상부바디, 물통 및 필터유닛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성, 사용상 편의성을 높이고, 우수한 사용 위생이 가능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써, 가습기를 이용하여 적당한 실내 습도인 55% 내지 60%를 유지함으로써, 호흡기 관련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날씨나 장소에 쾌적하고 유용한 실내습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가습기의 종류에는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방식 가습기와 특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진동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미세한 물방울로 무화시키는 초음파 방식,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이 합쳐진 복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초음파 방식의 가습기는 물을 가열시키지 않으므로 안전상의 염려는 적지만, 물을 무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기화열로 인해 주변 온도가 떨어지는 강하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진동자 등의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세균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 및 호흡기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을 직접 가열하여 분무하는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증기를 일으키는 곳을 직접 청소하기 어렵거나, 분리가 복잡하여 가습기의 청소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척하는 과정에서 가습기 내부에 물기가 들어가거나, 가열된 가습기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기 전에 가습기를 분해할 경우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6061호 “전열 증발식 가습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습기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습기의 사용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습기를 이용하거나, 세척하는 과정에서 보다 높은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가습기는 일측으로 기화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히터가 배치되는 하부바디, 상기 히터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물을 기화시키며, 상기 상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 및 물통의 세척을 위하여 용이하게 이동하거나, 상기 필터유닛 및 물통이 상기 상부바디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상부바디, 상기 물통 및 상기 필터유닛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유닛은, 직물로 이루어지며, 열에 의해 물을 기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덮이도록 상기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시 상기 히터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를 가열하는 히터캡, 및 상기 히터캡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캡 및 상기 필터와 고정시키며, 상기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프레임윙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윙은, 상기 프레임윙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바, 및 상기 프레임바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가 각각 통과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윙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지지돌기가 끼움되어 지지되는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바디의 끼움홈을 통과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부바디는 서로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바디는,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결합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결합고리가 통과되는 결합고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리가 회전하여 끼움되는 상부바디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고리가 상기 결합고리홈을 통과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부바디는와 상기 물통은 서로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하부바디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관통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관통공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디와 결합시 상기 필터유닛의 상기 히터캡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관통공에 끼움되는 물통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필터유닛 및 상기 물통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관통공의 하단측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관통공쪽으로 가속시켜 흡입시키는 회전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회전팬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흡수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1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캡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터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캡은 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캡과 상기 히터는 서로 접촉되며, 상기 히터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코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상기 물통과 결합시 상기 물통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기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이 융털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을 여과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 또는 상기 히터캡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며, 기결정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의 분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척시간을 파악 가능하도록, 상기 히터가 동작을 멈춘 시간으로부터 기결정된 시간이 흐르는 경우 소리 또는 빛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통에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터에 세균 번식이 저감되도록 상기 회전팬을 가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가 적은, 보다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하는 과정에서 보다 안전성이 우수한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습기를 이용하거나, 세척하는 과정에서 편의성이 매우 우수한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바디, 필터유닛 및 물통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상부바디, 필터유닛 및 물통의 결합 구조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전열가습기의 분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가습기는 상부바디(100), 하부바디(200),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은 상부바디(100)와 먼저 결합한 후 하부바디(200)와 결합된다. 또한, 가습기의 분해과정은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를 먼저 분해한 뒤, 상부바디(100)에 결합된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을 분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하게 기술한다.
가습기는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의 반지름이 좁아지는 항아리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는 각각 항아리 모양의 중간부분을 나누어 상측의 형상 및 하측의 형상을 띨 수 있다. 그러나, 가습기의 전체적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습기의 전체적인 형상은 항아리 모양 이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바디(100)는 일측으로 기화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110)가 형성된다. 분사구(110)를 통하여 기화된 물이 최종적으로 가습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분사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넓게 퍼진 형상으로, 복수의 원형이 반지름이 작아지는 형태를 이루며 각각의 원형 사이가 개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어느 일 방향을 향하여 집중 분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사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분사구(110) 끝의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바디(100)는 원주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단결합돌기(14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결합돌기(140)는 후술할 하부바디(200)와의 결합에서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부바디(100)의 내측에는 후술할 필터유닛(300)과 결합가능한 프레임지지부 (120, 도 4, 도5 참조) 및 물통(400)과 결합가능한 결합고리(130)를 더 포함한다. 상부바디(100)는 프레임지지부(120)와 결합고리(130)를 통해 필터유닛(300)과 물통(4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하부바디(200)는 상부바디(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바디(100)의 둘레를 따라 상단결합돌기(1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하부바디(200)의 둘레를 따라 상부바디(100)의 상단결합돌기(14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상부바디(100)의 상단결합돌기(140)가 하부바디(200)의 결합홈(230)에 삽입됨에 따라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는 서로 비틀어짐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바디(200)는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단결합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결합돌기(232)는 하부바디(200)가 상부바디(100)와 결합시 하부바디(200)의 내측으로 인입되었다가 후술할 분리버튼(220)을 작동하는 경우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바디(100)를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에 자세하게 설명할 제어부(290)는 하단결합돌기(232)를 제어함으로써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의 분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달리 하단결합돌기(232)는 상부바디(100)의 결합홈에 끼움되어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가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바디(200)의 일측에는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를 서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버튼(22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버튼(220)을 조작함으로써 하부바디(200)의 내측으로 인입되었던 하단결합돌기(232)가 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가 서로 이격되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하부바디(200)는 하부바디(20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관통되는 관통공(210), 관통공(210)의 상단에 배치되는 히터(240), 히터(2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210)은 하부바디(200)의 중심에 배치되고, 하부바디(200)의 상하가 연통되어 하부로부터 외부공기를 가습기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바디(200)의 하측에 가습기레그(202)가 돌출되어 가습기를 세워두었을 때 하부바디(200)의 하면과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공기가 가습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관통공(210)의 상단에는 히터(240)가 배치된다. 히터(240)는 상부바디(100)와 결합시 상부바디(100)에 결합되어 있는 필터유닛(300)의 히터캡(320)에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히터캡(320)과 매우 인접하게 배치된다. 히터캡(320)과 히터(240)는 서로 접촉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250)는 히터(2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바디(200)는 일측에 스피커(222)와 표시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22)는 가습기가 시작되거나, 꺼지는 경우 각각 대응되는 각종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24)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24)는 가습기의 잔량, 사용시간, 멈춘 이후로부터 흐른 시간, 현재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습기의 현재상태에 대하여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가습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스피커(222) 및 표시부(224)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유닛(300)은 물을 흡수하여 기회시키는 필터(310), 히터(240)와 접촉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캡(320) 및 필터(310)와 히터캡(320)을 고정시키고 상부바디(100)에 결합시키는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필터(310)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직물로 이루어지며, 히터캡(32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물을 기화시킨다. 필터(310)는 히터캡(320)과 프레임(330)을 덮으며 프레임(330)에 고정되기 위하여, 프레임(330)에 돌출된 프레임윙(332)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310)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을 여과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바디(200)의 관통공(210)의 하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필터(31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외부 공기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들을 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미세오염물질이 저감된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터(310)는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기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융털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310)의 표면적이 증가함으로써,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증가하고 기화되는 물의 양 또한 증가되어 가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할 회전팬(260)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가 통과되면서 미세오염물질을 보다 잘 여과할 수 있으므로 가습기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의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히터캡(320)은 필터(310)에 의해 덮이도록 필터(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바디(200)와 결합시 히터(240)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필터(310)를 가열한다. 이때, 히터캡(320)은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내부식성을 가지고, 인덕션 방식의 발열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240)는 코일을 포함하며, 히터캡(320)은 히터(24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인덕션(Induction) 방식으로 히터캡(320)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과 달리 히터(240)를 전원공급부(25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되는 전열코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히터(240)와 히터캡(320)은 서로 접촉되어, 히터(2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히터캡(320)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프레임(330)은 히터캡(320)의 하부에 배치된다. 프레임(330)은 히터캡(320) 및 필터(310)를 고정시키며, 상부바디(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윙(33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30)은 원을 이루는 상단원, 상단원보다 큰 원을 이루는 하단원, 상단원와 하단원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프레임살(331), 상단원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윙(3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원 상부에는 히터캡(320)이 삽입될 수 있는 프레임홈(3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원은 히터캡(320)의 반지름과 유사한 반지름을 가지며 중앙이 비어있는 원 형태를 이룬다. 상단원의 상부측에는 히터캡(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프레임홈(335)이 형성된다. 프레임홈(335)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링(322)이 삽입되어, 히터캡(320)과 프레임홈(335) 사이의 공간을 채워 히터캡(320)이 프레임(33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단원은 후술할 물통(400)의 물통관통공(410)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중앙이 비어있는 원주형태를 이룬다.
프레임살(331)은 상단원과 하단원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프레임살(331)은 상단원과 하단원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프레임살(331)은 프레임(330)의 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프레임살(331)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어 필터유닛(300)의 가습성능 및 공기정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프레임윙(332)은 상단원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다. 프레임윙(332)은 프레임윙(332)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바(332a), 및 프레임바(332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되는 프레임지지돌기(332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바(332a)는 상단원의 접선과 대략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프레임지지돌기(332b)는 프레임바(332a)의 단부에 프레임바(332a)의 돌출방향과 수직하게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바디(100)의 프레임지지부(120)가 보다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프레임바(332a)와 프레임지지돌기(332b)가 만나는 프레임바(332a)의 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지지돌기(332b)는 상부바디(100)의 프레임지지부(120)에 삽입되어 필터유닛(300)과 상부바디(100)를 서로 결합한다.
다만, 설계 상의 이유 등으로 프레임윙(332)이 상단원이 아닌 프레임살(331)이나 다른 위치에서 배치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지지돌기(332b)는 상부바디(100)의 프레임지지부(120)의 형상에 따라, 프레임지지부(120)에 끼움될 수 있도록 상부나 하부 어느 일방향으로만 돌출될 수도 있다.
물통(400)은 가습하기 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물통(400)의 중앙부에는 물통(400)이 하부바디(200)의 관통공(210)에 끼움될 수 있도록 물통관통공(410)이 형성된다.
물통(400)은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상부바디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바디지지부(420)는 상부바디(100)의 결합고리(130)가 통과되는 결합고리홈(422)이 형성되고, 결합고리(130)가 회전하여 끼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상부바디(100),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습기의 상부바디(100)를 분리하는 경우, 물통(400)에 물이 남아 있는 경우 물이 쏟아질 염려가 적어 사용상 편의성이 높아진다. 또한, 필터(310)가 물통에 있는 물을 흡수하여 젖어 있는 경우에도, 하부에 물통(400)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필터(310)로부터 물이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부바디(100)의 분리 및 이동시에 주변이 물이 떨어지지 않아 오염되지 않으므로, 가습기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바디(100)로부터 물통(400) 및 필터유닛(300)이 순차적으로 분리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물통(400)만 세척하거나 물만 보충하는 경우에 물통(400)만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물을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유닛(30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 필터유닛(300)을 추가적으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가습기의 사용 및 세척의 편의성이 매우 증진된다.
도4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바디, 필터유닛 및 물통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부바디(100)와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의 조립순서는 상부바디(100)에 먼저 필터유닛(300)을 결합하고, 그 다음에 물통(400)을 상부바디(100)에 결합한다. 그리고, 분해순서는 역순으로 진행된다.
프레임(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바디(100)와 결합되기 위한 프레임윙(3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바디(100)는 프레임윙(332)과 결합되기 위한 프레임지지부(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지지부(120)는 둘레를 따라 프레임윙(3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프레임지지돌기(332b)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끼움홈(120a, 120b)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330)의 프레임지지돌기(332b)가 끼움홈(120a, 120b)을 통과한 후 프레임윙(332)이 회전되는 경우, 프레임지지부(120)에 프레임지지돌기(332b)가 끼움되어 프레임(330), 즉 필터유닛(300)이 상부바디(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필터유닛(300)과 상부바디(10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부바디(100)는 프레임지지부(120)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결합고리(13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결합고리(130)는 프레임지지부(120)와 대략의 수직방향을 이루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합고리(130)는 아래로 연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일부 돌출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제1부분(130a), 제1부분(130a)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부분(130b), 제2부분(130b)으로부터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부분(13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물통(400)의 상부바디지지부(42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부분(420a)은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부분(420b)은 결합고리(130)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결합고리(130)는 물통(400)에 형성된 상부바디지지부(420)에 끼움되어 상부바디(100)와 물통(40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바디(100)의 결합고리(130)는 물통(400)의 상부바디지지부(420) 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결합고리홈(422)을 통과할 수 있다. 결합고리(130)가 결합고리홈(422)을 통과한 후 물통(400) 또는 상부바디(100)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고리(130)가 상부바디지지부(420)에 끼움되어 물통(400)과 상부바디(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바디(100)에 상부바디(100)에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이 결합되어 함께 운반하거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를 분리하는 경우 상부바디(100)만 이동함으로써 상부바디(100),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유닛(300) 및 물통(400)으로부터 오염물질 및 잔여습기가 가습기 주변으로 떨어지지 않아 사용상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깨끗한 위생상태를 만들 수 있다.
한편, 하부바디(200)는 관통공(210)의 하단측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를 통공쪽으로 가속시켜 흡입시키는 회전팬(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팬(260)은 하부바디(200)의 하부측으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시킨다. 회전팬(260)은 가습기 내부 공기의 순환을 가속시키고, 필터(310)를 통한 가습효과 및 공기 청정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바디(200)는 관통공(2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팬(260)의 상단에 배치되어, 관통공(210)으로 흡수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1차필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차필터(27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오염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필터(310)는 물통(400)과 결합시 물통(400)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물통(400)은 필터유닛(3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적어도 필터(31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필터(310)는 물통의 하단부(40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팬(260)을 통해 외부 공기가 하부바디(200)의 관통공(210) 내부로 유입되며, 관통공(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프레임살(331)을 통해 필터(310)를 통과하며 기화를 촉진시키거나, 물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물속으로 들어간 공기가 필터(310)를 거치지 않고 가습기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공기속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과 필터(310)를 통해 여과된 깨끗한 공기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310)가 물통(400)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공기가 물속 하부를 통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채로 기화되거나, 배출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310)가 물통(400)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물통(40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최대한 흡수하여 가습할 수 있어 물통(400) 내부의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습기는 히터(240) 또는 히터캡(320)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미도시) 및 제어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히터(240) 또는 히터캡(320)의 온도를 계측한다. 구체적으로 히터(240)에 코일이 내장되어 자기장을 이용하여 히터캡(320)의 저항을 이용하여 발열되는 경우에는 히터캡(320)의 온도를 계측할 수 있으며, 히터(240)에 전류를 인가하여 히터(240)에서 직접 열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히터(240)의 온도를 계측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수치를 수신받고, 기결정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의 분리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받는 수치가 높을 경우, 제어부(290)는 분리버튼(220)을 눌러도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290)는 사용자가 분리버튼(220)을 눌러도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히터(240) 또는 히터캡(320)의 온도가 높을 경우에 상부바디(100)를 분리하는 경우 히터(240)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신호가 기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스피커(222)나 표시부(224)를 통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습기의 세척시간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도록, 가습기(히터(240))의 동작이 멈춘 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예를 들어 5분 내지 10분이 지난 경우 또는 히터(240)의 온도가 일정온도(예를 들어, 섭씨 50도)이하가 되는 경우에 제어부(29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통해 스피커(222) 및 표시부(224)에서 세척가능 시간 또는 가습기의 상부바디(100)를 분리가능 하다는 소리 또는 표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90)는 여러가지 신호를 발생시켜, 스피커(222) 및 표시부(224)에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표시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90)는 물통(400)에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일정시간 회전팬(260)을 가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310)는 물을 흡수하여 젖은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가습이 중단된 이후에도 필터(310)는 물을 흡수하여 젖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필터(310)에 남아있는 습기 및 필터(310)가 공기를 여과하며 남은 오염물질들로 인하여 필터(310)에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팬(260)을 가동시킴으로써 필터(310)에 남아있는 습기를 제거하여 필터(310)에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가습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유닛(300)의 필터(310)는 히터캡(320), 프레임(330)을 덮으며 물통(400)의 하단부에 닿도록 배치된다. 이때 필터(310)는 물(30)을 흡수하여 젖은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가습기를 작동시키면 전원공급부(250)로부터 히터(240) 전류가 인가되어 전열 가열인 경우에는 히터(240)에서 열이 발생이 되고, 인덕션 방식인 경우에는 히터(240)로부터 자기장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히터(240)와 인접하게 배치된 히터캡(3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히터캡(320)과 접촉되는 필터(310)부분에서는 기화가 일어난다.
또한, 기화 현상을 가속하기 위하여 회전팬(260)이 작동될 수 있다. 회전팬(260)이 작동됨으로써, 외부공기가 하부바디(200)의 관통공(210)을 통해 빠르게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필터(310)를 통해 빠져나가며 기화 현상을 촉진시키고, 필터(310)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날개(280)는 관통공(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회전하여 더 빠른 유속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6은 도 4에 도시된 상부바디 및 물통의 결합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는 상부바디(100)의 다른 부분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바디의 결합고리(1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아래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물통(400)의 상부바디지지부(420')는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부바디지지부(420')는 ㄷ자 형상의 열린 부분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다. ㄷ자 형상의 닫힌 부분에는 결합고리(130')가 통과될 수 있도록 결합고리홈(422')이 형성된다.
상부바디(100)의 결합고리(130')가 결합고리홈(422')을 통과한 후, 결합고리(130')의 오목한 부분이 물통(400)의 상부바디지지부(420')에 끼움되어, 결합고리(130')가 물통(400)을 지지함으로써 물통(400)과 상부바디(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전열가습기의 분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가습기를 사용하는 과정 중 또는 사용을 끝낸 이후의 모습이다. 이때, 표시부(224)에서는 가습기를 가동하고 있는 시간, 가습기 내부에 남아있는 물의 양, 이를 통하여 예상되는 가습기의 예상 작동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표시되는 것이 상술한 것에 한하지 않고 가습기의 사용에 관련된 다른 사항들 예를 들어, 회전팬(260)의 속도나 히터(240) 또는 히터캡(320)의 온도 등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상의 이유로 히터(240) 또는 히터캡(320)이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분리버튼(220)을 눌러도 상부바디(100)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표시부(224) 및/또는 스피커(222)를 통하여 가습기 내부의 온도 등의 이유로 인하여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부바디(100)가 하부바디(200)로부터 분리로부터 분리된 모습이다. 이때, 물통(400) 및 필터유닛(300)은 상부바디(1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통(400)에 물을 보충하거나, 물통(400) 및/또는 필터유닛(300)을 세척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물통(400) 및 필터유닛(300)과 결합된 상부바디(100)만 하부바디(200)로부터 분리시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장소에서 물통(400)과 필터유닛(300)을 분리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높아진다.
또한, 물통(400)과 필터유닛(300)이 상부바디(100)와 결합되어 있으며, 물통(400)은 필터유닛(300)을 감싸며 상부바디(100)와 결합되므로 물통(400)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나, 젖어 있는 필터(310)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아 위생적인 가습기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부바디(100)로부터 물통(400)과 필터유닛(300)이 분리된 모습이다.
분리의 순서는 상부바디(100)로부터 먼저 물통(400)을 분리한 후, 필터유닛(300)을 분리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바디(100)에 필터유닛(300)이 먼저 결합된 후에 물통(400)이 필터유닛(300)을 감싸며 상부바디(100)에 결합되므로, 상부바디(100)로부터 물통(400)을 먼저 분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물통(400)에 남아 있는 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물로 교체하거나 물통(400)만 세척하는 경우, 상부바디(100)로부터 필터유닛(300)을 제거할 필요없이 물통(400)만을 제거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높아진다.
또한, 미세오염물질을 여과하고,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필터(310)의 상부에는 오염물질이 빠르게 쌓일 수 있기 때문에 이곳을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히터캡(320)과 프레임(330) 사이의 결합링(322)도 노후 등의 이유로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히터(240) 전체를 운반하지 않고 상부바디(100)만을 이동시켜서 분리한 후 세척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매우 높아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바디(2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하부바디(200)는 관통공(210) 내부에 배치되고, 관통공(210)의 원주를 따라 회전팬(260) 상부에 배치되는 공기유입날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유입날개(280)는 회전팬(26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되어 더욱 빠르게 관통공(210) 상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기유입날개(280)는 관통공(210)의 가상의 편평한 단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관통공(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바디(200)의 내부면(204)이 이루는 면과 평행한 관통공(210) 내부의 가상의 단면을 상정할 때, 공기유입날개(280)가 상술한 단면과 이루는 각도는 대략 15도 내지 45도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30도 내지 45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유입날개(280)가 단면과 이루는 각도가 15도 미만인 경우에는 공기유입날개(280)로 인한 공기 저항이 강하여 유속이 하락할 수 있으며, 공기유입날개(280)가 단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도를 넘는 경 우 공기의 회전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부바디 100 분사구 110
프레임지지부 120 프레임지지부돌기 120b
끼움홈 122 결합고리 130
결합고리 제1부분 130a 결합고리 제2부분 130b
결합고리 제3부분 130c 상단결합돌기 140
하부바디 200 가습기레그 202
관통공 210 분리버튼 220
스피커 222 표시부 224
결합홈 230 하단결합돌기 232
히터 240 전원공급부 250
회전팬 260 1차필터 270
공기유입날개 280 제어부 290
필터유닛 300 필터 310
결합홀 312 히터캡 320
결합링 322 프레임 330
프레임살 331 프레임윙 332
프레임바 332a 프레임지지돌기 332b
프레임 홈 335 물통 400
물통 하단부 402 물통관통공 410
상부바디지지부 420 상부바디지지부 제1부분 420a
상부바디지지부 제2부분 420b 결합고리홈 422
물 30

Claims (15)

  1. 일측으로 기화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히터가 배치되는 하부바디;
    상기 히터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물을 기화시키며, 상기 상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 및 물통의 세척을 위하여 용이하게 이동하거나, 상기 필터유닛 및 물통이 상기 상부바디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상부바디, 상기 물통 및 상기 필터유닛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필터유닛은,
    직물로 이루어지며, 열에 의해 물을 기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덮이도록 상기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시 상기 히터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를 가열하는 히터캡; 및
    상기 히터캡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캡 및 상기 필터와 고정시키며, 상기 상부바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캡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측에 구비된 프레임홈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히터캡은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상부바디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히터는 하부바디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프레임윙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윙은,
    상기 프레임윙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바; 및
    상기 프레임바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가 각각 통과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윙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지지돌기가 끼움되어 지지되는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바디의 끼움홈을 통과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부바디는 서로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는,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결합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결합고리가 통과되는 결합고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리가 회전하여 끼움되는 상부바디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고리가 상기 결합고리홈을 통과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물통은 서로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하부바디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관통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관통공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디와 결합시 상기 필터유닛의 상기 히터캡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관통공에 끼움되는 물통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필터유닛 및 상기 물통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가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관통공의 하단측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관통공쪽으로 가속시켜 흡입시키는 회전팬을 더 포함하는,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회전팬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흡수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1차필터를 더 포함하는, 가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캡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터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캡은 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는, 가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캡과 상기 히터는 서로 접촉되며,
    상기 히터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코일인, 가습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물통과 결합시 상기 물통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습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기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이 융털구조를 이루는, 가습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질을 여과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습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또는 상기 히터캡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며, 기결정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의 분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습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척시간을 파악 가능하도록, 상기 히터가 동작을 멈춘 시간으로부터 기결정된 시간이 흐르는 경우 소리 또는 빛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습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통에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터에 세균 번식이 저감되도록 상기 하부바디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관통되는 관통공의 하단측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관통공쪽으로 가속시켜 흡입시키는 회전팬을 가동시키는, 가습기.
KR1020180119926A 2018-10-08 2018-10-08 가습기 KR10202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26A KR102022049B1 (ko) 2018-10-08 2018-10-08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26A KR102022049B1 (ko) 2018-10-08 2018-10-08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49B1 true KR102022049B1 (ko) 2019-09-18

Family

ID=6807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926A KR102022049B1 (ko) 2018-10-08 2018-10-08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5929A (zh) * 2021-08-26 2021-11-23 湖南红橡室内气候技术有限公司 加湿装置
KR20220062947A (ko) * 2020-11-09 2022-05-17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디퓨저 겸용 가습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86A (ja) * 1995-06-21 1997-01-10 Matsushita Seiko Co Ltd ヒーター式加湿機
KR100876061B1 (ko) 2008-04-25 2008-12-26 이명순 전열 증발식 가습기
KR20120113163A (ko) * 2011-04-04 2012-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장치
KR20170011635A (ko) * 2015-07-23 2017-02-02 (주)비케이더블유 기화식 가습기의 필터장치
KR20170028242A (ko) * 2015-09-03 2017-03-1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KR101728057B1 (ko) * 2015-11-18 2017-04-18 (주)이엠케이트레이딩코퍼레이션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JP2018071819A (ja) * 2016-10-25 2018-05-10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86A (ja) * 1995-06-21 1997-01-10 Matsushita Seiko Co Ltd ヒーター式加湿機
KR100876061B1 (ko) 2008-04-25 2008-12-26 이명순 전열 증발식 가습기
KR20120113163A (ko) * 2011-04-04 2012-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장치
KR20170011635A (ko) * 2015-07-23 2017-02-02 (주)비케이더블유 기화식 가습기의 필터장치
KR20170028242A (ko) * 2015-09-03 2017-03-1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KR101728057B1 (ko) * 2015-11-18 2017-04-18 (주)이엠케이트레이딩코퍼레이션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JP2018071819A (ja) * 2016-10-25 2018-05-10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947A (ko) * 2020-11-09 2022-05-17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디퓨저 겸용 가습기
KR102505250B1 (ko) * 2020-11-09 2023-03-02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디퓨저 겸용 가습기
CN113685929A (zh) * 2021-08-26 2021-11-23 湖南红橡室内气候技术有限公司 加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58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8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769817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389823B1 (ko)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022049B1 (ko) 가습기
JP7007266B2 (ja) 加湿清浄装置
KR20150001943A (ko)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KR101154823B1 (ko) 타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KR20130106997A (ko) 자외선 led를 이용하는 살균기능이 있는 가습기
US20170122603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346651B1 (ko) 살균 가습기
CN212143132U (zh) 一种便携式雾化器
JP3973391B2 (ja) 加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暖房機器
KR102023762B1 (ko) 가습공기정화 장치
KR101902788B1 (ko)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KR200453235Y1 (ko) 전열 가습기
KR20180110388A (ko) 유증기 처리장치
KR101939576B1 (ko) 다수의 진동자 및 필터를 갖는 가습기
KR102036616B1 (ko) 가습모듈
KR101292303B1 (ko) 초음파 디퓨져의 공기배출장치
JP2013068352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20050025504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102246903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152288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