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242A -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 Google Patents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8242A KR20170028242A KR1020160028460A KR20160028460A KR20170028242A KR 20170028242 A KR20170028242 A KR 20170028242A KR 1020160028460 A KR1020160028460 A KR 1020160028460A KR 20160028460 A KR20160028460 A KR 20160028460A KR 20170028242 A KR20170028242 A KR 20170028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opening
- humidifier
- air
- water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24F3/1603—
-
- F24F2003/1614—
-
- F24F2003/165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소음이 적고 충분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상방 돌출된 관통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조 및 하부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설되는 가습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하부가 수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립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이드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소음이 적고 충분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의 가습방식에는 다양한 종류들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필터식, 가열식, 초음파식 및 디스크식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습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필터식 가습기는 흡습성이 강한 필터의 일부가 물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필터 상부에 물이 스며들며, 필터 사이로 공기의 건조한 공기가 대류현상으로 인해 필터를 지나가게 됨으로 습한 공기로 변하여 대기의 수분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물이 증발하게 되므로 세균이나 먼지는 물 입자보다 크기 때문에 필터 상부에 고스란히 남아 축적된다.
이러한 필터식 가습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의 소비가 적고, 과습을 방지해주고 소음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다른 가습방식을 이용하는 가습기에 비해 가습량이 적은 것이 단점이다.
가열식 가습기는 열선을 통해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물을 기체상태로 변환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함으로 가습하는 방식으로, 구조에 열선이 들어가고 열선에 전기를 공급할 전원 장치 등이 들어간다.
이러한 가열식 가습기는 가열하여 증기를 만들어 냄으로 위생 및 세균으로부터 안전한 장점이 있으나, 전력의 소모가 크고 특유의 소음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여러 가습 방식 중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방식으로 초음파 진동자가 가청 주파수 이상의 진동으로 물을 작은 입자로 쪼개서 대기 중에 분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초음파식 가습기는 가습량이 많고 전력 소모가 적으며,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세균 및 먼지가 대기 중에 분사되고 잦은 청소 및 소독이 필요하다.
디스크식 가습기는 디스크식 기화가습기는 일정간격을 기준으로 CD형태의 디스크필터들이 20-40장 가량 배치되어있으며, 이 디스크들은 계속 물에 적셔줘야 하기 때문에 모터를 사용하여 디스크들을 계속 회전 시켜준다.
팬으로 건조한 바람을 회전하는 디스크에 강제 대류를 시켜 습한 공기로 배출하여 가습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디스크식 가습기는 안전하고 위생적이나, 디스크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초음파식 가습기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초음파식 가습기의 세정제 관련하여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고,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따라서, 충분한 가습량을 확보하고, 친 환경적이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습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이 적고 충분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상방 돌출된 관통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조; 및 하부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설되는 가습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하부가 수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설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이드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는 복수 개의 가습필터를 이용한 필터식 가습방식을 통해서 가습기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을 이용하여 가습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를 강제유동시켜 충분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편백나무 재질의 가습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정화 및 호흡기 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20)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2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받침대(110) 및 케이스(12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습필터(140) 및 공기배출부(150)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관통부(121)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개폐부(123)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관통부(121)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관통부(121)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개폐부(123)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관통부(121)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공기배출부(15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공기배출부(15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20)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2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받침대(110) 및 케이스(12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습필터(140) 및 공기배출부(150)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관통부(121)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개폐부(123)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관통부(121)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관통부(121)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개폐부(123)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관통부(121)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공기배출부(15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공기배출부(15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대(110)를 기준하여 케이스(12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케이스(120)를 기준하여 받침대(11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20)의 저면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20)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받침대(110) 및 케이스(12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습필터(140) 및 공기배출부(15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화식 가습기(100)(이하 ‘가습기’라 함.)는 받침대(110), 케이스(120), 수조(130), 가습필터(140)가 포함된다.
상기 받침대(110)는 상면이 개방되고, 후술되는 송풍팬(F)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습기(100)의 내부에 강제 유입되도록 측면에 복수 개의 개방부(11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2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상방 돌출된 관통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부(121)는 상기 개방부(11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수조(130)는 상기 가습필터(140)에 흡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용기로써,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수조(130)는 하면에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방 돌출된 끼움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부(131)는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습필터(140)는 하부가 상기 수조(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설되며, 상기 가습필터(140)의 하부가 상기 수조(130)에 담긴 물에 잠김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가습필터(14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물이 스며들게 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20)는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 하면에 상기 송풍팬(F)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팬(F)은 상기 케이스(120)의 하면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F)은 상기 케이스(120)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받침대(110)의 내측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20)는 하면에 상기 관통부(121) 측으로 하방 굴곡된 라운딩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상기 송풍팬(F)에 의해 상기 개방부(111)로부터 강제 유입된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센서부, 전원부,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외부 습도를 측정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가습필터(140)가 상기 수조(130)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송풍팬(F)의 작동정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송풍팬(F)의 작동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스(120)의 외측에 설치된 램프를 통해 사용자에서 물보충이 필요함을 알려주거나, 상기 송풍팬(F)의 회전속도 및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제어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부(121)는 상부에 개폐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123)는 상기 수조(13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부(121)를 폐쇄하여 상기 송풍팬(F)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여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부(123)는 상기 관통부(121)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부(124)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24)는 파이프 형상으로, 양측 단부가 상기 관통부(121)의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거치홈(125)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힌지부(124)가 상기 거치홈(125)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개폐부(123)가 상기 송풍팬(F) 의해 강제 유입된 공기와 접하면서 발생하는 항력 또는 불특정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123)의 배치 위치가 변동되거나 상기 개폐부(123)가 상기 관통부(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21)는 내측면에 상기 개폐부(123)가 거치되는 안착부(12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123)가 폐쇄될 시 상기 개폐부(123)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126)에 거치된다.
도면 상에 상기 안착부(126)는 상기 관통부(121)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에는 고무 재질의 방진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송풍팬(F)의 초기 작동 시 또는 회전속도가 높아져 상기 개폐부(123)에 순간적으로 많은 항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개폐부(123)가 상방 개방되어 상호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미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안착부(126)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123)가 상기 안착부(126)에 거치될 시 발생될 수 있는 미세한 소음도 방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121)는 측면에 배수부(127)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부(127)는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에 유입된 물을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며, 배출된 물은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수조(130)로 유동된다.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에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부(127)를 통해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배수부(127)의 하부는 상기 안착부(12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개폐부(123)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F)의 미작동 시 상기 개폐부(123)에 의해 상기 관통부(121)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123)는 상기 송풍팬(F)이 작동되어 강제 유입된 공기와 접하면서 발생하는 항력에 의하여 상방 개방되며, 상기 송풍팬(F)의 작동이 정지되어 항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부(123)가 상기 안착부(126)에 거치되어 상기 관통부(121)가 폐쇄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관통부(121)는 상부에 공기배출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50)는 상기 관통부(121)를 따라 유동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공(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51)은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에어필터(1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필터(152)는 상기 관통공(151)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공기배출부(15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필터(140)는 하부가 상기 수조(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설되고, 상부가 상기 공기배출부(150) 측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 개가 상기 수조(130)의 내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50)는 상부에 상기 가습필터(140)를 고정하기 위한 필터캡(1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캡(160)은 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홈(161)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습필터(140)의 상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161)에 거치되어 고정된다.
장시간 동안 상기 수조(130)에 담겨 물을 흡수하는 상기 가습필터(140)는 팽창변형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상기 가습필터(140)를 고정하고, 팽창변형에 의한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습필터(140)는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이드(1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가이드(141)는 복수 개의 가습필터(140)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습필터(140)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필터삽입부(142)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습필터(140)가 상기 필터삽입부(142)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습필터(140)의 변형을 방지하여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필터가이드(141)가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가습필터(140)의 상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161)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가습필터(140)는 돔(dome)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140)와 상기 필터가이드(141)는 격자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공기배출부(150)에서 방출된 공기가 외부로 통과되는 배출공(143)이 형성된다.
상기 가습필터(140)와 상기 필터가이드(141)는 종이, 나무, 섬유와 같은 흡습성 소재가 필터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 효과가 뛰어난 편백나무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된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가습기(1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팬(F)이 작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받침대(110)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111)를 통해 강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상기 관통부(121)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개페부(123)를 통과한다.
그 후,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150)를 통해 방출됨과 동시에 상기 가습필터(140)와 상기 필터가이드(141)에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한 후 외부로 분산됨으로써, 상기 가습기(100)가 배치된 실내 공간에 가습이 이루어 진다.
이하, 도 7a,b,c 및 도 8a,b,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및 3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관통부(121)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개폐부(123)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관통부(121)의 평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는 전술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31)와, 상기 끼움부(131)에 삽입된 관통부(121)가 육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121)는 상부에 개폐부(1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123)는 상기 관통부(121)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도록 육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23)는 상기 관통부(121)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개방되도록 중앙이 분리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면에 유입된 물이 후술되는 배수부(127)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관통부(121) 폐쇄 시 상호 밀착되는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a, 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상기 개폐부(123)는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힌지부(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124)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개폐부(123)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124)의 양측 단부는 상기 관통부(121)의 양측면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거치홈(125)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관통부(121)는 내측면에 상기 개폐부(123)가 거치되는 안착부(12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123)가 폐쇄될 시 상기 개폐부(123)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126)에 거치된다.
상기 안착부(126)는 상기 관통부(121) 폐쇄 시 상호 밀착되는 상기 개폐부(123)의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121)는 측면에 배수부(127)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부(127)는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에 유입된 물을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며, 배출된 물은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면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상기 수조(130)로 유동된다.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에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부(127)를 통해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배수부(127)의 하부는 상기 안착부(12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개폐부(123)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F)의 미작동 시 상기 개폐부(123)에 의해 상기 관통부(121)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123)는 상기 송풍팬(F)이 작동되어 강제 유입된 공기와 접하면서 발생하는 항력에 의하여 상기 관통부(121)의 중심을 기준하여 양측으로 벌어지며 상방 개방되며, 상기 송풍팬(F)의 작동이 정지되어 항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부(123)가 상기 안착부(126)에 거치되어 상기 관통부(121)가 폐쇄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관통부(121)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개폐부(123)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관통부(121)의 평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개폐부(123)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는 전술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31)와, 상기 끼움부(131)에 삽입된 관통부(121)가 사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121)는 상부에 개폐부(1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123)는 상기 관통부(121)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도록 사각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23)는 중앙이 분리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부(121) 폐쇄 시를 기준하여, 상호 일부 겹쳐지도록 한 쌍 중 일측이 타측보다 폭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유입된 물이 후술되는 배수부(127)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겹쳐진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8a,b,c를 참조하면, 한 쌍의 상기 개폐부(123)는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힌지부(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124)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개폐부(123)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124)의 양측 단부는 상기 관통부(121)의 양측면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거치홈(125)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관통부(121)는 내측면에 상기 개폐부(123)가 거치되는 안착부(12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123)가 폐쇄될 시 상기 개폐부(123)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126)에 거치된다.
상기 안착부(126)는 상기 관통부(121) 폐쇄 시 상호 겹쳐지는 상기 개폐부(123)의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121)는 측면에 배수부(127)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부(127)는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에 유입된 물을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며, 배출된 물은 상기 관통부(121)의 외측면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상기 수조(130)로 유동된다.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에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부(127)를 통해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배수부(127)의 하부는 상기 안착부(12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12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상기 개폐부(123)의 작동 상태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9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내지 3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공기배출부(150)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공기배출부(15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9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는 전술된 제 1 내지 3 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공기배출부(150)의 내부에 도 2에 도시된 상기 관통부(12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격벽(1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53)은 상기 공기배출부(150) 내측으로 돌출되어 하방절곡되어 있다.
상기 격벽(153)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150)의 상부와 하부로 균일하게 배출되어 도 1에 도시된 상기 가습기(100)가 배치된 실내 공간의 가습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격벽(153)은 절곡되는 부분에 도 3b에 도시된 라운딩부(122)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여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상기 관통공(151)은 장길이의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9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배출량에 따라 상기 격벽(153)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공(151)의 형성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내지 4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기화식 가습기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는 전술된 제 1 내지 4 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상기 수조(130)는 측면 상단에 외측으로 하방 굴곡된 물받이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부(132)는 상기 수조의 측면 상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조(130)에 담긴 물이 소진되어 물보충이 필요할 경우, 상기 수조(130)로부터 상기 가습필터(14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기에 담긴 물을 상기 물받이부(132)를 통해 상기 수조(1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는, 복수 개의 가습필터를 이용한 필터식 가습방식을 통해서 가습기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을 이용하여 가습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충분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편백나무 재질의 가습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정화 및 호흡기 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가습기 110 : 받침대
111 : 개방부 120 : 케이스
121 : 관통부 122 : 라운딩부
123 : 개폐부 124 : 힌지부
125 : 거치홈 126 : 안착부
127 : 배수부 130 : 수조
131 : 끼움부 132 : 물받이부
140 : 가습필터 141 : 필터가이드
142 : 필터삽입부 143 : 배출공
150 : 공기배출부 151 : 관통공
152 : 에어필터 153 : 격벽
160 : 필터캡 161 : 삽입홈
F : 송풍팬
111 : 개방부 120 : 케이스
121 : 관통부 122 : 라운딩부
123 : 개폐부 124 : 힌지부
125 : 거치홈 126 : 안착부
127 : 배수부 130 : 수조
131 : 끼움부 132 : 물받이부
140 : 가습필터 141 : 필터가이드
142 : 필터삽입부 143 : 배출공
150 : 공기배출부 151 : 관통공
152 : 에어필터 153 : 격벽
160 : 필터캡 161 : 삽입홈
F : 송풍팬
Claims (16)
- 공기가 유입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상방 돌출된 관통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조; 및
하부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설되는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송풍팬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면에 상기 관통부 측으로 라운딩부가 굴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하면에 상기 관통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끼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부에 개폐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내측면에 상기 개폐부가 거치되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측면에 배수부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부에 공기배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외측면, 상기 관통공 중 어느 하나에 에어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내부에 상기 관통부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부에 상기 가습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필터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은
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거치부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복수 개가 상기 수조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이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 또는 상기 필터가이드는
재질이 편백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복수 개로 구성되고, 하부가 수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설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이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4687 | 2015-09-03 | ||
KR20150124687 | 2015-09-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242A true KR20170028242A (ko) | 2017-03-13 |
Family
ID=5841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460A KR20170028242A (ko) | 2015-09-03 | 2016-03-09 |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2824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4370A (ko) * | 2017-05-11 | 2018-11-21 | (주)다나티앤씨 | 친환경 가습기 |
KR102022049B1 (ko) * | 2018-10-08 | 2019-09-18 |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 가습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315U (ko) | 2009-11-23 | 2011-05-31 | 장은지 | 타월 가습기 |
-
2016
- 2016-03-09 KR KR1020160028460A patent/KR201700282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315U (ko) | 2009-11-23 | 2011-05-31 | 장은지 | 타월 가습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4370A (ko) * | 2017-05-11 | 2018-11-21 | (주)다나티앤씨 | 친환경 가습기 |
KR102022049B1 (ko) * | 2018-10-08 | 2019-09-18 | 유한책임회사 아쿠아리우스 | 가습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6220390A (ja) | 加湿装置 | |
JP5811166B2 (ja) | 不織布の表面積の変化により加湿量が調節される自然加湿器(ahumidifier) | |
KR20170028242A (ko) |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 |
KR100848535B1 (ko) | 자연증발식 가습기 | |
KR20130020858A (ko) | 기화 가습키트 | |
US8833740B2 (en) |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and air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207904B1 (ko) |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 |
CN113924448A (zh) | 空气加湿器 | |
JP2010286188A (ja) | 気化式加湿器 | |
US8840093B2 (en) | Natural evaporation humidifier | |
KR101957682B1 (ko) | 제가습 장치 | |
KR100467665B1 (ko) | 자연증발식 가습기 | |
KR20120017376A (ko) | 공기청정가습기 | |
KR101630255B1 (ko) | 선인장 형상의 부직포가습기 | |
JP2008180411A (ja) | サウナ装置 | |
KR20130004218U (ko) | 자연 가습장치 | |
KR101574079B1 (ko) | 송풍펜을 이용하여 가습량을 조절하는 부직포가습기 | |
JP3546837B2 (ja) | 加湿器 | |
JP3797022B2 (ja) | 加湿器 | |
KR101493247B1 (ko) | 판재를 이용한 자연가습기 | |
KR200299882Y1 (ko) | 자연증발식 가습기 | |
KR20150144732A (ko) | 가습기 | |
KR101193934B1 (ko) | 수분증발형 공기정화장치 | |
KR20150144470A (ko) | 가습기 | |
KR20060100876A (ko) | 기화식 가습장치의 가습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